1 / 2
" 변환"으로 검색하여,
1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LS일렉트릭, GE버노바(Vernova)와 HVDC용 변환설비 국산화를 위한 업무협약(MOU) 체결 [출처=LS일렉트릭]LS ELECTRIC(일렉트릭, 회장 구자균, 사장 김종우)에 따르면 2025년 7월23일(수) 서울 용산구 그랜드 하얏트 서울에서 글로벌 에너지 솔루션 기업인 GE버노바(Vernova)와 HVDC용 변환 설비 국산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체결식에는 LS일렉트릭 구자균 회장과 김종우 사장, GE버노바의 필립 피론(Philippe Piron) 전기화 사업 부문 대표(사장)와 요한 빈델(Johan Bindele) 그리드 통합시스템 사업부 대표(부사장), 알렉세이 크랄(Alexei Kral) 주한미국대사관 경제공사 참사관 등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양사는 이 자리에서 LS일렉트릭의 HVDC 생산 인프라를 활용해 기가와트(GW)급 전압형 HVDC 핵심 설비인 변환 밸브 국산화를 위한 기술 협력을 본격화하는 데 합의했다.LS일렉트릭은 차세대 국가 전력망의 열쇠가 될 ‘전압형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초고압 직류송전)’ 국산화에 본격 착수한다.이미 HVDC 변환용 변압기(CTR) 국산화를 완료한 LS일렉트릭은 GE버노바 변환 밸브 분야 선진 기술을 내재화해 전압형 변환 설비 국산화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HVDC는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교류(AC) 전력을 고압의 직류(DC) 형태로 변환시켜 송전한 뒤 수용가 인근에서 다시 교류로 변환해 공급하는 기술이다.기존 교류 송전에 비해 송전 손실이 적고 지중·해저 케이블 적용에 유리하며 대규모 전력 수송에 있어 경제성과 안정성이 뛰어나다.특히 전압형 HVDC는 기존 전류형 HVDC에 비해 계통 안정화에 유리하고 실시간으로 양방향 전력 흐름을 제어할 수 있어 재생에너지 연계에 유리하다.이 때문에 2030년까지 호남권에서 생산된 해상·재생 에너지를 수도권으로 연결하는 ‘서해안 에너지 고
-
2025-05-20▲ 새마을금고중앙회 빌딩 [출처=새마을금고중앙회]MG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에 따르면 디지털 경쟁력 확보 및 이미지 지원 인프라 강화를 위해 도입한 ‘통합이미지시스템(시스템명: MG ONE)’을 전면 재구축하고 운영을 시작했다.통합이미지시스템은 이미지 기반의 업무프로세스 재설계(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를 통해 후선업무의 직원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고객문서·수표·계약서·신분증 등 다양한 문서를 디지털이미지로 변환해 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시스템이다.금번 새마을금고의 통합이미지시스템 재구축 사업을 통해 고객은 모바일운전면허증 뿐 아니라 다양한 모바일신분증(주민등록증, 국가보훈등록증, 외국인등록증)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신분증 진위확인 서비스 확대, 비대면 안면인식 서비스 도입으로 금융거래 안전성이 한층 높아졌다.또한 행정안전부 전자문서유통시스템을 적용한 전자문서지갑 서비스 도입, 더뱅킹앱·공제앱 등 비대면을 통한 추가서류 제출 수신,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한 서류교부 시스템 구축 등 이미지 관련 다양한 연계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어 고객의 금융거래 편의성을 높였다.특히 금번 재구축 사업으로 기존에 나눠져 있던 공제이미지시스템이 통합 이미지시스템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면서 시스템 운영의 효율성이 높아졌다. 주사용자인 내부직원의 업무효율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다양한 이미지스캔 기능과 함께 HTML5뷰어, 인공지능(AI) 광학문자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을 통한 개인정보마스킹 등 이미지솔루션을 기반으로 한 여러 IT기술이 대거 적용했다.이에 수기업무의 시스템화, 반복성 업무의 자동화를 통해 이미지시스템의 주사용자인 새마을금고 직원의 업무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한편 작년 4월부터 진행한 이번 사업은 업무영역 및 솔루션 뿐 아니라 내외부 정보기술(IT) 인프라 구축도 함께 진행됐다.
-
2025-03-24▲ 삼성전자 모델이 국내 최초 무안경 3D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3D’를 체험하고 있다[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형 게이밍·고해상도 모니터를 선보이며 프리미엄 모니터 시장 공략에 나선다.삼성전자는 △3D 신기술을 탑재한 ‘오디세이 3D’ △27형 크기에 4K·240Hz를 지원하는 ‘오디세이 OLED G8’ △전문가용 대화면 모니터 37형 ‘뷰피니티 S8’ 등 2025년형 모니터 신제품을 판매한다.◇ 국내 최초 무안경 3D 게이밍 모니터로 이전엔 없던 몰입감 선사삼성전자는 국내 최초 무안경 3차원 경험을 제공하는 3D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 3D(G90XF)’를 선보인다. ‘오디세이 3D’는 패널 전면에 렌티큘러 렌즈를 적용했다.‘AI 3D 영상 변환’ 기능을 통해 일반적인 2D 영상을 입체인 3D 콘텐츠로 전환해줘 평소 즐겨보는 유튜브 영상을 3D로 변환해 준다.‘시선 추적(Eye Tracking)’과 ‘화면 맵핑(View Mapping)’ 기술을 적용해 사용자의 눈 위치에 꼭 맞는 고화질 3차원 시청 경험을 선사한다.또 사용자는 전용 소프트웨어 ‘리얼리티 허브(Reality Hub)’를 사용해 게임을 등록하면 몰입감 넘치는 3D 게임을 즐길 수 있다.이 외에도 초고화질의 4K 해상도와 AMD 프리싱크 프리미엄 프로(FreeSync Premium Pro)와 지싱크 호환(G-SYNC™ Compatible)을 지원해 고사양 게임 시 발생하는 화면 끊김 현상을 줄이고 최대 165헤르츠(Hz) 주사율 및 1ms의 빠른 응답속도로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게임 플레이를 할 수 있다.삼성전자는 더욱 실감 나는 3D 게이밍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게임 개발사들과 지속적인 협업을 추진 중이다.◇ 글로벌 OLED
-
▲ LS일렉트릭의 HVDC CTR 초고압 시험 모습[출처=LS일렉트릭]LS일렉트릭(회장 구자균)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가 발주한 ‘500kV 동해안-동서울 HVDC 변환설비 건설사업’ 사업 주관기업 카페스(KAPES)와 HVDC CTR 40대를 5610억 원(VAT 포함)에 공급키로 계약을 체결했다.500kV 동해안~수도권 HVDC 건설사업은 국내 최대 전력 인프라 사업으로 동해안 지역 대규모 발전제약 해소, 수도권 반도체 클러스터(용인, 이천, 평택)에 대한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추진되고 있다.LS일렉트릭이 이번 사업에 공급하는 CTR은 교류 전압을 승압·강압하는 기존 전력용 변압기(TR)와 달리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전력전자 장치와 연결해 전력을 전달하는 특수 변압기다.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조파, 직류 스트레스가 전력계통과 설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고도의 절연설계, 냉각기술을 필요로 한다.LS일렉트릭은 동해안-수도권 HVDC 사업 중 1단계인 동해안-신가평 구간 변환용 변압기 24대를 수주한 데 이어 2단계 사업에서도 전량 수주에 성공, 국내 HVDC 전력 솔루션 분야를 지속적으로 주도할 수 있게 됐다.500kV 동해안-수도권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초고압직류송전) 1단계에 이어 2단계 사업에도 초고압 변환용 변압기(CTR)를 공급한다.LS일렉트릭은 1단계에 이어 2단계 사업도 수주하며 HVDC CTR을 공급할 수 있는 국내 유일 기업으로서 입지를 굳혔다는 평가를 받는다.전력계통 연계에 필수적인 배전망 구축에 있어서도 국내 최고의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후속 배전계통 프로젝트에도 적극 참여한다는 방침이다.LS일렉트릭은 미국 GE와 기술 제휴를 통해 HVDC 변환용 변압기 DC 절연 해석, 설계, 생산 기술을 확보하며 북당진~고덕 HVDC 건설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 국내 기업 최초로 HVDC 변환용 변압기 생산·납품 실적
-
2024-10-07▲ LS ELECTRIC, 큐덴코와 일본 BESS 사업협력 MOU 체결[출처=LS ELECTRIC]LS일렉트릭(LS ELECTRIC, 구자균 회장)에 따르면 2024년 10월6일(일요일) 서울특별시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에서 일본 큐덴코(九電工)와 BESS 사업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양해각서 체결을 위해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과 조노 마사아키 큐덴코 부사장 등 양사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BESS란 'Battery Energy Storage System'의 약어로 배터리 에너지저장장치 시스템을 뜻한다.LS일렉트릭은 일본 큐슈전력의 자회사인 큐덴코(九電工)와 손잡고 일본 현지 BESS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BESS에 필요한 전력변환시스템(PCS), 배터리, 전력설비를 포함하는 모든 솔루션을 생산 및 공급한다.한국에서 1.4기가와트시(GWh) BESS를 성공적으로 구축했다. 현지에서 다수의 ESS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는 만큼 관련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큐덴코는 BESS 구축을 위한 사이트 발굴, 프로젝트 부지확보와 각종 허가, 인증 취득 등 토지 개발 단계부터 전반적인 시스템 설계와 계통 연계 및 통합, 건설, 운영을 모두 맡게 된다.일본은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폭발 사고 이후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전력계통을 안정적이고도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BESS 사업이 최근 급격히 확장되고 있다.일본 경제산업성과 도쿄도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가 BESS 프로젝트를 적극 지원하는 만큼 양사는 급성장하는 시장에서 포괄적 협력을 통해 사업을 주도하겠다는 전략이다.큐덴코는 후쿠오카에 본사를 둔, 큐슈전력의 전기시공 전문 자회사로 현지 최대 규모인 470MW급 우쿠지마 태양광 발전소 프로젝트 대형 신재생에너지 사업도 적극 추진하고 있다.LS일렉트릭은 우쿠지마 프로젝트에 전압형 HVDC (초고압직류송전) 변환용 변압기, RMU (Ring Main Unit
-
2021-12-22미국 글로벌 인터넷 대기업인 구글(Global)에 따르면 나이지리아와 우간다의 지도앱을 개발하는 벤처기업인 세이프보다(SafeBoda)에 투자할 계획이다. 아프리카투자펀드에 투자금을 지출한다.구글은 아프리카 대륙의 디지털 변환 지원을 위해 US$ 10억달러 규모의 아프리카투자펀드를 설립했다. 향후 5년간 관련 스타트업에 투자할 예정이다.세이프보다는 2017년 자사 앱을 출시했는데 2021년 12월 현재 100만명 이상의 고객에게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세이프보다 앱은 도로교통 상황을 알려주는 앱으로 빠르고 안전한 운송을 지원한다.운전자, 소포 배달자, 음식 배달자 및 매장 물건 배달자 등이 주로 이용하는 지도앱이다. 또한 결제, 저축 및 기타 금융 서비스 등으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세이프보다(SafeBoda) 홈페이지
-
일본 도요타자동차(トヨタ自動車)에 따르면 국내 자동차 5개사가 합동으로 '커넥티드 카'를 위한 통신장비를 공동으로 개발할 계획이다.'커넥티드 카'는 자동차가 인터넷에 항상 연결되어 있어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 속도와 품질을 향상시켜 원격 운영자에게 긴급전화 등 통신을 안정시키기 위한 목적이다.일본 후쿠이현(福井?)에 따르면 2021년 4월 28일부터 가동이 시작된 원자력발전소 3기에 대해 긍정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운전 개시 40년이 초과해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국내에서 40년 이상된 원자력발전소가 재가동되는 것은 처음이다. 경제산업성은 발전소 1개당 25억엔을 교부금을 지원하면서 재가동을 독려했다.일본 우정사업법인인 니혼우정(日本郵政)에 따르면 2025년까지 디지털변환(DX)에 4300억엔을 투자할 계획이다.향후 물류 사업의 효율화와 응용프로그램 기능 확충, 고객 데이터 활용 기반 정비 등을 추진한다. 라쿠텐그룹(?天グル?プ)과의 자본업무 제휴의 일환으로 2021년 내에 우편은행에서 라쿠텐카드 이용이 가능해진다. ▲니혼우정(日本郵政) 로고
-
2021-05-04일본 우정사업법인인 니혼우정(日本郵政)에 따르면 2025년까지 디지털변환(DX)에 4300억엔을 투자할 계획이다.향후 물류 사업의 효율화와 응용프로그램 기능 확충, 고객 데이터 활용 기반 정비 등을 추진한다. 라쿠텐그룹(楽天グループ)과의 자본업무 제휴의 일환으로 2021년 내에 우편은행에서 라쿠텐카드 이용이 가능해진다. 그룹 공통의 고객 데이터 활용 기반을 구축할 방침이다. 각사의 데이터를 분석하고 2023년까지 체계를 정비한다. 디지털인재 육성에도 투자한다. ▲니혼우정(日本郵政) 로고
-
2020-09-10미국 정보기술 시장조사기관인 가트너(Gartner)에 따르면 2~5년후에 IoT기술의 변환적 영향이 발생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즉 IoT 시장은 저점에서 벗어나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된다.기술의 발전에 따라 다양한 기술이 구현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실무자들이 접근 방식의 고유한 측정 및 추적 기능에 대한 최상의 기회를 정의할 수 있다.제조 및 천연자원 산업에 설치된 IoT 엔드 포인트는 2028년 19억개로 예상된다. 2018년 3억3150만의 5배로 늘어난다. 이와 같이 IoT가 공급망의 많은 영역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특히 IoT는 고객 서비스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리더가 고객 요구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수 많은 정보를 제공받기 때문이다. IoT는 더욱 혁신적인 기술변화를 통해 더욱 더 광범위하게 적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USA-Gartner-IoT▲ 가트너(Gartner)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정부에 따르면 공기업인 전국광대역네트워크(NBN Co)와 $A 2억2000만 달러를 공동 투자해 외진 지역을 변환시킬 계획이다. 이동통신 사업자들의 지역적 네트워크에 추가로 1억6000만 달러를 지출할 방침이다. 이동통신 사고다발지역 개선 프로그램인 모바일블랙스팟(Mobile Black Spots) 프로그램의 추가 2라운드로 구성되는 것이다.또한 추가로 6000만 달러를 지출해 NBN의 스카이머스터(Sky Muster) 위성서비스에 의해 주로 제공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할 계획이다.▲원격교육 혜택을 받는 지역 학생들(출처 : 전국광대역네트워크(NBN Co)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