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보일러"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19▲ 독일 냉난방공조전시회 ISH 2025에서 ‘디자인플러스 어워드’ 상을 받은 삼성전자 ‘슬림핏 클라이밋허브 모노(Slim Fit ClimateHub Mono)’와 ‘하이드로 유닛 모노(Hydro Unit Mono)’ 전시 모습[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냉난방공조 전시회 ISH(International trade fair for Sanitation, Heating and air)에서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제품 혁신성을 인정받아 ‘디자인플러스 어워드(Designplus Award)’의 ‘물 & 효율성 플러스(Water & Efficiency+)’ 부문에서 상을 받았다.ISH가 주관하는 ‘디자인플러스 어워드’는 냉난방공조설비 분야 제품의 기술·혁신·지속가능 디자인 등을 평가해 수여하는 상이다.수상 제품은 △200리터(L) 전용 물탱크가 탑재된 ‘슬림핏 클라이밋허브 모노(Slim Fit ClimateHub Mono)’ △콤팩트한 사이즈의 벽걸이형 ‘하이드로 유닛 모노(Hydro Unit Mono)’로 EHS 실내기 2종이다.특히 두 제품은 7형 터치스크린을 탑재해 편의성을 높였고 600밀리미터(mm) 깊이의 슬림핏 사이즈로 집 안 빌트인 가구와 잘 어울리는 디자인을 갖췄다.벽걸이 타입인 ‘하이드로 유닛 모노’의 경우, 보일러실 등 별도 공간이 없어도 주방·세탁실 등 다양한 공간에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어 편리하다.한편 삼성전자는 3월17일부터 21일(현지시간)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개최되는 ‘ISH 2025’에 참가해 AI로 한층 강력해진 냉난방 공조 시스템을 선보이고 있다.
-
▲ 영국 주택건설업자인 레드로우(Redrow PLC) 로고영국 주택건설업자인 레드로우(Redrow PLC)에 따르면 2023년 1월부터 주택 건설 시 냉난방 장치로 열 펌프를 설치할 계획이다. 향후 주택 냉난방 장치의 기준으로 삼기 위한 목적이다.기존의 주택 냉난방 장치인 가스 보일러를 대신할 적합한 장치로 판단했다. 열원이 공기인 열 펌프는 공기가 따뜻한 곳에서 차가운 곳으로 움직이는 원리로 작동한다.공기의 움직임을 활용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량이 적어 환경 친화적이다.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난방비를 낮출 것으로 판단된다.레드로우는 열 펌프 시스템 설치를 위해 일본 종합상사인 미쓰비시상사(Mitsubishi Corp), 독일 보일러 제조기업인 베이런트(Vaillant), 일본 에어컨 제조기업인 다이킨(Daikin Industries Ltd)과 파트너쉽을 체결했다.영국 정부는 2025년부터 신축 건물에 가스 보일러 설치를 금지할 계획이다. 20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로(0)로 하는 넷제로를 목표로 정했기 때문이다.
-
영국 환경부문 싱크탱크 비정부 기구인 RAP에 따르면 정부의 보일러 업그레이드 계획에 9만가구만이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기존의 가스 및 전기 보일러를 열 펌프 보일러로 교체하는 보일러 업그레이드 계획에 £4억5000만파운드를 배정했다. 상기 계획이 전면적으로 시행될 경우 국민들은 £1150억파운드의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정부는 탄소 배출 순 제로 계획의 일환으로 상기 계획을 시행하기 위해 기존 보일러를 열 펌프 보일러로 교체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초기 설치 비용이 높아 정부의 지원에도 교체하려는 가정은 드물다. 열 펌프 보일러를 설치하는 평균 비용은 1만500파운드이다. 정부는 5000파운드의 보조금을 제공하고 부가가치세(VAT)를 5%에서 0%로 낮췄다. 가구는 4975파운드만 투자하면 열 펌프 보일러를 설치할 수 있다. 치솟는 가스 비용으로 인해 열 펌프 보일러는 가스 보일러보다 운영 비용이 연간 최대 261파운드 더 저렴하다. 그러나 열 펌프 보일러 설치 비용을 고려하면 투자비용을 회수하려면 10년 이상 소요된다. 열 펌프 보일러의 예상 수명은 20년~25년인 반면 가스 보일러의 예상 수명은 10년~15년이다. 보일러 수명 측면에서 투자비를 분석하면 열 펌프 보일러가 더 저렴하다. 가스 및 전기 보일러의 연간 자본 투자 비용은 270파운드, 열 펌프 보일러는 연간 199파운드다. 2025년까지 정부는 업계와 협력해 열 펌프 보일러 가격을 최대 절반으로 낮출 계획이다. ▲RAP(Regulatory Assistance Project) 홈페이지
-
이탈리아 전자제품업체 Ariston Thermo Group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에서 가스보일러 'Ariston HS X 24 FF'의 생산을 시작했다. 생산된 제품은 주로 우즈베키스탄에서 판매할 예정이다.새롭게 생산되는 보일러는 여러가지 작동모드를 갖고 있으며 여러 단계의 품질관리 및 테스트를 통과한 유럽부품을 사용해 제조된다.'Ariston HS X 24 FF' 보일러의 장점은 유럽 부품을 사용해 고품질이라는 점 외에도 LCD디스플레이가 있어 편의성, 유지보수 및 수리의 용이성이 뛰어나다.또한 별도의 보일러실에 설치해야할 필요가 없는 효율적인 크기임에도 불구하고 갖춰야할 기능을 모두 갖추고 있어 현대기술의 복합체로 볼 수 있다.▲Ariston Thermo Group 로고
-
뉴질랜드 낙농기업 폰테라(Fonterra)는 South Canterbury 우유공장의 확장 규모를 50%만 하기로 결정했음에도 불구하고 석탄사용이 늘어난다는 환경단체의 반발에 직면했다. 우유를 건조하는 열을 발생시키는 보일러의 경우 석탄을 사용해 CO2를 배출하기 때문이다.
-
대성은 창업자의 사망 이후 세 부문으로 나눠져 어떤 기업이 정통성을 가졌는지 평가하기 어렵고, 2세 경영이 본격화된 이후 대성의 비전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가 없다. 헐벗은 산림을 보호하기 위해 연탄사업을 시작했다는 김수근 회장은 에너지사업에서의 명확한 사업목표를 갖고 있었지만, 자식들이 원칙 없는 사업다각화를 추진하면서 비전이 사라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대성의 기업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SWEAT Model의 첫 번째 DNA인 비전(Vision)을 목표(goal)와 책임(responsibility) 측면에서 평가해 보자.◇ 프로보노의 경영철학으로 책임경영을 중시대성은 3개의 그룹군으로 나눠졌지만 대성의 경영철학은 ‘프로보노(Pro Bono)’로 표현될 수 있다, 프로보노는 공익을 위한다는 라틴어이다. 이는 창업자의 철학인 기업이 이익을 남기지 못하면 사회에 죄를 짓는 것이고, 국민으로부터 사랑을 받지 못하더라도 지탄을 받는 기업이 되어서는 안
-
식품∙음료사업이 주력이던 두산은 중공업, 기계 등 인프라사업으로 전환하는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기존의 사업을 팔고, 그 돈으로 새로운 기업을 인수(M&A)하는 방식으로 사업구조를 혁신했다.인프라사업이 경기영향을 적게 받는 안정적인 사업인 것은 틀림없지만 인수한 기업의 실적이 모두 양호한 것은 아니다. 특히 건설장비업체인 밥캡의 인수는 ‘밥캡의 저주’라는 말이 유행할 정도로 아직도 성공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두산의 기업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SWEAT Model의 2번째 DNA인 사업(Business)을 제품(product)와 시장(market) 측면에서 평가해 보자.◇ 소비재에서 인프라로 사업구조 전환은 성공적1896년 박승직 상점에서 출발한 두산은 1950년대 맥주와 무역업을 하면서 현대적 의미의 기업역사를 시작했다.1960년대는 건설, 식음료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맥주를 생산하기 위해 맥아재배, 맥주를 담기 위한 병 제조 등과 같이 소위&nb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