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0
" 사물인터넷"으로 검색하여,
9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역대 최대 ‘K9 유저클럽’ 개최[출처=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에어로스페이스(대표이사 김동관, 손재일)에 따르면 2025년 4월8일(화, 현지시간) 폴란드 크라쿠프에서 K9 자주포 운용국들의 교류의 장인 ‘K9 유저클럽’이 열렸다.올해로 4회째인 이번 행사는 글로벌 베스트셀러인 K9의 운용 노하우를 사용국들이 공유하자는 차원에서 마련됐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 역시 이번 행사에 참여해 단순 무기체계의 판매를 넘어 중장기적인 후속 군수지원을 통해 고객들의 만족을 극대화할 계획이다.올해 K9 유저클럽은 폴란드, 노르웨이, 핀란드, 에스토니아, 오스트레일리아, 루마니아, 대한민국 등 7개 운용국과 미국, 스웨덴이 참관 자격으로 참가하는 등 역대 최대 규모인 9개국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참가국들은 행사 기간 K9 자주포의 운용·정비 현황 및 차세대 자주포 개발 추진 현황을 공유하고 K9 탄약 호환성 확대 방안 등에 대해 논의했다.참석 국가는 최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4000억 원 규모의 부품 공급 계약을 체결한 폴란드 국영 방산기업 HSW(Huta Stalowa Wola)의 크라프(Krab) 자주포 생산시설을 둘러보고 K9을 운용하는 야전부대도 방문한다.◇ K9 후속군수지원 강화… ‘고객의 소리’ 데스크 운영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운용국의 군수지원 요청사항을 현장에서 해결하기 위한 ‘고객의 소리’ 데스크를 이번 행사 기간에 운영했다.조상환 MRO 사업부장은 “K9 사용국 증가에 따라 후속지원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어 품질 개선과 군수지원 효과 극대화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이를 위해 한화시스템의 사물인터넷(IoT) 기반 MRO 플랫폼인 ‘톰스(TOMMS)’를 K9 유지보수에 적용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톰스는 무기체계 상태를 실시간 수집·관제해 유지보수 시간과 비용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이다.◇ 최대 도입국 폴란드
-
2025-03-11▲ SK네트웍스 로고[출처=SK네트웍스]SK네트웍스(대표이사 이호정)에 따르면 2025년 3월11일 퀄컴과 협업을 통해 본사 및 자회사 등 보유 사업에 퀄컴 사물인터넷(IoT) 솔루션을 접목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사업 포트폴리오 확대를 추진키로 했다.이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온디바이스 AI 중심의 새로운 사업 모델 구축이 이뤄질 예정이다. SK네트웍스는 AI 중심 사업 지주회사로서 본·자회사의 혁신을 이끌며 미래 사업 가치를 키우고 있다.퀄컴 테크날러지스 Inc.(Qualcomm Technologies Inc.)와 손잡고 AI 사업 강화에 나선다. 퀄컴은 SK네트웍스에 온디바이스 LLM (On-device LLM)을 지원하는 ‘퀄컴 드래곤윙 QCS6490(Qualcomm Dragonwing™ QCS6490)’ 등 IoT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다.퀄컴 드래곤윙 QCS6490은 산업 및 상업용 IoT를 위한 고성능 SOC 솔루션으로 로봇, 드론, 게이트웨이, 태블릿, 키오스크 등 다양한 IoT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것이 특징이다.이를 통해 투자사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사업을 전개하며 AI 연계 사업모델을 접목 중인 SK네트웍스 특성에 맞춘 시너지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SK네트웍스는 본사 및 자회사들의 퀄컴 기술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우수한 IoT 솔루션을 활용해 세계 최고 수준의 AI 성능과 보안성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아울러 글로벌 기술·투자 업계 전문가 네트워크인 하이코시스템(Hicosystem)을 기반으로 확보한 역량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진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2024년 초 ‘AI 민주화를 통한 인류 문명화’란 비전을 선포한 바 있는 SK네트웍스는 보유 사업별로 AI를 연계한 사업모델 구축을 활발히 이어오고 있다.SK스피드메이트는 독일 DAT와 협력해 AI 자동견적시스템 등의 서비스를 적용할 예정이다. 엔코아의 경우 2024년 10월 생성형 AI가
-
▲ 싱가포르 승차 공유 서비스업체 그랩(Grab)은 중국 자동차제조업체 비야디(BYD)와의 파트너십을 통하여 BYD 전기자동차(EV) 5만 대에 대한 승차 경험을 제공한다[출처=그랩 홈페이지]2025년 1월16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필리핀을 포함한다. 싱가포르 그랩은 중국 비야디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플랫폼과 차량 사이에서 데이터를 공유해 품질 높은 서비스를 이끌어낸다.필리핀 항만청의 회계연도 2024년 매출은 총 273억 페소로 역대 최고 수입을 기록했다.◇ 싱가포르 그랩(Grab), 중국 비야디(BYD)와 파트너십 통해 전기자동차(EV) 5만 대 제공싱가포르 승차 공유 서비스업체 그랩(Grab)은 중국 자동차제조업체 비야디(BYD)와 파트너십을 통하여 BYD 전기자동차(EV) 5만 대에 대한 승차 경험을 제공한다.GrabExec 서비스에서 비야디의 고급 전기자동차 브랜드 덴자(DENZA)의 7인승 전기 MPV 덴자 D9(DENZA D9)를 만나볼 수 있다.사물인터넷(IoT) 기술은 비야디 차량의 센서 및 원격 측정 데이터가 그랩사의 플랫폼에 통합됨으로써 적용된다. 날씨 및 교통상황을 수집해 서비스의 수요가 높은 지역에서 빠른 고객 응대를 가능케 한다.또한 운전자의 운전 중 행동 양식을 실시간 분석한 후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쓰인다. 그랩-비야디 파트너십은 싱가포르 뿐만 아니라 말레이시아, 필리핀,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로 확장되고 있다.◇ 필리핀 항만청(PPA), 회계연도 2024년 매출 273억 페소로 전년 대비 7% 증가필리핀 항만청(PPA)의 회계연도 2024년 매출액은 총 273억 페소로 전년 254억5000만 페소 대비 7% 증가했다. 이는 목표금액 260억9000만 페소를 능가하며 역대 최고 수입을 달성한 것이다.필리핀 통계청(PSA)에 따르면 새로운 사업 기회와 더불어 대외상품 무역이 161억5000만 페소을 기록한 것이 실적에 기여했다고 분석했다.2024년 PPA는 서부 비사야에 위치한 일로일로 상업항만단지(Iloilo
-
2024-12-19▲ 삼성물산 로고[출처=삼성물산]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 대표이사 오세철)에 따르면 2024년 12월19일(목요일) 장교동 한화빌딩에서 한화 건설 부문(대표이사 김승모)과 스마트 주거기술 협력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양사는 업무협약을 통해 홈플랫폼 ‘홈닉’을 한화포레나에 도입한다. 삼성물산은 한화 건설 부문의 전기자동차(EV) 충전 시스템 ‘EV 에어 스테이션’을 래미안에 적용해 양사간 지속적인 시너지를 창출할 방침이다.삼성의 ‘홈닉’은 디지털 스마트홈 서비스와 함께 문화 생활과 건강관리 등 주거 생활 모든 서비스를 한번에 이용할 수 있는 홈플랫폼이다.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인식해 집안 곳곳의 가전과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브랜드와 상관없이 제어할 수 있다. 노후 주거단지 세대에 수리·교체와 같은 AS를 제공하는 아파트케어 등 신규 서비스도 확대하고 있다.2023년 8월 ‘홈닉’은 전용앱 출시와 함께 ‘래미안 원베일리’에 먼저 도입된 이후 기존 주거단지로 확대 적용하고 있다.현재까지 5만여 세대에서 적극 활용되는 등 입주민에게 편리하고 풍요로운 생활을 제공하는 필수 서비스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삼성물산은 한화 건설부문의 ‘한화포레나 부산당리’ 단지부터 먼저 홈플랫폼 ‘홈닉’을 적용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삼성물산은 타 브랜드 아파트에도 ‘홈닉’을 계속해서 확대 도입한다.또한 삼성물산은 한화 건설 부문의 전기차 충전시스템 ‘EV 에어 스테이션’을 ‘래미안 송도역 센트리폴’에 시범 적용해 도입할 예정이다.‘EV 에어 스테이션’은 천장에서 커넥터가 내려오는 차세대 전기차 충전시스템이다. 하나의 충전기로 3대까지 동시에 충전이 가능해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것은 물론 기존
-
2024-10-29▲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코리아 2024’ 포스터[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 대표이사 한종희)에 따르면 2024년 11월21일 온라인으로 ‘삼성 개발자 콘퍼런스 코리아 2024(Samsung Developer Conference Korea 2024, SDC24 Korea)’를 개최할 계획이다. SDC24 Korea는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삼성전자가 매년 개최하는 개발자 행사다. 2014년부터 매년 다양한 형태로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11주년을 맞이했다.SDC24 Korea는 삼성전자 DX 부문 최고기술책임자(CTO) 겸 삼성리서치장 전경훈 사장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행사가 진행된다.△생성형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S/W) 플랫폼 △사물인터넷(IoT) △헬스케어 △통신 △데이터 등 제품에 탑재된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연구 분야는 물론 오픈소스 개발 문화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다룰 예정이다.키노트에서는 △삼성전자의 생성형 AI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성과(삼성전자 삼성리서치 이주형 부사장, 고현목 상무) △삼성전자의 소프트웨어·디바이스 플랫폼 사용 경험 향상(삼성전자 디바이스플랫폼센터 정재연 부사장, 삼성리서치 권호범 상무)이 소개된다.기술 세션에서는 △온디바이스용 생성형 AI 모델의 개발과 기기 탑재 과정 △헬스케어의 미래와 삼성 헬스 전략 △매터(Matter) 오픈 소스를 다양한 스마트싱스 플랫폼에 적용한 사례 등 다양한 분야의 개발 경험을 공유하는 29개의 세션을 마련했다.‘SDC24 Korea’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https://www.sdc-korea.com)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10월 29일부터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참가 신청이 가능하다.참고로 매터(Matter)는 삼성전자 등 전 세계 다양한 스마트홈 서비스 업체들이 함께 개발하고 있는 IoT 표준 기술로 서로 다른 제조사의 스마트홈 기기 및 IoT 플랫폼 간 원활한 상호운용을 가능하게 한다
-
▲ 케냐 항공사인 케냐항공(Kenya Airways)과 케냐 통신사인 사파리콤(Safaricom)이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출처=케냐항공 엑스(X) 계정] 2024년 8월 아프리카 관광·교통업 주요동향은 항공과 관광을 포함한다. 케냐 정부기관인 TRI(Tourism Research Institute)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해외 관광객 수는 102만7630명으로 2023년 상반기 84만7719명과 비교해 증가했다.○ 미국 숙박 공유 서비스인 에어비앤비(Airbnb)에 따르면 남아공 입법수도인 케이프타운(Cape Town)의 2024년 8월 기준 등록된 숙박업소 수는 2만3564곳으로 급증하는 추세다.유명 관광지의 에어비앤비 숙소 등록 수는 각각 △샌프란시스코 7888곳 △암스테르담 9310곳 △아테네 1만3274곳 △베를린 1만3759곳 △시드니 1만5548곳 △도쿄 1만6518곳 △바르셀로나 1만8925곳과 비교해 케이프타운의 숙소 수가 많았다.한편 에어비엔비 숙소가 가장 많은 도시는 파리로 무려 9만5885곳이나 등록돼 있다. 글로벌 숙박 공유 사업이 급성장하고 있다.▲ 미국 숙박 공유 서비스인 에어비앤비(Airbnb)의 프랑스 파리 오르세 미술관(Musée d’Orsay) 아이콘(Icon) 객실에서 보이는 파리 올림픽(Paris 2024 Olympics) 개최식의 모습이다. [출처=에어비앤비 엑스(X) 계정]○ 케냐 정부기관인 TRI(Tourism Research Institute)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해외 관광객 수는 102만7630명으로 2023년 상반기 84만7719명과 비교해 증가했다.2024년 초부터 eTA(Electronic Tourist Authorization)를 도입하며 비자 승인 과정을 완화하고 주요 항공사들이 새로운 항공 노선을 추가한 것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조사됐다.2024년 상반기 관광 매출은 Sh 1425억 실링으로 2023년 동기간 1534억 실링과 대비해 7
-
2024년 8월 냉연철강회사인 동국씨엠이 아주스틸을 인수했다. 아주스틸은 국내 컬러강판 업계에서 동국씨엠, KG스틸, 포스코스틸리온에 이어 4위 업체다.동국씨엠이 아주스틸의 경영권을 차지하며 내수 시장 주도권과 생산량 기준 세계 1위 규모의 컬러강판 회사로 등극할 것으로 전망된다.1999년 경상북도 구미시에 둥지를 튼 아주스틸은 삼성중공업과 포스코스틸리온(옛 포항강재) 출신인 이학연 대표가 설립했다. 가전용 컬러강판이 강점이다.2021년 8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이후 진행한 대규모 투자가 발목을 잡았다. 금리 인상 및 경기 악화에 영향을 받으며 2023년 대규모 영업적자를 기록했다.아주스틸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아주스틸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아주스틸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동국씨엠이 지분 56.6% 인수 및 100% 고용 승계... 2023년 영업손실 133억 원 기록하며 위기 심화아주스틸은 컬러강판 업계의 4위인 기업이지만 ESG 경영헌장을 수립하지 않았다. 당연하게 ESG 경영 목표도 없어 유럽연합(EU)의 탄소중립 정책을 외면하고 있다.경영 미션(misssion)은 직원이 행복한 기업으로 경영 비전(vision)은 글로벌 선도로 영속기업을 구축하는 것이다. 하지만 경영전략으로 ESG를 적극 고려하지 않는다면 비전에 포함된 '영속기업' 자체가 불가능한 목표다.경영 핵심가치는 △도전추구 △고객지향 △실행중시 △행복추구 △윤리준수 등으로 ‘함께하는 모두가 행복한 기업’을 만들고자 노력한다.2023년 11월 말 기준 이사회 구성
-
▲ 두바이국토부(DLD)에 따르면 부동산 투자자와 개발자들의 거래 과정을 원활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출처=DLD 엑스(X) 계정] 2024년 8월1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관공서인 두바이국토부(DLD)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동안 AED 13억8000만 디르함(US$ 3억7571만 달러) 규모의 부동산 거래 647건을 완료했다.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SAMA)에 따르면 2024년 6월 외환 보유 자산은 SAR 1조7540억 리얄(US$ 4675억 달러)로 전년 동기간 대비 5.5% 증가했다.◇ 아랍에미리트 UAE 사이버보안위원회(UAE CSC), 2024년 말부터 국내 사이버보안 시스템 지원을 위한 정책 3가지 시행 계획아랍에미리트 규제위원회인 UAE 사이버보안위원회(UAE CSC)에 따르면 2024년 말부터 국내 사이버보안 시스템 지원을 위한 정책 3가지를 시행할 계획이다.기술 발전과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보안, 사물인터넷(IoT) 보안, 사이버보안 운영센터 등을 모두 고려해 글로벌 기술 허브로 발전하기 위한 목적이다.UAE CSC는 정보 차단을 위한 암호화 법안의 규제 집행 기준 또한 2024년 말까지 수립할 예정이다.아랍에미리트 두바이국토부(DLD)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동안 AED 13억8000만 디르함(US$ 3억7571만 달러) 규모의 부동산 거래 647건을 완료했다.오쿠디 플랫폼(Oqoodi Platform)을 통해 모든 부동산 거래 승인 및 거래 과정을 마무리지었다. 분쟁 관리 효율성을 높이며 거래자 간의 법적 문서를 안전하게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창구 역할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두바이 부동산 시장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높아지며 DLD는 부동산 투자자와 개발자들의 거래 과정을 원활하게 만드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SAMA), 2024년 6월 외환 보유 자산 SAR 1조7540억 리얄(US$ 4675억 달러)로
-
▲ 삼성전자 디지털 시티에서 삼성전자 디바이스플랫폼센터장 최승범 부사장(왼쪽에서 5번째)과 영국왕립표준협회 해롤드 프라달(Harold Pradal) 인증 서비스 부문장(왼쪽에서 6번째)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출처=삼성전자 뉴스룸]글로벌 전자업체인 삼성전자(회장 이재용)은 사물인터넷(IoT) 플랫폼 ‘스마트싱스(SmartThings)’가 ‘국제표준 ISO/IEC 27001:2022 인증을 영국왕립표준협회(BSI,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로부터 획득했다고 밝혔다.ISO/IEC 27001:2022는 국제표준화기구(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가 제정한 정보보호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표준이다. 정보보호 관리체계(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s)’를 평가한다. 정보자산에 대한 리스크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정보보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다.정보보호를 위한 정책, 정보자산의 접근과 통제, 사고대응과 개선에 이르기까지 총 123개 세부 항목에 대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삼성전자는 이번 인증으로 통합된 연결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싱스 클라우드(SmartThings Cloud)’의 정보보호 관리체계가 국제 기준에 맞게 운영되고 있음을 입증했다.서비스 운영 역량과 기술 수준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것을 계기로 스마트싱스 사용자 뿐 아니라 파트너사들로부터 더 많은 신뢰를 확보하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삼성전자 디바이스플랫폼센터 최승범 부사장은 “초연결·초지능 환경에서 고객의 개인정보는 최우선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앞으로도 스마트싱스를 통해 개인화된 다양한 서비스가 안전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고 주장했다.
-
2024-07-23▲ 2025 C-LabOutside 스타트업 모집 공고[출처=삼성전자C랩 홈페이지]글로벌 선두 전자회사인 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4년 7월22일부터 8월14일까지 ‘C랩(C-Lab) 아웃사이드’의 스타트업을 공개 모집한다. 함께 성장하고 미래를 선도할 혁신 스타트업을 발굴하기 위한 목적이다.모집 분야는 △인공지능(AI) △로봇(Robot) △사물인터넷(IoT) 디바이스 △디지털헬스 △콘텐츠&서비스 △모빌리티 △소재·부품 △ESG(환경·사회·거버넌스 등 총 8개다.국내에 법인으로 등록이 되어 있고 투자 단계 시리즈 B 이하 스타트업이라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2018년부터 시작돼 올해 7회째에 해당된다. 삼성전자는 ‘C랩 아웃사이드’에 선정된 스타트업들의 성장을 위해 △삼성전자와의 사업 협력 기회 △역량 발전 및 비즈니스 경쟁력 향상 컨설팅 등 전방위적으로 지원한다.컨설팅 프로그램은 상생협력아카데미의 소프트웨어(SW)·기구·인사·재무 등 총 6개 분야의 임직원 전문가들이 1:1로 매칭돼 제공한다. 상생협력아카데미의 멘토 전문가들은 3~4개월 동안 코칭을 통해 C랩 아웃사이드 스타업들이 여러 부분에서 개선 포인트를 찾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삼성인력개발원의 창의적 문제해결 컨설팅 프로그램인 ‘CPS(Creative Problem Solving)’ 프로그램인 △고객 경험 △기술개발 △비즈니스 전략 수립 등을 C랩 아웃사이드의 스타트업에 적용했다.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 박학규 사장은 “삼성전자 C랩과 함께 글로벌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혁신 스타트업의 많은 참여를 기대한다”며 “삼성전자는 성공적인 협력 사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실력 있는 스타트업 발굴에 더욱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