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생명공학"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21▲ 삼성바이오로직스, 성균관대와 바이오 우수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협약식(왼쪽부터 이규호 삼성바이오로직스 피플센터장, 조재열 성균관대 생명공학대학 학장, 강대성 삼성바이오에피스 인사팀장)[출처=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대표이사: 존림)에 따르면 삼성바이오에피스(대표이사: 김경아)와 성균관대, 고려대 등과 바이오 R&D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성균관대 생명공학대학과 고려대 생명과학대학 산하에 ‘바이오 인재 양성 트랙’을 신설해 바이오 산업 저변을 확대하고 선제적으로 우수 인재를 양성한다는 구상이다.각 대학과 기업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이번 협약식은 이틀에 걸쳐 각 학교에서 진행됐다. 2월19일 성균관대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조재열 성균관대 학장, 김경규 성균관대 학과장이 참석했다.2월20일 고려대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조용성 고려대 학장, 김대성 고려대 부학장이 참석했다. 삼성 측에서는 이규호 삼성바이오로직스 피플센터장, 강대성 삼성바이오에피스 인사팀장이 협약식에 참석했다.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는 각 대학 4학년 재학생 중 우수 장학생을 선발해 바이오 R&D 분야 석사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장학생에게는 전 학기 등록금과 학비 보조금을 제공하며 졸업과 동시에 입사 기회가 주어진다.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24년 2월 서울대와 동년 8월 연세대를 시작으로 바이오 관련 학과를 보유한 대학과 산학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국내 바이오 인재 양성을 지원하고 있다.조재열 성균관대학교 생명공학대학장은 “성균관대학교는 바이오산업의 발전과 함께할 수 있는 교육 및 연구 환경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삼성바이오로직스 및 삼성바이오에피스와의 협력을 통해 우수하고 혁신적인 인재를 양성하고 바이오산업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조용성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장은 &l
-
미국 농무부(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에 따르면 2022년 1월 1일부터 식료품점에서 판매되는 유전자변형 식품의 새로운 식품 표시 규정(BE Food Disclosure Standard)이 시행됐다.기존에 사용하던 '유전자 조작(genetically engineered)' 성분 또는 '유전자 변형 유기체(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GMO)' 등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다.이제는 '생물공학(bioengineered)' 또는 '생물공학에서 파생된(derived from bioengineering) 둥근 녹색 라벨을 부착하고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전화번호를 표시한 라벨이나 QR 코드를 표시해야 된다.USDA는 규정 변경으로 식품 표시가 통일될 것이라고 밝혔으며 지난 2020년 발효됐다. 일부 이전 공식 인증 표시인 'USDA Organic', 'NON-GMO Project Verified' 등은 유지된다.식품안전센터(Center for Food Safety) 및 기타 옹호단체는 라벨링이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스마트폰이 없는 사람은 QR코드를 스캔할 수 없어 정보 확인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불공정하다는 입장이다.특히 소비자가 슈퍼마켓에서 라벨을 읽는 시간이 기존 대비 4배 늘어나는 것도 문제다. 참고로 생명공학 식품이란 "특정 실험실 기술을 통해 변행되었거나, 전통적 육종을 통해 만들 수 없거나, 자연에서 발견할 수 없는 검출 가능한 유전 물질을 포함하는 식품" 등으로 정의된다.▲ 미국 농무부(U.S. Department of Agriculture, USDA) 홈페이지
-
2021-02-25일본 IT 및 투자 기업인 소프트뱅크그룹(ソフトバンクグループ)에 따르면 생명공학 및 헬스케어 부문의 투자를 확대할 계획이다.해당사는 미국의 DNA 시퀀싱 시스템을 개발 및 제조 기업인 퍼시픽 바이오 사이언스(PACB)의 주식을 US$ 3억1200만달러에 취득하는 등 투자를 늘리고 있다.향후 산업의 성장성이 기대되는 생명공학 상장기업에 투자할 방침이다. 모든 투자는 상장주식투자운용 자회사인 SB노스스타를 통해 이뤄진다.참고로 소프트뱅크그룹은 비전펀드를 구성해 투자한다. 중국의 알리바바를 미국 증시에 상장했으며, 뉴욕 증시에 상장할 예정인 한국 쿠팡의 대주주로 알려져 있다.▲소프트뱅크 그룹(ソフトバンクグループ) 로고
-
미국 바이오 의약품회사인 센테서 파마수티컬즈(Centessa Pharmaceuticals)에 따르면 US$ 2억5000만 달러의 자금을 투자받아 10개의 민간 생명공학 자회사를 합병해 출범했다.자금 조달 라운드는 제너럴 아틀랜틱(General Atlantic)을 중심으로 비다벤쳐스(Vida Ventures) 및 야누스 헨더슨 인베스터(Janus Henderson Investors)가 공동으로 주도했다.Boxer Capital, Cormorant Asset Management, T Rowe Price Associates, Venrock Healthcare Capital Partners, Wellington Management Company 등의 우량 투자자들도 자금 조달에 참여했다.센테서 파마수티컬즈는 영국 생명 과학 중심의 투자회사인 메디치(Medicxi)로부터 지원을 받는 10개의 자회사를 합병하면서 출범했다.자회사는 아핀테엑스(ApcinteX), 카펠라바이오사이언스(Capella BioScience), 잔픽스(Janpix), 록바디(LockBody), 모포겐(Morphogen)-IX, 오레시아제약(Orexia Therapeutics), 팔라디오바이오사이언스(Palladio Biosciences), 펄리버바이오(PearlRiver Bio), 페가원(Pega-One) 및 지펙터(Z Factor)로 구성된다.10개 자회사는 구조 기반 신약 발견 및 디자인을 포함한 회사의 과학적 역량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자산중심 연구 및 개발(R & D) 모델과 일치하는 단일 생물학적 프로그램이 핵심이다.이와 같이 R&D 생산성을 높여 효율성을 개선함으로써 환자의 삶을 바꿀수 있는 의약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SA-CentessaPharmaceuticals-Bio▲ 센테서파마수티컬즈(Centessa Pharmaceutical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미국 시장조사기관 딜로직(Dealogic)에 따르면 2019년 제약 및 생명공학 분야 M&A 규모가 $US 3420억달러를 기록했다.2019년 M&A 건수는 484건으로 2018년 365건 대비 119건 증가했다. 딜로직이 지난 1995년 집계를 시작한 이후로 2019년이 M&A 활동이 가장 왕성한 한해로 조사됐다.지난 2018년 M&A 규모는 970억달러로 2016년 2150억 대비 약 58% 줄어들었다. 하지만 2019년 들어 전년 대비 3.5배 늘어났다.2019년 최대 규모의 M&A는 애브비(AbbVie)가 앨러간(Allergan)사 인수를 위해 630억달러를 투자한 것이다. Amgen은 Celgene의 Otezla 인수에 134억달러를 지출했다.또한 머크(Merck)사는 브루톤의 티로신인산화효소(Bruton’s Tyrosine Kinase) 억제제를 사용한 암치료제를 개발하는 제약회사 아큘(ArQule)을 27억달러에 인수했다.사노피(Sanofi)는 암치료제를 개발하는 임상단계회사인 신톡스(Synthorx)를 25억달러에 인수할 계획을 발표했다.아스텔라스(Astellas Pharma)는 유전자 치료제 개발사인 오덴테스 세러퓨딕스(Audentes Therapeutics)를 30억달러에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Dealogic▲ 딜로직(Dealogic) 홈페이지
-
2019-02-14영국 맨체스터대(University of Manchester)에 따르면 생명공학 연구를 위해 £1,000만 파운드를 유치했다. 영국 전역의 바이오제조 연구 허브를 개설해 새로운 의약품 및 지속가능한 에너지 솔루션을 보다 쉽고 빠르게 만드는 방법을 모색할 계획이다. 미래 바이오제조 연구 허브(Future Biomanufacturing Research Hub)는 바이오 기반 기술을 가속화할 새로운 생명공학 기술을 개발한다. 바이오 기반 기술에는 제약, 화학 및 엔지니어링 재료의 3가지 핵심 분야가 포함된다.미래 바이오제조 연구 허브는 맨체스터 생명공학연구소(MIB)에 기반을 두고 있다. 이미 바이오 기반 화학 합성 및 제조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역량을 갖춘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미래 바이오제조 연구 허브가 추가되므로써 더 높은 수준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미래 바이오제조 연구 허브는 영국의 연구제조 분야에 정부가 투자한 £3,000만 파운드의 일부에 해당된다.해당 기금은 영국 연구혁신(UK Research and Innovation)의 엔지니어링 및 물리과학 연구협의회(Engineering and Phys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와 생물공학 및 생물과학연구협의회 (Biotechnology and Biological Sciences Research Council)로부터 제공된다.맨체스터대의 바이오제조 연구허브는 영국에서 더 스마트하고 친환경적이며 효율적인 생산 부문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UK-ManchesterUniversity-Biotechnology▲ 맨체스터 생명공학 연구소(Manchester Institute of Biotechnology: MIB)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기술투자서비스기업 TIN(Technology Investment Network)의 12번째 연간 TIN100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뉴질랜드의 기술산업부문 매출은 $NZ 10억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뉴질랜드 기술산업부문의 매출을 증가시킨 3대 핵심기술산업부문은 하이-테크 제조, 생명공학, 정보통신기술(ICT) 등이다. 이 3대 부문은 모두 작년의 기술 트렌드를 이어오며 올해도 성장을 유지시켰고 시너지 효과를 발휘했다.ICT부문이 가장 높은 성장세를 지속하며 17.3% 성장했고 하이테크 제조는 9.6%, 생명공학은 7.3% 등으로 각각 증가했다.특히 웰링턴지역은 디지털 미디어, 증강 및 가상현실 등을 비롯한 기술산업부문의 매출이 15.3%나 증가해 전체 기술산업부문의 매출 기여도가 높았다.TIN100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뉴질랜드에서 설립돼야 하며 자체 지적자산을 기반으로 한 기술기업이어야 한다. 도한 최소한 매출의 10%는 해외에서 발생시켜야 한다.▲TIN의 홈페이지
-
뉴질랜드 기술투자서비스기업 TIN(Technology Investment Network)의 12번째 연간 TIN100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뉴질랜드의 기술산업부문 매출은 $NZ 10억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뉴질랜드 기술산업부문의 매출을 증가시킨 3대 핵심기술산업부문은 하이-테크 제조, 생명공학, 정보통신기술(ICT) 등이다. 이 3대 부문은 모두 작년의 기술 트렌드를 이어오며 올해도 성장을 유지시켰고 시너지 효과를 발휘했다. ▲TIN의 홈페이지
-
2014-10-20이지바이오그룹(이하 이지바이오)은 1988년 설립한 ㈜이지시스템을 모태로 하고 있으며, 지난 1999년 ㈜이지바이오시스템을 거쳐 2012년 ㈜이지바이오로 상호가 변경됐다.2008년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한 이지바이오는 2011년 마니커를 인수하면서 곡물, 배합사료, 양돈, 양계, 육가공사업을 수직계열화해 종합 농·축산 전문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마니커가 육계시장에서 하림, 올품, 동우 등에 이어 4위 업체이기는 하지만 시장점유율이 꾸준히 하락하고, 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해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 이지바이오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 기업이지바이오는 국내30개, 해외10개, 총 40개의 계열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 계열사는 표1와 같이 농축산/육가공/유통, 사료제조, R&D/투자/기타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표1. 이지바이오의 주요 계열사와 평가대상]농축산/육가공/유통부문 계열사에는 강원엘피씨, 디엠푸드, 농업회사법인㈜자연일가, 성화식품㈜, 금호영농조합법인, 문경양돈영농조하법인, 농업회사법인㈜안성, 농업회사법인㈜우포월드, 농업회사법인㈜의성바이오파크, 농업회사법인㈜지리산하이포지피, 창진영농조합법인, 농업회사법인㈜팜스월드지지피, 농업회사법인㈜새들만, 마니커, 마니커에프앤지, 농업회사법인㈜에스앤마니커, 농업회사법인㈜마니커농산, 농업회사법인㈜건형축산, 농업회사법인㈜우리손홀딩스 등이 있다.강원엘피씨는 2000년 설립한 ㈜하이미트이십일씨가 모태로 2006년 현재 상호로 변경됐으며, 2008년 6월의 아침을 흡수 합병했다. 주요사업은 우육, 돈육 등 축산물을 종합 처리하는 도축업체다.디엠푸드는 계육(닭고기)를 가공, 저장 처리하는 업체로 2005년 설립했다. 농업회사법인㈜자연일가는 2007년 농업회사법인(유)화천을 모태로 20010년 농업회사법인㈜화천을 거쳐 2011년 현재 상호로 변경됐으며, 오리 사육 및 도축, 축산물의 가공 등이 주요 사업이다.마니커는 1985년 설립한 대연식품을 모태로 하고 있으며, 1998년 대상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