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선전"으로 검색하여,
2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25▲ 미래에셋박현주재단 로고[출처=미래에셋박현주재단]미래에셋박현주재단(회장 박현주, 이사장 장용성)에 따르면 2025년 5월29일(목)부터 6월1일(일)까지 중국 심천에서 개최되는 ‘제24회 미래에셋 글로벌 문화체험단’의 참가자를 모집한다.미래에셋 글로벌 문화체험단은 2007년부터 운영되어 온 재단의 대표적인 청소년 지원 프로그램으로 해외 탐방을 통해 참가자들이 새로운 경험과 도전의 기회를 갖고 견문을 넓히며 글로벌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캠프가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총 2127명의 청소년이 프로그램에 참가하며 세계를 향한 꿈을 키워왔다.이번 제24회 문화체험단은 ‘아시아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중국 심천에서 진행되며 미래 산업을 이끌어가는 선도 기업을 직접 방문해 혁신 기술을 학습하는 기회를 제공한다.또한 다양한 문화 체험과 팀별 프로젝트를 통해 참가자들이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고 글로벌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특히 참가 학생들은 현지에서 최신 정보기술(IT) 및 제조업 혁신 사례를 직접 접하고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발표하는 활동을 진행하게 된다.이를 통해 미래 사회에 대한 통찰력을 기르고 글로벌 무대에서 활약할 수 있는 역량을 키울 수 있는 경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 등 아동복지시설을 이용하는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들이 지원 가능하며 3월 31일(월) 오후 4시까지 온라인 신청서와 사전 과제를 제출하면 참가 신청이 완료된다. 신청 방법 및 자세한 모집 요강은 미래에셋박현주재단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미래에셋박현주재단 관계자는 “이번 글로벌 문화체험단을 통해 아이들이 선진화된 사회 환경과 혁신적인 기업 문화를 직접 경험하며 자신의 꿈과 비전을 구체적으로 설계하는 데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얻길 바란다”며 “청소년들이 세계를 바라보는 넓은 시야와 도전 정신을 기를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빍혔다.
-
▲ 현대자동차 아반떼[출처=현대자동차]현대자동차그룹(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현대차·기아가 1986년 미국 시장에서 판매를 시작한 이후 2025년 2월까지 누적 판매 2930만3995대를 기록했다. 이는 현대차(1711만6065대) 뿐 아니라 기아(1218만7930대)를 합한 성과다.2024년 현대차 91만1805대, 기아 79만6488대로 양사 모두 미국에서 역대 최다 판매를 달성했다. 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에서 GM, 토요타, 포드에 이어 2년 연속 4위를 차지했다.현대차·기아는 이러한 판매 호조를 이어가 높은 상품성과 유연한 생산 체제로 시장 내 입지를 더욱 강화해 2025년 미국 시장에서 누적 판매 3000만 대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1986년 미국 진출 이후 32년 만에 누적 판매 2000만 대 대기록현대차·기아의 미국 시장 진출은 1986년 1월 시작됐다. 현대차는 울산 공장에서 생산한 세단 ‘엑셀’을 미국에 수출하면서다. 미국 진출 20년째인 2005년 미국 남부 앨라배마주에 첫 현지 생산 공장을 완공했다.기아는 1992년 기아 미국 판매법인을 설립하고 미국에서 1994년 2월 세피아, 11월 스포티지 판매를 시작했다. 이후 2006년 미국 조지아주 웨스트포인트에 조지아 공장 기공식을 하고 3년 1개월의 공사 기간을 거쳐 2010년 완공했다.현대차·기아는 1990년 누적 판매 100만 대를 돌파한 이후 2004년 500만 대를 넘어섰다. 그로부터 7년 뒤인 2011년 1000만 대를 기록했다.이후 매년 연간 100만 대 판매를 넘어서며 판매가 빠르게 증가해 2018년 2000만 대라는 대기록을 달성하게 됐다.누적 판매 1000만 대 돌파까지 1986년 미국에서 판매를 시작한 이후 25년이 걸렸다는 점을 고려하면 불과 3분의 1도 안 되는 시간 만에 2000만 대 판매라는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뤘다.미국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린 모델은 현대차의 경우 ‘아반떼(현지명 엘란트라)’다. 아반떼는 1991년 미국 판매를 시작했으며 2025년 2월까지 388만 대가 판매됐다. 그다음으로는 쏘나타(342만 대)와 싼타페(238만 대), 투싼(187만 대) 순으로 집계됐다.기아는 쏘렌토가 2002년 미국 판매를 시작한 이후 2024년까지 183만 대 판매됐다. 그다음으로는 스포티지(166만 대)와 쏘울(152만 대), K5(150만 대) 순으로 조사됐다.◇ 판매 라인업 다양화, 높은 상품성 유지해 경쟁력 높여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 진출 초기에 비해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제네시스, 친환경차 등으로 판매 라인업을 다양화해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 판매 및 수익성 향상에 주력했다.현대차는 소형 SUV인 베뉴부터 코나, 투싼, 싼타페에 이어 대형 SUV인 팰리세이드까지 이어지는 풀 SUV 라인업을 유지하고 있다.기아도 셀토스를 시작으로 니로, 스포티지, 쏘렌토, 텔루라이드로 이어지는 풀 SUV 라인업을 구축해 SUV 인기가 높은 미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현대차·기아의 SUV 판매량은 지난해 128만4066대로 전체 판매량의 75% 이상을 차지하며 신차 판매를 이끌고 있다. 이 외에도 프리미엄 브랜드인 제네시스를 2016년 미국 시장에 진출해 미국 프리미엄 차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제네시스는 미국 진출 첫해인 2016년 6948대를 판매했으며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매년 꾸준히 성장했다.특히 2204년에는 GV70과 GV80의 판매 호조에 힘입어 7만5003대를 판매하며 처음으로 미국 연간 판매 7만 대를 돌파하는 등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다.현대차·기아는 최근 미국 내 전동화 전환을 선도하기 위한 전기차 판매에도 힘을 쏟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2014년 기아 쏘울 EV를 시작으로 미국 전기차 시장에 진출했다. 이어 2017년 현대차 아이오닉 EV가 출시됐다.진출 초기 평균 1000여 대 수준이던 현대차·기아의 연간 전기차 판매량은 2021년 1만9590대를 기록하며 전기차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로서 자리매김하기 시작했다.2022년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기반으로 하는 아이오닉 5, EV6 등의 신차 출시 및 G80 전동화 모델, GV60 등의 제네시스 브랜드 전기차 출시를 기점으로 판매량이 가파르게 상승했다. 그 결과 2022년 연간 판매는 전년보다 무려 337.5% 증가한 5만8028대를 기록했다.2023년에는 9만4340대를 판매했으며 지난해에는 12만3861대로 최다 판매를 기록해, 연간 처음으로 미국 전기차 판매 10만 대를 달성했다.품질 면에서도 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에서 호평을 얻고 있다.현대차·기아는 2020년 텔루라이드, 2021년 아반떼, 2023년 EV6, 2024년 EV9 등 5년간 4개 차종이 북미 올해의 차(NACTOY, The North American Car, Truck and Utility Vehicle of the Year)로 선정됐다.또한 현대차·기아는 2024년 11월 미국 시장조사업체 제이디파워(J.D.Power)가 발표한 ‘2025 잔존가치상(ALG Residual Value Awards)’에서 코나 일렉트릭이 전동화 SUV 부문, 텔루라이드가 3열 중형 SUV 부문에서 수상했다.현대차·기아는 향후에도 라인업 확대 및 높은 상품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2024년 10월 양산을 시작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 전기차 외에도 하이브리드 차량을 생산해 급변하는 미국 시장에 빠르게 대응할 예정이다.
-
▲ 쿠팡, ‘대한민국 응원을 위한 슈퍼 세일'[출처=쿠팡]쿠팡(대표이사 강한승·박대준)에 따르면 2025년 2월13일(목)까지 대한민국 스포츠팀의 선전을 기원하며 ‘대한민국 응원을 위한 슈퍼 세일’ 기획전을 진행한다.이번 기획전에선 실내에서 동계 스포츠를 관람하는 데 필요한 ‘집관’ 필수 아이템은 물론 겨울 스포츠를 직접 즐기는데 필요한 여행 아이템을 특별 할인가에 선보인다. 와우회원을 위한 할인 상품도 다양하게 준비했다.먼저 △원데이 특가 코너를 통해 집관 및 겨울 여행 인기 상품을 단 하루, 한정 수량 특가에 판매한다. 특가 판매하는 상품은 매일 새로운 상품들로 변경되며 아침 7시에 공개된다.편안한 집관 환경 조성을 위해 마련된 △가전∙디지털∙응원용품 코너도 마련했다. 대표 상품으로 △LG 올레드 4K UHD OLED TV △TCL 안드로이드12 QD-MiniLED 4K TV를 비롯해 집관에 필요한 △레노버 샤오신 패드 프로 태블릿 △LG전자 2025 그램 △Apple 2024년 맥북에어13 M3 등의 디지털 상품이 있다. 또 응원봉, 머리띠, 태극기 등의 응원용품도 있다.△간식∙테이블링 코너에선 △잭링크스 비프 스틱 오리지널 육포 △구룡포건조 반건오징어 △봉지과자 20종 세트 등을 포함한 즉석식품, 밀키트, 무알콜 맥주, 탄산음료, 마른안주류 등 스포츠 경기를 응원하며 즐길 수 있는 각종 식품이 준비되어 있다. 여기에 술잔, 테이블, 의자 등 테이블링 상품도 만나볼 수 있다.계절이 바뀌기 전 마지막으로 겨울 스포츠를 풍성하게 즐기고자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고객들을 위한 △여행∙여행준비템 코너도 있다.겨울 대표 스포츠인 스키를 즐길 수 있는 △비발디파크 리프트권 △곤지암리조트스키장 올인원 패키지 △휘닉스파크 등 전국 각지 스키장 할인 상품과 캐리어, 압축팩, 핸드크림, 물티슈, 선크림 등 여행 필수템들을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 가능하다.이 외에 카테고리별, 키워드별로 분류한 코너도 별도로 마련해 쇼핑하는 고객들의 편의를 높였다.쿠팡 관계자는 “대한민국 스포츠팀의 응원과 더불어 직접 겨울 스포츠를 즐기고자 하는 고객들을 위해 이번 기획전을 준비했다. 남은 겨울, 쿠팡을 통해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도 즐겁고 안전한 겨울 스포츠를 만끽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
▲ 아모레퍼시픽 CI [출처=아모레퍼시픽]아모레퍼시픽그룹(회장 서경배)에 따르면 2024년 매출액은 4조2599억 원으로 전년 동기 5.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493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4.0% 늘어났다.아모레퍼시픽그룹은 2024년 서구권을 중심으로 해외 사업에서 높은 성장세를 기록하며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확대됐다.글로벌 리밸런싱 전략 추진 결과 연간 기준으로는 처음 미주 지역 매출이 중화권을 넘어서기도 했다. 2024년 2분기부터 아모레퍼시픽의 실적에 편입된 코스알엑스도 EMEA를 중심으로 판매 호조가 지속되며 해외 사업 성장에 크게 기여했다.주력 계열사 아모레퍼시픽 브랜드 중에서는 라네즈, 헤라, 에스트라, 일리윤, 라보에이치 등이 선전했다. MBS와 온라인 채널에서의 판매 호조도 지속적으로 이어졌다.주요 자회사의 경우 이니스프리와 에뛰드의 매출이 감소했지만, 에스쁘아 및 아모스프로페셔널, 오설록은 경쟁력을 강화하며 매출이 성장했다.국내 사업은 주요 브랜드들의 대표 제품 리뉴얼 및 혁신적인 신제품 출시를 통해 MBS와 온라인 채널에서 견고한 성장을 달성했다.하지만 면세 실적의 하락이 지속되며 전년 대비 2.4% 감소한 2조157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국내 화장품 부문의 수익성이 개선되며 영업이익은 1.3% 증가했다.럭셔리 브랜드 부문에서는 설화수가 ‘자음생’ 라인의 리뉴얼 출시와 함께 이커머스 협업 옴니 채널 마케팅, 팝업 스토어 운영, 백화점 피부 진단 서비스 등을 전개하며 자음생 매출 비중이 확대되는 성과를 거뒀다.헤라는 리뉴얼 출시된 ‘블랙 쿠션 파운데이션’이 국내 럭셔리 메이크업 부문 매출 1위를 달성하며 한국 대표 쿠션의 위엄을 입증했다.신제품 ‘루즈 클래시’를 출시하며 글로벌 캠페인도 전개해 존재감을 높였다. 아이오페도 레티놀 전문성 강화 및 ‘슈퍼바이탈 6세대’ 리뉴얼 출시 등을 통해 연간 매출이 성장했다.프리미엄 브랜드 부문에서는 라네즈가 ‘워터뱅크 크림’ 리뉴얼 및 ‘바운시 앤 펌’ 라인 신제품 출시, BTS 진과 협업한 ‘크림 스킨’ 캠페인 전개로 브랜드 경쟁력을 더욱 강화했다.에스트라는 ‘리제덤365’ 라인 등을 통해 슬로에이징 트렌드를 선도하며 올리브영 더마 카테고리 매출 1위를 수성했다.마몽드의 세컨드 브랜드인 ‘미모 바이 마몽드’가 다이소 입점 4개월 만에 누적 판매 100만 개를 돌파하며 초저가 시장 공략에도 성공했다.데일리 뷰티 브랜드 부문의 경우 일리윤이 올리브영 바디 케어 부문 1위, 라보에이치가 올리브영 샴푸 부문 1위를 차지하는 등 MBS 채널을 중심으로 핵심 제품이 높은 성과를 거뒀다.아모레퍼시픽의 해외 사업은 서구권을 중심으로 높은 성장세를 이뤄내며 전년 대비 20.6% 증가한 1조678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특히 그룹 역사상 처음으로 미주 지역이 중화권을 넘어 가장 큰 매출을 올리는 해외 시장으로 등극해 눈길을 끈다.우선 미주 지역에서는 립 트리트먼트 부문 1위를 수성한 라네즈 등 주요 브랜드의 고성장과 함께 코스알엑스 편입 효과로 매출이 83%나 증가했다.라네즈와 이니스프리 등 주력 브랜드가 아마존 ‘블랙 프라이데이 & 사이버 먼데이(BFCM)’ 행사에서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EMEA 지역에서도 영국의 ‘Boots’와 ‘ASOS’에 입점하며 채널을 다변화한 라네즈가 세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코스알엑스 편입 효과가 더해지며 전체 매출이 3배나 확대됐다.아시아에서는 중화권과 기타 아시아 지역의 성과가 대비된 한 해였다. 중화권의 경우 중국 법인의 채널 거래구조 변경 등으로 매출이 27% 하락했으나 설화수와 려를 중심으로 경쟁력을 제고하며 성장 기반 마련에 힘썼다.반면 APAC과 일본 등 기타 아시아 지역에서는 설화수와 라네즈의 제품 경쟁력 강화 및 헤라와 에스트라 등 신규 브랜드의 진출, 코스알엑스 편입 효과에 힘입어 매출이 33%나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주요 자회사들은 제품 및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하고 마케팅 투자도 확대하며 성장성과 수익성 확보를 위해 노력했다.이니스프리의 경우 고효능 기능성 제품 경쟁력 강화 등에 주력하며 브랜드 매력도를 제고했으나, 채널 포트폴리오 전환에 따라 매출이 감소하며 영업이익도 축소됐다.에뛰드도 잘파 세대 고객 저변 확대에 힘쓰며 MBS 및 온라인 채널 중심으로 매출이 성장했으나, 오프라인 채널 재정비 여파로 전체 매출이 감소하고 마케팅 투자 확대로 영업이익도 하락했다.에스쁘아는 글로우 메이크업 카테고리 경쟁력 강화를 통해 MBS 채널 중심으로 매출이 성장하고 영업이익도 개선됐다.아모스프로페셔널은 제품 경쟁력 강화 및 헤어 살롱과의 상생 이벤트 전개로 인지도를 강화하며 매출이 성장했다. 오프라인 이벤트 확대로 인한 마케팅 비용 증가 등으로 인해 영업이익은 감소했다.오설록은 ‘오설록 취향 가든’ 팝업과 같은 오프라인 체험 마케팅 강화를 통해 매출이 증가했다. 마케팅 비용 및 오프라인 채널 효율화에 따라 수익성이 개선되며 영업이익도 대폭 증가했다.아모레퍼시픽은 건강한 매출 성장과 수익성 확보를 위해 ‘브랜드 경쟁력 강화’, ‘글로벌 리밸런싱 가속화’, ‘채널 대응력 강화’, ‘미래 성장 준비’라는 전략 방향을 설정해 추진 중이다.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해 라네즈와 코스알엑스 등 글로벌 선도 브랜드의 지속적인 성장성 확보에 집중하면서, 에스트라와 헤라 등 차세대 글로벌 브랜드 육성에도 매진하고 있다. 동시에 설화수, 이니스프리, 려와 같은 기존 대형 브랜드의 리브랜딩 효과가 본격화될 것으로도 기대하고 있다.글로벌 리밸런싱을 가속화하기 위해서는 주요 전략 시장인 미국, 일본, 유럽, 인도, 중동을 집중적으로 육성함과 동시에 중국 시장의 구조적 정상화도 진행하고 있다.채널 대응력 강화 측면에서는 아마존과 같은 글로벌 플랫폼에 대한 대응 역량 내재화를 꾀하고 있다. 국내외 주요 멀티 브랜드 유통 채널 및 틱톡샵 등 신규 성장 채널과 다각적인 협업도 추진하고 있다.AI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고객 서비스 혁신 및 업무 생산성 강화를 통해 미래 성장의 기반도 준비 중이다.
-
▲ 넷마블, 첫 글로벌 공식 대회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 2025’ 티저 영상 공개[출처=넷마블]넷마블(대표 권영식, 김병규)에 따르면 첫 글로벌 공식 대회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 2025’ 공식사이트를 개설하고 티저 영상을 공개했다.‘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은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의 인기 콘텐츠인 ‘시간의 전장’으로 실력을 겨루는 대회다. 넷마블은 2024년 두 차례의 오프라인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다.이번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 2025’는 앞서 국내에서 개최됐던 두 번의 대회에 이어 전 세계를 대상으로 무대를 확장해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선은 대한민국에서 오프라인으로 열린다.공식사이트에서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 2025’ 예선전 참가 조건 등의 정보를 순차적으로 제공한다.공식사이트 개설과 함께 공개된 티저 영상(https://youtu.be/xGa0uP5L6xQ)을 통해 앞서 진행된 두 차례의 대회에서 펼쳐진 치열한 승부와 뜨거운 현장 분위기 등을 확인할 수 있다.‘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챔피언십 2025’와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공식사이트(https://sololeveling.netmarble.com/ko/slc_2025) 및 포럼을 통해 지속적으로 안내될 예정이다.한편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는 글로벌 누적 조회수 143억 뷰를 기록한 ‘나 혼자만 레벨업’ IP 최초의 게임이다.정식출시 약 5개월 만에 글로벌 누적 5000만 이용자를 달성했다. 2024년 대한민국 게임대상에서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
-
▲ 중국 선전세관(深圳海关) 홈페이지중국 선전세관(深圳海关)에 따르면 2024년 1~11월 선전의 대외 무역 수출입 총액은 연간 4조11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4% 증가했다. 대외 무역 수출입 규모가 처음으로 4조 위안을 돌파했다.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에 따르면 2024년 11월 소비재 소매 총액은 4조3800억 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3.0% 증가했다.JOC(Japan Open Chain)의 컨소시엄을 운영 및 관리하는 일본 블록체인 기반 주식회사는 비트 트레이드 주식회사가 실시한 재팬 오픈 체인 토큰(JOC)의 IEO 신청 총액이 90억 엔을 초과 달성했다.라인야후(LINEヤフー)에 따르면 국경간 전자상거래(EC) 기업 BEENOS 주식회사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2025년 2월 말 목표로 공개매수를 시작해 전 주식을 취득해 완전자회사화 하기로 했다. 인수 총액은 약 540억 엔이다.일본 소니그룹(ソニーグループ, Sony Group)에 따르면 약 500억 엔을 투자해 일본 미디어 기업 카토카와(カドカワ, Kadokawa)의 신주를 매입할 계획이다.대만 중앙통신에 따르면 폭스콘(鴻海集團, 혼하이그룹)이 프랑스 자동차 대기업 르노와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닛산의 지분 대부분을 인수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 중국 선전세관(深圳海关), 2024년 1~11월 선전의 대외 무역 수출입 총액은 연간 4조1100억 위안중국 선전세관(深圳海关)에 따르면 2024년 1~11월 선전의 대외 무역 수출입 총액은 연간 4조11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4% 증가했다.대외 무역 수출입 규모가 처음으로 4조 위안을 돌파했다. 동기간 수출액은 2조5900억 위안으로 16% 늘어났으며 수입액은 1조5200억 위안으로 19.8% 확대됐다.2024년 1~11월 민간기업의 수출입 규모는 2조89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4% 증가했다. 동기간 수출입 총액의 70.4%를 차지했다.또한 동기간 외자기업의 수출입 규모는 1조2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0.2% 늘어났으며 총 수출입규모중 24.9%를 차지했다.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에 따르면 2024년 11월 소비재 소매 총액은 4조3800억 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3.0% 증가했다.이 중 상품 소매판매액은 3조8000억 위안으로 전년 동월 대비 2.8% 늘어났다. 가전제품 소매판매액은 22.2%, 자동차와 가구는 각각 6.6%, 10.5% 증가했다.2024년 1~11월 소비재 소매 총액은 44조27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늘어났다. 동기간 서비스 소매판매는 6.4%, 전국 온라인 소매판매는 7.4% 각각 늘어났다.◇ 일본 라인야후(LINEヤフー), 국경간 전자상거래(EC) 기업 BEENOS 주식회사 인수 계획JOC(Japan Open Chain)의 컨소시엄을 운영 및 관리하는 일본 블록체인 기반 주식회사는 비트 트레이드 주식회사가 실시한 재팬 오픈 체인 토큰(JOC)의 IEO 신청 총액이 90억 엔을 초과 달성했다.따라서 IEO 종료 시점 예정 판매 금액 12억6000엔이 매진됐다. 선행 우선 판매 5억4000엔, 일반 추첨 판매 7억2000엔, 합계 12억6000이 판매됐다.참고로 IEO는 Initial Exchange Offering의 약자로 거래소가 프로젝트를 대신해 토큰 판매를 진행하는 방식이다.라인야후(LINEヤフー)에 따르면 국경간 전자상거래(EC) 기업 BEENOS 주식회사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2025년 2월 말 목표로 공개매수를 시작해 전 주식을 취득해 완전자회사화 하기로 했다. 인수 총액은 약 540억 엔이다.BEENOS는 국내 EC의 월경 판매 지원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누계 6000개 이상 기업이 해외 판매를 할 수 있도록 협력했다. 2012년부터 야후! 경매와 연계하는 등 야후의 각종 서비스와 제휴 관계에 있다.일본 소니그룹(ソニーグループ, Sony Group)에 따르면 약 500억 엔을 투자해 일본 미디어 기업 카토카와(カドカワ, Kadokawa)의 신주를 매입할 계획이다.소니는 이번 투자로 카토카와의 지분이 약 10%로 증가하며 최대 주주가 된다. 소니와 카토카와는 다양한 프로젝트에 협력해 왔다. 자본 제휴를 통해 콘텐츠 제작에 공동 투자, 크리에이터 발굴 등 파트너십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대만 폭스콘(鴻海集團), 프랑스 르노와 일본 닛산 지분 대부분 인수 협상 진행 중대만 중앙통신에 따르면 폭스콘(鴻海集團, 혼하이그룹)이 프랑스 자동차 대기업 르노와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닛산의 지분 대부분을 인수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다.2024년 9월 기준 르노는 닛산 주식 22.8%를 프랑스 신탁은행에 예치해 두고 있다. 폭스콘은 닛산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 이들 지분 인수를 목표로 하고 있다.르노와 프랑스신탁은행이 닛산 지분 약 35%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24년 12월23일 닛산 이사회에서 혼다와의 합병각서 승인 여부 결정에 따라 폭스콘의 닛산 지분 인수 계획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
▲ 일본 지방정부인 도쿄도(東京都) 청사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지방정부인 도쿄도(東京都)에 따르면 2024년 5월부터 번화가 등을 달리는 광고 선전차에 대한 규제를 강화할 계획이다. 도내 번호판을 부착한 차량 뿐 아니라 되외 번호판 차량도 포함된다.도쿄도는 조례를 통해 트럭의 화물칸에 광고를 게시하는 선전차의 디자인을 규제하고 있다. 하지만 화려한 색이나 과도한 빛을 수반하는 도쿄도 외 번호판을 부착한 차량은 규제하지 못했다.이에 따라 도쿄도는 대학교수, 광고업체 종사자 등으로 도시심의회를 구성해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 심의회는 '도쿄도의 규제가 실태와 맞지 않는 면이 나타나고 있으며 도 내를 주행하는 도 외 번호판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유흥업소 등의 광고가 젊은이들에게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지만 광고물에 표시되는 내용의 규제는 조례가 아니라 법률로 규제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
2021-06-23일본 전기통신사인 동일본전신전화(NTT東日本)에 따르면 2021년 10월부터 유선전화 및 휴대전화 요금을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서일본전신전화(NTT西日本)도 관련 조치에 동참한다.기존에는 이용 이력과 발신 방법에 따라 개별적으로 요금을 설정했다. 변경 후에는 모두 일률적으로 1분당 17.6엔이다. 공중전화도 15.5초당 10엔이며 최대 1분당 1.65엔으로 하향 조정한다. 이번 가격 인하는 총무성(総務省)의 요청에 따라 통화요금 개정에 대응한 것이다. 유선전화와 휴대전화 요금은 각 이동통신사가 가격 결정권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전신전화(NTT) 그룹 휴대폰 이미지(출처 : 홈페이지)
-
2020-11-17중국 정부에 따르면 제22회 중국하이테크박람회(中国国际高新技术成果交易会)가 2020년 11월11일부터 15일까지 남부의 기술 허브 선전(深圳)시에서 개최됐다.총 53개국과 국제기구가 온/오프라인 전시회에 참가했다. 박람회에는 3300개 이상의 전시업체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참여했고 약 10,000개의 기술 제품이 전시됐다.생의학, 스마트 메디 케어, 온라인 교육 및 기타 신흥 산업의 최신 성과가 전시됐다. 또한 5G, 스마트 센싱, 모바일 결제, 블록체인 및 공유 제조를 통해 강화된 새로운 유형의 비즈니스가 제시되었다.특히 선전에 본사를 둔 자율주행 스타트업 기업인 딥루트닷에이아이(DeepRoute.ai)는 자동차 제조업체인 둥펑자동차그룹(東風汽車)과 공동 개발한 "로보 택시"차량을 전시했다.박람회는 과학기술 혁신을 강화하고 경제 발전을 추진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해온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업스트림 공급업체와 다운 스트림 고객을 찾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China-HiTechFair-Robot▲ 제22회 중국하이테크박람회(中国国际高新技术成果交易会) 홍보자료
-
2019-10-07중국 정부에 따르면 2019 로봇마스터(RoboMaster) 대회가 중국 선전(深圳) 바오안 스타디움에서 종료됐다. 로봇마스터 대회는 젊은 엔지니어와 대학생을 위한 연례 로봇공학대회이다.T-DT 노스 이스턴대학은 Ұ50만 위안과 함께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이번 대회에는 전 세계 1만명의 젊은 엔지니어로 구성된 약 200개의 팀이 참가했으며, 32개의 팀이 최종 토너먼트에 올랐다.이번 대회의 최종 시합이 Twitch.tv에서 방송돼 전 세계 청중에게 온라인으로 제공됐다. 15개국 이상에서 1억 9천 5백만 이상의 온라인 시청자가 시청했다.로봇마스터대회는 2015년 첫해부터 엔지니어링 커뮤니티에서 인기를 얻었다. 대학생들이 재능을 보여 주면서 과학기술에 대한 열정을 추구할 수있는 세계 무대를 제공한 것으로 분석된다.특히 학생들에게 이론 학습을 실습하고 멋진 기술로 놀며 실제 무언가를 창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 것으로 평가된다.학생들이 경쟁을 통해 배운 내용을 통해 창의적인 비전을 확장하고 언젠가는 실제 적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할 것으로 기대된다.▲ China-Government-RobotCompetition▲ 2019 로봇마스터(RoboMaster) 대회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