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설문조사"으로 검색하여,
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녹색 스킬 획득 방법(%, 복수 응답)[출처=한국직업능력연구원]직업교육훈련의 활성화 및 국민의 직업능력 향상에 기여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2024년 7월30일(화) ‘KRIVET Issue Brief 285호’를 통해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한 기업의 인식과 대응 활동 및 요구되는 숙련 등을 발표했다.KRIVET Issue Brief 285호는 탈탄소 경제로의 이행을 위한 기업의 녹색 전환과 녹색 스킬 분석’을 포함하고 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국내 이차전지 기업의 녹색 스킬 획득 방법을 조사한 결과, 32%가 활용하는 방법이 없다고 답했다. 이는 ‘일하며 배우기(learning-by-doing)’, 직장 내 교육훈련(OJT), 재직자 대상 정부 훈련프로그램 활용 등을 통해서 기업 내부에서 동원한다는 것으로 해석된다.외부 전문가를 채용하는 경우는 18%, 외부 민간기업의 서비스를 활용하는 경우는 12%로 각각 집계됐다. 고도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친환경 업무의 경우 외부 자원을 활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기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녹색 스킬은 ‘기후 변화 및 규제 관련 지식’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본적이고 일반적인 스킬도 많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기업의 60% 이상이 자기 학습 및 문제해결 능력과 커뮤니케이션 및 대인관계 능력이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이는 기업이 환경 지속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 내부의 협력과 지속적인 학습, 문제해결을 중요시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본 연구를 수행한 한국직업능력연구원 조성익 부연구위원은 “기업의 녹색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서 단기적으로는 일반적인 스킬과 지식을 향상시키고 장기적으로는 높은 수준의 녹색 스킬과 전문성을 갖춘 인재를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참고로 2023년 국내 이차전지 기업 183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와 기후변화 대응 실무 담당자 12명이 참여한 심층 인터뷰를 분석했다.
-
2024-03-07▲ 캐나다 대학 종합병원인 토론토 종합병원(TGH). [출처=홈페이지]캐나다 대학 종합병원인 토론토 종합병원(TGH)에 따르면 2023년 국제병원 순위에서 3위에 등극했다. 10위 안에 포함된 유일한 캐나다 병원이며 미국 주간지인 뉴스위크(Newsweek)가 조사한 결과다.뉴스위크는 병원의 환자 만족도 설문조사, 의사-환자 비율과 간호사-환자 비율 등을 포함한 다양한 품질 기준으로 매년 세계 30개국 병원 2400곳의 순위를 매긴다.토론토 종합병원은 토론토대 산하의 보건연구기관인 UHN(University Health Network)의 교육병원이다. 1812년 설립됐으며 북아메리카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장기이식센터를 운영하고 있다.또한 단일 및 이중 폐 이식 수술을 처음으로 성공했다. 안전한 장기 이식을 목표로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을 통해 기증된 장기의 상태와 이식 후 결과를 예상하는 가이드라인 방안도 제안했다.참고로 뉴스위크의 글로벌 상위 10개 병원은 △ 1위 미국 메이오 클리(Mayo Clinic) △ 2위 미국 클리블랜드 클리닉(Cleveland Clinic) △3위 캐나다 UHN의 토론토 종합병원 △4위 미국 더 존스 홉킨스 병원(The Johns Hopkins Hospital) △5위 미국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6위 독일 샤리테(Charité) △ 7위 스웨덴 카롤린스카 대학병원(Karolinska University Hospital) △8위 프랑스 피티에-살페트리에르 대학병원(Hôpital Universitaire Pitié Salpêtrière) △ 9위 이스라엘 쉬바 메디컬센터(Sheba Medical Centre) △10위 스위스 취리히 대학병원(Universitätsspital Zürich) 순이었다.
-
싱가포르 정부에 따르면 2022년 2월 3일부터 시민 대상으로 공공아파트(HDB) 심장부의 상점가 회복 아이디어에 대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작했다. 지역의 문화 유산과 문화적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지역 경제 회복을 위해 시민들의 아이디어와 의견을 모집하기 위한 목적이다. 전자상거래의 비중이 늘어나며 특히 지역 상점가들의 부활이 중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공공아파트의 주변에는 약 1만5000개의 상점이 위치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재택근무와 집에서 머무르는 시간이 더욱 많아지고 있다. 주민들이 가까운 거리에서 생필품을 구매하는 소규모 상점가들의 역할과 영향이 더욱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 ▲정부 로고
-
유럽항공안전청(EASA)에 따르면 드론 물류거점으로 잠재적 가치가 높은 주요 6개 도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부다페스트가 드론 기술에 대해 가장 호의적인 반응을 나타냈다.이번 조사는 드론의 도심 항공 교통(Urban Air Mobility, 이하 UAM) 기술에 대한 시민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됐다. 드론의 효용성은 입증됐지만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여전히 취약하기 때문이다.헝가리 수도 부다페스트의 시민 중 66% 이상은 드론용 UAM 기술이 적용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특히 긴급상황 발생 시 드론을 투입해 각종 의료용품과 의료진, 환자까지 운반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높이 평가했다.또한 부다페스트 시민의 63%는 식료품 및 기타 생필품을 집까지 배달해주는 드론 택배에 큰 관심을 보였다. 집 앞까지 배달하는 편의성과 기존 택배보다 빠른 신속성을 강조했다.하지만 드론 운영에 따른 위험성은 여전히 우려의 대상이 됐다. 드론 비행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와 더불어 개인정보 침해에 대한 문제를 가장 많이 지적했다.이 외에 바르셀로나, 함부르크, 밀라노, 파리, 외레순드 인근 도시에서도 응답률의 차이는 있었지만 유사한 반응을 보였다. 드론에 대한 대중 인식에 따른 당연한 결과다.유럽항공안전청은 향후 유럽이 전세계 UAM 시장 중 30%를 점유할 것으로 내다봤다. 2030년까지 유럽 내 3억4000명의 사람들이 UAM 기술을 접하고, 9만개의 관련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유럽항공안전청(EASA) 드론 소개(출처 : 홈페이지)
-
뉴질랜드 설문조사업체 Consumer NZ에 따르면 2017년 '맛없는음식수상' 내역을 소개했다. 인공적인 감미료, 천연재료, 무지방 등의 식품에 대해 평가하는 것이다.최고로 맛없는음식은 설탕이 적게 들었다는 광고와 달리 4스푼 이상의 설탕을 넣은 펌프의 음료수가 차지했다. 일부 복숭아맛 음료의 경우 무방부제, 무인공색소, 무인공감리료 등의 특징을 가졌다고 광고하지만 1병당 26그램의 설탕이 함유돼 있다.아침용 시리얼인 뮤슬리도 다양한 곡물이 들어갔지만 단맛을 내기 위해 설탕을 많이 넣고 있었다. 일부 제품은 무지방이라고 광고하지만 설탕이 50% 넘게 포함돼 있다.대부분의 국민들은 영양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식품을 섭취하지만 과영양 상태이다. 비타민을 포함해 지방, 단백질도 음식을 통해 충분하게 먹고 있다.▲설문조사업체 Consumer NZ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