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2
" 성장 전망"으로 검색하여,
11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25▲ KB금융그룹 전경[출처=KB금융그룹]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에 따르면 세계적인 브랜드 평가 기관인 영국 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가 발표한 ‘Banking 500’(이하 뱅킹 500)에서 국내 금융기업 브랜드 가치 1위, 전 세계 금융기업 브랜드 가치 54위 기업으로 선정됐다.브랜드 파이낸스는 매년 전 세계 금융기업을 대상으로 재무 실적, 성장 전망, 브랜드 충성도, 기업의 지속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브랜드 가치를 평가한 후 ‘뱅킹 500’을 통해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2025년 브랜드 파이낸스의 발표에 따르면, KB금융의 브랜드 가치는 전년 대비 35퍼센트(%) 증가한 약 10.6조 원(US$ 75억400만 달러)으로 국내 금융사 중 1위를 기록했다.이는 글로벌 금융사 중에서도 상위권에 해당하는 수치로 브랜드 가치가 10조 원을 넘은 것은 국내 금융사 중 최초다.또한 이번 ‘뱅킹 500’ 보고서에는 KB금융의 비전과 브랜드 전략, 디지털 전략, 지속 가능한 경영 전략 등이 ‘브랜드 스포트라이트(Brand Spotlight)’ 섹션을 통해 주요하게 소개됐다.KB금융은 최고 수준의 재무 성과를 기록하면서도 돌봄과 상생을 중심으로 사회적 문제 해결에 앞장서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
2025-03-17▲ 농심 신라면 툼바, 동남아시아 성장 가속[출처=농심]농심(회장 신동원, 대표이사 이병학)에 따르면 최근 말레이시아 1위 온라인 플랫폼 틱톡이 운영하는 ‘틱톡샵’에 라면 최초로 브랜드샵을 오픈해 본격적인 신라면 툼바 판매에 나섰다. 농심 신라면 툼바가 동남아시아 시장 확대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 이를 위해 농심은 말레이시아 인기가수를 브랜드 엠버서더로 선정해 이들을 활용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말레이시아에서 ‘2024년 올해의 가수상’을 수상한 카이 바하르(Khai Bahar), 가수이자 배우인 와니 하스리타(Wany Hasrita)는 틱톡 드라마 시리즈 ‘부산에 내리는 눈’을 통해 제품 홍보에 나서고 있다.말레이시아 주요 유통업체를 통한 마케팅도 강화한다. 농심은 최근 로터스(Lotus’s), 이온(AEON), 자야 그로서(Jaya Grocer) 등에 신라면 툼바를 입점을 확정하고 매장 내 팝업스토어를 통해 소비자 대상의 다양한 행사를 진행할 계획이다.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자료에 따르면 말레이시아 라면 시장 규모는 2023년 기준 약 US$ 6억 달러로 향후 5년간 연평균 6% 이상의 성장이 전망된다.농심은 말레이시아 인스턴트 라면 시장에서 봉지면의 점유율이 90%가 넘고(2023년 기준 용기면은 약 8%), 그 중에서도 미고렝(Mie Goreng)과 같은 볶음면 선호도가 높다는 특성을 고려해 신라면 툼바의 성공 가능성을 높게 기대하고 있다.
-
▲ 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미레이트(Emirates)의 포클래스(Four-class) 보잉 777(Boeing 777) 기체의 내부 모습. [출처=에미레이트 엑스(X) 계정]2025년 3월10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의 서비스와 금융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미레이트(Emirates)에 따르면 2025년 4월14일부터 두바이(Dubai)에서 대한민국 서울에의 항공편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다.미국 글로벌 금융 연구 및 분석 기업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글로벌 레이팅스(S&P Global Ratings)에 따르면 2025년 걸프만 국가들의 보험 시장 성장율은 5%에서 15% 사이로 전망된다. ◇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글로벌 레이팅스, 2025년 걸프만 국가의 보험 시장 성장율 5%에서 15% 사이로 전망아랍에미리트 항공사인 에미레이트(Emirates)에 따르면 2025년 4월14일부터 두바이(Dubai)에서 대한민국 서울에의 항공편 운항을 시작할 예정이다.항공기 기체는 보잉 777(Boeing 777)로 주중 월/수/금 3회 운항한다. 개조된 보잉 777 기체를 활용한 동아시아 노선으로는 서울이 2번째다.2025년 5월7일부터 영국 런던 스탠스테드 국제공항(London Stansted) 노선의 운영을 시작하며 보잉 777의 운영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미국 글로벌 금융 연구 및 분석 기업인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글로벌 레이팅스(S&P Global Ratings)에 따르면 2025년 걸프만 국가의 보험 시장 성장율은 5%에서 15% 사이로 전망된다.국가별 상황에 따라 보험 시장 성장율은 상이했다. 2024년 아랍에미리트의 보험 시장 성장율은 20%로 예측되며 2025년에는 10%에서 20% 사이로 전망된다.걸프만 국가의 보험 시장 디지털화는 고객 서비스를 향상하고 산업 성장율을 주도하는 주요 요소로 판단된다. 아랍에미리트의 주요 보험사는 운영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자동화와 디지털 전환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
▲ 영국 반도체 설계업체 암홀딩스(Arm Holdings)는 말레이시아에서 인공지능(AI) 칩을 국내 생산할 계획을 밝혔다[출처=암홀딩스 홈페이지]2025년 3월6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를 포함한다. 영국 암홀딩스는 말레이시아와 협력해 칩 디자인을 포함하나 다양한 기술을 제공한다.브루나이 경제계획통계부의 통계에 따르면 2024년 국내총생산(GDP)에 대해 석유·가스(O&G)에 대해서 5.5%, 이외의 부문은 3.1% 각각 증가했다.◇ 영국 암홀딩스(Arm Holdings), 말레이시아서 인공지능(AI) 칩 국내 생산위해 협력영국 반도체 설계업체 암홀딩스(Arm Holdings)는 말레이시아에서 인공지능(AI) 칩을 국내 생산할 계획을 밝혔다. 미국-중국 기술 무역 전쟁에서 말레이시아의 고급 반도체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다.말레이시아는 패키징, 조립, 테스트 서비스 등 칩 시장의 하위 부문에 산업이 치중된 바 있다. 이에 암은 칩 디자인을 포함한 다양한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웨이퍼 제작 및 회로 디자인 같은 부가가치 생산으로 이끌어나갈 방침이다.말레이시아 경제부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암홀딩스에 US$ 2억5000만 달러 이상을 지불한다. 약 1만 명의 국내 반도체 전문가들이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브루나이 경제계획통계부(DEPS), 2024년 국내총생산(GDP) 연간 4.2% 성장할 것으로 전망브루나이 경제계획통계부(DEPS)가 다루살람(Darussalam)의 2024년 국내총생산(GDP)은 연간 4.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석유·가스(O&G)에 대해서 5.5%, 이외의 부문은 3.1% 증가한 것에 근거한다.원유와 천연가스의 생산 뿐만 아니라 기존 및 신규 유정에 대한 생산용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비석유 분야에 대해서는 석유 생산 화학제품 12%, 통신 6%, 도소매 거래 4.3% 증가가 뒷받침했다.현재 가격을 기준으로 한 2024년 GDP는 BND 207억 달러로 2023년 203억 달러에 비해 2% 확대됐다. 2024년 4분기 GDP는 1.1% 감소한 바 있다.
-
2025-02-04▲ 삼성전자 대만 홈페이지국가재정감독관리총국(国家金融监督管理总局)에 따르면 2024년 12월 말 전국 포괄 농업대출 잔액이 14조40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4.4% 증가했다.중국개발은행(国家开发银行)에 따르면 2024년 저렴한 주택 재융자 정책을 적극 활용해 구매 지원에 주력한 결과 1만채의 기존 상업용 주택을 할당 및 분배했다.스카퍼 JSAT홀딩스(スカパーJSAT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2027년 저궤도 지구 관측 위성 10기를 발사한다. 안보분야에서 감시 수요 확대 전망 및 위성 이미지의 방위성 판매 등이 목적이다.미쓰비시 UFJ파이낸셜그룹(三菱UFJフィナンシャル・グループ)에 따르면 2025년 3월기 3분기 누계(4~12월) 연결 경상이익이 2조4219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4% 확대됐다.파나소닉홀딩스(パナソニ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2024년 4~12월기 연결결산 순이익은 2884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8% 감소했다. 동기간 매출액은 6조4038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삼성전자 대만법인(台灣三星電子)에 따르면 2025년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 판매량이 전년 대비 20%, 매출은 25%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대만 정부에 따르면 2025년 1월31일 중국 신흥기업 딥시크(DeepSeek)가 개발한 생성형 AI에 대해 공공기관 직원들의 사용을 금지시켰다. 이탈리아 정부는 1월 30일 딥시크의 AI 서비스 이용을 제한했다.◇ 중국 국가재정감독관리총국(国家金融监督管理总局), 2024년 12월 말 전국 포괄 농업대출 잔액 14조4000억 위안국가재정감독관리총국(国家金融监督管理总局)에 따르면 2024년 12월 말 전국 포괄 농업대출 잔액이 14조40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14.4% 증가했다.주요 곡물업종의 대출 잔액은 4조4600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0% 늘어났다. 2024년 신규 발행된 포괄적 농업대출 평균 이자율은 4.9%로 전년 대비 0.51%포인트, 5년전 대비 2.49%포인트 감소했다.중국개발은행(国家开发银行)에 따르면 2024년 저렴한 주택 재융자 정책을 적극 활용해 구매 지원에 주력한 결과 1만채의 기존 상업용 주택을 할당 및 분배했다.구매 지원 지역은 광시(广西), 장쑤(江苏), 허난(河南), 지린(吉林), 쓰촨(四川) 등지다. 중국개발은행은 저렴한 주택 건설 및 공급을 확대 하기 위한 중장기적인 자금 지원을 지속해 나갈계획이다.◇ 일본 파나소닉홀딩스, 2025년내 가전사업 및 전기설비자재들 취급하는 파나소닉 해산후 사업 재편 결정스카퍼 JSAT홀딩스(スカパーJSAT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2027년 저궤도 지구 관측 위성 10기를 발사한다. 안보 분야에서 감시 수요 확대 전망 및 위성 이미지의 방위성 판매 등이 목적이다.저궤도 소형 위성은 지상 150~2000킬로미터(km) 정도 상공을 주회하게 되며 지정학 리스크 고조로 안보에 중심을 둔 자전 관측망을 정돈하기로 했다.일본 정부가 지상을 관측 및 감시할 수 있는 위성통신의 개발과 이용을 확대하는 우주안보 구상을 발표했기 때문이다.미쓰비시 UFJ파이낸셜그룹(三菱UFJフィナンシャル・グループ)에 따르면 2025년 3월기 3분기 누계(4~12월) 연결 경상이익이 2조4219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4% 확대됐다.동기간 매출액은 10조2775억8400만 엔으로 전년 동기 8조5076억7600만 엔 대비 20.8% 증가했다. 최근 3개월 실적인 10~12월기 연결경상이익은 6650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4% 증가했다.파나소닉홀딩스(パナソニ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2024년 4~12월기 연결결산 순이익은 2884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8% 감소했다. 동기간 매출액은 6조4038억 엔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홀딩스는 2025년내 가전사업 및 전기설비자재들 취급하는 파나소닉을 해산하기로 했다. 해산후 사업별로 재편한 자회사를 설립해 홀딩스 산하에 두기로 했다.◇ 삼성전자 대만법인(台灣三星電子), 2025년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 전년 대비 판매량 20%, 매출 25% 성장 전망삼성전자 대만법인(台灣三星電子)에 따르면 2025년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 판매량이 전년 대비 20%, 매출은 2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새로운 플래그십 S25 시리즈, S25울트라, S25플러스, S25 등 3가지 모델을 출시하고 2025년 2월4일부터 사전 주문에 들어갔다.2월14일 본격적인 판매에 들어가며 업그레이드된 AI경험을 제공해 대만의 AI 모바일폰 보급률을 25% 이상 끌어 올릴 계획이다.대만 정부에 따르면 2025년 1월31일 중국 신흥기업 딥시크(DeepSeek)가 개발한 생성형 AI에 대해 공공기관 직원들의 사용을 금지시켰다. 이탈리아 정부는 1월 30일 딥시크의 AI 서비스 이용을 제한했다.미국 항공우주국(NASA), 해군 역시 개인정보보호 우려 및 안보상 위험 이유로 직원 및 군인의 사용을 금지시켰다. 한국, 아일랜드, 프랑스, 오스트레일리아 등에서도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
2025-01-13▲ 아랍에미리트 정부 로고2025년 1월13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의 ICT와 서비스를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항공청(SAA)에 따르면 2024년 샤르자 국제공항의 이용객 수는 1710만1725명으로 2023년 1535만6212명과 비교해 11.4% 증가했다.◇ 아랍에미리트 샤르자 항공청(SAA), 2024년 샤르자 국제공항의 이용객 수 1710만1725명으로 2023년 1535만6212명과 비교해 11.4% 증가독일 시장조사기업인 스태티스타(Statista)에 따르면 2025년 아랍에미리트 국내의 기술 서비스 시장 규모는 약 US$ 38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기술 부문의 개발과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2025년 동안 특히 IT 아웃소싱 부문은 15억1000만달러로 시장 규모의 대다수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2025년부터 2029년까지 연간 성장율은 6.24%로 꾸준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2029년까지 시장 규모는 47억9000만 달러로 전망된다.아랍에미리트 샤르자 항공청(SAA)에 따르면 2024년 샤르자 국제공항의 이용객 수는 1710만1725명으로 2023년 1535만6212명과 비교해 11.4% 증가했다.2024년 항공기 운항 횟수는 총 10만7760회로 2023년 9만8433회와 대비해 9.5% 상승했다. 2024년 동안 새로운 국제 직항 노선 7개를 추가해 항공 네트워크를 확장했다.2024년 동안 샤르자 국제공항을 통해 운영하는 국제 항공선은 6개사가 추가됐다. SAA는 고품질 항공 서비스와 다양한 여행 상품과 연계해 2027년까지 연간 이용객 2500만 명을 수용하는 것을 전략적 목표로 정했다.
-
2024-12-26▲ 독일 비행 택시 제조업체인 릴리움(Lillium)의 기체 이미지 [출처=홈페이지]2024년 12월26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를 포함한다. 독일 비행택시 제조업체가 자금 부족을 이유로 운영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연방준비은행(FED)가 은행의 스트레스 테스트 기준을 변경한다고 밝히자 대형 은행들이 반발하고 있다. 자본금 요구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라지만 은행의 경영에 압박을 가할 것이기 때문이다.캐나다 정부가 이민자의 숫자를 줄이고 있지만 이민자의 1년 후 정착률이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퀘벡주가 단연 1위로 가장 우수한 성적을 기록했다.아르헨티나는 2024년 하반기 경제가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2025년 경제성장률은 4~5%로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수출이 증가하고 내수 소비가 회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릴리움(Lillium), 자금 부족으로 1000명의 직원을 해고하고 운영 중단독일 비행 택시 제조업체인 릴리움(Lillium)은 1000명의 직원을 해고하고 운영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기술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2017년 첫 비행을 시작한 이후 2019년 비행 테스트를 완료했다. 수직이착륙(VTOL)이 가능한 전기항공 택시는 시속 100킬로미터(km)로 비행했다.2019년 시범 제작한 기체는 시속 300km로 300km 거리를 비행한다고 주장했다. 일부 직원은 청산을 위해 근무하고 있지만 자산과 지식재산권의 처분 방향은 결정하지 못했다.미국 은행정책연구소(Bank Policy Institute)에 따르면 연간 은행 스트레스 테스트에 대해 연방준비은행(FED)을 제소했다. FED가 은행 스트레스 테스트를 변경할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스트레스 테스트의 투명성을 개선하고 자금 여유 요구의 변동성을 줄이기 우해 중요한 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BPI는 스트레스 테스트 자체를 반대하지 않는다.BPI는 JP모건, 시티그룹, 골드만삭스, 미국은행가협회, 오하이오은행가리그, 오하이오상공회의소, 미국상공회의소 등 대형 은행을 회원으로 두고 있는 비영리 단체다.◇ 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 2021년 기준 퀘벡주 이민자 중 1년 후에도 떠나지 않은 비율 94%캐나다 통계청(Statistics Canada)에 따르면 2021년 기준 퀘벡주 이민자 중 1년 후에도 떠나지 않은 비율이 94%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8년 수치와 비교하면 8.8%가 증가했다.퀘벡주는 영주권자를 대상으로 추진하던 핵심 이민 프로그램을 멈췄다. 2025년 중반까지 고용미션도 중단할 방침이다.실업률이 현재의 5.7%보다 높았던 10년 전만 하더라도 퀘벡주는 이민자가 떠나는 지역이었다. 하지만 일자리와 사회 프로그램이 개선되면서 정착이 늘어났다.퀘벡주 다음 순위는 온타리오주가 94.6%, 브리티시 콜롬비아주는 91.7%,, 앨버타주는 89.5%를 각각 기록했다. 반면에 뉴퍼들랜드와 래브라도는 14.1%, 노바스코티아는 11.7%가 축소됐다.◇ 아르헨티나 경제연구소(Abeceb),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4~5% 기록 전망아르헨티나 경제연구소(Abeceb)는 2025년 국내 경제성장률은 4~5%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외환시장의 불안으로 중앙은행은 외환보유고를 늘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중앙은행은 2025년 외환시장에서 US$ 200억 달러를 매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4년 12월 기준 외환보유고는 325억5000만 달러이지만 부채 상환을 고려하면 49억 달러가 부족하다.수입 제품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고 여행 수요를 충당하려면 경제성장이 필요하다. 수출이 증가하고 소비가 회복되면서 신용이 개선되며 경제가 안정되고 있다. 광산업과 에너지 산업이 성장세를 이끌고 있다.
-
▲ 영국 정부 산하 에너지규제기관인 오프젬(Ofgem)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2024년 10월11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은 정부가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규제 철폐, 신재생에너지 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 습한 기후로 농작물 수확량의 김소 등이 전망된다.프랑스는 국내 정치적 불안에도 경제성장이 기대되고 있으며 주요 제약회사의 해외 매각 소식 등으로 정부의 우려가 커진다는 소식이 전해졌다.아일랜드는 영국 거대 유통업체와 국내에서 제품 소싱을 확대하면서 혜택을 받는 업체가 증가하고 있다. 유통업체의 상생노력 일환이라고 보여진다.◇ 영국 오프젬(Ofgem), 신재생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각종 규제를 철폐할 계획영국 정부 산하 에너지규제기관인 오프젬(Ofgem)에 따르면 신재생 에너지 저장장치에 대한 각종 규제를 철폐할 계획이다. 에너지산업의 독립성을 강화하고 일자리를 늘리기 위함이다.지난 40여 년 동안 새로운 저장용량을 세우는 것을 금지했다. 대규모 에너지 저장장치를 개발하면 저장장치에 필요한 비용을 줄여주고 전기요금을 낮출수 있다.대규모 저장장치에 재생에너지를 저정해 전력망에 연결해 전기가 필요가 가정에 보내면 된다. 운영 비용은 낮지만 초기에 필요한 높은 투자비를 해결해야 한다.2025년부터 2050년까지 20기가와트(GW)의 저장장치를 건설하면 £24억 파운을 절감할 수 있다. 정부는 2050년까지 총 11.5GW에서 15.3GW의 저장장치를 확보할 방침이다.스페인 에너지업체인 이베르드롤라(Iberdrola)는 2028년까지 영국에 £240억 파운드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레브드롤라가 지난 15년 동안 연간 투자한 금액의 3배에 해당된다.이베르드롤라는 스코티시 전력을 소유하고 있으며 이번 투자로 영국에서 수천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2030년까지 제로탄소 전력시스템을 구축할 방침이다.덴마크 오스테드(Ørsted)는 그린볼트와 함께 해상풍력발전에 80억 파운드를 투자한다. 영국 정부가 신재생에너지에 대해 적극적으로 정책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다.영국 비영리단체 에너지기후정보분석원(ECIU)은 2024년 습한 기후로 밀과 귀리 수확량이 21%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봄과 초 여름에서 가을까지 비가 많이 생육이 부진했기 때문이다.잉글랜드의 밀 수확량은 1000만 톤(t)으로 감소했다. 2023년 가을 보리 수확량은 전년 대비 26% 줄어들었다. 겨울 유채 수확량은 전년 대비 32% 축소됐다.밀, 겨울 보리, 봄 보리, 귀리, 유채 등 5가지 곡식의 수확량이 15% 줄어들면 농부들은 £6억 파운드의 손실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습한 겨울은 포도나무에 병균을 퐉산시켜 와인 수확량이 대폭 감소했다.◇ 프랑스 국립통계경제연구소(INSEE), 2024년 국내총생산(GDP)이 1.1% 성장한다는 전망 유지프랑스 국립통계경제연구소(INSEE)는 2024년 국내총생산(GDP)이 1.1% 성장한다는 전망을 유지한다고 밝혔다. 여름 동안 정치적 불안이 초래됐지만 큰 영향이 없다고 판단했다.2024년 1분기는 0.3%, 2분기 0.2%, 3분기 0.4% 각각 성장율을 기록했다. 4분기에 제로(0) 성장율을 유지한다면 전체적으로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다.2024년 상반기 동안 가계소비가 살아나지 못했으며 투자도 저조한 실정이다. 해외 무역은 강하 성장세를 유지하며 GDP에 1.3% 기여했다.프랑스 제약회사인 사노피(Sanofi)는 2024년 10월11일 오펠라(Opella)의 지분을 미국계 펀드인 CD&R에 매각한다고 밝혔다. 오펠라는 해열진통제인 돌리프렌(Doliprane)을 제조한다.정부는 매각이 될 경우에 보건안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우려를 표명했다. 리지외 공장에 근무하는 약 250명의 근로자도 일자리가 위험에 처해진다.사노피는 2025년부터 연간 1억4000만 박스의 돌리프렌을 추가 생산하기 위해 리지외 공장에 2000만 유로를 투자했다. 정부는 2024-2029 로드맵을 통해 의약품 부족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아일랜드 테스코(Tesco Ireland), 국내 공급업체와 다년간 €2억 유로 상당의 납품계약을 체결영국 할인점인 테스코(Tesco Ireland)는 국내 공급업체와 다년간 €2억 유로 상당의 납품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낙농조합인 아우리보(Aurivo)와 2800만 리터의 우유, 버터, 밀크쉐이크의 공급계약을 포함하며 가치는 3600만 유로에 달한다.아우보리 협동조합은 14개 지역의 1000개 이상의 농장이 가입돼 있으며 100% 자체 생산한 우유를 공급한다. 7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하며 약 50개 국가에 상품을 수출한다.계약한 주요 업체는 Irish Yogurts, Country Crest, Freshways, Silver Pail, Ballymaguire Foods, Bandon Vale, Crust & Crumb 등이다.
-
▲ ‘2025년 미래차대응 자동차 안전, 편의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보고서 표지[출처=데이코산업연구소]산업조사 전문 기관 데이코산업연구소(대표 조성호)에 따르면 ‘2025년 미래차대응 자동차 안전, 편의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과 시장 전망’ 보고서를 발간했다.데이코산업연구소는 국내·외 미래차 안전·편의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과 사업전략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 분석한 내용을 보고서에 포함시켰다.특히 국내외 미래차 안전·편의 시스템 시장과 주요국 정책 동향, 핵심 기술개발 동향 등을 통해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경쟁전략 수립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뒀다.자동차에 있어 ‘안전’은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로 완전자율주행으로의 과도기에 있는 현재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높이는 보조적인 기술이 다수 탑재되고 있다.뿐만 아니라 미래차의 안전은 차량의 전동화·스마트화와 함께 커넥티드카의 보안, 전기자동차(EV) 배터리의 안정성 등을 확보하는 것으로 그 의미가 확장되고 있다.주행 중 차량이 차선에 가까이 접근하자 차선이탈경보시스템(LDWS)이 운전자에게 경고를 보내고 자체적으로 차체를 제어해 안전을 확보한다.운전자 모니터링 결과, 졸음운전의 위험이 있다고 판단한 시스템은 내부 조명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활용해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잠시 정차해 휴식할 것을 권유한다.미래차 시대로의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는 오늘날 운전자와 승객을 위한 안전 및 편의 기술이 상용화되며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최근 유럽연합(EU)은 2024년까지 ADAS 탑재를 의무화하고 유럽경제위원회(UNECE)에서 도입한 사이버보안 관리체계(CSMS) 인증을 획득한 기업만이 유럽에서 자동차를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엄격하게 규제한다. 또한 미래차 시대 캐빈 룸(Cabin room)은 ‘제2의 생활공간’의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승객은 Cabin room에 대해 현재보다 높은 수준의 ‘주거성’을 요구하게 될 것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츠&마켓츠(Markets&Markets)는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장이 2023년 US$ 164억 달러에서 연평균 11.6% 성장해 2028년 28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최근 미국 상무부는 미국의 국민 안전과 보안 문제를 이유로 중국산 차량용 소프트웨어 탑재를 금지하는 법안 도입을 추진 중이어서 향후 관련 부품, 시스템과 기술 분야에서 공급망 위기가 예상되는 등 관련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
1967년 한국강관으로 설립된 휴스틸은 2011년 신안그룹에 인수됐다. 신안그룹 계열사 중 유일한 상장사다. 휴스틸은 강관 제조 및 판매 회사로 국내 강관 업계에서 세아제강, 현대제철과 함께 빅3 강관업체로 꼽힌다. 현재 신안그룹 박순석 회장의 장남 박훈이 대표로 기업 운영을 책임지고 있다.2023년에는 수출 강화 전략을 추진하며 '3억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캐나다 수출 시장과 해외 판매법인의 지원, 고부가 신제품 개발 등을 통해 실적을 높인 것으로 조사됐다. 2024년에는 신규 공장인 군산공장 가동 준비에 집중할 방침이다.휴스틸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휴스틸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휴스틸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현재 ESG경영 고려하고 있지 않아... 1분기 매출액 1534억 원 달성휴스틸은 ESG 경영 헌장을 수립하지 않았으며 ESG 경영 목표나 계획 등도 없다. 기업지배구조 보고서는 현재 부족한 점으로 지속적인 성장과 중장기적 이익에 영향을 주는 ESG경영을 고려하고 있지 않은 것을 꼽았다.기업 경영에서 ESG 요소의 중요성이 높아지며 ESG 요소 관리를 위한 체계 구축을 진행하고 있으며 추후 단계적으로 ESG경영체계 구축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이사회 내에 ESG 위원회도 설치되지 않았다.2024년 3월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3개 안건인 △2023년도 재무제표 승인 △사외이사 선임△이사 보수한도 승인을 원안대로 모두 의결했다.2024년 주당 배당액은 액면가의 25%, 시가배당률 4.3%에 달하는 250원으로 결정됐다. 향후 주주 친화 정책을 지속할 것이라고 주장했다.한재연 전 대전지방국세청장이 휴스틸 사외이사로 신규 선임됐다. 2020년 명예퇴직 후 BnH세무법인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한재연 이사는 다년간 세무공무원을 역임한 재무/회계 전문가이며 최대주주와의 이해관계나 거래내역이 없기에 감사위원 직무에 적합할 것으로 휴스틸은 판단했다.휴스틸의 지분은 박순석 회장이 24.79%, 신안 5.33%, 그린씨앤에프대부 4.01%를 보유하는 것을 포함해 특수관계자의 지분 합계율은 48.06%에 달한다. 휴스틸은 법정관리를 겪던 2001년 신안그룹에 인수됐다.2011년 휴스틸은 신안그룹의 다른 계열사들과 신안종합리조트 지분 25.8%를 160억 원에 인수했다. 신안그룹이 리조트 업체 인수합병에 휴스틸을 동원하며 주주들의 반발을 샀다.2024년 1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은 1534억7200만원으로 전년 동기간 1850억2974만원 대비 17%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92억8600만원으로 전년 동기간 289억7800만원 대비 67.9%로 급감했다. 당기순이익은 162억6600만원으로 전년 동기간 224억4100만원 대비 27.5% 줄었다.2024년 1분기 연결 실적에서 매출액은 1699억7200만원으로 전년 동기간 2476억4200만원 대비 31.3%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83억100만원으로 전년 동기간 683억8300만원 대비 73.2% 급감했다.2024년 1분기 당기순이익은 215억4100만원으로 전년 동기간 488억9900만원 대비 55.9% 감소했다. 영업이익률은 10.8%로 전년 동기 27.6% 대비 16.8%p 하향했다. ◇ 복직자 관리방안 문건으로 논란 일어... 안전매뉴얼 위반으로 화물운수 노동자 실족사2021년 휴스틸에서 강제 권고사직을 당한 여직원이 해고무효확인 소송 1심에서 승소했다. 1심 결과가 나오기까지 약 1년 7개월이 걸렸다. 휴스틸은 2015년 10월 경영 악화를 사유로 15명을 해고했으며 이 중 여성 직원은 8명이었다.해고자 중 3명은 노동위원회의 부당해고 구제신청이 받아들여져 복직했으나 회사는 복직 후 출근 첫날에 3명 모두 화장실 앞에 책상을 두고 일하게 했다.또한 ‘복직자 관리방안’ 문건을 만들고 출산 전후의 여직원들을 저성과자로 분류해 해고했다. 법원은 팀장이 직원 집까지 방문해 사직서 제출을 종용하는 등 퇴직 의사의 자발성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2017년 8월 휴스틸 당진공장에서 화물운수 노동자가 적재함에 파이프를 싣는 작업 중 실족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휴스틸 안전매뉴얼에 따르면 파이프 상하차 작업은 공장 직원들이 3인1조로 진행해야 하며 화물차 운전기사는 상하차 업무에 참여할 수 없다.휴스틸은 안전매뉴얼 위반은 인정하면서도 운전자 과실을 주장했다. 대전지방고용노동청 천안지청 관계자는 안전매뉴얼 위반을 포함해 위반 사항을 발견하고 휴스틸 안전관리책임자에 대한 사법처리 절차를 진행했다.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측은 휴스틸이 통제하는 작업 중 발생한 사고임에도 노동자와 하청운송회사에 책임을 떠넘긴다고 주장했다. 또한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하고 특수고용직 노동자에 대한 제도적 미비점을 정비할 것을 촉구했다.경영에서 안전·보건을 최우선으로 두고 안전·보건 시스템을 구축해 안전 사업장을 구현하는 것을 안전·보건 방침으로 수립했다.경영 목표로 △중대재해 “ZERO화” △안전·보건 시스템 개선 △유해·위험 요인 확인 및 개선 △전직원 안전·보건의식 향상으로 정했다.품질방침 비전은 ‘Global Pipe Leader With U’로 밝혔다. 세부 비전(vision)으로는 △사업 비전, 변화와 혁신을 선도하는 회사 △시장 비전,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회사 △고객 비전, 고객에게 가장 인정받는 회사 △구성원 비전, 가장 일하고 싶은 회사로 정했다.품질방침 미션(mission)은 △지속적인 시스템 개선을 통한 최고의 가치를 창출 △품질개선 및 생산성 향상을 기하여 고객만족의 극대화를 추구 △지속가능한 경영의 실행으로 21C 풍요로운 미래를 열어가는 기업으로 수립했다.ESG 교육과 교재 등은 부재했다. 휴스틸은 개개인의 능력개발과 21세기의 능력있는 전문인 양성을 목적으로 다양한 교육훈련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홈페이지에 공개된 교육에는 △계층교육 △직능교육 △품질 환경교육 △어학교육 등이 있다.2019년 공식 홈페이지를 모바일과 함께 개편했다. 고객 편의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전국 대리점 현황을 포함해 인증서, 제품 승인원 및 시국세 정보를 추가했다. 또한 고객만족도조사란을 새롭게 만들며 고객과의 소통에 노력하고자 한다. ◇ 친환경 에너지 성장 전망하며 대구경 강관공장 시설 투자... 온실가스 배출량 감소세휴스틸은 군산 제2국가산업단지에 대구경 강관공장 시설에 약 2128억9000만 원을 투자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탄소중립 정책 확산으로 청정에너지 및 CCUS(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 관련 산업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대구경 강관 수요도 지속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해상풍력 시장의 성장으로 해상풍력 구조물도 대형화되는 추세이기 때문이다. 대구경강관 신규 공장이 완공되면 대구경강관 생산량은 연간 약 16만5000톤(t)으로 예상된다. 시설 투자를 통해 국내 강관시장의 점유율을 높이면서 수출도 증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참고로 대구경 강관은 전통적인 에너지 산업에 사용되는 에너지용 강관(송유관)과 해양플랜트 등 구조물에 사용되는 구조용 강관으로 나뉜다. 휴스틸은 매년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송유관을 발주받고 있다. 송유관은 18~60인치의 대구경 위주로 시장이 형성돼 있다.휴스틸의 환경방침은 임직원 및 조직과 관련된 모든 인원은 지구환경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인 환경 개선활동을 통해 환경오염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이다.환경방침 활동으로 △국, 내외 환경 법규 및 조직이 동의한 그 밖의 요구사항을 준수 △전 과정을 고려하여 환경개선과 오염방지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 △생산활동간 자원의 재사용 및 에너지 절약을 통해 오염물질 배출 최소화에 적극 노력 △환경방침을 달성하기 위한 환경 목표를 수립 및 실행하며, 이해관계자에게 방침을 공유하여 환경경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휴스틸은 2010년부터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 대상 사업장으로 지정됐다. 2015년부터 시행된 배출권거래제 할당 대상업체로 선정되어 온실가스 배출 저감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0년 2만3244tCO2 △2021년 3만1123tCO2 △2022년 3만943tCO2 △2023년 3만462tCO2로 감소세를 보였다.2017년 환경부는 낙동강 상류 지역에 있는 폐수배출 사업장 205곳에서 93건의 위반행위를 적발했다. 사업장 80곳이 폐수 불법배출 등 위반으로 적발됐다.환경부는 관할 지자체에 폐수 희석처리 위반으로 적발된 24개 업체에 행정처분을 요청했다. 휴스틸과 케이씨씨케미칼 등 69개 업체는 과태료가 부과됐다. ◇ ESG 헌장 및 ESG위원회 미비해 거버넌스 정비 시급... 종합적으로 지구 환경을 고민해야 환경경영 가능△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거버넌스는 휴스틸은 다른 철강회사와 마찬가지로 ESG 경영 헌장은 제정하지 않았다. 당연하게 이사회 내에 ESG위원회도 없다. 사외이사의 선임에 대한 논란은 제기되지 않았지만 세무 전문가가 경영혁신에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다.2024년 1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 모두 감소해 경영실적에 빨간 불이 들어왔다. 글로벌 경기 침체 영향으로 철강 시장의 회복이 늦춰지고 있다. 단순 노력만으로 험난한 파고를 헤쳐나가기 여려우므로 경영혁신을 위ㅣ한 거버넌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사회(Social)=사회는 여직원의 강제 권고사직으로 문제를 일으켰다. 경영실적이 하락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지만 해고 과정에서 강압을 행사한 것으로 드러났다. 현장 근로자의 각종 사고도 끊이지 않아 직원의 안전에 대한 조치가 시급한 실정이다.안전과 보건을 최우선으로 경영을 추진하고 있지만 현장의 분위기는 전혀 다른 형편이다. 제품의 품질 개선과 더불어 직원의 능력을 배양하는 것도 중요한 이슈다. 고객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은 일정 부문 긍정적이라고 봐야 한다. △환경(Environment)=환경은 철강 사업 자체가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고 폐기물을 배출하므로 개선 여지가 많다. 해상풍력 시장이 확장되면서 관련 구조물에 대한 수요가 높지만 해양환경 파괴 논란도 고려해야 한다. 사업 영역 확장도 중요하지만 종합적인 관점에서 지구 환경을 고민해야 환경경영이 가능해진다.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정부·기업·기관·단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팔기는 주역의 기본 8괘를 상징하는 깃발, 생태계는 기업이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의미한다. 주역은 자연의 이치로 화합된 우주의 삼라만상을 해석하므로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1
2
3
4
5
6
7
8
9
10
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