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소셜커머스"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인도 소셜커머스 스타트업인 미쇼(Meesho) 로고인도 소셜커머스 스타트업인 미쇼(Meesho)에 따르면 1년 전과 비교해 미국 다국적 금융 서비스기업인 피델리티 인베스터먼트(Fidelity)가 평가한 기업가치가 33.6% 낮아진 것으로 드러났다.2023년 12월 말 기준 피델리티는 자체 보유한 미쇼의 펀드 가치를 US$ 2780만 달러로 평가했다. 미쇼에 처음 펀드를 투자했던 2022년 하반기 당시 평가한 기업가치는 4190만 달러에 달했다.미쇼의 초기 투자자였던 인도 벤처기업인 벤처 하이웨이(Venture Highway)의 펀드 매각이 이번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조사됐다. 피델리티의 하향 평가로 미쇼의 기업가치는 35억 달러로 집계됐다.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는 미쇼의 총상품거래량(GMV)은 50억 달러를 초과했다. 총상품 거래량은 일정 기간 동안 판매된 물품의 총가치를 의미한다. 소비자의 할인, 공제액, 반품도 전부 포함해 매출액과 다르다.미쇼는 국내 중소도시 지역의 사업 판매에 집중하고 있다. 향후 금융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고 식료품 배달 사업 규모를 확장할 방침이다.
-
기업문화에 대한 연구를 하고 관련 책을 쓰면서 소위 말하는 ‘백년기업’이 되는 지름길은 올바른 기업문화를 창달하는 것이라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최근 한국사회에서 ‘부의 대물림’ 현상이 고착화된다고 지적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우리 속담의 ‘부자 3대 없고, 거지 3대 없다’는 말이 틀리지 않았다는 확신이 든다. 창업자의 정신이 자식 대까지는 계승되는 경우가 많지만, 손자까지 전수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기 때문이다. 1940~60년대 창업하고 1970~80년대를 거쳐 본격적으로 성장한 국내 대기업은 아직 2세 경영이 대부분으로 정체되어 있기는 하지만 본격적으로 해체는 되지 않았다. 해태그룹, 쌍용, 새한 등 몇몇 대기업이 2세 경영에서 무너졌고, 금호, 한진, 한화 등과 같은 기업도 2세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삼성, LG, 현대차 등이 2세에서 3세로 경영권 승계가 준비 중이다. 효성도
-
대기업의 계열사는 외형적으로 알려진 것도 있지만 기상천외해 ‘설마’ 그런 사업까지 할까라고 생각하는 것도 있다. 효성도 계열사가 입주한 건물들을 관리하는 회사가 별도로 있고, 이 알짜 임대업을 하고 있는 계열사의 대주주는 조석래 회장의 아들들이다.효성은 이들 기업을 계열사로 신고하지 않아 공정거래위원회으로부터 지적을 받기도 했다. 효성의 사업(business)을 제품(product)과 시장(market) 측면에서 진단해 보자.◇ 일부 제품은 세계적 수준으로 자리 잡아효성은 국내∙외에 100개가 넘는 기업을 가지고 있지만 주력은 ㈜효성으로 타이어코드, 폴리에스터 & 나이론 등 화학섬유, 변압기 등의 제품(product)을 제조/판매하고 있다. ㈜효성은 동양나이론에서 출발해 1996년 효성 T&C로 사명을 변경했다가 외환위기 당시 효성물산, 효성중공업 등과 합병했다. 자동차 타이어의 보강재인 타이어코드는 세계 시장점유율 30%로 1위다.2006년 미국 굿이어(Goodyear)의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