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수출용"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5-29▲ 인천항만공사 사옥 IBS타워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5월28일(수) 김상기 운영부문 부사장이 유코카케리어스 본사(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40)를 찾아 자동차 수출 및 환적 물류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2024년에 이어 2025년에도 수출 상승세가 지속됨에 따라 관련 업계와 현장 방문간담회를 진행하고 안정적인 자동차 수출 환경 조성을 위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이날 인천항만공사가 방문한 유코카케리어스(EUKOR Car Carriers Inc.)는 자동차 및 중장비 해상 운송에 특화된 세계적인 롤온/롤오프(Ro-Ro) 선사다. 2024년 인천항 자동차운반선 물동량의 12.5퍼센트(%)를 처리했다.인천항만공사는 유코카케리어스 임직원과 간담회에서 인천항의 자동차 물류 활성화 계획을 설명하고 자동차 물류 환경 개선을 위해 필요한 의견들을 청취했다.인천항만공사가 한국무역통계진흥원 자료를 기준으로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2025년 1월부터 4월까지 인천항을 통해 처리된 신차(7만416대)와 중고차(22만5370대)는 약 29만6000대다.롤온/롤오프(Ro-Ro)선이 11만7000대, 컨테이너선이 17만9000대를 처리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21% 늘어난 수치로 4개월 누계 기준 역대 최대 기록이다.롤온/롤오프(Ro-Ro)선은 바퀴 달린 화물(자동차·트럭·트레일러·중장비·철도 객차 등)이 자체 동력이나 견인 장비를 이용해 굴러 들어가고(roll-on) 굴러 나오는(roll-off) 방식으로 적하·양하하도록 설계된 선박이다. 크레인을 이용해 들어 올리는 리프트온/리프트오프(Lift-on/Lift-off) 선박과 대비되는 개념이다.인천항만공사 김상기 운영부문 부사장은 “자동차는 미국의 주요 관세정책 대상이면서 인천항의 중요한 수출품목 중 하나다”며 “선사·터미널·화주가 모두 상생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자
-
▲ 오뚜기, 2025 윈터 팬시 푸드쇼[출처=오뚜기]㈜오뚜기(대표이사 황성만)에 따르면 2025년 1월19일부터 21일까지(현지 시각 기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미국 최대 식품박람회 '2025 윈터 팬시 푸드쇼(2025 Winter Fancy Food Show)’ 에 참가해 K- 대표라면 진라면 등 주력 제품 홍보에 나섰다.매년 여름과 겨울 개최되는 세계적인 식품박람회 '팬시 푸드쇼'는 시장 분석가, 식품 연구원, 유명 셰프 등 회원으로 구성된 미국 스페셜티 푸드 협회(SFA)가 주최한다.올해 약 1000 개 이상의 업체가 참여한다. 올해 식품업계 트렌드로 꼽히는 신선한 조합의 스낵킹, 칠리를 활용한 다양한 소스 등 새로운 맛을 구현해 차별화된 가치를 지닌 제품을 만나볼 수 있다.오뚜기는 이번 팬시 푸드쇼에서 ‘진라면’ 의 수출용 패키지를 새롭게 선보였다. K- 대표 라면으로서 선도적 입지를 확고히 하고 디자인을 심플하게 변경해 시각적 인지도를 제고한다는 전략이다.특히 2024년 변경한 ‘OTOKI’ 영문 로고를 적용하고 시그니처 컬러를 강화하는 등 브랜드 정체성은 유지하면서 신선함을 더해 해외 소비자에게 더욱 새롭게 다가간다.우선 외국인도 쉽게 기억할 수 있게 영문 ‘JIN’을 크게 강조하여 전면 적용했다. 순한맛과 진한맛 등 맛 종류를 각 국가별 언어로 표기했으며, 마스코트를 활용해 친근함을 더했다.또한 진라면만의 독보적인 면 식감을 생동감있게 표현한 시즐(조리예) 로 강점을 부각했다. 미국을 비롯한 각 국가별 수출용 패키지에 적용된다.2024년 말 베트남에서 무이(MUI) 할랄 인증을 받은 데 이어 2025년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할랄 시장에서 신규 패키지로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갈 예정이다.진라면과 더불어 글로벌 스테디셀러인 보들보들 치즈라면도 리뉴얼 패키지로 선보여 눈길을 끌었다. 보들보들 치즈라면은 오뚜기가 미국, 중국, 대만, 홍콩 등 약 39개국에 판매
-
▲ 나이지리아 항만청(Nigerian Ports Authority)이 운영 중인 항만 전경 [출처=홈페이지]나이지리아 항만협의회(NPCC)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수출용 화물 컨테이너의 80%가 텅 비어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입 화물의 이동이 지속적으로 하향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국내 항만을 거친 수출입 컨테이너 물량은 2023년 156만6162TEU로 2022년 168만1328TEU와 비교해 6.8% 감소했다.전체 컨테이너 물량에서 수입 컨테이너 물량은 87만4683TEU로 55.85%를 차지했다. 한편 수출 컨테이너 물량은 68만4586TEU로 43.71%를 점유했다.석유를 제외한 수입 화물량은 2023년 7047만5671메트릭톤(M/T)으로 2022년 7527만4843M/T과 비교해 6.4% 감소했다.국내 수출입 하향세의 원인은 글로벌 경기 침체와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나이지리아 정부의 반무역 정책, 인적 문제 등으로 분석된다.
-
나이지리아 수출진흥위원회(NEPC)에 따르면 일본 무역협회(JETRO)와 국내 농산물가공 부문에서 협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국내는 농산물에 대한 포장기술이 낙후돼 추수 후 손실이 큰 편이다.아프리카에서 농산물 포장기술이 열악해 매년 수십억 달러 손실이 일어난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국내 청과류 및 채소류 생산량의 40~50% 손실은 열악한 포장, 취급, 보존으로 일어난다.수출진흥위원회는 협업을 통해 농가와 수출업자의 수출용 표준포장에 대한 통찰력을 높일 방침이다. 국내는 얌, 카사바, 땅콩류, 옥수수 등 작물 생산량이 많아 농산물 가공산업의 잠재성이 높은 편이다.▲나이지리아 수출진흥위원회(NEPC) 로고▲일본 무역협회(JETRO) 로고
-
캄보디아 상무부에 따르면 2016년 11월 유럽연합(EU)에 수출용 자전거제품에 대한 일반특혜관세제도(GSP)의 기한의 연장을 요청했다. 국내 자전거 산업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다.지난 2014년 EU와의 특혜관세를 도입하면서 자전거에 대한 수출이 더욱 용이해졌으나 해당제도는 2016년말이면 만료된다. 자전거 산업의 지속성을 위해서는 EU와의 재협상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캄보디아 사이클링투어 홈페이지
-
▲ 인도네시아 정부 로고인도네시아 산업부에 따르면 수입 원자재 및 수출용 제품을 한번에 보관하는 보세물류센터(PLB)를 활용시 물류비용은 최대 7% 절감된다.PLB를 활용하면 수출입 업무를 대폭 간소화해 기업은 5~7%가량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정부는 PLB를 이용하는 기업에 대해 수입관련세금(PDRI) 및 부가가치세(PPN) 면제 등의 혜택을 부여한다.
-
[일본] 혼다, 2016년 2월 국내 생산량 7.53만 대로 전년 동월 대비 18.5% 증가...해외수출용 생산이 확대된 것이 주요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