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스포츠카"으로 검색하여,
1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05▲ LG에너지솔루션 인터배터리 2025 참가[출처=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대표이사 김동명)에 따르면 국내 최대 배터리 산업 전문 전시회 ‘인터배터리(INTERBATTERY) 2025’에 참가해 혁신적인 기술과 차별화된 배터리 솔루션을 공개했다.전시 첫날부터 뜨거운 반응 속에 성공적으로 진행됐으며 관람개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번 전시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단순 ‘배터리 제조’를 넘어 ‘토털 솔루션 프로바이더’로써의 역량을 발휘하며 다양한 혁신 기술을 공개했다.이번 전시공간은 참가업체 중 최대 규모인 총 540m2 (60개 부스) 규모로 △Hero 배터리 솔루션 존 △EV 배터리 솔루션 존 △Non-EV 배터리 솔루션 존 △미래준비 존 △지속가능성 존 등 5개 주요 존으로 구성돼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선보였다.① Hero 배터리 솔루션 존... ‘인터배터리 어워즈’ 수상작 ‘원통형 46시리즈 배터리 선보여LG에너지솔루션 부스 중앙에 위치한 Hero 배터리 솔루션 존에서는 ‘인터배터리 어워즈’ 수상작 ‘원통형 46시리즈 배터리와 CAS(Cell Array Structure)’ 기술이 눈길을 끌었다.원통형 46시리즈 배터리는 주행거리, 충전속도, 안전성 등 배터리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모든 요소에서 진일보한 제품이다.기존 2170 배터리보다 최소 5배 이상의 에너지 밀도를 제공하며 차세대 배터리 기술을 적용해 에너지 효율성 또한 대폭 높였다. 특히 고효율의 ‘Directional Venting(환기 방향 제어)’ 기술을 통해 안전성 또한 한층 강화했다.함께 선보인 ‘CAS (Cell Array Structure)’ 기술은 46시리즈 배터리의 성능을 극대화하고 안전성을 강화하는 혁신적인 배터리 팩 솔루션이다.고도화된 냉각 효율과 열 폭주 방지 성능을 제공하며 구조 강성을 강화하고 팩·모듈 조립 시 발생할 수 있는 뒤틀림을 방지한다.또한 셀을 수직 또는 수평 모든 방향으로 유연하게 적층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배터리 팩 설계도 가능하다.파우치형 LFP CTP (Cell-To-Pack) 셀 유닛(Unit)과 HV (High-Voltage) Mid-Ni(미드니켈) 배터리도 전시된다. CTP는 기존 Module-to-Pack(MTP) 방식과 비교했을 때 부품 수를 감소시켜 공정 간소화 및 팩 단위 에너지 밀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HV Mid-Ni 셀은 기존 배터리보다 전압 범위를 4.4V까지 확대해 에너지를 높이고 단가를 낮춘 제품으로 에너지밀도와 가격경쟁력을 확보한 제품이다.② EV 배터리 솔루션 존... 앱테라 모터스의 태양광 3륜 차량과 포르쉐 타이칸 터보 모델 전시EV 배터리 솔루션 존에서는 앱테라 모터스의 태양광 3륜 차량과 포르쉐 타이칸 터보 모델이 전시됐다. 두 모델 모두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가 탑재된 모델이다.앱테라 모터스의 태양광 3륜 차량은 지속가능한 미래 모빌리티의 상징적인 모델로 꼽히는 제품으로 국내에서 실제 차량 전시는 이번이 처음이다.앱테라 모터스에 따르면 이 차량은 태양광을 활용해 단 한 번 충전으로 최대 643km를 주행할 수 있다. 친환경 신재생 에너지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운영 비용 절감 효과도 크다.고성능 전기 스포츠카로 알려진 포르쉐 타이칸 터보도 함께 전시됐다. 이 모델은 LG에너지솔루션의 하이니켈 양극재, 실리콘 음극재가 적용된 파우치형 배터리가 장착돼 주행거리, 출력, 충전속도 모든 면에서 높은 성능을 자랑한다. 최대 505킬로미터(km)의 주행거리를 자랑하며 800V DC 기반 10~80%를 18분 내에 충전할 수 있다.③ Non-EV 배터리 솔루션 존... 네이버랩스의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 ‘루키’ 전시Non-EV 배터리 솔루션 존 에서는 로봇, 선박, UAM, 인공위성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소개한다., 4월 양산을 앞둔 ESS(Energy Storage System)에 들어가는 2세대 JF2 셀이 장착된 전력망용 시스템 JF2 DC-Link 등 다양한 볼거리도 만나볼 수 있었다.또한 AVEL의 재생 에너지 전력망 통합 관리 사업과 KooRoo의 전기 이륜차용 BSS(Battery Swapping Station·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사업도 선보였다.특히 이번 전시회에서는 LG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가 탑재된 네이버랩스의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 ‘루키’도 전시됐다.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기술과 네이버랩스의 인공지능(AI)·클라우드·로봇 기술이 결합돼 장애물을 인식하고 커피나 택배 등의 물품을 안전하게 배송할 수 있는 제품이다.배터리 기술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어떻게 변화를 이끌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주목받았다.④ 미래준비 존, 지속가능성 존... 인터배터리 어워즈 수상작 중 하나인 비라이프케어(B-lifecare) 전시미래준비 존에서는 배터리 제조뿐만 아닌 관리, 차세대 전지 등 다양한 미래 기술을 선보였다. 특히 이번 인터배터리 어워즈 수상작 중 하나인 비라이프케어(B-lifecare)도 만나볼 수 있다.비라이프 케어는 사람의 건강검진처럼 배터리 상태를 진단하고 운행 및 충전 습관에 대한 맞춤형 가이드를 제공해 배터리의 올바른 사용 및 관리를 돕는 서비스다.이번 전시를 통해 소듐이온과 바이폴라 배터리도 최초로 공개했다. 소듐이온 배터리는 리튬 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배터리 솔루션으로 리튬 대비 원료가 풍부하고 가격이 저렴해 가격 경쟁력이 높다. 저온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발휘해 극한 기후에서도 안정적 작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또한 알루미늄을 양극·음극 집전체로 활용하는 등의 원가 절감 효과를 보이며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면에서도 이상적인 배터리 솔루션으로 평가받고 있다.바이폴라 배터리는 기존 배터리 구조 대비 전류 전달 경로를 최적화해 내부 저항을 줄이고 출력과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킨 차세대 배터리 기술이다.바이폴라 구조는 전극과 전극 사이에 직접 연결된 설계로 전류 이동 거리를 단축, 내부 저항을 크게 감소시켜 고출력 특성을 구현한다. 이는 차세대 전기차 및 산업용 배터리 시장을 겨냥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마지막으로 지속가능성 존에서는 배터리 순환 생태계를 비롯해 100% 리사이클링으로 만든 코발트 양극재와 폐분리막을 활용해 소형 크로스백과 파우치 등을 만든 Re-All(리얼) 캠페인 제품을 선보였다.
-
2022-02-22말레이시아 스포츠카 제조기업인 로터스 자동차(Lotus Cars Ltd)에 따르면 2028년까지 자동차 연간 10만대를 판매할 계획이다. 이중 9만대는 기술 자회사인 Lotus Technology에서 생산한 전기 세단형 승용차와 스포츠 유틸리티(SUV)의 판매를 목표로 정했다. 현재 진행 중인 로드쇼 중간에 2023년 전기 SUV 모델인 타입 132(Type 132)를 잠재적인 투자자들에게 깜짝 공개할 예정이다. 향후 12개월에서 24개월 내로 Lotus Technology을 상장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상장에 따른 시가 총액은 RM 285링깃에서 342억링깃 사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로터스 자동차(Lotus Cars Ltd) 로고
-
2021-12-30이탈리아 스포츠카 제조기업 페라리(Ferrari)에 따르면 암호화폐 중심의 예술성을 자동차 부문에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스위스 NFT 마켓플레이스 소유주 벨라스 네트워크(Velas Network)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NFT 및 블록체인 기반 제품의 형태로 독점적인 디지털 컨텐츠를 출시하고 양 브랜드간 상호 교류를 지속적으로 이어나갈 계획이다. 벨라스는 eSports Series 및 후속 팀을 위한 페라리 타이틀 스폰서로도 선정됐다.또한 NFT 아트와 토큰화한 페라리 사진에 그치지 않고 FIA 포뮬러 1 월드 챔피언십(FIA Formula 1 World Championship)에서 디지털 방식 레이스를 추진한다. 벨라스 네트워크는 블록체인과 NFT 마켓플레이스를 보유하고 있다. 전문 엔지니어팀의 수학적 연구를 통한 암호화 지식을 활용하게 된다. 참고로 람보르기니(Lamborghini)는 2021년 초 Elysium Bridge를 통해 전체 온라인 박물관 형태로 NFT 컬렉션을 선보였다.▲ 벨라스 네트워크(Velas Network) 홈페이지
-
2021-11-08영국 고급 스포츠카 제조업체인 애스턴 마틴(Aston Martin)에 따르면 하이퍼카 발키리(Valkyrie)의 배송이 몇 주 앞으로 다가왔다. 세계에서 가장 독점적인 하이퍼카 (hypercar) 중 하나이다. 발키리는 게이돈에 있는 애스턴 마틴의 국내 공장에서 본격적인 생산에 들어갔다. 150대의 발키리는 각각 전용 생산 시설에서 장인들의 수작업으로 제작됐다.발키리 1대를 완성하는데 2000시간이 넘게 걸린다. 주문자들에게 인도 되기 전에 국내 시험장과 게이돈 공장 주변의 공공 도로와 실버스톤 등에서 광범위하게 시험 운행을 거치게 된다.발키리의 동력 발생과 전달장치인 파워트레인은 하이브리드 배터리 팩과 모터의 도움을 받아 총 1155마력(hp)의 출력을 낸다. 참고로 하이퍼카는 슈퍼카(supercar) 보다 더 높은 고성능 스포츠카를 일컫는다. ▲애스턴 마틴(Aston Martin)의 하이퍼카 (출처 : 홈페이지)
-
2021-07-08크로아티아 전기 스포츠카 제조 스타트업인 리맥(Rimac)에 따르면 독일 글로벌 자동차제조사인 폭스바겐(Volkswagen)의 부가티(Bugatti) 브랜드를 인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로서 리맥은 스타트업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자동차업체로서 입지를 공고히 구축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리맥은 부가티 리맥(Bugatti Rimac)으로 기업명이 전환된다.리맥의 전기 및 배터리 시스템은 Aston Martin, Pininfarina, Jaguar, 폭스바겐의 Seat 브랜드의 레이싱 부문 등에 장착되고 있다. 전기 스포츠카 전문업체인 리맥에 의한 인수도 부가티에게는 중요한 새로운 출발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가티는 16기통 엔진과 내장 톤으로 스포츠카를 판매하고 있기 때문이다. 배터리 기술의 등장으로 인해 가장 높은 튜닝 성능을 갖춘 연소 차량도 따라올 수 없는 속도가 생겼다. 향후의 리맥 네베라(Rimac Nevera)는 이전 부가티가 소유했던 모델들 중에서도 가장 빠른 모델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리맥은 다른 자동차 회사들을 위해 기술을 구축하는 사업부를 설립할 예정이다. 리맥은 2009년 크로아티아에서 창립자인 메이트 리맥(Mate Rimac)이 자신의 차고에서 창업한 회사이다.2021년 기준 600명의 직원을 거느린 전기자동차 관련 기술기업으로 성장했다. 참고로 전기자동차 시장의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인수합병도 활발하게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리맥(Rimac) 홈페이지
-
일본 미쓰비시자동차(三菱自動車)에 따르면 2017년 가을 이란에서 플러그인하이드브리드카(PHV)용 다목적스포츠카(SUV)를 판매할 방침이다.이란은 미국과 유럽 등에 의한 경제제재가 해소되면서 자동차의 생산 및 투입이 확대되고 있다. 대기오염의 심각화로 친환경차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미쓰비시자동차는 PHV가 아직 보급되지 않은 이란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할 계획이다. 미쓰비시자동차는 주력인 SUV '아웃랜더'의 PHV를 일본 국내에서 생산해 이란으로 수출할 예정이다.▲미쓰비시자동차(三菱自動車) 홈페이지
-
아랍에미리트 자동차제조회사 Zarooq Motors에 따르면 160만디르함 상당의 럭셔리 슈퍼카를 생산한다. 지난 18개월간 'SandRacer 500 GT'의 개발을 마치고 생산에 들어갈 준비가 완료됐다.이 자동차는 레이싱 트랙뿐만 아니라 도시의 도로 및 사막에서도 운전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처음으로 생산된 자동차는 2017년 4분기부터 판매될 예정이다.목표로 잡고 있는 고객은 대부분 VIP 및 자동차 수집가 등이다. 이 차량은 525마력의 높은 출력, 6200cc의 높은 배기량, 8기통 엔진, 1200kg의 가벼운 중량 등 고사양 차량이다.▲SandRacer 500 GT 이미지(출처 : Zarooq Motors 홈페이지)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자동차회사 Jannarelly Motors에 따르면 최초로 국내에서 전부 디자인 및 제작한 스포츠카를 전시행사를 위해 프랑스로 운송했다.이 스포츠카는 1960년대 스포츠카에서 영감을 얻어 디자인한 미래 지향적인 경량 자동차이며 최첨단 복합재료들을 활용해 만들었다.에미레이트항공(Emirates Airline)의 항공부문인 SktCargo는 글로벌 운송망을 통해 차량을 운송했다. 이 차량은 US$ 7~9만달러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스포츠카 Jannarelly Design-1 이미지(출처: Jannarelly Motors 홈페이지)
-
일본 섬유제조업체인 미쓰비시레이욘(三菱レイヨン)은 2016년 9월 이탈리아 스포츠카업체 람보르기니와 탄소섬유복합재 분야로 공동개발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자동차의 부재로 사용하는 탄소섬유복합재의 가공시간을 단축하고 공정을 자동화하는 기술을 1년 내로 확립해 재료의 양산화 효율을 높이는 것이 목표이다.양산화 효율이 높아지면 보다 많은 부위를 탄소섬유복합재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의 무게가 가벼워지고 자연히 연비개선으로 이어지게 된다.람보르기니가 향후 발매할 신형차의 채용을 노린다.
-
일본 섬유제조업체인 미쓰비시레이욘(三菱レイヨン)은 2016년 9월 이탈리아 스포츠카업체 람보르기니와 탄소섬유복합재 분야로 공동개발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자동차의 부재로 사용하는 탄소섬유복합재의 가공시간을 단축하고 공정을 자동화하는 기술을 1년 내로 확립해 재료의 양산화 효율을 높이는 것이 목표이다.양산화 효율이 높아지면 보다 많은 부위를 탄소섬유복합재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차체의 무게가 가벼워지고 자연히 연비개선으로 이어지게 된다.람보르기니가 향후 발매할 신형차의 채용을 노린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