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식물성 우유"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15▲ 하림, 피트니스 서바이벌 대회 ‘피지컬500’ 공식 후원사로 참여[출처=하림]종합식품기업 하림(회장 김홍국, 대표이사 정호석)에 따르면 2025년 4월19일 강원도 강릉 강문해변 머슬비치에서 열리는 피트니스 서바이벌 대회 ‘피지컬500’에 공식 후원사로 참여한다.‘피지컬500’은 국내 피트니스 브랜드 ‘삼대오백’이 주최하고 ‘세인트존스호텔 강릉’과 국내 밀리터리 컨설팅 업체 ‘티어원브로스’가 공동 주관하는 대회다.TV 프로그램 ‘강철부대’ 마스터 교관으로 잘 알려진 최영재 티어원브로스 대표가 설계한 실전형 코스에서 체력과 순발력, 지구력이 요구되는 다양한 미션을 통해 최종 우승자를 가리게 된다.총 우승상금은 1000만 원이며 ‘피지컬100’, ‘강철부대’, ‘강철부대W’ 출연진이 교관으로 참여할 예정이라 벌써부터 반응이 뜨겁다.하림은 탁 트인 자연에서 자신의 한계를 시험하는 이번 대회 공식 후원사로서 참가자 전원에게 ‘오!늘단백’ 단백질 음료 3종과 단백질바 2종을 지원한다.우유 단백질(동물성), 대두 단백질(식물성), ICBP (분리닭가슴살단백질) 등 3종 복합단백질을 최적의 비율로 설계해 고강도 운동 전후에 단백질을 보충하기 좋은 제품이다.먼저 단백질 음료는 하림 ‘오!늘단백 라떼’ 3종(돌체라떼, 카라멜라떼, 초코라떼)이다. 단백질 음료 특유의 텁텁함과 비릿한 맛을 개선한 부드럽고 달콤한 라떼 맛을 저당·저지방으로 즐길 수 있다.개당(250ml) 21그램(g)의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특히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식품으로 섭취해야 하는 필수 아미노산 9종이 포함된 완전단백질 제품이다. 피로 회복에 도움을 주는 타우린 1000밀리그램(mg)과 근육 기능 유지에 필수적인 칼슘과 마그네슘도 더했다.단백질바는
-
2024-10-30▲ 미국 멕시칸 푸드 체인점인 치폴레(Chipotle) 점포 전경 [출처=홈페이지]2024년 10월30일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은 멕시칸 푸드 체인점의 실적이 호조를 보였으며 로봇택시의 유로 서비스가 정착되는 것으로 드러났다.캐나다에서는 식품공장에서 리스테리아(Listeria)균의 오염으로 리콜 조치가 반복되고 있다. 전력산업에 대한 규제가 완화된 이후 앨버타주에서 과다하게 부과한 전기요금이 많았다.브라질 정부는 프랑스 식품업체가 국내산 콩의 수입을 중단한다고 밝히자 우려를 표명했다. 하지만 국내 법인은 콩의 매입을 지속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 치폴레(Chipotle),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US$ 27억8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미국 멕시칸 푸드 체인점인 치폴레(Chipotle)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US$ 27억8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3% 증가했다.음식, 서비스, 훈제 브리스킷이 고객의 숫자, 방문횟수, 이윤 등을 이끈 것으로 조사됐다. 치킨 부리토의 평균 가격은 10달러 이하로 다른 경쟁업체에 비해 15~30% 저렴하다.2024년 3분기 말 기준 치폴레는 3615개의 점포를 운영 중이며 3분기 동안 86개를 추가했다. 전체 점포 중 73개는 드라이브 스루 매장이며 2024년 동안 285~315개의 매장을 늘릴 것으로 전망된다.미국 로봇택시업체인 웨이모(Waymo)는 2024년 2024년 10월29일 웨이모 원 서비스가 1주일 동안 15만 회를 넘었다고 밝혔다. 유료 서비스만 집계했다.매주 100만 마일 이상을 자동으로 운행되는 셈이다. 2024년 8월 매주 유료 서비스가 횟수가 10만 회를 넘었다고 발표한지 2개월 만에 50%가 증가한 것이다.웨이모는 끊임 없이 비용을 최적화하며 강한 소비자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가장 강한 경쟁자인 테슬라도 로보택시를 개발하고 있으며 중국계도 시장 진출을 준비 중이다.◇ 캐나다식품검역청(CFIA), 식물성 우유시설이 리
-
글로벌 시장조사회사 닐슨(Nielson)에 따르며 2018년 미국의 비건밀크(Vegan Milk) 판매량은 전년 대비 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전체 시장 규모는 $US 16억 달러로 전체 미국 우유시장 점유율은 13%에 달한다. 반면에 일반 우유의 판매는 동기간 6% 줄어들었다.2012년부터 2017년 사이 미국 일반 우유 판매액은 15% 줄어들어 161.2억 달러를 기록했다. 시장전문가들은 2020년까지 일반 우유의 판매량은 11% 축소될 것으로 전망한다.2012년부터 2017년 사이 비건밀크의 판매량은 61% 확대됐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식물에 기반한 우유를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미국 소비자의 19%는 건강상의 이유로 식물성 우유를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식물성 고기 등을 포함한 식품의 인기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닐슨(Nielson) 로고
-
뉴질랜드 유제품제조사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2020년부터 프로젝트그린(Project Green)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프로젝트그린은 폰테라 1000곳의 협동조합 낙농농장들이 우유생산과 더불어 식물성우유 생산을 위한 콩작물재배프로젝트에 투자하는 것을 말한다.우선적으로 강, 개울 등 물가 주변의 낙농 목초지를 콩재배를 위한 토지로 전환시킬 계획이다. 물가 주변의 낙농목초지는 수질오염 문제로 늘 논란의 대상이었으며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젖소 사육비율은 하향조정돼 우유생산량은 줄어들지만 콩우유 제품 판매로 수익성을 유지시킬 방침이다. 기회 비용에 따른 손실은 콩작물의 수익과 협동조합의 소득 평준화 등으로 충당하려는 것이다.제품 다양화 전략은 폰테라가 글로벌 우유시장을 계속해서 이끌면서 경쟁사보다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만들 것으로 판단된다.▲폰테라(Fonterra)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