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식용유"으로 검색하여,
2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25▲ ㈜오뚜기, ‘제28회 오뚜기 스위트홈 가족요리 페스티벌’ 포스터[출처=오뚜기]㈜오뚜기(대표이사 황성만)에 따르면 2025년 5월10일(토) 경기도 과천시 서울랜드 피크닉장에서 ‘제28회 오뚜기 스위트홈 가족요리 페스티벌’을 개최한다.‘오뚜기 스위트홈 가족요리 페스티벌’ 은 요리를 통해 스위트홈의 가치와 건강한 가족문화를 전파하는 국내 최대 요리 축제로 2024년까지 총 3500여 가족, 약 1만3100여 명이 참가했다.2025년 진행되는 오뚜기 스위트홈 가족요리 페스티벌은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의 사랑을 담은 우리 집만의 특별한 요리’가 경연 주제로 선정됐다.이번 경연은 총 100가족이 참여하며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30분까지 열릴 예정이다. 행사장에는 공용 오븐과 세척시설이 갖춰져 있다.생수와 더불어 요리 기본 재료로 식용유, 올리고당, 미향, 양조식초, 고소후(고춧가루, 소금, 후추), 총 5개의 오뚜기 제품이 제공된다. 요리시 필요한 도구는 참가자가 직접 준비해야 한다.접수 기간은 3월24일(월) 오전 10시부터 4월13일(일) 오후 8시까지로 오뚜기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참가비는 1팀당 3만 원으로 참가비는 한국심장재단에 기부될 예정이다. 연말정산 기부금 세액공제도 가능하다.참가자 선정 기준은 레시피의 창의성, 신청 사유의 진정성, 참여 가족의 구성원, 이전 참가 경험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선발한다. 4월18일(금) 14시부터 개별 연락을 통해 선정 결과가 전달된다.시상은 1200만 원 상당의 요리 부문과 350 만 원 상당의 특별 부문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요리 부문에서는 △오뚜기상 (1개 팀, 상금 500만 원 ) △스위트홈상(2개 팀, 상금 각 200만 원 ) △가족요리상(3개 팀, 오뚜기몰 마일리지 각 100만 원 ), 특별 부문은 △행복한 순간상(1개 팀, 홍콩 여행 상품권 3
-
2025-03-14▲ 화장품 용기 포장재에 적용가능한 LG화학 친환경 소재들(연출컷)[출처=LG화학]LG화학(대표이사 신학철 부회장)에 따르면 2025년 3월20일부터 3일간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열리는 ‘코스모프로프 월드와이드볼로냐 2025(Cosmoprof Worldwide Bologna 2025)’에 참가해 지속가능한 원료로 만든 친환경 제품들을 전시한다.LG화학이 고객 맞춤형 친환경 솔루션을 선보이며 글로벌 뷰티 시장 공략을 통해 글로벌 고객 확보에 나선다.코스모프로프 전시회는 뷰티 산업의 소재, 패키지, ODM(제조자개발생산), 브랜드 등 3000여 개의 코스메틱 회사가 참가하는 글로벌 최대 뷰티 산업 박람회다.LG화학은 친환경 파트너사인 코스맥스 부스의 에코존에서 친환경 원료를 활용한 용기부터 포장재까지 뷰티 산업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선도할 친환경 소재 포트폴리오를 폭넓게 선보인다.전시 부스에서는 폐식용유 등 재생가능한 식물성 원료를 활용해 고객이 원하는 함량에 맞춰 즉시 적용할 수 있는 드롭인(Drop-In) 솔루션인 BCB(Bio-Circular Balanced) 소재와 플라스틱을 화학적으로 재활용한 CB(Circular Balanced) 소재가 적용된 뷰티 용기들을 전시한다.이 제품들은 기존 제품의 물성과 기능성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자원 순환을 통해 지속가능한 원료로 생산돼 뷰티 산업이 직면한 탄소 저감 및 폐플라스틱 문제 해결에 기여할 제품군으로 주목받고 있다.LG화학의 독자 기술로 개발한 단일 PE(폴리에틸렌) 소재인 ‘유니커블(UNIQABLE)’로 만든 마스크팩 파우치 샘플도 전시된다.유니커블은 기존의 복합 재질 포장 필름과 동일한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단일 소재로 만들어져 100퍼센트(%) 재활용이 가능하고 차단성과 투명성을 동시에 갖춘 것이 특징이다.LG화학은 친환경 원료부터 제품까지 고객 맞춤형으로 즉시 대응이 가능한 생산 체제를 기반으로 향후 뷰티 고객과 시장의 지속가능성 니
-
▲ 아루스 오일(Arus Oil)의 폐식용유(UCO) 수거 시스템 이미지[출처=아루스 오일 홈페이지]2024년 9월10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싱가포르 스타트업 어스아이 스페이스(Eartheye Space)는 사전 시드 펀딩에서 모은 150만 달러로 새로운 직원을 고용하고 머신러닝 알고리즘 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2025년까지 온라인 위성 작업 플랫폼 사업을 아프리카, 중동, 미국으로 확장한다.말레이시아 TNG(Touch'n Go)는 파트너십을 통해 자사의 전자지갑 시스템을 아루스 오일(Arus Oil)의 폐식용유 재활용 사업과 결합한다.◇ 싱가포르 어스아이 스페이스(Eartheye Space), 사전 시드 펀딩서 US$ 150만 달러 확보싱가포르 스타트업 어스아이 스페이스(Eartheye Space)는 사전 시드 펀딩(pre-seed funding)에서 US$ 150만 달러를 모았다. 새로운 직원을 고용하고 머신 러닝 알고리즘 교육을 진행한다.어스아이 스페이스는 2022년 설립돼 지구 관측 데이터에 대한 "우버이츠(Uber Eats)"라고 소개됐다. 우버이츠가 다양한 음식점의 음식을 배달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당사는 475개 이상의 위성 센서 모달리티를 결합할 수 있다.고객에게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는 위성 센서에서 어스아이 스페이스가 알맞은 데이터를 도출한 후 전달하는 구조다.여기에 다중 스펙트럼, 초분광, 합성 개구 레이더, 열적외선, 온실가스, FMV(Full Motion Video), 자동식별 시스템, 주파수 센서 등이 포함된다. 2025년까지 온라인 위성 작업 플랫폼 사업을 아프리카와 중동, 미국으로 확장할 계획이다.◇ 말레이시아 TNG, 아루스 오일(Arus Oil)과 폐식용유(UCO) 재활용 협력말레이시아 TNG(Touch'n Go)는 아루스 오일(Arus Oil)과 파트너십을 통해 폐식용유(UCO) 재활용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TNG 전자지갑 사용자들은 애플리케이션 내 아이콘을 눌러 사진을 첨
-
▲ 인도 보석수출촉진위원회(GJEPC)의 금과 은 수입세 절감 관련 이미지[출처=인도 보석수출촉진위원회(GJEPC) 공식 X(구 트위터) 계정]2024년 7월30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배차 공유서비스 업체인 라피도(Rapido)는 기존 투자자인 웨스트브릿지(WestBridge Capital)로부터 US$ 1억2000만 달러(약 Rs 100억 루피)를 투자받으며 유니콘에 등극했다.파키스탄 중앙은행(SBP)에 따르면 현재 회계연도 2025년 동안 해외 부채 US$ 262억 달러를 갚는 데 있어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2024년 7월 중 30억 달러를 상환했다.◇ 인도 보석수출촉진위원회(GJEPC), 금·은 수입세 15%에서 6%로 낮춰인도 보석수출촉진위원회(GJEPC)는 금과 은에 대한 수입세를 이전의 15%에서 6%로, 백금은 6.4%로 낮췄다. 정부는 연마된 다이아몬드를 대상으로 수입세를 5%에서 2.5%로 낮추는 것에 대해서 반대했다.하지만 GJEPC는 경기침체 및 다이아몬드 수요 감소로 어려워진 실정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제시했다. 위원회는 두바이와 벨기에를 경쟁자로 해 당국을 보석 및 귀금속 글로벌 허브로 발전시키고자 한다.2024년 8월1일 이후부터 온라인에서 원석 다이아몬드를 판매하는 것에 대해 2% 균등화 세금 제도를 폐지한다. 안전 항구 규범으로 하여금 국가가 지정한 전용 거래 센터인 '특별 통보 구역(SNZs)'에서는 생산자들이 소득세를 부과받지 않는다.이는 해외 광산기업이 제조업체와 원석을 직접 거래할 수 있어 이전 인도 세공자들이 해외의 다이아몬드 경매에 참가해야 했던 번거로움을 줄여준다.인도 국영 연료소매업체인 힌드스탄 페르롤리엄(HPCL)은 2024년 4~6월 분기 순이익은 Rs 35억58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620억3900만 루피 대비 84.2% 하락했다고 밝혔다. 동기간 매출액은 1조2035억859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1.4% 축소됐다.2025 회계연도 1분기 EBITDA는
-
▲ 일본 식품업체인 닛신오일리오그룹이 판매하는 제품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식품업체인 닛신오일리오그룹(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에 따르면 2024년 5월23일 키유피(キユーピー)와 식용유 등 상품에 사용되는 플라스틱병의 리싸이클에서 제휴한다고 밝혔다.식용유 등 기름을 담는 플라스틱병은 병 내부에 기름이 부착돼 있어서 재활용하기가 쉽지 않다.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소각하는 쓰레기로 분류하고 있어 재활용되는 비율은 매우 낮다.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양사는 재활용업체에서 기름 성분을 세정한 후 분쇄나 가열 등을 실시해 병을 제조하는 재료로써 활용하는 방안을 찾기 위해 기술적인 측면에서 협력한다.플라스틱병의 회수를 위해 치바시에 있는 대형 슈퍼마켓의 점포에 전용 수거함을 설치할 계획이다. 카오와 라이온은 사용한 용기 등의 재생을 위해 세제의 리필 팩을 도입했다.현재 닛신오일리오그룹과 키유피는 연간 약 5000톤의 플라스틱병을 출하하고 있다. 그동안 병의 회수나 재활용 방안을 찾지 못해 환경 오염에 대한 우려가 제기된 실정이다.
-
▲ 일본 공정거래위원회(公正取引委員会)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일본 공정거래위원회(公正取引委員会)에 따르면 4개 식용유 제조업체에 대해 출입검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업체가 도매업체에 판매하는 참기름 가격을 부당하게 올리는 카르텔을 만든 것으로 의심되기 때문이다.4개 식용유 제조업체는 △도쿄 카도야정유 △아이치현 다케모토유지 △미에현 쿠키산업 △도쿄 닛신오이리오그룹 등이다. 이들 업체가 약 450억 엔 규모의 국내 참기름 시장을 독과점하고 있다.최근 3년 동안 참깨의 주요 생산지인 아프리카의 정치적 불안, 엔저 등으로 수입 가격이 약 2배로 급상승했다. 따라서 참깨로 생산한 참기름의 가격도 인상 중이다.참기름 제조업체는 생산한 참기름을 도매업체에 판매하며 사전에 가격을 담합한 것으로 보인다. 제조업체가 담함하면 대형 도매업체가 가격 인하를 요청해도 받아들일 필요가 없어진다.공정거래위원회는 출입검사로 확보한 자료를 분석해 4개 제조업체의 담합 여부를 판단할 방침이다. 독점금지법은 경쟁업체의 담합을 금지하고 있다.
-
영국 피쉬 앤 칩스 점포 단체인 엔에프에프에프(NFFF)에 따르면 2022년 연말까지 해바라기 식용유 공급 부족으로 전국 3500개 이상의 피쉬 앤 칩스 가게가 문을 닫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전국의 피쉬 앤 칩스 가게들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전쟁으로 식용유 확보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사상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현재 전국에는 1만500개의 피쉬 앤 칩스 가게가 운영되고 있다. 주요 식재료인 해바라기유 및 대체 식용유 등의 가격 상승으로 가게 운영이 중단될 위기에 직면했다.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이후 해바라기유 가격은 1드럼당 £30파운드에서 44파운드로 올랐다.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은 팜유, 유채씨유 같은 해바라기유의 대체유 가격까지 인상시켰다.전국의 피쉬 앤 칩스 가게들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위기를 막 극복하려는 데 식용유 가격 급등으로 더 큰 위기에 처했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는 세계에서 가장 큰 해바라기유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다. 2019년 우크라이나는 전 세계 해바라기 씨앗과 홍화유 수출의 48%를 담당했다.러시아의 시장점유율은 24%다. 해바라기 씨앗과 홍화유 생산 측면에서 우크라이나는 전 세계에서 1위 생산국이며 러시아는 2위 생산국이다. 2022년 4월 25일 인도네시아 정부는 자국의 국내 물가 상승을 막기 위해 팜유에 대한 기습적인 수출 금지를 발표했다. 추가적으로 팜유 가격 인상이 예상된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이번 결정은 팜유 공급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식물성 기름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다시 한번 더 식용유 가격이 오를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다.▲엔에프에프에프(National Federation of Fish Friers, NFFF) 홈페이지
-
2022-03-23인도 식용유 제조기업인 루치 소야(Ruchi Soya)에 따르면 FPO(follow-on public offering) 가격을 1주당 615루피에서 650루피로 책정했다.2022년 3월 24일에서 3월 28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전체 금액은 430억루피 규모다. 2021년 8월 FPO 승인을 받았다. 유치된 자금은 미지불 대출의 상환과 운영 자금 충당 등에 활용된다. 인도 다국적 소비재 포장 제품기업인 판단잘리 아유르베드(Patanjali Ayurved)는 2019년 해당사의 Nutrela 브랜드를 435억루피에 인수했다. Nutrela 브랜드는 1980년대 대두식품의 선구자였다. 인수를 통해 판단잘리의 전국 규모의 운송 네트워크를 통한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루치 소야(Ruchi Soya) 로고
-
2022-02-16인도 식용유 기업인 아다니 윌마(Adani Wilmar)에 따르면 2021 회계 연도 4분기 순수익은 211억400만루피로 집계됐다. 2020 회계 연도 동기간 대비 66% 증가했다. 전체 매출은 1437억8700만루피로 2020 회계 연도 동기간 대비 40.6% 상승했다. 향후에도 식품 사업을 성장시키는 것에 집중해 전체 사업에 기여할 계획이다. 해당사의 식용유 사업은 매출의 연간 성장률이 40%로 상승하며 강한 실적을 기록했다. 일용소비재(FMCG) 부문 판매는 70억4000만루피로 2020년 대비 46% 확대됐다. 2021 회계 연도 4분기 총 운영 수익은 142억루피로 연간 성장률은 35%로 조사됐다. 총 운영 마진은 9.9%로 집계됐다. ▲아다니 윌마(Adani Wilmar) 로고
-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소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외화유출을 줄이기 위해 식용유 산업을 부흥시켜야 한다고 주장한다. 식용유를 자급자족할 경우 연간 $US 25억 달러의 외화유출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식용유 중개상인 및 관련 농사를 짓는 농부들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1960년까지 파키스탄은 식용유생산으로 국내수요를 충당했지만 그 이후 농민에 대한 착취, 당국의 무관심 등으로 부족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대표적인 식용류들(출처 : 이슬라마바드소상공회의소 홈페이지)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