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아이스크림"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18▲ GS리테일 로고[출처=GS리테일]GS리테일(대표이사 허서홍)에 따르면 운영중인 편의점 GS25에 따르면 이달 들어(4/1~4/17) 저당 아이스크림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0.8퍼센트(%) 급증하며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이로 동기간 전체 아이스크림 매출 가운데 저당 아이스크림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처음으로 두 자릿수(19.1%)를 돌파했다.즐겁게 건강을 관리하는 ‘헬시플레저(Healthy Pleasure)’ 트렌드가 아이스크림까지 확대되며 저당 라인업이 큰 수혜를 입은 것이다.GS25가 현재 운영하고 있는 저당아이스크림으로는 △랩노쉬 저당 프로틴바 2종부터 △랩노쉬 저당 파인트 2종 △라라스윗 저당 시리즈 △월드콘 바닐라 저당 등 20여 종에 달한다.특히 2025년 3월20일 단백질 간편식 브랜드 랩노쉬와 손잡고 단독 출시한 ‘저당 프로틴바’ 2종(△초코 △멜론)이 한 달여 만에 누적 판매 수량 5만 개를 돌파했다. 저당 아이스크림 인기를 견인하고 있다.해당 상품의 가격은 각 3000원이며 당을 낮췄음에도 진한 초코와 멜론의 풍부한 맛을 선사하는 것이 특징이다.GS25에 따르면 최근 10~30대 사이에서 칼로리·당·지방 등을 낮추면서 맛은 유지하는 로우스펙푸드(Low Spec Food)에 대한 관심이 계속됨에 따라 관련 상품 매출이 지속 신장하고 있다.최근 3년간 해당 상품군 매출 신장률은 전년 동기 대비 △2023년 126.3% △2024년 88.1% △2025년(4월 17일까지) 80.4%에 달한다.GS25는 로우스펙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여름을 앞두고 랩노쉬와 협업해 스낵, 초콜릿, 빵, 젤리 등 다양한 ‘저당’ 및 ‘고단백’ 등 상품을 순차적으로 출시하는 등 관련 수요 선점에 나설 계획이다.이주용 GS리테일 음용식품팀 MD는 “헬시플레저 트렌드 속 저당 아이스크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랩노쉬를 비롯해 다양한 브랜드와 협력해 저당 아이스크림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소비 트렌드와 맞닿아 있는 차별화된 상품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
2025-03-10▲ ‘NPEW 2025’에 참가한 삼양사 부스 전경[출처=삼양사]삼양사(대표 최낙현)에 따르면 2025년 3월5~7일 사흘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애너하임에서 개최된 ‘2025 Natural Products Expo West(NPEW)’에 참가해 스페셜티(고기능성) 식품 소재의 우수성과 이를 활용한 솔루션을 선보였다.NPEW는 전 세계 약 130개국에서 3000여 개의 기업이 참가하고 6만5000명 이상의 참관객이 방문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천연식품박람회다.주로 천연·유기농 식품과 건강기능식품 등 라이프스타일 관련 업계 제조업체와 유통업체, 바이어들이 참가한다. 삼양사는 2024년에 이어 올해 2년 연속 참가했다.삼양사는 이번 박람회에서 제로 칼로리 대체 감미료 ‘알룰로스’와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소재를 전시했다.특히 올해는 스페셜티 소재를 활용한 솔루션 제안에 역점을 둔 만큼 젤리와 단백질 바를 시식샘플로 제공해 방문객들의 이해를 돕는 한편 아이스크림과 단백질음료 등 알룰로스와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이 사용된 제품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공했다.알룰로스는 설탕 대비 70퍼센트(%) 정도의 단맛이 나는 제로 칼로리 대체 감미료로 과당과 물성이 유사해 음료, 과자, 유제품, 소스 등에 두루 쓰인다.삼양사는 2016년 자체 효소 기술로 알룰로스 대량 생산에 성공하고 2020년부터 양산을 시작했다. 2204년 울산광역시에 국내 최대 규모의 알룰로스 생산공장을 준공해 연간 1.3만 톤(t)의 생산능력을 구축하는 등 업계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은 수용성 식이섬유로 △배변활동 원활 △식후 혈당 상승 억제 △혈중 중성지질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다.삼양사는 2021년 ‘화이버리스트(Fiberest)’라는 브랜드를 론칭하고 액상·분말형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을 국내외에 공급하고 있다.삼양사는 홍보 효과를 높이기 위해 NPEW 개최에 앞서 3월4일 같은 지역에서 열린 식품박람회 ‘The Southern California IFT Suppliers Night Expo’에 참가했다.국제식품학술기구(IFT)가 주관하는 본 박람회에서 삼양사는 잠재고객사를 만나 스페셜티 소재를 알리고 실질적인 매출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NPEW 부스 방문을 유도했다.삼양사는 2025년 △5월 일본 국제식품소재박람회 ‘IFIA 2025’ △7월 미국 식품소재전시회 ‘IFT 2025’ △10월 일본 식품전시회 ‘HI-Japan’, 미국 식품박람회 ‘2025 SSW’ 등 해외에서 열리는 식품 관련 전시회에 참가하며 판로 확대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삼양사 이상훈 식품BU장은 “올해는 스페셜티 소재를 활용한 실질적인 솔루션을 바탕으로 잠재고객사 발굴과 판로 확대에 역량을 집중했다”며 “작년에 알룰로스 공장을 새로 준공해 생산능력을 배로 키운 만큼 올해 글로벌 시장 공략에 주력해 사업 수익성을 제고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
2025-03-06▲ 2025년 2월 튀르키예의 소비자 가격 지수(CPI)의 2025년 1월 대비 변화 그래프. [출처=튀르키예 통계청(TUIK) 홈페이지]2025년 3월6일 중동 경제동향은 튀르키예의 통계를 포함한다. 튀르키예 통계청(TUIK)에 따르면 2025년 2월 소비자 가격 지수에서 아이스크림 가격은 17.28%로 2025년 1월과 비교해 상승율이 가장 높았다.튀르키예 이스탄불 주정부 도시계획 공기업인 IPA(Istanbul Planning Agency)에 따르면 2025년 2월 이스탄불(Istanbul)내 4인 가구의 생활비는 8만5450리라로 2024년 2월과 비교해 54.47% 증가했다. ◇ 튀르키예 통계청(TUIK), 2025년 2월 소비자 가격 지수에서 아이스크림 가격 2025년 1월 대비 17.28% 인상 튀르키예 통계청(TUIK)에 따르면 2025년 2월 소비자 가격 지수에서 아이스크림 가격은 17.28%로 2025년 1월과 비교해 상승율이 가장 높았다.2025년 2월 소비자 가격이 2025년 1월 대비 상승한 품목은 △아이스크림, 17.28% △미취학 교육 및 초등 교육, 16.79% △중등교육, 15.76% △버터, 13.72% △도시 철도 교통비, 11.44% △전기, 10.70% △도시 버스 교통비, 10.49% △이외의 유제품(요거트, 즉석 우유 디저트류 등) △도시 택시 교통비, 9.58% △우유, 9.13%로 각각 인상된 것으로 조사됐다.반면 2025년 2월 외래 환자진료 소비자 가격은 2025년 1월 대비 23.29%로 하락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2025년 2월 소비자 가격이 하락한 품목은 △외래 환자 진료 서비스(검진비, 의료보험 개인 분담금 등), 23.29% △반려동물 관련 상품, 18.35% △항공기 여객 수송, 9.49% △아동 의류, 8.82% △여성 의류, 7.84% △신선 채소(감자 제외), 7.69% △보험료, 7.66% △남성 의류, 4.93% △유아 의류, 3.75% △커피, 3.03%로 각각 인하된 것으로 조사됐다.튀르키예 이스탄불 주정부 도시계획 공기업인 IPA(Istanbul Planning Agency)에 따르면 2025년 2월 이스탄불(Istanbul)내 4인 가구의 생활비는 8만5450리라로 2024년 2월과 비교해 54.47% 증가했다.2025년 1월과 대비해 2573리라 인상됐으며 증가율은 3.10%로 집계됐다. 2025년 2월 생필품 가격이 전년 대비 인상된 것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2025년 2월 기본 소비재 품목의 2025년 1월 대비 인상율은 △토마토, 4.43% △여성 스웨터, 6.68% △카샤 치즈, 5.33%로 각각 집계됐다.2025년 2월 생필품 품목의 2024년 대비 인상율이 높았던 품목으로는 △구강/치아 제품, 76.48% △화장지, 95.01% △비스킷, 86.05%로 각각 인상한 것으로 조사됐다.
-
▲ 아일랜드 중앙은행(Central Bank of Ireland) 빌딩 [출처=홈페이지]2024년 9월 3주차 경제동향은 중앙은행(Central Bank of Ireland)의 주택 부족 사태에 대한 경고, 아이스크림 체인점을 인수한 사모펀드 등을 포함한다.○ 아일랜드 중앙은행(Central Bank of Ireland)은 향후 25년 동안 주택 부족 사태를 해결하려면 매년 5만2000채의 주택을 새로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향후 10년 동안은 매년 6만8000채가 필요하다.지난 10년 동안 주택시장은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올랐다. 현재 주택 가격과 임대료는 소득 성장률에 비해 높아 사회적 문제로 부상했다. 2023년 기준 3만3000채의 주택만 새로 공급돼 2만 채 이상이 부족했다.주택 공급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주택 가격은 빠르게 오를 가능성이 높다. 주택 가격 상승과 임대료 인상은 인플레이션으로 초래하며 임금이 이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게 된다. 자연스럽게 국민의 생활 수준도 떨어져 사회 불안이 가중된다.○ 아일랜드 사모펀드인 나이트 브릿지(KnightBridge)는 아이스크림 체인점인 스크럼디들리(Scrumdiddly’s)의 지분 80%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최근에 건강 식품 체인점인 Freshly Chopped를 매입했다.나이트 브릿지는 임대료 미지급분을 해결하기 위해 €25만 유로를 지불했다. 돈을 받지 못한 채권자 중 AIB와 오케인 프로즌 푸드는 전체 채권액의 10%를 상환받았다. AIB는 13만6579파운드, 오케인 프로즌 푸드는 5만2542파운드를 받지 못했다.창업자인 제니퍼 케인과 다렌 맥코맥은 2012년 더블린 북부 도나베이트에 첫 번째 스크럼디들리 점포를 오픈했다. 현재 5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으며 35명의 직원이 근무 중이다.
-
▲ 남아프리카공화국 소매업체 체인점인 울워스(Woolworths)의 자사 땅콩버터 아이스크림 제품. [출처=홈페이지]남아프리카공화국 소매업체 체인점인 울워스(Woolworths)에 따르면 자사의 땅콩버터 아이스크림 제품에 아플라독신(Aflatoxin)이 검출돼 리콜을 결정했다.2월4일부터 시작된 국내 땅콩버터 리콜 사태로 울워스는 땅콩버터가 함유된 모든 식품의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과정에서 아이스크림의 아플라독신 함유량이 법적 기준보다 높게 검출다.진독균의 일종인 아플라독신은 잘못 관리된 곡물, 견과류, 향신료, 코코아, 무화과 등에서도 발견된다. 고온에도 쉽게 파괴되지 않아 조리 후에도 남아 있다.아플라독신은 간암을 유발할 수 있으나 20년 이상 섭취해야 만 발병한다. 아프리카 국가 중 케냐, 코트디부아르, 스와질란드는 국민의 간암 비중이 높은데 모두 아플라독신에 오염된 곡물 섭취가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
▲ 남아프리카공화국 식품제조업체인 토코만 푸드(Thokoman Foods)의 땅콩버터 제품. [출처=홈페이지]남아프리카공화국 식품제조업체인 토코만 푸드(Thokoman Foods)에 따르면 자사의 땅콩버터 식품 안전성을 재확인했다. 최근 일어난 땅콩버터 리콜 사태로 인해 소비자를 안심시키기 위한 목적이다.소매체인점인 픽앤페이(Pick n Pay)에 이어서 울워스(Woolworths)가 땅콩버터 아이스크림에서 진독균인 아플라톡신 수치가 높게 나왔다며 리콜을 요청했다.울워스는 리콜 대상인 땅콩버터 아이스크림만 문제가 됐으며 땅콩버터가 함유된 다른 제품은 안전하다고 덧붙였다.토코만 푸드는 울워스와 제휴 관계가 없고 땅콩버터의 식품 안전성을 5단계에 걸쳐 확인하기 때문에 품질에 이상이 없다고 밝혔다.1999년 창업한 토코만 푸드는 국내 땅콩버터 브랜드 3위에 속한다. 국내 직원 수는 150명으로 중동과 서아프리카 지역에도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
2019-04-24뉴질랜드 글로벌 유제품제조사인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팁탑(Tip Top)아이스크림 사업부문의 매각에 대해 구매자들로부터 여러가지 인수제안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현재 제안을 받아들일지 고려 중이다.2018년 $NZ 8억 달러 부채를 줄이기 위해 올해 최소 2억2100만 달러의 설비투자 비용을 줄일 계획이었다. 아이스크림 사업을 매각하겠다고 이미 밝힌바 있다.2019년초 노후화된 팁탑 아이스크림 제조공장은 상당한 투자를 하지 않으면 생산에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평가를 받았다. 매각을 추진하는 이유다.폰테라는 2019년 4월29일까지 매각에 따르는 진행 사항을 공개할 계획이다. 국내에서 가뭄으로 인한 낙농가의 피해, 중국사업의 부진 등이 사업구조조정의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팁탑(Tip Top)아이스크림 홈페이지
-
2019-03-22뉴질랜드 글로벌 유제품대기업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남미에서의 사업을 정리할 계획이다. 자산을 더 많이 매각해 부채를 줄이기 위한 구조조정 일환이다. 남미 칠레(Chile)에 있는 자회사 Soprole, 원재료 자회사인 Prolesur 등은 브라질(Brazil)에서도 중요한 기업이다. 특히 Soprole은 지난 25년 동안 폰테라의 가장 오래된 해외 투자자산 중 하나이다. 아이스크림 제조 자회사인 팁탑(Tip Top)은 곧 입찰을 통해 매각할 계획이다. 팁탑 아이스크림 브랜드는 뉴질랜드의 대표 아이스크림으로 80년 이상 역사를 갖고 있다.▲폰테라(Fonterra)의 팁탑(Tip Top) 아이스크림 제품(출처 : 홈페이지)
-
2017-01-24일본 편의점업체 미니스톱(ミニストップ)에 따르면 2017년 1월 ‘바나나 소프트’를 발매하기 시작했다. 1999년 이후 18년만에 발매한 것이다.최근 얼음과 스위트시장에서 바나나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해당제품은 전국 점포에 20일부터 27일까지 순차적으로 발매해 나갈 예정이다.참고로 ‘완숙 바나나 소프트’, ‘완숙 바나나 믹스 소프트’, ‘초코바나나 소프트’ 등 3가지 맛이다. 기존 ‘프리미엄 안노이모 소프트’는 판매를 종료할 예정이다.▲바나나 소프트 이미지(출처 : 미니스톱)
-
뉴질랜드 유제품기업 폰테라(Fonterra)의 자료에 따르면수분을 제거한 우유의 지방 성분인 무수의 유지방(AMF)으로 만든 초고급 아이스크림으로 일본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현재 일본고객들의 초고급 아이스크림에 대한 수요가 커진 것도 한 몫한다.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기 보다는 기존의 냉동유지방생산라인을 기술력으로 전환해 무수의 유지방(AMF)을 생산해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새로운 공장 건설에는 $NZ 3200만 달러의 비용이 예상되지만 기존 시설을 이용할 경우 500만 달러의 비용이 들 것으로 예측한다.폰테라의 여러 크림공장들 중 와이카토(Waikato)지역에서 가장 큰 크림공장인 테라파(Te Rapa)크림공장이 개선을 대상으로 유력하다.▲Fonterra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