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아프리카 스타트업"으로 검색하여,
1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기아, ‘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 런칭[출처=기아]기아(대표이사 사장 송호성)에 따르면 다문화 청소년의 안정적인 사회 진출을 돕기 위한 ‘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을 공식 론칭했다.기아는 5일(토) 서울 압구정에 위치한 브랜드 체험관 Kia360에서 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 1기 입학식을 진행하고 프로그램을 본격 시작했다.입학식 현장에는 기아 지속가능경영실장 이덕현 상무 등 주요 관계자와 프로그램 1기 참여 청소년 25명 등이 참석했다.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 청소년들이 주도적으로 진로 계획을 수립하고 실질적인 취업 및 창업 역량 강화의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돕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기아는 2024년 10월 사회공헌 사업 ‘하모니움(Harmonium)’을 론칭하고 국내 다문화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자립 지원 및 다문화 수용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그 첫걸음으로 2024년 10월 토크 콘서트와 야외 음악회 등 다양한 행사로 구성된 ‘하모니움 페스티벌’을 개최하며 다문화 가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에 기여하기도 했다.이번 교육 프로그램에 선발된 25명의 다문화 청소년들은 입학식을 시작으로 8월까지 총 5개월간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이들은 △정보기술(IT) △식음료(F&B) △영상편집 △조경 등 4가지 특화 영역을 대상으로 진로 설계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교육 커리큘럼과 실습 과정을 경험하며 개인별 자립 역량을 키우게 된다.직무 실습 및 인턴십은 각 분야의 우수한 소셜벤처 및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통해 진행되며, 이 외에도 다문화 선배 초청 특강, 오토랜드 견학 및 개인 프로필 촬영 등의 특별 프로그램도 진행된다.기아는 하모니움 교육 프로그램 참여 및 자립 의지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모든 학생들에게 교통비 및 활동장학금(인턴십 진행 시)을 지원하고 우수 수료생에게는 추가 장학금도 전달할 예정이다.한편 기아는 교육 프로그램 외에도 하모니움 전용 온라인 플랫폼(
-
나이지리아 핀테크(Fintech) 스타트업인 플루터웨이브(Flutterwave)에 따르면 2022년 2월 중순 시리즈 D 펀딩에서 US$ 2억5000만달러의 자금을 조달했다. 더불어 기업가치평가액 30억달러를 기록했다.이로서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기업가치를 지닌 스타트업이 됐다. 아프리카 스타트업들에 대한 핀테크 펀딩이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플루터웨이브는 전 세계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나이지리아 국내 최대 양조기업인 나이지리언 브루어리스(Nigerian Breweries)에 따르면 2021년 세후이익이 N126억7000만나이라로 전년 73억7000만나이라 대비 71.98% 증가했다.세후이익 증가의 주요인은 매출 확대로 분석된다. 2021년 국내 시장에서의 매출액은 4371억6000만나이라로 전년 3369억나이라 대비 29.76% 증가했다.▲플루터웨이브(Flutterwave) 홈페이지
-
2022-05-20미국 글로벌 검색기술기업인 구글(Google)에 따르면 블랙 파운더 펀드(Black Founders Fund)의 2번째 지원금으로 US$ 400만달러를 배정했다.나이지리아 및 다른 아프리카 국가의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한 기금이다. 구글은 1번째 블랙 파운더 펀드의 지원금 신청 및 배정을 성공리에 마쳤다.이에 따라 2번째 기금 및 지원을 확대해 10 이상의 스타트업을 추가로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게다가 블랙 파운더 펀드 아프리카(Black Founders Fund Africa)는 다음의 아프리카 대륙 13개국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나이지리아, 보츠와나, 카메룬, 코트디부아르, 가나, 에티오피아, 케냐, 르완다, 세네갈, 남아프리카공화국, 탄자니아, 우간다, 짐바브웨 등에서 적격 기준을 충족하는 스타트업이 참여할 수 있다.하지만 상기 13개국 외 다른 아프리카 국가의 스타트업이 참여하는 것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선정된 스타트업들은 5~10만달러 사이의 투자를 받는다.더불어 구글 클라우드 크레딧, 훈련 형태의 지원, 각 스타트업 특유의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멘토 네트워크 접근 등으로 스타트업 당 최대 20만달러의 지원이 제공된다.▲구글(Google) 로고
-
2022-04-29영국 런던 본사 아프리카 사모펀드벤처캐피털 협회(AVCA)에 따르면 2021년 나이지리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국가의 벤처기업이 사상 최대치인 US$ 52억달러의 투자를 유치한 것으로 집계했다.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벤처 자본 유치가 급격하게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5배 증가했다. 아프리카 핀테크 스타트업들의 벤처 자본 유치가 확대된 덕분이다.2020년 30억달러 이상의 기업가치로 평가받은 핀테크 스타트업인 플루터웨이브(Flutterwave)가 가장 성공적인 사례다. 미국의 결제회사인 스트라이프(Stripe)가 인수한 나이지리아의 핀테크 스타트업인 페이스택(Paystack)도 눈에 띈다. 아프리카 핀테크 스타트업의 성공으로 국제적인 투자 관심이 높아졌다. 2021년 자금 조달 부문은 가치별 투자의 60%를 차지했고 거래량별 거래의 3분의 1을 차지했다.이전에는 벤처 자본 거래는 초기 단계의 자금 조달 라운드에 집중됐다. 그러나 2021년에는 시리즈 C의 자금 조달 라운드에 의해 조달된 자금 조달이 40배 증가했다.핀테크 기업인 치퍼 캐시(Chipper Cash), MFS 아프리카(MFS Africa), 요코(Yoco), 오페이(OPay) 등은 시리즈 C 펀딩 라운드를 통해 8억3300만달러를 조달했다.이전에는 100만달러 미만의 거래가 거래량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하지만 2021년에는 5000만달러 이상의 거래가 아프리카 벤처 자본 자금 조달 전체의 62%를 차지했다.아프리카 사모펀드벤처캐피털 협회(AVCA)는 아프리카 대륙에 대한 민간 투자 서비스업체로서 다양한 투자자들을 모집하고 관련 이해자들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아프리카 사모펀드벤처캐피털 협회(African Private Equity and Venture Capital Association, AVCA) 홈페이지
-
영국 핀테크 스타트업인 레더백(Leatherback)에 따르면 범아프리카 투자회사인 제드크레스트 캐피탈(ZedCrest Capital)이 주도한 사전 시드 라운드로 US$ 1000만달러를 모금했다. 이민자 및 일시적인 이주자, 유학생 등은 모두 국제 결제 및 지불과 외환을 필요로 한다. 레더백은 국경을 넘나드는 국제 결제 또는 외환을 위해 여러 통화를 제공한다. 모금된 자금은 핀테크 분야에서 레더백의 인지도를 높이고 금융 라이선스가 있는 많은 국가에서 사업 확장을 위해 사용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집트, 우간다, 인도, 아랍에미레이트 등이 포함된다. 제드크레스트 캐피탈은 기업 및 개인의 글로벌 모빌리티를 위한 운영 체제가 될 수 있도록 금융 기술 및 금융 인프라를 구축할 방침이다. 2022년 4월 기준 국내 및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통화를 교환할 수 있는 옵션과 함께 여러 통화 계좌를 제공한다.서비스 대상 국가는 영국, 캐나다, 인도, 나이지리아, 이집트, 우간다, 탄자니아, 앙골라, 남아프리카공화국, 아랍에미리트, 덴마크, 가나, 코트디부아르 등을 포함한다.▲레더백(Leatherback) 홈페이지
-
미국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인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 따르면 아프리카 사무소인 ATO(Africa Transformation Office)를 통해 향후 5년간 1만개의 스타트업 성장을 지원할 계획이다.나이지리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대륙의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패스트트랙 투자를 촉진하기 위함이다. 투자펀딩을 이용해 스타트업이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US$ 5억달러를 지원할 방침이다.최근 출범한 글로벌 파운더스 허브(Founders Hub)는 ATO를 통해 아프리카 스타트업과 연결한다. 파운더스 허브는 스타트업들에게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는 셀프 서비스 허브이다.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나 깃허브(GitHub)와 같은 툴, 멘토링, 훈련 및 교육 콘텐츠 등을 지원한다. 이미 마이크로소프트는 아프리카 전역의 스타트업을 위해 액셀러레이터 및 인큐베이터 등과 함께 새로운 파트너십을 구축했다.▲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로고
-
나이지리아 핀테크(Fintech) 스타트업인 플루터웨이브(Flutterwave)에 따르면 2022년 2월 중순 시리즈 D 펀딩에서 US$ 2억5000만달러의 자금을 조달했다. 더불어 기업가치평가액 30억달러를 기록했다.이로서 아프리카에서 가장 높은 기업가치를 지닌 스타트업이 됐다. 아프리카 스타트업들에 대한 핀테크 펀딩이 전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플루터웨이브는 전 세계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아프리카에 본사를 둔 핀테크 회사들은 2021년 20억달러를 모금했다. 2020년에 모금된 2억3000만달러와 대조된다. 그러나 플루터웨이브의 펀딩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두고 있기 때문에 실제로 상기 자금 모금액에 포함되지 않았다. 플루터웨이브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나이지리아 최대 도시 라고스에 본사를 두고 있다.플루터웨이브는 "아프리카 및 신흥 시장에서 고객과 기업의 무한한 가능성을 창출한다."는 목표에 집중하며 아프리카 대륙의 결제 인프라를 장악하고 있다.아프리카 대륙 전역의 글로벌 가맹점 및 결제 서비스 제공업체를 위한 결제 인프라를 제공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플루터웨이브의 핵심 사업은 하나의 API를 통해 국경 간 거래가 가능한 플랫폼 제공이다. 최근 고객들이 아프리카로 돈을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온라인 시장과 송금 서비스를 출시했다. 플루터웨이브는 2016년 창업해 2022년 2월 현재까지 총 4억7500만달러의 자금조달을 통해 투자자들의 신뢰를 꾸준히 받고있다.▲플루터웨이브(Flutterwave) 홈페이지
-
글로벌 시장정보 제공업체인 브라이터 브리지(Briter Bridges)에 따르면 2021년 나이지리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스타트업들이 모금한 총 자금은 US$ 49억달러로 전년 13억달러 대비 250% 이상 증가했다.2021년 나이지리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스타트업들이 사상 최대 규모의 자금을 확보한 것이다. 740건 이상의 거래에서 모금됐는데 전년 대비 25% 증가한 수치이다. 3개의 글로벌 기업인 브라이터 브리지, 파테크 아프리카(Partech Africa), 빅 딜(Big Deal) 등은 아프리카 대륙의 스타트업들을 다양한 관점에서 정의해 데이터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브라이터 브리지는 세금, 고객, IP 및 관리 팀 등과 같은 사업 정체성에 기여하는 요소들 때문에 아프리카 스타트업을 정의할 때 지리적인 요소들을 사용하지 않는다.글로벌 기술 투자 플랫폼 운영기업인 파테크 아프리카는 기술 및 디지털 분야의 주식 거래와 더불어 20만달러 이상의 자금 지원도 받아야 아프리카 스타트업으로 정의한다.또한 아프리카 대륙을 본사 또는 법인화가 아닌 아프리카 대륙에서 사업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대륙을 주요 시장으로 수익을 창출해야 진정한 아프리카 스타트업으로 정의한다.파테크 아프리카에 따르면 2021년 나이지리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스타트업들이 모금한 총 자금은 681건, 52억달러로 전년 14억달러 대비 264% 증가했다. 글로벌 투자업체인 빅 딜은 아프리카 대륙 밖에 본사를 두고 아프리카에 진출해 있으며, 아프리카 출신 창업자가 10만달러 이상의 자금을 조달했다면 아프리카 스타트업으로 정의한다.빅 딜에 따르면 2021년 나이지리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스타트업들이 모금한 총 자금은 820건 43억3000달러로 전년 16억5000만달러 대비 155% 증가했다.▲브라이터 브리지(Briter Bridge
-
2022-02-05케냐 나이로비 본사의 디지털 트럭 물류 스타트업 아미트럭(Amitruck)에 따르면 아프리카 전역의 디지털 물류 솔루션 확장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중동, 미국 등의 투자자들이 참여한 시드 펀딩 라운드에서US$ 400만달러를 모금했다. 이번 시드 펀딩 라운드는 BTV(Better Tomorrow Ventures)가 주도했다.엔젤 투자자들과 더불어 다음과 같은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Dynamo Ventures, Rackhouse Venture Capital, Flexport Inc, Knuru Capital, Launch Africa Ventures, Uncovered Fund 등이다.투자받은 자금은 아프리카 전역으로 사업 입지를 확장하고 새로운 인재를 고용하는 데 사용할 방침이다. 특히 기술 및 운영, 영업부 전반에 걸친 팀 등 고급 인재 확보에 사용할 예정이다.아미트럭은2019년에 설립됐다. 지금까지 비공식적이고 단편적이며 불필요하게 운영비를 증가시키는 오래된 수동 시스템을 기반으로 했던 아프리카 물류에서 트럭 운송 사업을 효율화하기 위함이다.아프리카 대륙의 트럭 운송 운영의 대다수가 기반이 되어 온 비공식적인 합의의 결과다. 이로 인해 운송 비용은 선진국에 비해 5배 더 높은 상태로 남아 있으며, 최종 물품 비용은 최대 60%나 늘어난다.아미트럭은 트럭 운전사들의 운영 및 재무 요구사항에 대한 심층적인 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받는다. 아프리카의 트럭 운송과 물류 사업은 수년간 엄청나게 성장했지만 행정적인 혁신 속도는 더디다.아미트럭은 화물 소유주와 운송업자 모두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투자자들의 지원으로 더 많은 운송업체와 화주를 디지털 트럭 물류 시장에 유입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아미트럭(Amitruck) 홈페이지
-
아프리카 스타트업 자금조달 데이터베이스 운영업체인 더 빅 딜(The Big Deal)에 따르면 2021년 나이지리아 스타트업이 투자받은 금액은 US$ 10억 달러 이상으로 집계됐다. 2021년 대규모 투자를 받은 나이지리아 스타트업들은 오페이(Opay), 안델라(Andela), 플루터웨이브(Flutterwave), 트레이드디팟(Tradedepot) 등이다.오페이는 4억달러를 투자받아 기업가치가 20억달러가 넘는다. 안델라는 시리즈 E 펀딩에서 2억달러를 투자 받았으며 기업 가치는 15억달러에 달한다.플루터웨이브는 시리즈 C 펀딩에서 1억7000만달러를 투자받았으며 기업가치는 10억달러를 넘었다. 트레이드디팟은 1억1000만달러를 투자받았다. 2021년 11개 아프리카 스타트업이 US$ 1억 달러 이상의 투자를 받았으며, 전체 금액은 17억달러가 넘는다. 이들 기업들이 받은 투자금은 아프리카 대륙 내 스타트업 전체가 확보한 42억달러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2021년 이전까지 아프리카 스타트업이 1회에 1억달러를 투자받은 곳은 단 2곳에 불과했다. 2021년 아프리카 스타트업에 투자한 기업들은 미국 구글, 일본 소프트뱅크 등이다. ▲더 빅 딜(The Big Deal) 로고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