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
" 알리"으로 검색하여,
6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1-14▲ IBK기업은행, 공공서비스 맞춤형 알림 서비스 ‘혜택알리미’ 출시[출처=IBK기업은행]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에 따르면 i-ONE Bank(개인)에 금융기관 최초로 ‘혜택알리미 서비스’를 출시했다.‘혜택알리미 서비스’는 정부, 지자체,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혜택 중 본인과 가족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한 번에 조회하고 신청할 수 있는 서비스다.해당 서비스는 정부24 회원가입 및 서비스 이용 동의 후 조회할 수 있으며 자격조건을 입력하면 본인 맞춤 혜택을 조회, 신청 가능하다. 또 가족 서비스 이용 동의 인증 시 가족 혜택 확인도 가능하다.‘혜택알리미’ 서비스 도입으로 본인과 가족의 상황에 맞는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공공서비스를 일일이 알아보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된다.기업은행은 2025년 청년, 구직, 출산, 이사 등 1100여 개 공공서비스를 시작으로 2026년까지 3600여 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
2025-01-09▲ 정관장 GLPro, 혈당 관리 습관 만드는 ‘감당체험단’ 후원 포스트[출처=KGC인삼공사]KGC인삼공사(대표이사 안빈)에 따르면 정관장 혈당 케어 전문 브랜드 GLPro(지엘프로)가 전 국민 생활습관 개선 캠페인 ‘감당체험단’을 위해 혈당 미션 키트 등을 지원한다.감당체험단의 ‘감당’은 건강하게 혈당을 줄인다는 뜻으로 한국당뇨협회 창립 30주년 기념 처음 진행되는 캠페인이다.혈당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높이고 혈당을 직접 관리하기 위한 습관을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체험 프로그램이다.감당체험단 1기 모집은 2025년 1월6일(월)부터 1월19일(일)까지 14일간 진행되며 감당체험단 인스타그램 채널과 한국당뇨협회 블로그에서 신청 가능하다.선발된 300명의 감당체험단은 총 12주간 4단계 미션을 수행하게 된다. 미션은 △혈당 관련 기본지식 습득 △혈당 관리 습관 및 식단 공유, △혈당 관리 운동 인증 등으로 구성돼 있다. 감당체험단은 단계별 미션을 수행하면서 혈당 관리 방법을 SNS로 공유하게 된다.정관장은 감당체험단에게 매 단계마다 ‘GLPro 코어’ 3주분, 연속혈당측정기, 미션 체크보드를 포함한 혈당 미션 키트를 제공한다. 12주 미션을 완주한 참가자에게는 인플루언서와 함께하는 수료식 초대권과 수료증, 인증 배지 등이 증정된다.키트로 제공되는 정관장 GLPro는 2024년 10월 출시된 혈당 케어 전문 브랜드로 혈당에 관심이 많은 중장년층뿐만 아니라 트렌드에 민감한 2030까지 사로잡으며 출시 2달 만에 매출 40억 원을 돌파하는 등 혈당 케어 제품의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GLPro 코어는 혈당 집중 케어 제품으로 식약처로부터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줄 수 있음’ 기능성을 공식 인정받은 정관장 홍삼(KGC05pg)을 주원료로 한다.정관장은 2025년 1월30일(목)까지 '새해 건강은 정관장으로' 행사를 진행한다. 정관장은 가족과 지인에게 선물하기 좋은 ‘다보록’ 선물세트를 비롯해 ‘홍삼정’, ‘에브리타임’, ‘홍삼톤’, ‘천녹’, ‘황진단’, ‘화애락’, ‘활기력’, ‘달임액’ 등 정관장의 대표 건강 베스트셀러와 '알엑스진’, ‘기다림 침향’, ‘장수:율’, ‘굿베이스’, ‘알파프로젝트’ 등 맞춤형 건강 및 자연소재를 담아낸 제품에 한해 다양한 구매 혜택을 제공한다.또한 정관장 멤버스 고객에게는 추가 혜택을 제공하고, '음성녹음(Voice Record) 감사카드' 등 감성 굿즈 이벤트도 운영한다.KGC인삼공사 관계자는 “이번 후원을 통해 혈당을 직접 관리하는 문화 형성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캠페인 후원을 통해 혈당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널리 알리고 국민 건강에 이바지해 글로벌 톱티어 종합건강기업으로의 비전을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
▲ 롯데카드 로고[출처=롯데카드]롯데카드(대표이사 조좌진)에 따르면 베트남 법인 롯데파이낸스 베트남이 2025년 12월25일 베트남 하노이에 위치한 경남 랜드마크타워에서 ‘소상공인 및 프랜차이즈 대상 여신상품 개발 및 확대’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이날 협약식은 롯데파이낸스 베트남와 결제전문 정보기술(IT) 기업 ‘알리엑스(Alliex)’, 결제 중개 전문 기업 ‘VNPT EPAY(이페이)’가 함께 했다. 롯데카드는 베트남 현지 가맹점주 대상 대출 시장에 진출하게 됐다.협약식에는 공성식 롯데파이낸스 법인장을 비롯한 박병건 알리엑스 대표이사, 김제희 VNPT EPAY 대표이사 및 관련 임직원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으로 3사는 가맹점 매출 정보를 기반으로 한 소상공인 및 프랜차이즈 대상 대출 상품을 2025년 상반기 중 출시할 계획이다. 현지 자영업자의 안정적인 운영 자금 및 창업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알리엑스는 2013년 설립 이후 여러 현지 은행과의 협약을 통해 베트남 전국에 단일 단말기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동포스(POS)’ 네트워크와 가맹점 중심의 다양한 부가서비스 ‘Vietnam Merchant Service (VMS)’를 운영 중이다.VNPT EPAY는 2008년 설립 이후 온/오프라인에서 다수의 파트너와 가맹점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전자결제 서비스 및 전자금융 설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한국계 결제 중개 전문회사다.이번 협약을 통해 알리엑스는 가맹점 가입 및 포스 설치 등의 영업 업무와 함께 롯데파이낸스 베트남에 가맹점 매출 정보를 제공한다.롯데파이낸스 베트남은 이를 기반으로 가맹점에 대출금을 지급, VNPT EPAY는 대출 원리금 정산 등의 결제 중개 업무 처리를 맡게 된다.한편 롯데파이낸스 베트남은 2018년 현지 진출 이후 차별화된 신용관리 역량과 우량 포트폴리오 위주의 안정적인 자산 성장을 지속해 오며 6월부터 11월까지 월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베트남 진출 6년 만에 처음으로 2024년 기준 첫 연간 흑자도 바라보고 있다.롯데파이낸스 베트남은 앞으로도 △자체 신용평가모델 구축 △디지털 영업 방식 △현지 기업과의 제휴를 통한 포트폴리오 차별화 △직장인, 공무원 등 우량회원 중심 영업 등 베트남 현지에서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우량자산 확대를 가속화해 베트남 소비자금융 시장에서 안정적 사업 확장 및 자산 건전성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공성식 롯데파이낸스 베트남 법인장은 “그동안 금융 서비스에 소외됐던 소상공인과 프랜차이즈 창업 및 확대를 계획하고 있는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자금을 원활히 지원할 수 있도록 3사가 지속 협력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
▲ 중국 알리바바 홈페이지중국국가통계국(中国国家統計局)의 제5회 전국경제센스 결과 공표에서 2023년 국내총생산(GDP)가 2.7% 상향 조정돼 129조4000억 위안이 됐다.중국 전자상거래 대기업 알리바바에 따르면 한국사업을 E마트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G마켓과 통합하기로 했다.일본 관광청(観光庁)에 따르면 2024년 11월 국내 호텔·여관 등 숙박여행객이 5812만155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7% 증가했다.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은 유식자회의를 개최하고 차세대반도체 양산지원책을 논의했다. 2025년도 예산안에 AI·반도체 분야에 약 3300억 엔을 편성한다.편의점 대기업 로손(ローソン)에 따르면 도쿄도 내 점포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얼음에 유리 조각이 잘못 혼입했을 우려가 제기되 1300개 남짓 회수하기로 결정했다.세키스이화학공업(積水化学工業)에 따르면 차세대 태양전지로 여겨지는 페로브스카이트형 태양전지 양산화를 개시한다.일본 후생노동성(厚生労働省)에 따르면 고객의 성가신 행위 등 고객 괴롭힘, 즉, 카스하라(カスハラ)로부터 노동자를 지키기 위해 기업 대책을 의무화할 방침을 결정했다.대만 혼하이(鴻海, 폭스콘)와 나즈지에(納智捷, Luxgen)가 합작으로 설립한 홍화싱진(鴻華先進)은 2025년 2분기에 신형 전기자동차 모델 B를 출시한다.◇ 중국 알리바바, 한국 E마트와 손잡고 G마켓 플랫폼을 이용한 한국 시장 공략중국국가통계국(中国国家統計局)의 제5회 전국경제센스 결과 공표에서 2023년 국내총생산(GDP)이 2.7% 상향 조정돼 129조4000억 위안이 됐다.다만 부동산개발업 취업자는 2023년 말 기준 271만 명으로 2018년 말과 비교해 27% 감소했다. 중국 경제의 침체 징후가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중국 전자상거래 대기업 알리바바에 따르면 한국사업을 E마트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G마켓과 통합하기로 결정했다.알리바바 산하 알리익스프레서 인터내셔널(Aliexpress International)과 G마켓이 각각 50:50으로 합작사를 설립한다. 자본금은 약 US$ 40억 달러로 예상된다.◇ 일본 후생노동성(厚生労働省), 고객 괴롭힘, 즉, 카스하라(カスハラ)로부터 노동자 보호를 위한 기업 대책 의무화일본 관광청(観光庁)에 따르면 2024년 11월 국내 호텔·여관 등 숙박여행객이 5812만155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6.7% 증가했다.이중 일본인은 4343만4050명으로 2.3% 늘어났으며 외국인은 1468만75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2.0% 증가했다.10월 2차 속보치 결과 중국인이 210만612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3.4% 증가했다. 미국인은 162만6950명, 대만인은 146만9020명이다.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은 유식자회의를 개최하고 차세대반도체 양산지원책을 논의했다. 2025년도 예산안에 AI·반도체 분야에 약 3300억 엔을 편성한다.이 중 차세대 반도체 국산화를 목표로하고 있는 라피다스(ラピダス)에 1000억 엔을 출자할 방침이다. 총 출자액은 2000억 엔 규모가 될 전망이다.편의점 대기업 로손(ローソン)에 따르면 도쿄도 내 점포 등에서 판매되고 있는 얼음에 유리 조각이 잘못 혼입했을 우려가 제기되 1300개 남짓 회수하기로 했다.도쿄, 사이타마현, 야마나시현 등 일부 점포에서 25일~26일 판매된 로손 아이스 1.1kg이 대상이다. 제조 공장에서 제조 과정에서 유리 조각이 잘못 혼입했을 우려를 제기했기 때문이다.세키스이화학공업(積水化学工業)에 따르면 차세대 태양전지로 여겨지는 페로브스카이트형 태양전지 양산화를 개시한다.2030년 기가와트(GW)급 제조 라인 구축을 목표로 증설 투자에 경제산업성의 1572억 엔 보조를 포함해 3145억 엔을 투입한다.일본 후생노동성(厚生労働省)에 따르면 고객의 성가신 행위 등 고객 괴롭힘, 즉, 카스하라(カスハラ)로부터 노동자를 지키기 위해 기업 대책을 의무화할 방침을 결정했다.노사 등과 만든 심의회에서 이해 관계자가 수행하는 것, 사회 통념 상당 한 범위를 넘은 언동인 것, 노동자의 취업 환경이 해되는 것의 3개의 요소를 모두 충족하도록 요구했다.또한 심의회에서 모든 기업이 취직 활동중 학생을 비롯한 구직자에 대한 성희롱을 방지하는 조치를 취하도록 의무를 부여했다.종업원 101명 이상의 기업에 대해 여성관리직 비율의 공표를 의무화해 여성 성관리직을 적극적으로 등용하도록 조치했다.◇ 대만 홍화싱진(鴻華先進), 2025년 2분기 신형 전기자동차 모델 B 출시대만 홍화싱진(鴻華先進)은 2025년 2분기 신형 전기자동차 모델 B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홍화싱진은 혼하이(鴻海, 폭스콘)와 나즈지에(納智捷, Luxgen)가 합작으로 설립한 기업이다.모델B는 대중 소비자 시장에 가장 적합한 모델로 최종 준비 단계에 있으며 2025년 2분기에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다.
-
▲ 일본정부관광국(日本政府観光局) 홈페이지중국인민은행(中国人民银行)에 따르면 2024년 12월16일 당위원회 회의에서 2025년 적절한 시기에 지급준비율 및 금리 인하 등 통화 완화 정책을 제안했다.중국 알리바바(阿里巴巴)에 따르면 야거얼그룹(雅戈尔集团)과 인타이(银泰) 관리팀으로 구성된 구매 컨소시엄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일본 혼다(ホンダ),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 미쓰비시자동차(三菱自動車) 3사는 경영통합을 포함해 협력을 검토하고 있다.일본정부관광국(日本政府観光局)에 따르면 2024년 1월~11월 방일외국인수는 3337만9900명으로 12월 한달을 남겨 두고 2019년 방일외국인 3188만2049명을 웃돌아 과거 최고를 기록했다.대만 TCC(台泥企業團, TCC Enterprise Group)에 따르면 자회사 몰리셀(屬能元科技Molicel, Neng Yuan Technology Molicel)이 생산하는 초고성능 3원 리튬 배터리가 국제 항공우주 산업의 AS9100:D 인증을 획득했다.◇ 중국 알리바바(阿里巴巴), 야거얼그룹(雅戈尔集团)과 인타이(银泰) 관리팀으로 구성된 구매 컨소시엄에 매각 예정중국인민은행(中国人民银行)에 따르면 2024년 12월16일 당위원회 회의에서 2025년 적절한 시기에 지급준비율 및 금리 인하 등 통화 완화 정책을 제안했다.또한 중국과 미국, 중국과 유럽간 양자 금융업무에 대한 실용적 진행을 요청했다. 상하이를 국제금융센터로 건설 및 발전을 지원하고 홍콩의 국제금융센터 위상과 강호에 초점을 맞췄다.중국 알리바바(阿里巴巴)에 따르면 야거얼그룹(雅戈尔集团)과 인타이(银泰) 관리팀으로 구성된 구매 컨소시엄에 매각하기로 했다.알리바바는 인타이 매각 대금은 총 약 74억 위안이며 매각에 따른 손실 규모는 약 93억 위안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일본 혼다(ホンダ),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 미쓰비시자동차(三菱自動車) 3사는 경영통합 및 협력 검토일본 혼다(ホンダ), 닛산자동차(日産自動車), 미쓰비시자동차(三菱自動車) 3사는 경영통합을 포함해 협력을 검토하고 있다.전기자동차(EV) 경쟁을 이기기 위해 필요한 기술개발과 비용 분담으로 연계를 강화하고 미국 테슬라와 중국 비야디(BYD) 등에 대항할 목적이다.만약 예정대로 추진된다면 자동차 대수로 세계 선두의 도요타자동차, 2위 독일 폭스바겐(VW) 그룹에 이어 3위의 자동차 연합이 탄생한다.일본정부관광국(日本政府観光局)에 따르면 2024년 1월~11월 방일외국인수는 3337만9900명으로 집계됐다. 12월 한달을 남겨 두고 2019년 방일외국인 3188만2049명을 웃돌아 과거 최고를 기록했다.이 중 한국인 방일객수가 795만300명으로 2019년 대비 49.0% 증가했다. 대만과 홍콩을 합친 동아시아에서 전체의 약 70%를 차지했다.2024년 11월 방일 외국인수는 318만7000명으로 2019년 동월 대비 30.5% 늘어났다. 30%대 전후 성장률로 방일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대만 몰리셀(Molicel), 초고성능 3원 리튬 배터리가 국제항공우주산업 AS9100:D 인증 획득대만 TCC(台泥企業團, TCC Enterprise Group)에 따르면 자회사 몰리셀(屬能元科技Molicel, Neng Yuan Technology Molicel)이 생산하는 초고성능 3원 리튬 배터리가 국제항공우주산업의 AS9100:D 인증을 획득했다.대만 최초로 항공 등급 인증을 획득한 배터리 브랜드다. 인증 획득으로 전기수직이착륙(eVTOL) 업계의 선두주자인 Archer Aviation과 더 많은 혁신을 촉진하기 위한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
-
2024-12-11▲ GC녹십자 로고[출처=GC녹십자]GC녹십자(회장 허일섭)에 따르면 2024년 12월11일(수요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ABO 홀딩스의 지분 전량을 인수한다고 공시했다.GC녹십자는 이번 혈액원 인수를 통해 혈장분획제제의 원료 확보에서부터 생산, 판매에 이르기까지 수직계열화가 완성됐다. 혈액원 인수를 퀀텀점프의 발판으로 삼아 글로벌 탑티어 혈액제제 회사로 도약할 계획이다.GC녹십자는 2024년 7월부터 미국으로 수출하고 있는 혈액제제 알리글로의 사업 확대를 위한 안정적 원료 공급처 확보 목적으로 혈액원 인수를 추진했다.ABO 홀딩스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회사로 뉴저지, 유타, 캘리포니아 등 3개 지역에 6곳의 혈액원을 운영하고 있다.텍사스주에 2곳의 혈액원이 추가로 건설 중이며 완공이 되는 오는 2026년부터 총 8곳의 혈액원이 가동될 예정이다.한편 알리글로는 2023년 12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품목허가를 획득한 면역글로불린 혈액제제로 선천성 면역 결핍증으로도 불리는 일차 면역결핍증(Primary Humoral Immunodeficiency)에 사용되는 정맥투여용 면역글로불린 10% 제제다.이 제품은 회사의 독자적인 ‘CEX 크로마토그래피(Cation Exchange Chromatography)’ 공법을 통해 제조, 혈액응고인자(FXIa) 등 불순물 검출을 최소화하는 등 기존 약물 대비 뛰어난 안전성을 강점으로 갖고 있다.
-
▲ 영국 슈퍼마켓 체인점인 알디(Ald UK)의 점포 전경 [출처=홈페이지]2024년 11월07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아일랜드를 포함한다. 영국은 슈퍼마켓 체인점 간의 경영전략이 대조적으로 나타났다. 알디(Ald UK)가 점포를 확장하는 반면에 아스다(Asda)는 구조조정을 시작했다.프랑스는 2024년 9월 제조업 생산이 전월 대비 하락하며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제약산업, 자동차, 운송기계 등 대부분에서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했다.아일랜드에서는 야심차게 시작했던 여성 스포츠 의류점이 3년을 넘기지 못하고 파산했다. 중국발 온라인 쇼핑몰과 가격 경쟁에서 패배했기 때문이다.◇ 영국 알디(Ald UK), £8억 파운드를 투자해 사업을 확장할 계획영국 슈퍼마켓 체인점인 알디(Ald UK)는 £8억 파운드를 투자해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국내 전역에 11개 점포를 오픈할 예정이며 15개 점포는 리뉴얼 중이다.알디는 크리스마스 이전에 소매점포를 최대한 확장해 소비자에게 경쟁업체보다 더 저렴한 제품을 공급할 방침이다. 고품질의 상품을 충분하게 제공한다.영국 슈퍼마켓 체인점인 아스다(Asda)에 따르면 본사 관리직 직원 약 500명을 해고할 계획이다. 11월6일 공급업체와 미팅을 연기한 이유를 설명하면서 구조조정을 언급했다.현재 리드와 레스터 등 3개 지역에 있는 사무실에 5000명 이상이 근무하고 있다. 구조조정을 한 후에는 2025년 1월1일부터 1주일에 3일 출근하도록 조치할 방침이다.2024년 7월 아스다는 사업을 재구축하기 위해 £3000만 파운드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서비스와 점포 운영 기준을 높여 소비자 만족도를 고양할 예정이다.◇ 프랑스 국립통계경제연구소(INSEE), 2024년 9월 제조업 생산이 전월 대비 0.9% 하락프랑스 국립통계경제연구소(INSEE)에 따르면 2024년 9월 제조 업생산이 전월 대비 0.9% 하락했다. 8월에 제조업생산은 전월 대비 1.1% 확대됐다.2024년 3분기 제조업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0.9% 하락했다. 특히 제약산업의 지수가 11.7% 떨어지며 침체를 가속화시켰다. 특히 8월 제약산업의 생산은 18.8% 늘어났다.운송기계 생산은 5.5%. 자동차산업 생산은 12.8% 각각 떨어졌다. 반면에 에너지와 수도는 1.5%, 농산물제조업은 0.4% 각각 올랐다. 2024년 3분기는 2021년 2분기 대비 대폭 악화됐다.◇ 아일랜드 피치린(Peachylean), 온라인 쇼핑몰과 경쟁이 심화되며 파산아일랜드 여성 스포츠 브랜드인 피치린(Peachylean)은 온라인 쇼핑몰과 경쟁이 심화되며 파산했다. 중국의 테무와 쉬인, 미국 아마존 등이 저가로 제품을 판매하면서 오프라인 점포의 매출이 급감했다.2021년 영국 BBC 방송 프로그램으로부터 £10만 파운드를 지원받았다. 개인 투자자로부터 50만 파운드, 아일랜드 기업청으로부터 25만 파운드의 투자를 유치했다.2021년 기준 연간 매출액이 110만 파운드를 초과하며 2020년 대비 3배 증가했다. 하지만 2022년 42만 파운드의 손실을 기록하며 어려움이 가중됐다.
-
2024년 10월28일 인천국제공항공사는 특혜 논란이 가중되자 ‘연예인 별도 출입문 사용 제도’를 시행 직전 철회했다. 당초 추진한 내용은 ‘교통약자 우대 출구’ 이용자에 연예인 등 유명인을 포함시켰다.2024년 국정감사에서 한국공항공사의 시설 부실 운영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관제탑이나 관제송수신소 등에서 누수가 발생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핵심 공항인 김포공항도 예외가 아니었다.한국공항공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KAC 한국공항공사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2013년 윤리경영평가... 국가 주요 인프라 운영하는 막중한 임무 수행하기에 역부족국정연은 2013년 한국공항공사의 윤리경영 현황을 평가했다. 국내 14개 지방공항과 군 비행장을 관리 및 운영하는 중요성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당시에 평가한 윤리경영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Leadership(리더십, 오너/임직원의 의지) 미션(mission)은 공항의 효율적인 건설/운영으로 항공수송 원활화, 국민복지기고, 미션 슬로건은 ‘편안한 공항 하늘을 여는 사람들’이다. 대테러장비납품업체로부터 뇌물수수혐의로 보안관련부서 직원이 수사를 받고, 감사가 법인카드를 비업무용으로 사용했다가 적발되기도 했다. 노조와 경영진의 협력관계가 비윤리경영의 주범으로 전락했다. Code(윤리헌장) 윤리헌장에서‘윤리경영과 준법경영으로 국민의 사랑과 신뢰를 받는 세계적인 공사가 되고자 한다. 높은 윤리적 가치관을 바탕으로 공정한 업무처리, 부패방지. 깨끗한 공직풍토 조성을 위해 노력한다.윤리헌장 등은 다른 공기업과 유사한 수준으로 정비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문제는 리더와 임직원의 실천의지이며 위반했을 경우 조직이 시스템으로 적발할 능력이 부족하다. Compliance(제도운영)윤리경영의 비전은‘최상위 윤리수준으로 World class clean 공항공사 실현’이고 추진목표는‘윤리경영, 사회책임경영, 환경경영을 통해 모든 이해관계자와 공동체적 관계 구축’이다. 윤리경영을 정착시키기 위해 2005년 내부공익신고센터 및 클린신고센터 개설/운영, 내부공익신고자 보호/보상 처리 지침을 제정했다. 2007년 사내 전자게시판에 윤리경영방을 신설했다. Education(윤리교육 프로그램) 임직원의 윤리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윤리교육체계를 수립했다. 윤리교육의 종류는 사내교육, 사이버교육, 부서교육, 외부위탁, 특별강연 등이다.최고경영자(CEO)와 감사 등 경영진이 윤리경영 강사로 활동하는 등 윤리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은 하고 있지만 각종 부실행정과 부패가 끊이지 않고 있어 실효성은 의문이 든다. 윤리교육 프로그램을 보완할 필요성이 높다. Communication(의사결정과정) 2010 국정감사에서 공항공사가 어용노조를 동원해 노조활동에 개입하고 상급단체인 민주노총에서 탈퇴하려고 시도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공항공사의 노사관계는 CEO가 내부승진을 통해 임명된 후 호전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노사가 협의해 규정을 바꿔 퇴직금을 과다 지급하거나 성과급을 이중 지급하는 것이다. Stakeholders(이해관계자의 배려) 2012년 김해공항에서 출입국 수속을 마친 외국인이 보안구역을 이탈해 담장을 넘어 탈출한 사건이 발생했다. 외곽경비를 위해서 수백억 원을 투자했지만 무용지물이 됐다. 노사야합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그 나물에 그 밥’으로 수십 년 동안 한솥밥을 먹던 직원끼리 외부의 감시 눈초리를 피해 돈 잔치를 벌인다. 공항공사에서 벌어지고 있는 많은 행위가 이에 해당된다. Transparency(경영투명성)부채도 거의 없으며 장/단기 차입금도 전혀 없는 경영우수 공기업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막대한 이익을 직원성과급으로 과다 지급한다는 지적을 감사원, 국회로부터 받고 있다.공항공사가 운영/관리하고 있는 전국 14개 공항 중 김포, 김해, 제주를 제외한 나머지 11개 공항은 대부분 적자로 운영되고 있다. 2003년 오픈한 울진공항은 취항하는 항공사가 없어 민간조종사 양성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Reputation(사회가치 존중) 공항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김포공항 골프장 건설사업도 환경단체와 마찰을 빚고 있다.환경단체 관계자들은 공항공사가 조류가 항공기 안전에 위협이 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돈이 되는 골프장을 짓기 위해 혈안이 돼 환경보전의무를 망각하고 있다는 지적을 한다. 윤리경영의 평가 결과를 그림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그림 28-1. 8-Flag Model로 측정한 공항공사의 윤리경영 성취도]◇ 2022년 ESG 경영 1차 평가... 윤리경영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해 ESG 경영 준비 부족하다 평가국정연은 2022년 한국공항공의 제13대 윤형중 사장이 취임한 이후 ESG 경영 현황을 평가했다. 그동안 낙하산으로 내려오던 국토교통부나 경찰이 아니라 국가정보원 출신이라 전문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했기 때문이다. ▲ 한국공항공사 ESG경영 평가 결과 [출처 = iNIS]2005년 윤리경영의 선포, 2007년 유엔 글로벌 콤팩트 가입, 2009년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도 도입 등 윤리경영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오랜 기간 동안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2012년 윤리경영을 평가할 때와 ESG 경영을 추진하는 현재 상황은 크게 차이가 없다.윤리경영은 윤리헌장을 제정하고 윤리강령, 행동강령, 인권헌장, 인권이행지침, 임원직무청렴계약규정, 골프 및 사행성 오락 관련 행동 강령 운영지침 등을 잘 정비해 운영하는 편이다. 부패공익 신고제도가 있지만 신고자 보호제도의 실효성이 낮다는 내부의 성찰이 있었다. 조직을 위해서도 내부고발자를 보호하는 문화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2021년 25~27 사회가치위원회 회의록을 모두 분석한 결과, 회의는 요식적인 행위에 불과했고 원론적인 의견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2003년 공사 최초로 부정부패신고센터, 2012년 KAC 신문고 등을 개설해 사내 부정 비리 행위를 적발하기 위해 노력 중이지만 좀처럼 고질적인 부패는 사라지지 않고 있다. 2020년 7월 국민권익위원회는 KAC에 사규 내용 중 불공정 관행 개선 5건, 인사 투명성 제고 2건, 이해충돌방지 강화 2건 등 총 9건의 개선 권고를 받았다.2018년 12월 국민권익위원회는 ‘공항 귀빈실 사용의 특례방지 방안’을 발표해 국회의원 등이 공무가 아닌 사적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권고했다. 환경성과는 2018~2020년으로 3년간의 통계이다. 에너지 사용량이니 온실가스 배출량이 전년 대비 줄어든 것은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공항 이용률이 저조했기 때문이다.환경관리현황에 관한 홈페이지의 내용은 2018년 12월자로 업데이트 되지 않았고, 사장은 전임 손창완으로 명시돼 있을 정도로 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판단된다.2021년 2월 24일 개최된 제25차 사회가치위원회의 회의록에 따르면 미래형 교통 충전허브를 구축하고 신재생에너지(태양광에너지 등)의 보급을 검토하는 수준에 불과했다.◇ 2년간 평가 결과 개선 필요성은 크게 확대... 경영진과 노조 지나친 밀월 관계가 ESG 경영 망쳐2022년 ESG 1차 평가에 이어 2024년 2차 평가를 진행하며 개선된 점이 있는지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경영진과 임직원 모두가 ESG 경영에 대해 충분히 숙지한 후 한국공항공사의 지속가능 성장을 위해 헌신하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는지 확인했다. ▲ KAC 한국공항공사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비교 [출처=iNIS]거버넌스는 공기업이 가장 취약한 지표이며 한국공항공사도 개선 여지가 많았다. ESG 헌장은 2022년과 2024년 모두 제정하지 않았다. ESG 위원회는 2021년 구성해 운영 중이다.사외이사의 비율은 2년 동안 변화가 없었지만 여성임원의 비율은 2022년 38%에서 2024년 16%로 급감했다. 여성직원의 비율이 하락하지 않았다면 양성평등 정책이 후퇴했다는 표상이다.부채액은 2022년 1조1067억 원에서 2024년 1조4758억 원으로 약 3700억 원 가량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고려해도 많이 늘어났다.종합청렴도는 2022년 2등급에서 2024년 3등급으로 1등급 하락했다. 조직 내부의 부정부패가 근절되지 않고 오히려 확산되고 있다는 증거다.사회는 무기계약직의 연봉은 2022년 정규직의 65%에서 2024년 73%로 상승했다. 육아휴직사용자는 2년 동안 2배 이상 증가해 고무적이다. 기부금액은 2022년 31억 원에서 2024년 23억 원으로 감소했다.환경은 사업장 폐기물 발생량과 녹색제품 구매금액만 평가했다. 사업장 폐기물 발생량은 2022년 15t에서 2024년 22만t으로 증가해 부정적으로 평가했다.녹색제품 구매금액은 2022년 40억 원에서 2024년 62억 원으로 확대됐다. 온실가스 배출량이나 기타 환경 관련 활동은 개별 연도의 평가결과를 참고하길 바란다.◇ 2022년 ESSG 경영 전략 수립 및 추진... 2023년 부채 1조4758억 원으로 부채율 42.05%한국공항공사의 비전 2030은 ‘초융합 글로컬 공항그룹’으로 경영 목표는 △안전·서비스 최상위 △여객 1억2000만 명 △글로벌 항공산업 선도 △재무건전성 공기업 최고 수준 △ESG 공공 분야 최상위로 정했다.본업인 항공산업의 육성·지원 외에도 ESG 경영을 접목해 국가 경제의 균등한 발전과 국민 복지 증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SG 경영 비전은 ‘환경·사람·미래를 잇는 항공산업 ESSG의 중심, KAC’로 밝혔다. ESG 경영 헌장은 부재했다.안전 최우선 기반의 경영 방침에 따른 최고의 안전·방역 체계에 2022년 ESG 경영전략에 안전 분야를 독립·특화한 ‘ESSG(Environmental·Safety·Social·Governance) 경영’을 선언했다.한국공항공사가 ESG경영에 ESSG경영으로 안전(safety)를 강조했지만 사회(social)에 안전경영이 포함돼 있으므로 불필요한 용어를 만들었다고 판단된다. ESSG 경영 목표는 △2050 탄소중립 공항 실현 △안전보안 최우수 등급 △동반성장 최상위 △종합청렴도 1급으로 정했다. 내부 임직원 및 외부 이해관계자의 자발적·적극적 참여로 항공산업 ESSG 경영 생태계를 조성하고자 한다.2023년 이사회 구성원은 총 12명으로 기관장 1명, 상임이사 4명, 비상임이사 7명으로 구성됐다. 2021년 대비 상임이사 수가 5명에서 4명으로 줄어들었다. 여성 임원 수는 2023년 2명으로 2021년 5명 대비 대폭 감소했다.2021년 ESG 경영위원회를 설치했다. 이사회 중심의 ESG 경영 의사결정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목적이지만 의도한 성과를 달성하지 못했다. ESG 위원회 구성원은 총 3명으로 상임이사 1명, 비상임이사 2명이다.최근 5년간 종합청렴도 평가결과(등급)은 △2019년 3등급 △2020년 2등급 △2021년 2등급 △2022년 3등급 △2023년 3등급으로 2020년 2등급으로 상향된 이후 2022년 3등급으로 하향하며 유지되고 있다.최근 5년간 징계 처분 건수는 △2019년 2건 △2020년 5건 △2021년 15건 △2022년 4건 △2023년 12건으로 집계됐다. 2024년 6월30일 기준 징계 처분 건수는 3회로 조사됐다.징계 사유는 △성실의무 위반 △품위유지 의무 위반 △임직원 행동강령 위반 △보안업무규정 위반 △겸업금지 위반 등이다.2023년 국정감사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지난 6년간 외산 공용여객처리시스템 로열티 지불금은 총 43억800만 원으로 집계됐다.외국 시스템에만 의존하다 최근 자체 시스템 개발을 시작해 방만 경영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공용여객처리시스템은 공항 출국 시 승객이 거쳐야 하는 모든 과정에 사용되는 장비다.2017년부터 외산 공용여객처리시스템을 도입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자체 시스템을 개발해 지난 6년간 영업이익 85억 원을 발생하고 인도네시아 공항사업에도 시스템을 수출한 것과 상반된다.2023년 자본총계는 3조5098억 원으로 2021년 3조8080억 원과 비교해 7.83% 감소했다. 2023년 부채총계는 1조4758억 원으로 2021년 1조1067억 원과 대비해 33.36% 증가했다. 2023년 부채율은 42.05%로 2021년 29.06%에서 상승했다.2023년 매출액은 8502억 원으로 2021년 5800억 원과 대비해 46.57% 상승했다. 2023년 당기순이익은 –1272억 원으로 2021년 –2311억 원과 비교해 적자 규모는 줄어들었지만 흑자 달성에는 실패했다.당기순이익이 적자를 기록해 현실적으로 부채 상환이 불가능하다. 2013년 막대한 규모의 흑자를 칭찬했는데 현재와 비교하면 천양지차(天壤之差)다.◇ 2023년 시민재해 부상자 수 34명 집계... 2023년 비정규직 연봉은 정규직의 73.66%로 상승안전 목표는 ‘중대산업재해 제로(Zero), 중대시민재해 Zero’로 전년 대비 안전사고 10% 이상 감축을 목표로 정했다. 추진전략은 △전사가 함께하는 안전중심 경영 추진 △법정 의무사항의 빈틈없는 실행 △위험관리 강화 및 긍정적 안전문화 조성으로 밝혔다.최근 4년간 공공기관 안전관리 종합 등급은 △2020년 4등급 △2021년 3등급 △2022년 2등급 △2023년 2등급으로 등급이 상향됐으며 2022년 이후 2등급을 유지했다.최근 3년간 임직원 산업재해 발생 건수는 △2021년 1건 △2022년 0건 △2023년 2건으로 집계됐다. 산업재해율은 △2021년 0.04% △2022년 0% △2023년 0.08%로 집계됐다. 최근 3년간 발주공사 산업재해율은 △2021년 1.56% △2022년 1.15% △2023년 0.4%로 감소세를 보였다.최근 3년간 시민재해 부상자 수는 △2021년 26명 △2022년 43명 △2023년 34명으로 조사됐다. 시민재해 사망자는 없었다.공항 및 항행 안전 수치에서 최근 3년간 발생한 지상안전사고 건수는 △2021년 10건 △2022년 16건 △2023년 17건으로 집계됐다.2023년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3년 8월 기준 국내 공항에서 발생한 항공 보안사고는 총 75건으로 집계됐다. 2022년 5월 ‘항공보안강화 종합대책’을 수립한 이후 2023년 6월부터 8월 동안에만 보안사고가 12건 발생했다.공항별로는 △김포공항 23건(30.7%) △제주공항 12건(16%) △김해공항 10건(13.3%) △광주공항 6건(8%) △청주공항 6건(8%) △대구공항 5건(6.7%) △여수공항 3건(4%) 순으로 보안사고율이 높았다.2023년 정규직 1인당 평균 보수액은 7146만 원으로 2021년 7308만 원에서 2.22% 하락됐다. 2023년 여성 정규직의 평균 연봉은 6017만 원으로 남성 연봉인 7377만 원의 81.57% 수준이었다.2023년 무기계약직의 1인당 평균 보수액은 5263만 원으로 2021년 4760만 원에서 10.56% 인상됐다. 2023년 여성 무기계약직의 평균 연봉은 4167만 원으로 남성 연봉인 6421만 원의 64.91% 수준이었다. 2023년 무기계약직 연봉은 정규직 연봉의 73.66%로 2021년 65.14%와 비교해 상승했다.최근 5년간 육아휴직 전체 사용자 수는 △2019년 33명 △2020년 45명 △2021년 42명 △2022년 72명 △2023년 99명으로 2021년 이후 증가세를 보였다.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19년 8명 △2020년 17명 △2021년 19명 △2022년 38명 △2023년 63명으로 2022년 이후 이용률이 50% 이상을 차지했다.최근 5년간 봉사활동 횟수는 △2019년 507회 △2020년 93회 △2021년 33회 △2022년 24회 △2023년 328회로 2020년 급감 후 하락세를 보이다 2023년 급상승했다.최근 5년간 기부 금액은 △2019년 34억 원 △2020년 25억 원 △2021년 31억 원 △2022년 30억 원 △2023년 23억 원으로 증가와 하락을 반복했다. 교육 지원의 일환으로 루키케어 프로그램을 운영해 신입사원의 이해력 제고 및 조기 적응을 지원하고 있다. 임직원 교육 부문에서 ESG 교육 및 관련 교재는 부재했다.ESG 경영 전반에 걸쳐 임직원 인식이 부족한 것은 교육이 충실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협력업체가 아니라 한국공항공사 스스로 ESG 경영을 강화하는 것이 급선무다.◇ 2050년 탄소중립 3대 추진 전략 수립... 2023년 온실가스 총 배출량 9만tCO2eq 이상 집계2022년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환경 경영 목표로 △2030 온실가스 40% 감축 △2040 친환경에너지 전환율 100% 달성을 목표로 정했다.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3대 추진 전략인 △공항탄소인증(ACA) △친환경에너지 전환율 △온실가스 감축률 등 아래 세부 과제와 성과지표를 수립했다.최근 3년간 녹색제품 구매실적은 △2021년 40억 원 △2022년 51억 원 △2023년 62억 원으로 증가세를 보였다.최근 5년간 온실가스 총 배출량(Scope1&2)은 △2019년 8만3374tCO2eq △2020년 7만1628tCO2eq △2021년 8만2441tCO2eq △2022년 8만8028tCO2eq △2023년 9만4111tCO2eq으로 2021년 이후 증가세를 보였다.폐기물 배출량은 홈페이지에 공개된 수치와 알리오에 올려진 수치에서 큰 차이가 있어 알리오를 참고했다. 알리오의 내용이 더 정확할 것이라고 추정된다.홈페이지 ESG DATA에 공개된 최근 5년간 폐기물 총 배출량은 △2019년 4380톤(t) △2020년 3432t △2021년 3371t △2022년 4181t △2023년 5832t으로 감소 후 2021년 이후 증가했다.알리오에 공개된 사업장별 폐기물 발생 총량은 △2018년 14만8236.77t △2019년 10만9954.99t △2020년 9만2240.96t △2021년 15만7296.08t △2022년 22만7331.14t으로 집계됐다. 대표사업장은 본사와 김포공항을 통합해 작성했다.알리오에 공개된 최근 5년간 사업장별 용수 사용량은 △2018년 138만8274t △2019년 119만4183t△2020년 73만9074t △2021년 72만4514t △2022년 87만9577t으로 감소세를 보이다 2022년 증가했다. ▲ KAC 한국공항공사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홈페이지와 알리오에서 공개한 수치 차이 발생... 사회 지표의 개선 필요성이 가장 낮아△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거버넌스는 ESG 추진전략을 수립한 것은 긍정적이나 ESG 경영헌장은 부재하고 윤리헌장만 수립해 아쉬움이 크다. 2021년 ESG 경영위원회를 설치했지만 실적은 보이지 않는다.홈페이지에 ESG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으나 수치가 알리오와 일치하지 않아 정보공개 기준이 명확하다고 보기 어려웠다. 담당자의 실수인지 여부에 따라 경영 투명성을 다시 평가할 필요가 있다. △사회(Social)=사회는 시민 재해와 보안사고가 늘어나고 있어 산업재해와 더불어 시민 안전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공항의 안전 소홀은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무기계약직과 정규직, 여성과 남성의 급여 차이는 개선할 여지가 크다고 판단된다. 경영진과 노조의 의지만 있다면 충분히 관리가능한 위험에 속하므로 양자의 분발을 촉구한다. △환경(Environment)=환경은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이후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폐기물 배출량도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용수사용량은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기간 동안 급감했다가 증가세로 전환됐다. 공항 이용자의 숫자와 큰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정부·기업·기관·단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팔기는 주역의 기본 8괘를 상징하는 깃발, 생태계는 기업이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의미한다. 주역은 자연의 이치로 화합된 우주의 삼라만상을 해석하므로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
▲ 신한은행, 퇴직연금 광고 On-Air[출처=신한은행]신한은행(은행장 정상혁)에 따르면 퇴직연금 상품의 장점을 널리 알리고 마케팅을 강화하고자 퇴직연금 광고를 새롭게 공개했다.이번 광고는 가수 윤종신의 대표곡 ‘고속도로 로맨스’를 신한은행 퇴직연금 브랜드 이미지에 맞춰 재해석한 광고 음원과 함께 밝고 경쾌한 영상으로 제작됐다.광고 영상에서 배우 이정하와 가수 윤종신은 ‘퇴직연금, 고민된다면 탄탄한 신한은행 퇴직연금’이라는 내용을 담아 개사한 ‘고속도로 로맨스’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반복되는 후렴구인 ‘퇴직연금! 신한은행!’을 넣어 쉽게 따라부를 수 있게 했다. 또한 영상 속 직장 동료들로 뮤지컬팀 ‘Musical’s’가 등장해 광고 영상의 전체적인 톤앤무드 수준을 높였다.이번 광고는 지상파·종편·케이블 등 TV와 유튜브·OTT 등 디지털 채널, 라디오, 옥외 매체 등 다양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신한은행 관계자는 “신한은행 퇴직연금의 주요 장점인 ‘안정성’을 알리고자 ‘탄탄한 신한은행 퇴직연금’을 메세지로 한 광고를 제작했다”며 “앞으로도 고객이 믿고 맡길 수 있는 신한은행 퇴직연금을 더 많이 알리고 브랜드 강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메트로 열차 이미지 [출처=홈페이지]2024년 9월 중동 유통·서비스업 주요동향은 물류와 서비스를 포함한다. 글로벌 의료 전시회(Global Health Exhibition)에 따르면 2024년 10월21일부터 10월23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Riyadh)에서 개최된다.○ 아랍에미리트 다국적 물류회사인 두바이 포츠 월드(DP World)에 따르면 2024년 7월 제벨알리항(Jebel Ali Port)의 컨테이너 처리량은 140만TEU(20피트 분량 컨테이너)로 월별 최고치를 기록했다.2015년 기록을 깨며 월별 컨테이너 처리량이 가장 높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2024년 상반기 컨테이너 처리량은 730만TEU로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3.9% 증가했다.주요 아시아 시장인 중국, 일본, 대한민국의 수입 화물 물량 흐름이 강세를 보이며 컨테이너 교통량이 늘어난 것으로 판단된다.현재 진행 중인 제벨알리자유구역(Jafza)의 확장 공사도 제벨 알리 항구의 글로벌 컨테이너 교통 향상에 도움을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의료 전시회(Global Health Exhibition)에 따르면 2024년 10월21일부터 10월23일까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Riyadh)에서 개최된다.2023년 전시회와 비교해 전시 규모를 2배로 늘렸다. 국제 의료 부문에 대해 다양한 분야의 주제에 대한 토의와 포럼 등 총 4개의 회의를 진행한다.포럼에는 의료 부문의 전문가들이 초청돼 향후 10년간 인공지능(AI)과 디지털 기술이 국제 의료 부문을 어떻게 변화시킬지 논의할 계획이다.사우디아라비아 정부는 비전 2030(Vision 2030)의 일환으로 국내 의료 부문의 현지화를 지원하고 민간화 비중을 25%에서 35%까지 높이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