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엔젤 펀딩"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1-11-02나이지리아 음식 배달 전용 플랫폼 운영 스타트업인 자이즈(Jise)에 따르면 국내와 유럽의 투자자들로부터 US$ 10만달러의 엔젤 펀딩을 모금했다.이에 따라 자이즈는 국내 최대 도시인 라고스(Lagos)를 시작으로 사업을 론칭했다. 빠르고 저렴한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춘 음식 배달 플랫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식당들의 음식 배달 속도가 느려 고객의 항의가 많은 점에 착안해 자이즈는 25분 이내에 음식을 배달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사업 시작과 더불어 즉시 40개 이상의 식당 메뉴가 자이즈 플랫폼에 등록했다. 주요 투자자는 Backroom Capital, Winston Capital 등과 공동창업자 및 소수의 엔젤 투자자들이다. 중국발 코로나-19 사태 이후 전 세계적으로 음식과 식료품 배달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다. 국내에서도 소비자들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자이즈(Jise) 로고
-
2021-06-14나이지리아 넥스포드대(Nexford University)에 따르면 최근 US$ 1080만달러의 사전 시리즈 A 자금 모금을 마감했다. 유연한 원격 학습 플랫폼을 확장하기 위함이다. 전 세계적으로 고등교육 분야가 직면한 2가지 심각한 문제는 경제성과 교육의 목적 적합성으로 판단된다. 대학들이 이론에만 너무 집중해 가르치고 있어 실제로 글로벌 고용주들이 찾는 인재상과 차이가 크다. 2019년 넥스포드대가 출범시킨 파들 알 타르지(Fadl Al Tarzi)는 기술 지원 대학이다. 질 좋고 저렴한 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함으로써 경제성과 인재상 격차를 메우고 있다.직장을 적극적으로 유지하면서 즉시 또는 미래의 직업을 위해 투입할 수 있는 실용적인 기술을 습득하게 된다. 세부 과목을 살펴 보면 실용적이다.경영학, 360° 마케팅, 인공지능(AI) 및 자동화, 기술 스타트업 구축, 비즈니스 분석, 신흥 시장에서의 비즈니스, 디지털 혁신, 전자상거래 및 제품 관리 등의 분야에서 학사 학위를 제공하고 있다. 석사학위는 경영학, 첨단 인공지능(AI), 전자상거래, 초연결성, 지속가능성, 세계 비즈니스 등이다.넥스포드대는 첫 시드에서 450만달러를 모금했고 이번에 1080만달러를 모금해 2021년 6월 현재까지 1530만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다. 두바이(Dubai)에 본사를 둔 벤처투자기업인 VC Global Ventures가 사전 시리즈 A 라운드를 주도했다. 다른 투자자들로는 Future Africa’s new thematic fund, 엔젤 투자자들, 미국, 영국, 프랑스, 두바이, 스위스, 카타르, 나이지리아,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의 10개국 익명의 벤처투자자들이다. ▲넥스포드대(Nexford University) 홈페이지
-
동부그룹(이하 동부)는 김준기 회장이 1969년에 설립한 미륭건설이 모태다. 김준기 회장은 대학을 졸업하기도 전에 취직보다는 창업을 선택한 특이한 인물이다.미국을 방문한 이후 선진국이 되기 위해서는 가전과 관광 등의 산업이 발전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져 사업보국(事業報國)의 일념으로 첫 출발을 했다고 한다. 동부는 국내 대기업 중 창업자가 경영을 하고 있는 거의 유일한 기업이며, 적극적인 M&A로 덩치를 키우고 있다. ◇ 청년창업과 해외건설업 도전은 매우 성공적전문가들이 하는 김준기 회장의 이력에 대한 평가는 매우 대조적이다. 대학 4학년 학생의 신분으로 2400만원을 들고 사업을 시작한 도전의지를 높게 사는 사람들이 많다.모든 학생들이 취직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던 시절에 학생의 신분으로 창업을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요즘 정부가 창조경제를 말하면서 창업을 독려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청년 김준기를 박근혜정부의 청년창업의 성공모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