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오사카대"으로 검색하여,
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오사카대(大阪大)에서 개발한 양자컴퓨터 이미지 [출처=홈페이지]일본 오사카대(大阪大)에 따르면 2023년 12월22일부터 초전도 양자컴퓨터 국산 3호기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작할 계획이다. 국산 부품이나 소프트웨어를 검증해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다.42개 기관이 참여한 '양자소프트웨어컨소시엄'은 양자컴퓨터의 사용 사례를 탐색하고 사용자의 요구나 의견을 반영해 시스템을 발전시킬 방침이다.양자컴퓨터는 기존 컴퓨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짧은 시간에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공동연구그룹은 양자컴퓨터를 초전도 양자비트로 구축해 클라우드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했다.연구자는 원격지에서 양자 알고리즘을 실행하고 소트트웨어의 개량·동작 확인을 하거나 사용 사례를 탐색할 수 있다. 개발된 양자컴퓨터는 이화학연구소(理化学研究所)가 제공한 64 양자 비트칩을 사용하고 있다.이화학연구소는 2023년 3월27일 초전도 양자컴퓨터 초호기의 칩을 클라우드에 공개했다. 당초 3호기에 이화학연구소가 공개한 16양자 비트칩을 장착했다가 동년 11월3일 64양자 비트칩으로 교체했다.3호기는 초호기에서 사용했던 해외에서 수입한 부품을 사용하던 것을 대폭 국산 부품으로 치환했다. 냉동기, 저잡음전원, 저온증폭기, 자기실드 등 많은 부품을 국산으로 교체했지만 높은 수준의 양자 비트 성능을 실현했다.양자컴퓨터는 1980년대부터 이론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했다. 신재료 개발, 금융, 신약 개발, 기계학습 등을 위해서는 계산을 고속화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현재 구글, IBM, 중국과학기술대, 중국저장대, 미국의 스타트업인 리제티(Rigetti) 등만이 59양자비트 이상의 제어를 실현했다. 다수 기업과 대학이 이러한 목료로 도전했지만 성공한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일본 정부는 2023년 3월 이화학연구소, 후지츠, 오사카대, 산업기술총합연구소 등이 공동으로 50 양자비트 이상의 제어에 성공했다. 직접 개발한 2차원 집적회로와 수직배선패키지를 사용했다.
-
2022-03-31일본 국립대학인 오사카대(大阪大学)에 따르면 2025년 오사카 간사이 엑스포에 배양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3D 프린터를 이용한 배양육 양산 기술과 제3자에게 배양육을 제공하기 위한 제도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향후 엑스포 방문자에게 시식용 배양육 제공 여부와 생산 규모에 대해 오사카부와 협의를 진행할 방침이다. 오사카대 고분자화학과 마츠사키 미치야(松崎典弥) 교수팀은 쇠고기에서 늘린 근육과 지방 세포를 3D 프린터를 이용해 섬유 상태로 가공했다. 2021년 국제과학지에 해당 섬유를 활용한 배양육 재현법을 저술했다. 상용화를 위해 정밀기기 제조기업인 시마즈제작소(島津製作所)와 식품 개발 노하우를 지닌 컨설팅기업인 시그마크시스(シグマクシス)와 3자 제휴할 계획이다. ▲오사카대학(大阪大学) 로고
-
2021-08-27일본 오사카대(大阪大學)에 따르면 마블링을 갖는 3D 프린팅된 와규 쇠고기를 실험실에서 생산했다. 와규 쇠고기와 관련된 현재의 가축 사육은 기후와 관련해 지속 가능하지 않다. 가축 사육에서 배출되는 메탄은 엄청난 양의 온실 가스를 대기 중으로 배출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환경을 생각하는 육류 소비를 위해 이 와규 쇠고기는 줄기 세포를 사용하여 만들어졌다.3D 프린팅된 와규 쇠고기는 와규 특유의 마블링 효과를 내는 지방, 근육, 혈관의 복합 구조로 이루어져 완성도 높은 스테이크로 평가된다. 특히 힘줄과 같은 젤을 구성하기 위해 힘줄-겔 통합 바이오프린팅이 개발됐다. 힘줄-겔 통합 바이오프린팅은 원하는 유형의 스테이크 같은 배양육을 제조하기 위한 유망한 기술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오사카대(大阪大學)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일본 오사카대(大阪大)에 따르면 홋카이도대(北海道大)와 공동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전적 변이를 기존의 방법보다 훨씬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연구팀의 연구 결과는 2021년 4월 과학저널 Cell Reports에 게재됐다. 연구원들은 COVID-19의 원인 인자인 SARS-CoV-2의 감염성 클론을 생성하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확립했다.일본 택배회사인 사가와큐빈(佐川急便)에 따르면 7200대에 달하는 모든 운송차량을 전기자동차(EV)로 교체할 계획이다. 탈탄소사회를 지향하기 위한 목적이다.전기자동차의 디자인은 국내 벤처기인 ASF가 담당하고, 제작은 중국 기업에 위탁할 방침이다. 개발할 전기자동차의 항속거리는 200킬로미터가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일본 출판사인 쇼가쿠칸(小学館)에 따르면 2021년 7월 16일 도감 NEO(図鑑NEO)를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체험형 시설을 시작할 계획이다. 해당 도감 NEO는 누계 발행 부수 약 1100만부를 넘는 인기 도서 시리즈이다. 도감에서 설명된 생물들을 실제와 디지털이 융합된 공간에서 체험하는 것이 가능하다. ▲쇼가쿠칸(小学館) 빌딩(출처 : 홈페이지)
-
일본 오사카대(大阪大)에 따르면 홋카이도대(北海道大)와 공동으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전적 변이를 기존의 방법보다 훨씬 빠르게 분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연구팀의 연구 결과는 2021년 4월 과학저널 Cell Reports에 게재됐다. 연구원들은 COVID-19의 원인 인자인 SARS-CoV-2의 감염성 클론을 생성하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을 확립했다.이를 위해 연구원들은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기술을 사용하여 DNA의 작은 부분을 증폭했다. 특히 각 변이로 재조합 바이러스를 생성하고 모 바이러스와 비교해 생물학적 특징을 조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바이러스 변이 유전자의 각 변이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이다. N501Y 돌연변이를 가진 전염성이 높은 코로나 바이러스 변종이 도쿄 전체 사례의 거의 60%를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개발된 시스템은 COVID-19에 대한 새로운 치료제 및 예방 조치의 개발을 촉진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고로 정부는 확산되고 있는 COVID-19로 인해 도쿄 올림픽의 개최 여부를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오사카대(大阪大)의 정문(출처 : 위키피디아)
-
▲ 일본 오사카대(大阪大学) 캠퍼스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오사카대(大阪大)은 2016년 8월 로봇을 활용해 알루미늄합금과 열가소성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을 접합보조재 없이 자동을 직접 연결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기존 2차원뿐만 아니라 3차원에서도 접합이 가능해진다. 이에 경량화가 요구되는 자동차, 고속철도차량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오사카대학(大阪大学)은 2016년 7월 고탄력강판(하이텐)의 접합부분 강도를 2배로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접합부를 넓게 겹치거나 두껍게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차체를 기존 대비 10% 이상 경량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연료비 개선으로 연결된다. 대학은 기업과 연계해 4년 후 실용화할 계획이다.
-
일본 용접기계업체 다이헨은 2016년 용접기술이 세계적으로 알려진 오사카대학과 연계해 두꺼운 철판(후판)을 단기간·저비용으로 용접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기존 대비 큰 전류를 사용해 후판의 표면을 녹혀 접합하기 때문에 용접시간은 1/30로 줄어들고 비용도 80% 이상 절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지금까지 두께 25mm의 철판을 30cm 용접하기 위해서는 600암페어의 전류를 사용해 45분 이상이 걸렸다. 하지만 신기술을 사용하면 전류를 1000암페어로 올려 표면에 얼룩이 생기지 않고 제어해 1분 30초만에 용접이 가능하다.또한 금속표면의 부착 또는 얼룩을 지우는 전처리 등도 현저히 감소해 용접비용도 대폭 억제할 수 있게 됐다.다이헨은 내년 봄까지 일반적인 후판용접 부문에서 세계최고수준의 생산효율성을 보이는 로봇을 실용화해 강재가공업체에 판매할 계획이다.그리고 이번 신형로봇을 통해'용접메카트로사업'의 2015년 3월 455억 엔의 매출액을 2018년 3월 500억 엔까지 확대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
일본 용접기계업체 다이헨은 2016년 오사카대학과 두꺼운 철판을 단기간·저비용으로 용접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기존 대비 큰 전류를 사용하고 후판의 표면을 녹혀 접합해 용접시간이 1/30로 끝나고 비용도 80% 이상 절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