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오토바이 자동차"으로 검색하여,
1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경찰청(警察庁)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일본 경찰청(警察庁)에 따르면 2024년부터 자전거도 자동차·오토바이와 마찬가지로 '청표'에 의한 단속을 도입할 계획이다. 2022년 자전거와 관련된 사망·중상사고의 4분의 3이 자전거의 위반행위로 초래됐기 때문이다.'청표'에 의한 단속은 16세 이상의 이용자에 대해 100여개 위반사항을 지정해 반칙금을 부과하는 것이다. 현재는 교통법규를 위반한 자전거 운전자에게 경고 표시를 보여주고 훈계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대표적인 위반 행위는 △신호 무시 △일시 불정지 △우측 통행 등 통행 구분 위반 △자전거의 통행이 금지돼 있는 장소에 진입 △차단기가 내리고 있는 건널목 진입 △예외적으로 보도를 통행할 수 있는 경우에도 서행 등을 하지 않는 것 △브레이크가 없는 자전거 운전 △휴대전화를 사용하면서 운전 △우산을 들거나 이어폰을 끼고 운전 등이다.위반 행위는 도도부현의 공안위원회에서 정한 사항이 대부분이다. 형사처벌의 대상은 현재와 마찬가지로 △음주 운전, △휴대폰을 사용하며 사고로 이어지는 위험한 운전 등이다.단속의 대상을 16세로 정한 것은 원동기 면허를 등을 취득할 수 있으며 전동킥보드를 운정할 수 있는 나이이기 때문이다. 또한 최소한의 교통 법규를 알고 있다고 생각되므로 위반 행위는 의도적이라고 판단했다.2023년 1~11월 기준 자전거 관련 사고는 6만5397건이 발생해 전년 동기 대비 2000여 건 증가했다. 자전거 관련 사망·중상사고 7197건 중 5201건인 73.2%가 자전거가 사고를 유발했다.2022년 전국적으로 적표에 의한 단속은 2만4549건을 기록했지만 대부분 기소하지 않고 벌칙만 부과했다. 2022년 기준 전국적으로 경고를 받은 자전거 운전행위는 약 113만건을 기록했다.
-
2021-04-16르완다 전기오토바이 스타트업인 앰퍼샌드(Ampersand)에 따르면 EIF(Ecosystem Integrity Fund)로부터 US$ 350만달러의 투자를 확보했다.앰퍼샌드는 아프리카 대륙내에서 최초의 전기오토바이 창업체이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들 중에서 EIF의 벤처투자펀드에 의한 사상 최대 규모의 e-모빌리티 투자금을 모금했다. 앰퍼샌드는 동아프리카 전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500만대의 가솔린 오토바이택시보다 자사의 전기오토바이택시가 더 저렴하고 성능도 우수하다고 주장한다.무엇보다 전기오토바이는 가솔린오토바이보다 최소 75% 더 적은 탄소를 배출한다. 또한 배기관 배출은 제로(0)이다. 르완다의 수도 키길리(Kigali), 우간다의 수도 캄팔라(Kampala) 등은 대기 오염이 극심한 도시이다.전문가들은 "르완다 정부는 2030년까지 오토바이의 30%, 자동차의 8%, 버스의 25%, 미니 및 마이크로버스의 25% 등을 전기 구동기들로 전환하는 것으로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앰퍼샌드(Ampersand) 홈페이지
-
2021-04-06일본 자동차 제조기업인 혼다자동차(ホンダ)에 따르면 2021년 3월 31일 태국 현지 법인에서 오토바이 운영체를 합병했다. 기존의 오토바이 생산, 제조, 지주 회사를 통합해 사업 체제를 효율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새로운 회사의 회사명은 타이 혼다 제조(Thai Honda Manufacturing Co., Ltd)로 유지된다. 해당사의 출자금은 5억5000만바트로 출자비율의 37%는 혼다기연공업주식회사(本田技?工業株式?社)이다. 태국 방콕의 직원 수는 약 9400명으로 조사됐다. ▲혼다자동차(ホンダ)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파키스탄 자동차제조협회(PAMA)의 자료에 따르면 회계연도 2016/17년 7월~3월까지 9개월동안 오토바이 및 삼륜차 생산량은 120만900대로 전년 동기간 99만8040대 대비 증가했다.회계연도 9개월 동안 오토바이 생산량은 71만2040대로 전년 60만1939대 대비 증가했다. 동기간 스즈키(Suzuki) 오토바이 생산량은 1만4712대로 전년 1만2856대 대비 증가했다.▲파키스탄자동차제조협회(PAMA) 로고
-
2017-03-29일본 자동차제조업체 혼다(ホンダ)에 따르면 2017년 3월 닛폰우편과 전기오토바이를 활용한 우편배달망을 정비할 계획이다.우선 우체국에 충전거점을 설치하고 당사가 개발한 우편배달용 전기오토바이의 실용화를 위해 2018년 안으로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닛폰우편은 현재 혼다의 ‘슈퍼커브’ 약 8만5000대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오토바이는 1회 충전으로 주행가능한 거리가 짧고 가솔린 차량에 비해 높은 차량가격이 문제가 된다.이에 혼다는 해당실험을 통해 편의성 및 가격을 낮춰 도입가능성을 확대할 방침이다. 또한 오토바이용으로 개발한 IT시스템을 활용해 경로안내 서비스도 도입할 예정이다.▲슈퍼커브 이미지(출처 : 혼다)
-
인도네시아 정부에 따르면 자동차·오토바이 구입 및 소유에 필요한 서류의 발급수수료를 인상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인상폭이 크고 사전 공지기간이 짧았다는 점에서 판매량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서류별 수수료를 살펴보면 먼저 차량등록증은 이륜차가 5만루피아에서 10만루피아, 사륜차 이상은 7만5000루피아에서 20만루피아로 각각 인상됐다.다음 번호판 발급 수수료는 이륜차가 6만루피아, 사륜차 이상이 10만루피아로 모두 2배이상 인상됐다. 가장 큰 인상폭을 보인 소유증명서는 이륜차가 8만루피아에서 22만5000루피아로 약 3배, 사륜차 이상은 10만루피아에서 37만5000루피아로 약 4배가까이 인상됐다.인도네시아 자동차협회(Gaikindo)는 이 같은 정부의 방침에 따라 판매량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이륜차 구매자들이 비교적 가격차이에 예민하기 때문에 이륜차 브랜드들이 더욱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주장했다.▲인도네시아 정부 홈페이지
-
2016-12-07필리핀 국가세금연구센터(NTRC)에 따르면 필리핀 자동차 세금에 대해 정부가 계획 중인 차량 세금의 인상을 지지했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의 다른 국가와 비교해 최저 수준이기 때문이다.NTRC는 필리핀의 세금은 차량의 가격에 따라 2~60%지만 다른 ASEAN국가들은 최저세율이 10~50% 수준이다. 또한 필리핀 외에 많은 국가들은 오토바이에도 자동차세를 부과하고 있다.
-
아세안자동차연맹(AAF)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1~10월 필리핀의 오토바이 판매량은 94만1847대로 전년 동기 대비 37.9% 증가했다. 회원국 중 최대의 증가율을 기록했다.2위는 싱가포르가 13.8%, 3위는 태국이 5.8%씩 증가했다. ASEAN 전체에서는 791만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한편 자동차 판매에서 필리핀의 증가율은 24.5%였으며 이는 1위인 싱가포르의 50.3%와 2위인 베트남의 32.1%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
대만교통부(中華民國交通部)에 따르면 6월 오토바이 판매량은 8만3580대로 전년 동월 대비 18.1% 증가했다. 대만의 KYMCO(光陽機車) 시장점유율 40%로 전년 동월 대비 12.9% 늘어난 3만3391대를 판매해 1위를 차지했다.또한 일본 야하마의 대만법인 Yamaha Motor Taiwna Co, Ltd.은 2만4440대를 판매해 전년 동월 대비 13.2% 증가했다. 한국 현대자동차를 독점 판매하고 있는 SanYang Motor(三陽工業)는 1만5798대를 판매해 전년 동월 대비 34.9% 늘었다.▲ Taiwan_SanYang Motor_Homepage.jpg▲SanYang Motor(三陽工業)홈페이지
-
베트남 하노이 공산당위원회는 2025년을 목표로 도심에서 오토바이 사용규제 계획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교통상황 악화의 원인으로 보이는 오토바이의 이용을 제한하려는 생각이다. 향후 자동차와 오토바이의 증가가 예상돼 교통체증이 심해질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