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우유생산량"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인도네시아 낙농협회(APSPI)의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국내 우유생산량은 80만5000톤으로 지난 3년간 16.50% 감소했다. 젖소의 사육두수도 52만5171여마리로 14.17% 줄었다.현재 우유제품의 내수 충족률이 20%밖에 되지 않은 상황에 우유생산량은 점점 축소되고 있다. 참고로 국내 우유공급량의 내수충당률은 1998년 30%에서 2016년 11월 기준 20%까지 하락됐다.매년 우유제품 수입량은 300만톤에 달할 정도로 큰 규모이지만 내수를 받쳐주기 위해서는 해외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우유 수입대상국은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이다.이처럼 국내 낙농업계에 대한 투자가 절실한 상황이지만 정부의 지원은 거의 없는 상태다. 그러나 국민소득이 상승할수록 유제품 수요도 확대되기 때문에 자급생산은 더욱 강조될 것으로 전망된다.올해 3월 뉴질랜드로부터 유제품 가공산업에 대한 투자의사가 표명됐다. 그러나 낙농전문가들은 가공산업 이전에 '원유공급'부터 개선 및 확대돼야 국내 낙농산업이 발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젖소 이미지(출처 : morrisonsfeeds)
-
인도네시아 낙농협회(APSPI)의 자료에 따르면 2015년 국내 우유생산량은 80.5만 톤으로 지난 3년간 16.5% 감소했다. 젖소의 사육두수도 52만여 마리로 14.17% 줄었다.매년 우유제품 수입량은 300만 톤에 달하지만 내수를 총족하기 위해서는 해외수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낙농부문 투자가 절실한 상황이지만 국가차원의 지원은 거의 없는 상태다.
-
우크라이나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1~5월 우유생산량은 38.2만 톤으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7% 감소했다. 지난해 감소추세에 비해 그 속도가 둔화되고 있어 비교적 안정적인 생산성이라고 판단된다.현재 고품질 원유생산을 위한 가공기술에 집중하고 있으며 지난해부터 북부지역의 우유공급량이 증대되고 있어 내년이면 생산성이 더욱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
뉴질랜드 글로벌 유제품제조사인 폰테라(Fonterra)는 2016년 4월 기준 12개월동안 오스트레일리아 축산농가의 우유 생산량은 1% 감소했다고 밝혔다. 가뭄과 낮은 유제품 가격이 주요인이다.2016년 3월 기준 오스트레일리아의 유제품 수출은 6% 증가했는데 치즈는 13%, 분유는 12%, 신선우유는 11% 각각 늘어났다. 2016년 4월 기준 폰테라의 중국 유제품 수출량은 18% 증가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