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유통기업"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2-04-14인도 음료 제조 및 유통기업인 힌두스탄 코카콜라 베버리지(HCCB)에 따르면 텔랑가나(Telangana)주에 2번째 공장을 건설할 계획이다. 투자 규모는 100억루피이다. 해당 공장은 시디펫(Siddipet) 지방자치단체의 반다티마퍼(Bandathimmapur) 식품 가공 산업 단지 내에 위치할 예정이다. 텔랑가나 주정부에서 토지 49에이커를 할당했다. 향후 5년간 건설 첫 번째 단계에 60억루피, 이후 40억루피로 나눠 진행한다. 완공 이후 향후 10년 동안 제조 규모를 2배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2023년말부터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며 고용 인원의 50% 이상은 여성이다. 힌두스탄 코카콜라 베버리지(HCCB)는 텔랑가나 주정부와 장기간 전략적 파트너쉽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며 수자원 운영, 폐기물 관리, 청년 교육에 힘쓸 방침이다. ▲힌두스탄 코카콜라 베버리지(HCCB) 로고
-
일본 물류및유통기업인 세븐&아이홀딩스(セブン&アイ・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2022년 2월 21일 산하 백화점 기업인 소고·세이부(そごう・西武)의 매각처 선정 1차 입찰을 마감했다. 투자펀드를 포함한 다양한 입찰이 있었으며 향후 매각액 등 조건에 대한 본격적인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주식 매각을 포함해 다양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검토할 방침이다. 해당사는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영업 휴업 및 영업 시간 단축과 더불어 온라인 쇼핑 보급 확산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소고·세이부의 2021년 2월기 최종 이익은 172억엔의 적자를 기록했다. 수익 개선을 위해 소고·세이부의 매각과 편의점 프랜차이즈점인 세븐일레븐(セブン―イレブン)의 편의점 사업에 집중하라는 주주들의 강한 압력을 받고 있다.▲소고·세이부(そごう・西武) 로고
-
뉴질랜드 제약유통기업 에보스그룹(Ebos Group)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의 약국체인 운영기업과 의약품을 유통하는 계약을 체결했다.케미스트웨어하우스(Chemist Warehouse), 마이케미스트(My Chemist) 등 400개 이상 약국에 의약품을 유통할 계획이다. 5년간 의약품 공급협약은 내년인 2019년 7월 1일부터 발효되며 향후 3년간 추가로 공급계약을 연장할 수도 있다. 이번 계약에 따라 에보스는 연간 NZ$ 10억900만달러의 매출을 새롭게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에보스그룹(Ebos Group) 로고
-
오스트레일리아 의약품 도매 및 유통기업 EBOS Group에 따르면 2017년 6월 30일마감 기준 연간 이익은 $A 1억3300만달러로 전년 1억2700만달러 대비 4.9% 증가했다.연간 매출액은 76억달러로 전년 71억달러 대비 5억달러 증가했다. 세전이익은 7.1% 증가해 2억88만달러를 기록했다.그 중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수입은 6.1% 증가해 1억6500만달러, 뉴질랜드에서의 수입은 11% 증가해 440만달러를 기록했다.2017년 기준 순부채는 4억3500만달러로 전년 2억4800만 달러 대비 27.4% 증가했다. 이전 연도에 18.5% 증가한 것에 비해 부채증가율이 확대됐다. 자회사 EBOS는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를 기반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EBOS Group 홈페이지
-
중국 상하이시상무위원회(上海市商务委员会)에 따르면 2017년 원단(元旦)기간 상하기 405개 대·중형기업의 매출액이 56억5000만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했다.또한 원단기간 빠바이반(八佰伴)백화점의 매출액은 6억4000만위안으로 방문객은 12만명을 기록했다. 치바오완커(七宝万科)쇼핑몰의 매출은 3000만위안, 방문객은 약 36만명으로 각각 집계됐다.▲ China_SMCC(Shanghai Municipal Commission of Commerce)_Homepage▲상하이시상무위원회(上海市商务委员会) 홈페이지
-
물류유통기업 GLP China & Brookfield자산운영(Brookfield Asset Management)에 따르면 중국내 냉동창고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중국 소비자들의 야채, 과일, 치즈, 생선, 아이스크림 등 고품질 냉동 제품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6년말 기준 중국내 냉장면적이 120만평방미터로 1년전 대비 약 35% 증가했다. 의약품 및 식품회사들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GLP China는 싱가포르 물류기업 Global Logistic Properties Ltd.의 자회사이다.브라질 Brookfield자산운영(Brookfield Asset Management)은 상하이 인근에 약 25만평방피트, 우시시 인근에 약 50만평방피트의 냉동시설을 건설 중에 있다. 또한 향후 수년내 총 200만평방피트를 건설할 예정이다.중국의 중위소득자가 연간 2000만명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이 고품질 냉동제품 구매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중국에서 냉동창고 건설비용은 1피트당 $US 55달러로 애틀랜타에서의 개발비용과 크게 차이 나지 않지만 렌트비용은 미국 대비 50% 이상 비싸다.▲ Singapore_GLP_Homepage 3▲GLP(Global Logistic Properties Ltd.) 홈페이지
-
[일본] 철강유통기업 메탈크라프트마치무라, 레이저가공기를 1기를 증설해 2차가공을 통한 수주증가 기대
-
신세계는 이명희 회장의 과감한 경영전략과 전문경영인 영입으로 급격한 성장을 경험했다. 1993년 국내 최초로 할인점을 도입한 이후 국내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으며, 백화점 사업도 나름 선전하고 있다.국내기업을 넘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갖고 중국, 베트남 사업 등을 활발하게 펼치고 있지만 아직 가시적인 성과는 나오지 않고 있다. 신세계의 기업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SWEAT Model의 첫 번째 DNA인 비전(Vision)을 목표(goal)와 책임(responsibility) 측면에서 평가해 보자.◇ 세계 10대 유통그룹을 목표로 삼았지만 아직 가야 할 길은 멀어2005년 이명희 회장은 2013년까지 신세계를 세계 10 대 유통그룹으로 키울 것이라는 목표를 세웠다. 신세계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할인점 브랜드인 이마트를 첨병으로 내세워 국내 130개, 중국 25개의 점포를 개설하겠다는 수치도 제시했다.2013년 11월 현재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