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인수 예정"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2-07▲ 새마을금고중앙회 본부[출처=새마을금고중앙회]새마을금고중앙회(회장 김인)에 따르면 새마을금고 홈페이지(www.kfcc.co.kr)를 통해 인수 절차가 진행 중인 ‘엠캐피탈’의 대표이사 후보를 공개모집한다.지원서 서류접수는 2025년 2월17일부터 2월18일까지 2일간 새마을금고중앙회 중앙본부(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114길 20) 방문을 통해 접수할 수 있다.서류 접수가 끝나면 위원회 서류심사 및 면접심사를 거쳐 최종 후보자를 엠캐피탈 주주총회에 추천한다. 엠캐피탈 주주총회(이사 선임) 및 이사회(대표이사 선임) 의결로 대표이사가 최종 선임될 예정이다.지원자격은 「금융회사 지배구조법」 제5조(임원의 자격요건)를 충족하면서 △ 금고, 중앙회, 한국은행 또는 「금융위원회의 설치 등에 관한 법률」제38조에 따른 검사대상기관에서 상근직으로 10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 금융 관련 국가기관, 연구기관, 교육기관에서 공무원이나 상근직으로 10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경우 지원할 수 있다.공개모집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새마을금고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번 공개모집 절차를 거쳐 최종 대표이사 선임 전까지 엠캐피탈은 임시 대표이사 체제로 당분간 운영될 방침이다.
-
▲ 태국 국기[출처=CIA]지난 7월 2주차 태국 경제는 정부가 방콕 우완나품과 돈 므앙 공항을 포함한 국제공항 8곳에 위치한 도착장 면세점 운영을 중단한다. 이를 통해 방문객들이 공항 면세점이 아닌 국내의 타지역에서의 소비를 유도한다.중국 전기자동차(EV) 대기업 BYD는 태국 현지 판매점 Rever Automotive 지분을 20% 인수할 계획이다. ◇ 태국 정부는 국제공항의 도착장 면세점의 운영 중단할 계획태국 정부에 따르면 국제공항의 도착장의 면세점 운영을 중단할 계획이다. 방콕의 우완나품과 돈 므앙 공항을 포함한 8개 국제공항이 대상이다. 방문자가 공항 면세점이 아니라 국내 다른 지역에서 소비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이번 조치로 해외 여행객 1인당 570바트 이상을 지역에서 지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은행의 조사에 따르면 태국은 2024년 3600만 명의 관광객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 2023년 기준 태국의 인바운드 면세점 매출액은 20억2000만 바트(약 US$8290만 달러)로 집계됐다.중국 전기자동차(EV) 대기업 BYD,는태국 현지 판매점인 Rever Automotive의 지분 20%를 인수할 예정이다. 이번주에 라용에 동남아시아에서 처음으로 제조공장을 오픈했으며 1만 명의 근로자를 고용해 연간 15만 대를 생산할 계획이다.
-
▲ 영국 배송기업인 요들(Yodel) 로고영국 배송기업인 요들(Yodel)에 따르면 근시일에 경쟁사인 시프트(Shift)에 인수될 예정이다. 인수 합병으로 요들의 직원 수천 명이 해고될 위기에서 벗어났다.요들의 모회사인 글로벌 금융 서비스기업인 바클리즈(Barclays)는 요들의 매각이 기존의 고객 기반을 유지하며 향후 운영 불안정성을 안정화시킬 방안으로 판단했다.시프트와 투자은행인 솔라노 파트너스(Solano Partners)의 컨소시엄인 YDLGP는 요들과 인수 합병계약을 체결했다. 시프트는 2023년 로지스틱 기업인 터프넬스(Tuffnells)의 일부 지분을 인수한 바 있다.요들 인수 계약을 통해 YDLGP는 국내 물류업계의 파워하우스를 조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요들의 인공지능(AI) 기반 기술 플랫폼이 로지스틱 운영의 효율성과 자동화를 높일 것으로 기대됐다.요들의 배달 건수는 영국 국내 50곳에 걸쳐 연간 1억9000만 건 이상으로 조사됐다. 2023년 매출액은 5억6180만 파운드로 집계됐다.
-
남아프리카공화국 정보 보안 전문기업인 알트론(Altron)에 따르면 R2억4500만랜드에 동종기업인 로트러스트(Lawtrust)를 인수할 예정이다. 로트러스트는 규정을 준수해 개인 정보를 암호화된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상업용 및 사내 암호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모기업은 기술그룹인 이션(Etion)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이동통신사인 셀C(Cell C)에 따르면 2020년 12월 31일 마감 기준 연간 손실 및 일회성 비용 등이 R55억랜드로 집계됐다.1년 내내 적자를 기록했다. 2020년 연간 총 매출액은 138억랜드로 전년 151억랜드 대비 8% 감소했다. 반면 2020년 1분기 76억랜드의 손실을 냈던 것과 대조적으로 2021년 1분기에는 손실이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다국적 전자상거래기업이자 기술기업인 아마존(Amazon)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에 아프리카 본사를 설립할 계획이다. 남아공 수도인 케이프타운(Cape Town)에 R40억랜드 규모의 River Club 복합용도 개발단지 내에 건설한다. 본사 건설 단계에서만 5239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아마존(Amazon) 로고
-
2021-04-24남아프리카공화국 정보 보안 전문기업인 알트론(Altron)에 따르면 R2억4500만랜드에 동종기업인 로트러스트(Lawtrust)를 인수할 예정이다. 로트러스트는 규정을 준수해 개인 정보를 암호화된 형식으로 저장할 수 있는 다양한 상업용 및 사내 암호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모기업은 기술그룹인 이션(Etion)이다. 이션은 주주 가치 실현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정보 보안 전문 자회사인 로트러스트를 매각하려는 것으로 분석된다. 2020년 9월 30일 기준 지난 6개월 동안 로트러스트는 2100만랜드의 수익을 창출했다. 로트러스트의 순자산 가치는 1억200만랜드이다.이번 거래에 대해 이션은 주주들로부터 매각처분 승인을 얻어야 한다. 알트론은 경쟁위원회로부터 로트러스트 인수에 대한 허가도 받아야 한다. ▲알트론(Altron) 홈페이지
-
영국 런던 본사의 글로벌 담배회사인 브리티쉬 아메리칸 타바코(BAT)에 따르면 캐나다 기반의 대마초 생산업체인 OrganiGram의 지분 20%를 £1억2600만파운드에 인수할 예정이다.OrganiGram은 2018년 의약 외의 대마초 사용이 합법화된 캐나다에서 대마초를 재배하고 대마초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관련 제품을 만드는 기업이다.북미의 담배 및 음료 대기업들은 대마초 산업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다. 대마초 추출 성분 제품은 담배보다 덜 해로운 기호식품이라는 인식이 높다.이번 계약으로 브리티쉬 아메리칸 타바코는 연구 및 기술 개발, 제품 혁신, 대마초 전문지식 등을 접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브리티쉬 아메리칸 타바코(British American Tobacco, BAT) 웹사이트
-
2021-03-05캐나다 전기자동차 배터리 제조업체인 딥그린메탈(DeepGreen Metals)에 따르면 C$ 29억 달러에 인수돼 상장된다.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인 Sustainable Opportunities Acquisition가 매입한다. 이번 거래는 Maersk Supply Service 및 Glencore와 같은 기존 전략 투자자에 추가해 이뤄진다. 특히 Allseas와 함께 하는 투자자들로부터 3억3000만 달러의 민간 투자가 단행된다.딥그린 메탈은 밴쿠버에 본사가 위치해 있다. 딥그린 메탈의 파트너로는 덴마크 해운회사인 Maersk와 스위스 해양 시추회사인 Allseas Group SA가 있다.이와 같은 협력을 통해 딥그린 메탈은 심해에서 발견되는 폴리 메탈릭 암석에서 금속을 생산해 전기자동차에 전력을 공급할 배터리에 사용할 계획이다.딥그린 메탈의 상장을 통해 전기자동차 배터리용 금속 공급이 더욱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노무라 그린테크와 시티가 딥그린 메탈의 재정 자문을 담당하고 있다.▲ 딥그린 메탈(DeepGreen Metal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국내 및 북미 도시 유료도로 네트워크 관리 및 개발기업 트랜서반(Transurban)에 따르면 캐나다(Canada)의 몬트리올 유료도로 및 교량을 A$ 8억6100만달러에 인수할 예정이다.트랜서반은 미국의 인프라전문 투자기업 맥쿼리인프라파트너스(MIP)로부터 7.2킬로미터 길이의 유료도로 및 교량인 A25를 구입할 방침이다. 회계연도 2016/17년 기준 A25의 1일 평균 교통량은 4만6535대로 전년 대비 4% 증가했다. 교통량의 9%는 트럭에 의해 발생된다.트랜서반은 유료도로 관리를 개선함으로써 A25의 이익마진이 68%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의 사업을 확장해 장기적인 수익창출에 집중할 계획이다. ▲트랜서반(Transurban) 로고
-
중국 투자펀드기업 GSR에 따르면 일본 닛산자동차의 전기자동차(EV) 리프에 탑재되는 배터리 생산 자회사 AESC(Automotive Energy Supply Corporation)를 인수하기로 결정했다. 인수 예상금액은 60억8000만위안으로 2017년 협상을 마무리할 예정이다.중국 정부의 EV 장려정책에 따라 전기자동차 및 배터리 산업의 시장이 확대되면서 글로벌기업의 중국 진출뿐만 아니라 중국 내 기업의 투자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일본 닛산자동차는 중국 현지 업체의 배터리산업 급성장에 따라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고 첨단 배터리 연구개발에 자원을 집중하기로 결정했다.▲ Japan_AESC(Automotive Energy Supply Corporation)_Homepage 1▲AESC(Automotive Energy Supply Corporation) 홈페이지
-
싱가포르 해양조선업체 NOL에 따르면 2016년 7월 4일 프랑스 동종계 CMA CGM으로부터 인수명목 조건부계약금 34억달러가 모두 납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당사는 싱가포르증권거래소 상장기업에서 탈퇴될 예정이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