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임금 감소"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일본 후생노동성(厚生労働省)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후생노동성(厚生労働省)에 따르면 2023년 1년간 일하는 사람 1인당 실질임금은 전년 대비 2.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임금 인상률이 물가 상승률을 따라잡지 못한 것이 주요인이다.일하는 사람 1인당 현금급여의 총액은 월평균 32만9859엔으로 전년 대비 1.2% 증가했다. 기본급, 잔업수당, 보너스 등을 모두 포함한 금액이다.세부 내역을 살펴보면 풀타임 근로자의 월평균 급여는 43만6849엔, 파트타임 근로자의 월평균 급여는 10만4570앤을 각각 기록했다. 모두 통계를 작성한 1993년 이후 가장 많았다.2023년 물가상승률은 3.8%로 42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따라서 물가 변동분을 반영한 실질임금은 전년 대비 2.5% 줄어들었다.2023년 12월 기준 1인당 현금급여 총액금(속보치)은 전년 동월 대비 1% 증가했지만 실질임금은 1.9% 감소했다. 실질임금을 기분으로 보면 21개월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참고로 후생노동성은 5명 이상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기업 3만 여개를 대상으로 '매월 근로통계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
영국 싱크 탱크인 레절루션 파운데이션(Resolution Foundation)에 따르면 2022년 1월 중순 기준 임금이 감소하는 기간은 2022년 하반기 물가상승률이 완화되기 전으로 전망된다. 즉 2022년 하반기에 임금 감소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다. 2021년 11월부터 실질임금이 공식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했다.2022년 1월 최근 공식 통계에 의해서도 평균 임금 인상이 생활비 상승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2021년 11월까지 1년 동안 임금이 올랐지만 임금이 물가만큼 빠르게 오르지는 못했다.이는 물가 상승에 따라 조정된 주당 평균 급여가 2020년 7월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음을 의미한다. 상여금을 제외하고 물가상승률을 조정한 정기급여는 2021년 11월 한 달간 전년 동월 대비 1% 하락했다.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 동안 임금은 연간 3.8% 상승했다. 이는 2021년 8월부터 10월까지 3개월 동안 기록한 임금의 연간 4.3% 상승 대비 낮은 수치이다.연봉이 상당히 강하게 성장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물가 상승으로 인해 연봉이 오른 것을 체감하지 못하는 것이다. 중앙은행(BoE)은 2021년 11월 물가상승률이 5.1%까지 올랐고 2022년 봄에는 최소 6%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레절루션 파운데이션(Resolution Foundation) 로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