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장갑"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한화시스템, ‘아발론 에어쇼 2025’에서 C4I(전술지휘통제통신) 솔루션 기술력을 선보인다[출처=한화시스템]한화시스템(대표이사 손재일)에 따르면 한화시스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대표이사 김동관, 손재일)가 2025년 3월25일(화)부터 30일(일)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질롱에 위치한 아발론 공항에서 열리는 ‘아발론 에어쇼(Avalon Australian International Airshow) 2025’에 참가한다.2023년 12월 우리 기술로 만든 미래형 궤도 보병전투장갑차 ‘레드백’의 오스트레일아 수출에 성공했던 한화가 이번에는 첨단 군 위성통신 솔루션을 제시하며 다시 한번 도전장을 내민다.아발론 에어쇼는 격년마다 열리는 오세아니아 지역 최대 규모 국제 에어쇼로 2023년 37개국 794개 업체가 참가했다.당시에 5만 명의 전 세계 항공·우주 전문가와 주요 국방 인사들이 참여한 바 있다. 2023년 아발론 에어쇼에 처음으로 참가했던 한화는 올해 240㎡ 규모의 부스를 선보인다.◇ 한화시스템, 차세대 군(軍) 통신 시장 도전… 어떠한 전장 상황에서도 ‘초연결’ 통신 구현한화시스템은 어떠한 전장 상황에서도 군이 고속으로 통신하고 신속하게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초연결 전술통신시스템을 오스트레일아에서 선보인다. 본 시스템은 전술 5G 통신과 저궤도 위성통신을 기반으로 한 군(軍) 통신 솔루션이다.한화시스템의 초연결 전술통신솔루션은 육·해·공·우주를 연결해 전쟁 중 지상 통신망이 단절되어도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고해상도 영상 스트리밍, 신속한 지휘결심 지원 등 원활한 통신을 가능케 한다.특히 현재 운용되고 있는 오스트레일라아군 통신시스템과도 연동 및 상호 호환이 가능하다. 유무인 복합체계(MUM-T) 실현을 위한 핵심 통신 솔루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한화시스템은 차세대 초연결 전술통신솔루션 MOSS 플랫폼(Modular Open Suite of Standard Platform) 전시에도 힘을 줬다.MOSS 플랫폼은 미래 지상전투체계에 최적화된 지휘통제통신 통합 솔루션으로 한화시스템은 최근 더욱 소형화된 모델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휴대성 및 상호운용성을 높인 만큼 전차·장갑차·지휘관 차량 등은 물론, 더욱 다양한 지상 플랫폼에 탑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한편 한화시스템은 아발론 에어쇼 전시장에서 질롱시 레드백 생산공장을 연결, 타이곤(유인 장갑차)-무인 지상 차량(UGV)-드론 간 ‘실시간 영상 전송’ 시연도 선보인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차륜형 장갑차 ‘타이곤’에 이동형 5G 기지국을 탑재해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을 수신하고, 해당 영상을 다시 광대역 무전기를 통해 전시장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방식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폴란드 호평’받은 천무 실물 호주에서도 선보여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폴란드군의 호평을 받고 있는 천무 다연장 로켓의 실물을 전시한다. 적의 장사정포 사정권 밖에서 아군의 피해 없이 핵심 표적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차세대 화력 장비다.발사대 내 2개 사격 포드 탑재가 가능하며, GPS/INS 복합항법장치를 탑재한 유도탄은 정밀한 타격이 가능하다. 경쟁사와 견줘볼 때 성능뿐 아니라 합리적인 가격 및 빠른 납기에 대한 기대로 다연장로켓 도입이 시급한 국가는 하이마스 등과 함께 천무를 동시에 저울질하고 있다.◇ 한화, ‘상층방어’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 L-SAM 역량 호주 시장에서 공개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한국이 개발한 상층방어용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체계(L-SAM)’ 시스템도 호주군에 선보였다.상층방어 시스템인 L-SAM은 기존의 하층방어 시스템(M-SAM, PAC-3 등)과 함께 운용될 수 있다. C2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한층 강화된 방어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L-SAM 시스템의 핵심인 유도탄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다기능레이다(MFR)는 한화시스템이 개발했다.
-
2025-01-16▲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사녹 맵에 루트 트럭 재도입[출처=크래프톤]㈜크래프톤(대표 김창한)에 따르면 PUBG: 배틀그라운드(PUBG: BATTLEGROUNDS, 이하 배틀그라운드)의 33.2 업데이트를 라이브 서버에 적용했다.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새로운 파밍 기회를 제공하는 ‘루트 트럭’이 사녹 맵에 돌아왔다. 루트 트럭은 정해진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중장갑 차량으로 총기 및 투척 무기로 피해를 입히면 아이템이 담긴 상자가 떨어진다.트럭 파괴 시 화물칸 내부로 진입할 수 있으며, 스쿼드 전원이 무장할 수 있을 정도의 장비와 특별한 무기를 획득할 수 있다. 루트 트럭은 일반 매치, 사용자 지정 매치 및 아케이드에 적용된다.건 플레이 실험실에서는 개선된 총기 저지력을 선보인다. 각 총기의 특성과 밸런스를 바탕으로 저지력을 조정하고 카테고리별로 상이한 저지력을 적용한다.오는 22일부터 이용자는 향후 모든 모드에 반영될 예정인 개선된 저지력을 미리 체험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개발진은 게임 플레이 데이터와 이용자 피드백을 기반으로 총기 저지력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상점에는 새로운 테마의 ‘2025 설맞이 대축제’와 함께 다채로운 상품을 추가했다. 제작소 패스, 밀수품 상자, 스텝 업 패키지, 전리품 팩을 통해 그리스 신화에서 영감을 받은 신규 성장형 무기 스킨, 크로마 등 다양한 아이템을 만나볼 수 있다. 설맞이 대축제 상품은 PC에서 1월 15일부터 3월 12일, 콘솔에서는 1월 23일부터 3월 20일까지 판매된다.이외에도 ▲사녹 맵에 부활 시스템 추가 ▲마스터리 메달 정보 관련 UI 개선 ▲사용자 지정 매치에 핫드랍 모드 추가 ▲신규 로비 음악 ‘New Year 2025’ 추가 ▲전반적인 사녹, 카라킨, 비켄디 맵 관련 버그 수정 등의 업데이트를 진행했다.배틀그라운드 33.2 라이브 서버 업데이트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공식 카페(http://cafe.naver.com/playbattlegrounds)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한화시스템, 이집트에 공급할 K9A1 자주포 사격통제시스템 구성도[출처=한화시스템]한화시스템(대표이사 손재일)에 따르면 K11 사격지휘장갑차와 K9A1(K9 성능개량형) 자주포의 ‘두뇌’에 해당하는 핵심 시스템 2종을 이집트에 수출한다.2022년 2월 계약체결 후 2023년 사업에 돌입한 K11 사격지휘장갑차 51대 및 K9A1 자주포 216대 물량에 각각 사격지휘체계와 사격통제시스템을 공급한다. 계약 규모는 각각 305억 원, 443억 원이다.K11 사격지휘장갑차는 K9A1 자주포의 사격을 지휘·통제하는 차량으로 한화시스템이 다년간 축적한 지휘통제 기술을 활용해 자체 개발한 시스템이다.1대당 6대의 K9A1 자주포를 담당한다. K11 사격지휘장갑차에 적용되는 사격지휘체계는 핵심 전술통제장치로 K9A1 자주포에 탑재된 사격통제시스템에 표적의 피아식별 및 실시간 위치·방향·속도 등 사격 관련 정보를 전달하고 발사 명령을 하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국내 방산업체가 개발한 사격지휘체계가 해외로 수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통상 폴란드·노르웨이 등 사격지휘장갑차를 수입한 국가들은 국가별 운용 개념 차이 등을 이유로 사격지휘체계를 자국 업체의 제품으로 탑재해왔다.한화시스템은 바다가 인접해 있어 적대적 선박에 대한 해안포 사격 기능이 필수적인 이집트의 현지 환경 및 운용 요구조건 등을 반영해 사격지휘체계를 맞춤 개량한 후 공급할 예정이다.함께 수출되는 K9A1 자주포 사격통제시스템은 K11 사격지휘장갑차로부터 받은 사격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화포를 발사하고자 하는 목표의 미래 위치를 계산하고 예측해 해당 방향으로 화포를 지향·조준하도록 하는 탄도계산 컴퓨터다. 2025년 상반기 초도물량 납품을 시작으로 2028년 12월까지 이집트에 번 계약된 K11 사격지휘체계 및 K9A1 사격통제시스템을 공급할 예정이다.한화시스템은 30여 년간 K2 전차·K21 장갑차·K9 자주포·30mm 차륜형대공포와 같은 다양한 기동·화력·방공무기체계에 자체 개발한 사격통제시스템을 탑재해왔다.사격통제시스템이 중동에 수출되는 것 또한 국내 첫 사례다. 2023년 12월 폴란드에 수출된 K2 전차에도 사격통제시스템을 공급한 바 있다.한화시스템은 "도전적 개발을 통해 중동에 첫 사격지휘체계 수출 물꼬를 트게 돼 기쁘다.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신규 수출 품목을 확보하고 K-방산 기술력을 알리며 해외 시장 진출을 보다 확대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
2024-12-19▲ ㈜아성다이소, 보훈가족과 함께하는 ‘따뜻한 크리스마스 다이닝’ 배식 봉사활동 진행(왼쪽부터 ㈜아성다이소 관계자,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허기복 밥상공동체 연탄은행 대표, 전종호 서울지방보훈청장)[출처=아성다이소]균일가 생활용품점 ㈜아성다이소(회장 박정부)에 따르면 취약계층 국가유공자분들을 대상으로 ‘따뜻한 크리스마스 다이닝’ 배식 봉사활동을 진행했다.봉사활동에는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전종호 서울지방보훈청장, 허기복 밥상공동체 연탄은행 대표, 아성다이소 임직원 등 관계자 약 30여 명이 참여했다.참여자들은 취약계층 국가유공자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배식 및 설거지, 뒷정리 등 봉사활동을 진행했다. 귀마개, 장갑, 넥워머 등 따뜻한 겨울을 보내는 데 도움이 되는 다이소 상품으로 구성한 ‘행복박스’도 전달했다.또한 ‘가천대 한의학과 봉사동아리’의 한방의료 지원과 ‘브릴란떼 어린이 합창단’의 식전 공연으로 봉사활동의 의미를 더했다.한편 아성다이소는 2020년부터 매년 서울지방보훈청 국가유공자에게 행복박스를 지원해오고 있다.아성다이소 관계자는 “크리스마스를 맞아 국가유공자분들을 예우하고 감사의 마음을 전하고자 이번 활동을 준비했다. 앞으로도 다이소는 지역사회에 보탬이 될 만한 활동을 계속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따뜻한 크리스마스 다이닝’ 배식 봉사활동((주)아성다이소 관계자(왼쪽에서 다섯번째)와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왼쪽에서 일곱번째))[출처=아성다이소]
-
▲ 싱가포르 ST 엔지니어링(Singapore Technologies Engineering) 로고[출처=ST 엔지니어링 홈페이지]2024년 12월16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필리핀을 포함한다. 싱가포르 ST 엔지니어링에 따르면 카자흐스탄 KPE의 장갑차 생산에 대한 기술적인 지원을 합의했다.필리핀 페로녹스 홀딩스는 8000만 페소 가치의 자사 지분을 테미스 그룹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 싱가포르 ST 엔지니어링(Singapore Technologies Engineering), 카자흐스탄 파라마운트 엔지니어링(KPE)과 수륙양용 다목적 장갑차 생산싱가포르 ST 엔지니어링(Singapore Technologies Engineering)에 따르면 수륙 양용 다목적 장갑차를 생산하기 위해 카자흐스탄 파라마운트 엔지니어링(KPE)과 협력한다.ST 엔지니어링은 보병전투차량 테렉스(Terrex)를 기반으로 한 기술적인 지원에 나선다. 2025년부터 카자흐스탄에 위치한 KPE의 생산시설에서 제조된다.참고로 KPE의 연간 장갑차 생산용량은 500대이며 카자흐스탄의 독특한 지형은 차량의 현지화 및 연구,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필리핀 페로녹스 홀딩스(Ferronoux Holdings Inc.), 테미스 그룹(Themis Group Corporation)에 자사 지분 23.4% 매각필리핀 페로녹스 홀딩스(Ferronoux Holdings Inc.)에 따르면 8000만 페소 가치의 자사 지분 23.4%를 테미스 그룹(Themis Group Corporation)에 매각했다.페로녹스는 2001년 12월 금융기업 AGF(AG Finance Inc.)으로 시작한 바 있다. 2015년 지주회사로 전환하며 광산 및 제련 부문으로 사업을 다각화했다.2017년 ISOC 홀딩스(ISOC Holdings Inc.)는 RYM 비지니스 매니지먼트(RYM Business Management Corporation)가 보유하고 있었던 AGF(現 페로녹스)의 지분 67%를 매수했다.
-
2024-12-12▲ ㈜아성다이소, 방한용품, 패브릭 소품, 패션잡화 등 총 70여 종의 상품 ‘윈터투게더 시리즈’ 출시[출처=아성다이소]균일가 생활용품점 ㈜아성다이소(회장 박정부)에 따르면 ‘윈터투게더 시리즈’를 출시했다. 이번 시리즈는 귀여운 동물 캐릭터와 모던하고 심플한 디자인으로 기획해 따뜻한 겨울을 보낼 수 있는 상품으로 구성했다.원터투게더 시리즈는 방한용품, 패브릭 소품, 패션잡화 등 70여 종의 상품을 선보인다. 방한용품은 따뜻한 재질과 앙증맞은 포인트가 있는 상품으로 구성했다.‘윈터투게더 원 포인트 아동 비니’는 겨울철 머리를 따뜻하게 감싸주면서도 신축성이 뛰어나 편하게 착용하기 좋은 상품이다. 캐릭터가 그려진 라벨이 귀여움을 더해준다.‘윈터투게더 아동 자수 포인트 장갑’은 토끼 자수가 새겨진 아동용 장갑으로 연결 끈이 있어 분실의 우려를 덜어줄 뿐만 아니라 엄지와 검지로 스마트폰 터치가 가능하다.‘테두리 포인트 디자인 담요’는 무릎을 덮기 좋은 가로세로 약 100센티미터(cm) 사이즈 상품으로 테두리를 따라 정교하게 꼬인 마감과 귀여운 동물 프린팅이 매력적인 상품이다. 집 외에도 사무실이나 교실 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하기 좋다.보는 것만으로도 포근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패브릭 소품도 준비했다. 양털처럼 뽀글뽀글한 질감의 곰돌이 모양 ‘윈터투게더 캐릭터 등받이 쿠션’은 피부에 닿는 촉감이 포근해 낮잠 베개로 사용하거나 책이나 영화를 볼 때 품에 안고 있기에도 좋다.소파나 침대 위에 올려두면 사랑스러운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제격이다. 부드러운 재질의 ‘윈터투게더 원형 방석’은 뒷면에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 있어 안정적이다. 동물 캐릭터 디자인이 돋보여 실내 장식으로 활용하기도 좋다.‘부드러운 패션 발 쿠션’은 커다란 슬리퍼를 닮은 모양새로 도톰한 주머니 안에 시린 양발을 쏙 넣어 감싸주는 상품이다.미끄럼 방지 처리가 있어 밀림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발 쿠션이 아니라 평소에 폭신한 쿠션으로도 쓸 수 있다. 겨울에 어울리는 따뜻한 무드의 패션잡화도 준비했다.후크 고리 타입의 사랑스러운 ‘윈터투게더 봉제 키링’은 포근한 목도리를 두른 북극여우, 새앙토끼, 하늘다람쥐 등 앙증맞은 캐릭터 인형 디자인과 부드럽고 푹신한 촉감을 자랑한다.가방이나 차 키, 열쇠고리 등에 다양하게 걸 수 있다. 반려동물이나 연예인 등 좋아하는 사진을 휴대하기 좋은 ‘윈터투게더 동물 모양 카드 지갑’은 간단한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는 뒷면 지퍼 주머니와 가방, 파우치 등에 걸기 좋은 랍스터형 금속 고리로 활용도를 높였다.‘윈터투게더 동물 퍼 조임 파우치’는 복슬복슬한 털부터 쫑긋 솟아난 귀, 아기자기한 이목구비까지 봉제 인형처럼 깜찍하다. 넉넉한 크기의 복조리 타입으로 파우치를 쉽게 여닫을 수 있다.이 외에도 집 안 난방비 절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홈 의류도 마련했다. ‘윈터투게더 패턴 수면 바지 동물친구들’은 동물 친구들과 별 모양 패턴이 귀여운 홈웨어로, 허리를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밴딩이 있어 실내 활동이나 취침 시 입기 좋다.입체적인 곰돌이 얼굴이 깜찍한 ‘인형 달린 자수 거실화’는 온기를 오랫동안 품어주는 앞 막힘 구조와 발을 부드럽게 감싸주는 보들보들한 털 재질로 실내에서도 따뜻하게 착용할 수 있다.아성다이소 관계자는 “겨울이 성큼 다가오면서 따뜻한 방한용품에 관심을 두는 고객들이 늘고 있다. 다이소 윈터투게더 시리즈와 함께 몸도 마음도 따뜻한 겨울 보내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
2024-10-02▲ KADEX 2024에 참가한 현대로템 전시관[출처=현대로템]현대로템(이용배 사장)에 따르면 2024년 10월2일~6일까지 충청남도 계룡대에서 개최되는 ‘대한민국 국제방위산업 전시회(Korea Army international Defense industry EXhibition, KADEX)’에 참가한다.국내 방산 전시회에 참가해 ‘사람을 위한 기술(Human in Technology)’을 주제로 인명보호 기술이 반영된 다양한 방산 제품들을 선보일 방침이다.주력 제품군은 최신예 전차 및 장갑차 기술을 비롯해 무인화·전동화 등 사람을 대신해 임무를 수행함으로써 인명을 보호하고 안보에 기여하는 미래전투체계 비전을 제시한다.현대로템은 미래전투체계 핵심 전시품으로 다목적 무인차량 ‘HR-셰르파(HR-SHERPA)’의 4세대 모델을 선보인다.HR-셰르파는 인공지능(AI), 자율주행은 물론 내구성, 안전성, 디자인 등 차량 제조의 근간이 되는 제조 기술까지 현대자동차그룹과 협업을 통해 개발된 다목적 무인차량이다.전동화 기반 무인차량의 특성을 살려 사람을 대신해 감시, 정찰, 전투, 부상병 및 물자 이송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확장성을 지녔다.현대로템은 1세대 최초 개발 시제품부터 4세대 모델까지 6년 이상 연구개발을 거쳐 HR-셰르파의 품질과 성능을 진화시켜 왔다. 또한 방위사업청에 차세대 무인화 장비로 다목적 무인차량 개발 사업을 최초로 제안했다.2020년 다목적 무인차량 신속시범획득사업을 단독 수주한 현대로템은 동 제품으로는 유일하게 우리 군의 실전 피드백을 통해 최적화를 거치며 HR-셰르파의 완성도를 끌어올렸다.아울러 인명 보호 기술이 탑재된 성능개량형 K2 전차도 선보인다. 성능개량형 K2 전차는 기존 국내에서 전력화된 K2 전차를 기반으로 현대 전장의 트렌드에 맞춰 다양한 사양을 강화한 콘셉트 모델이다.성능개량형 K2 전차의 주요 특징은 다양한 외부 위협으로부터의 생존성이 강화돼 승무원을 보다 안전히 보호할 수 있다는 점이다.일례로 최근 전장에서 위협 요소로 떠오른 드론 공격에 대한 대비책으로 재머(Jammer)를 탑재해 날아드는 드론을 효과적으로 무력화할 수 있다.드론 재머는 전파를 교란해 드론의 정상적인 기동을 방해 및 추락시킬 수 있는 장비다. 또 대전차 로켓 및 미사일 등 위협체를 요격해 무력화할 수 있는 능동방호장치를 달아 기존 대전차 무기에 대한 대응력을 증대시켰다.차륜형장갑차 K808을 기반으로 하부 방호력을 강화한 페루 수출형 차륜형장갑차도 모형으로 첫선을 보인다. 2024년 페루 육군 차륜형장갑차 공급 사업을 통해 우리 군의 제식 차륜형장갑차인 K808의 첫 해외 수출을 달성한 바 있다.이밖에 체험형 전시 콘텐츠도 풍부히 마련해 관람객들에게 다채로운 경험을 선사한다. 부스 내 전차 역사관을 꾸며 수십 년간 쌓아온 현대로템의 전차 개발 역사를 담은 영상을 대형 스크린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K2 전차를 조종해 적 전차와 교전해 볼 수 있는 전차 체험기기를 비치하는 등 다양한 전시 구성을 갖췄다. 무인화·전동화 등 인명을 보호할 수 있는 보다 진보된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현대로템은 첨단 기술을 접목시켜 전차·장갑차·무인체계 등 당사의 풍부한 지상무기체계 포트폴리오를 혁신해 글로벌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
2024-09-12▲ 브리즈번 공항(Brisbane Airport Corporation, BAC) 리모델링후 모습[출처=BAC 홈페이지]◇ BAE 시스템 오스트레일리아(BAE Systems Australia), 신형 무인 지상 차량은 자율 전술 경장갑 시스템 공개BAE 시스템 오스트레일리아(BAE Systems Australia)에 따르면 위협으로부터 군인들을 보호하면서 군 지휘관에게 추가적인 전술적 옵션을 제공하는 신형 무인 지상 차량을 공개했다.신형 무인 지상 차량은 자율 전술 경장갑 시스템(Autonomous Tactical Light Armour System, ATLASTM) CCV(Collaborative Combat Variant)이다.새로운 비용 효율적인 모듈식 8x8 UGV로, BAE Systems의 자율 기술 및 장갑차 분야에서의 세계적 전문 지식을 활용하고 업계 파트너와 협력해 설계 및 제작되었다.퀸즈랜드주 주도인 브리즈번에 위치한 브리즈번 공항(Brisbane Airport Corporation, BAC)은 장비, 설계 업그레이드, 신규 터미널 건설 등에 향후 10년간 AU$ 50억 달러를 투입해 리모델링을 진행하고 있다.국제선 터미널을 쇄신하고 국내선 터미널은 보안과 승객 경험에 초점을 맞춰 업그레이드한다. 국내선과 국제선 여행객을 수용하기 위해 세번째 터미널을 건설한다.BAC는 정부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 2025년말까지 보안 조치를 업그레이드해야 하며 국제선 터미널 공사는 2027년 완공될 예정이다.◇ 뉴질랜드 Kmart, 뉴질랜드 최대 점포 오픈뉴질랜드 통계청(Stats NZ)에 따르면 2024년 8월31일 기준 연간 전체 식품 가격이 0.4% 상승했다. 과일과 채소 가격이 저렴해졌지만 초콜릿, 올리브 오일 가격 급등으로 8월 연간 식품 가격 인플레이션이 약간 상승했다.2023년 9월 초 이후 250g 블록 초콜릿 평균 가격이 20% 이상 올랐다. 2024년 8월 감자 1kg 평균 가격은 NZ$ 2.18달러로 2021년 이후 가장 저렴했으며 신선한 과일과 채소 가격은 12% 하락했다.특히 쿠마라와 감자 가격이 2023년 최고 기록에서 하락해 8월까지 12개월 동안 쿠마라 가격은 53.9%, 감자 가격은 26.6% 각각 하락했다.저가격 오스트랄라시안(Australasian) 소매 체인 Kmart는 뉴질랜드 최대 점포를 오픈한다. 뉴질랜드에서 28번째 매장으로 6700제곱미터 규모로Maki Street에 건설되며 약 240명이 근무하게 될 예정이다.참고로 오스트랄라시아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서남 태평양 제도를 포함하는 지역을 말한다.Kmart는 현재 Albany, Ashburton, Auckland, Bayfair, Bethlehem, Blenheim, Botany, Dunedin, Hamilton, Hastings, Henderson, Invercargill, Manukau, Napier, Palmerston North, Papanui, Papatoetoe, Petone, Porirua, Queenstown, Riccarton, Richmond, Rotorua, St Lukes, Sylvia Park, Te Rapa, Whakatane, Whangārei 등 27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다.
-
▲ 말레이시아 장갑 제조업체 하탈레가(Hartalega)의 대량 생산라인의 모습[출처=하탈레가 공식 홈페이지]2024년 7월 동남아시아 제조업 주요동향은 2024년 하반기 말레이시아 장갑 수요에 대한 예측, 파트너십을 통한 체리 자동차의 말레이시아 청년 일자리 프로젝트, 필리핀 세부 지역에 설립된 시멘트 공장이다.○ 2024년 7월23일 본사를 미국에 둔 글로벌 제약사 화이자(Pfizer)는 10억 달러를 투자해 싱가포르 투아스 바이오메디컬 파크에 공장을 오픈했다. 화이자는 이번 투자를 통해 일자리 250개를 창출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곳에서 당사의 암·통증·항생제 약물을 위한 활성연료(API)를 생산할 방침이다. 최첨단 시설은 당국으로부터 그린 마크 골드 인증을 받아 2040년까지 자발적으로 탄소 중립을 실천할 계획이다.○ 중국 체리자동차의 상표 재쿠(Jaecoo)는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글렌메리에 3S 대리점을 개업했다. 이에 550만 링깃을 투자했다.향후 34곳을 추가적으로 설립해 오프로드 SUV 시장에서 고급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이다.○ 2024년 6월 말레이시아 자동차 제조업체 프로톤(Proton)의 국내외 자동차 판매량 1만999대로 전월 1만2522대와 비교해 12.2% 감소했으며 국내 시장 점유율 19.1%를 기록했다.2024년 상반기 판매대수는 7만3696대로 SUV인 X50의 판매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 말레이시아 자동차·로봇·IoT 진흥원(MARii)은 당국이 아세안 자동차 허브에 도달하기 위해서 자동차뿐만 아니라 부품 및 구성품에 대한 수출 또한 증진해야 한다고 표명했다.따라서 국내 기업들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고 경쟁력을 얻기 위해 자동차 수출을 우선적으로 크게 늘리고자 한다.말레이시아의 역대 최고 총생산량(TPV)이 7만5000대인 것과 비교해 중국 3000만 대·태국 180만 대로 월등하게 많다. 말레이시아의 공급망 비용은 중국보다 30%, 태국보다 10% 각각 높은 것으로 분석된다.○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혼다의 말레이시아 법인인 혼다 말레이시아(Honda Malaysia)는 2000년 설립 이래 17만 번째 시빅과 15만 번째 HR-V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클랑에 위치한 혼다 보타닉 오토 매장에서 인수식을 열었다.2024년 상반기 혼다 말레이시아의 판매량은 3만9226대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 HR-V는 당사의 가장 많이 팔리는 모델로 판매 차량의 28%를 차지했다.자사의 하이브리드 모델 시티(City), 시빅(Civic), HR-V, CR-V에 적용되는 e:HEV 기술의 수요가 증가하며 상반기 매출의 13%를 이바지했다.○ 중국 자동차 제조업체 체리(Chery) 말레이시아 법인 Chery Corporate Malaysia은 국제 숙련공 단체(National Skilled Workers Organisation) 산하의 비정부 기관 벨리아 마히르 프로젝트(Projek Belia Mahir)와 파트너십을 수립했다.체리는 현지 셀랑고르주 샤알람에 건설한 조립공장에서 일할 지역 인재들을 찾고 있다. 국내 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도모한다.벨리아 마히르 프로젝트는 청년 미취직자가 고등교육 및 기술 훈련을 받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일자리를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이번 양해각서(MoU)를 통해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청년들을 사무실 및 조립공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추천하고자 한다.○ 말레이시아 메이뱅크(Maybank IB)는 장갑 제조업 부문에 대한 예측을 "낙관"에서 "전략적 낙관"으로 하향 조정했다.향후 12개월 동안 장갑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중국의 장갑 제조업체의 생산 능력이 증가함에 따라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메이뱅크는 일회용 의료용품 제작사 인트코 메디칼(Intco Medical Technology)과 블루세일 그룹(Bluesail Group)의 중국 산둥성 장갑 제조시설에 방문한 바 있다. 이곳은 100%에 가까운 가동률을 자랑하며 국내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에서도 생산 용량을 늘리고 있다.RHB투자은행(RHB IB)에 따르면 재고 보충 활동으로 관련 사업 분야가 회복하며 2024년 하반기 국제 장갑 수요가 2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2024년 2분기 장갑 수출량은 1분기와 비교해 8% ·전년 대비 29% 증가했다. 수출가치는 36억 링깃으로 전분기 33억 링깃 대비 10% 증가했다. 중국의 장갑 수출은 2024년 1분기에 전분기 대비 3% 성장하며 정체 상태를 유지했다.말레이시아 고무장갑 제조업협회(MARGMA)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의 국제 장갑에 대한 수요가 연평균 성장률(CAGR) 10%를 기록하며 2027년 4500억 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RHB투자은행은 MARGMA의 예측과 함께 2024년 8월 수요에 대한 가시성 향상 및 평균 판매가격(ASP)의 상승 이슈를 들며 2분기 장갑 제조업체들의 실적을 긍정적으로 분석했다.최근 발표된 중국산 의료용 장갑에 대한 25% 관세가 말레이시아산 상품에 대한 무역전환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덧붙였다.또한 중국 업체들의 품질 문제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거부율을 높이며 발목을 잡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따라서 기존의 값싼 가격보다는 지속가능성을 꾀하기 위해 방향을 바꿈으로써 가격 경쟁에 대한 위험성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 타이헤이요시멘트(태평양 시멘트, TCC)의 필리핀 계열사 TCPI에 따르면 7월20일 현지 산페르난도에 128억 페소를 투자해 새로운 공장을 완공한 바 있다.오래된 시설을 교체한 이래 2024년 7월23일 세부 시멘트의 하루 생산량이 10만 포대 더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TCPI는 과거 시멘트 포대 하루 5만 개~6만5000개를 생산했으나 현재는 최소 15만 포대를 생산할 예정이다.최신식 설비 및 에너지 효율적 운영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이전 오래된 생산 라인과 비교해 10% 줄인다. 필리핀 산업부(DTI)는 새로운 공장이 수입 의존도를 낮출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필리핀의 연간 시멘트 생산량이 300만 톤(t)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국산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코로나19 대유행 이전 7%에서 2025년 10%로 상승하는 데 있어 기여할 것으로 분석한다.○ 일본 자동차제조업체 토요타(Toyota)는 베트남에서 해치백 야리스(Yaris)의 판매를 중단한다. 출시 13년 만이다.SUV와 CUV가 유행하며 2020년 야리스의 판매량은 1569대를 기록했지만 2023년에는 134대, 2024년 1~5월 동안 8대밖에 판매되지 않았다.○ 2024년 7월18일 베트남 호치민시에서 개최된 교역 연결 회담에서는 베트남과 인도 두 국가 간 기계·전기·전자·디지털 기술·에너지 부문에서 제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 화합한다. 회담은 베트남 투자무역진흥원(ITPC), 인도산업연합(CII), 베트남기계전기협회(HAMEE)가 참가했다.베트남 통계청에 따르면 양국의 거래 규모는 2000년 US$ 2억 달러에서 2023년 140억3600만 달러로 급증했다. 2024년 상반기 동안 호치민시가 인도로 수출한 상품 가치는 71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8% 증가헸다.○ 중국 전기자동차(EV) 제조업체 BYD는 태국 현지 판매점인 Rever Automotive의 지분 20%를 인수했다.BYD는 라용 지역에 동남아시아 첫 제조공장을 가동했으며 1만 명의 근로자를 고용했다. 해당 공장에서 자사 제품 연간 15만 대를 생산할 계획이다.
-
▲ 말레이시아 장갑 제조업체 하탈레가(Hartalega)의 대량 생산라인의 모습[출처=하탈레가(Hartalega) 공식 홈페이지]2024년 8월1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필리핀을 포함한다. 싱가포르 국립환경청(NEA)은 병 및 캔 음료에 대한 10센트 보증금 환급 정책을 1년 늦춘 2026년 4월1일부터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정책은 2026년 4월1일부터 2033년 3월31일까지 7년 동안 진행된다.말레이시아 메이뱅크(Maybank IB)는 향후 12개월 간은 글로벌 장갑 수요가 늘어나지만 중국 장갑 제조업체들의 생산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불확실하다고 예측했다.필리핀 재생에너지 기업 SP뉴에너지(SPNEC)의 테라 태양 프로젝트의 진행률이 54%를 기록했다. 해당 프로젝트를 통해 루손섬 누에바에시하주와 불라칸주에 태양광 발전소와 저장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싱가포르 국립환경청(NEA), 병 및 캔 음료에 대한 10센트 보증금 환급 정책 1년 연기돼7월31일 싱가포르 국립환경청(NEA)에 따르면 병 및 캔 음료에 대한 10센트 보증금 환급 정책이 2026년 4월1일부터 시작되는 것으로 1년 늦춰졌다. 조정 과정에 들어가는 시간으로 인해 음료 생산업체들로부터 지연을 요청받았기 때문이다.음료 용기 반납 정책은 2022년 9월에 처음 언급됐다. 소비자는 150mL부터 3L까지 모든 플라스틱 병부터 금속 캔 음료에 대해 10센트를 더 지불하게 된다. 빈 음료 용기는 슈퍼마켓이나 공공시설 등 지정된 곳에 반납했을 때 보증금 전액을 환불받을 수 있다.해당 정책은 2026년 4월1일부터 2033년 3월31일까지 7년 동안 진행된다. 당국은 반납 장소를 1000곳 이상 늘릴 방침이다.국립환경청은 시행한지 3년 후인 2029년 반환율 80% 달성을 목표로 한다. 이는 매년 시장에 출시되는 약 10억 개의 음료 용기 중 8억 개가 재활용 목적으로 반환됨을 의미한다.◇ 말레이시아 RHB투자은행, 2024년 하반기 국제 장갑 수요 22% 증가 예상말레이시아 메이뱅크(Maybank IB)는 장갑 제조업 부문에 대한 예측을 "낙관"에서 "전략적 낙관"으로 하향 조정했다.향후 12개월 동안 장갑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중국의 장갑 제조업체의 생산 능력이 증가함에 따라 불확실하다고 설명했다.메이뱅크는 일회용 의료용품 제작사 인트코 메디칼(Intco Medical Technology)과 블루세일 그룹(Bluesail Group)의 중국 산둥성 장갑 제조시설에 방문한 바 있다. 이곳은 100%에 가까운 가동률을 자랑하며 국내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에서도 생산 용량을 늘리고 있다.RHB투자은행(RHB IB)에 따르면 재고 보충 활동으로 관련 사업 분야가 회복하며 2024년 하반기 국제 장갑 수요가 2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2024년 2분기 장갑 수출량은 1분기와 비교해 8% ·전년 대비 29% 증가했다. 수출가치는 36억 링깃으로 전분기 33억 링깃 대비 10% 증가했다. 중국의 장갑 수출은 2024년 1분기에 전분기 대비 3% 성장하며 정체 상태를 유지했다.말레이시아 고무장갑 제조업협회(MARGMA)는 2023년부터 2027년까지의 국제 장갑에 대한 수요가 연평균 성장률(CAGR) 10%를 기록하며 2027년 4500억 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RHB투자은행은 MARGMA의 예측과 함께 2024년 8월 수요에 대한 가시성 향상 및 평균 판매가격(ASP)의 상승 이슈를 들며 2분기 장갑 제조업체들의 실적을 긍정적으로 분석했다.최근 발표된 중국산 의료용 장갑에 대한 25% 관세가 말레이시아산 상품에 대한 무역전환효과를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덧붙였다.또한 중국 업체들의 품질 문제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거부율을 높이며 발목을 잡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따라서 기존의 값싼 가격보다는 지속가능성을 꾀하기 위해 방향을 바꿈으로써 가격 경쟁에 대한 위험성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유럽 베코(Beko), 슈퍼태풍 카리나로 피해 입은 마리키나 주민에게 무료 세탁 서비스 제공유럽의 백색 가전제품 브랜드 베코(Beko)는 2024년 7월28일 마리키나 투마나 지역 100세대에 무료 세탁 서비스를 제공했다.슈퍼태풍 카리나로 피해를 입은 주민을 위해 필리핀 시민단체(GMA Kapuso Foundation), 아리엘 필리핀즈(Ariel Philippines)와 협력했다.필리핀 재생에너지 기업 SP뉴에너지(SPNEC)가 2000억 페소를 투자해 실행하고 있는 테라 태양광발전 프로젝트가 2027년 완성될 예정이다. 전체 과정의 54%가 진행된 바 있다.테라 태양광발전 프로젝트는 루손섬 누에바에시하주와 불라칸주에서 3500메가와트(MW)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소와 4000메가와트시(MWh)를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을 포함한다. 매년 50억 킬로와트시(kWh)를 생성해낼 것으로 전망된다.필리핀 피자 체인점 엔젤스 피자(Angel's Pizza)는 2024년 상반기 싱가포르 음식 배달 서비스 플랫폼 그랩푸드(GrabFood)에서 매출 12억 페소를 달성했다.그랩푸드에서 매출액은 메트로 마닐라에서 전년 대비 53%·지방에서는 151% 증가했다. 엔젤스 피자는 피가로 커피 그룹(Figaro Coffee Group)의 계열사다.엔젤스 피자는 그랩푸드의 상인-동반자 커뮤니티 그랩푸드 시그니처(GrabFoods Signatures)에 참여하고 있다. 커뮤니티의 일원으로서 플랫폼 내 마케팅과 프로모션에서 독점적인 혜택을 받고 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