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전기통신"으로 검색하여,
1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수협중앙회 본사 건물 [출처=수협중앙회]수협중앙회(회장 노동진)에 따르면 2025년 7월22일(화) 노동진 수협중앙회장이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예방에 앞장선 진해·멸치권현망·대천서부수협 소속 직원 3명에게 각각 표창했다.2025년 6월25일(수) 멸치권현망수협 영업점을 찾은 한 고객이 동생 사업자금이 필요하다며 예금 3000만 원 전액 인출을 요구했다.구체적인 사용처를 묻자 답변을 회피하는 행동을 수상히 여긴 수협 직원은 보이스피싱을 직감하고 고객 폰에 걸린 번호로 통화를 시도했지만 닿지 않아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바로 다음 날 진해수협 영업점 직원도 금융감독원 사칭 사기범에게 속은 고객의 예금에서 5500만 원이 인출되지 못하도록 막아냈다.이 고객이 보안카드 비밀번호 오류로 재발급하려는 것을 의심해 즉시 112에 신고하고 신속하게 계좌 지급정지를 조치했기 때문이다.이에 앞서 카드 직원 사칭 사기범에게 속아 카드 대환 대출을 위해 1500만 원의 현금인출을 시도하던 것을 대천서부수협 직원이 제지 시킨 일도 있었다.이 직원은 금융사기 예방진단표 작성과 끈질긴 상담 끝에 카드사에 직접 확인해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 일선수협 영업점 창구 직원의 빠른 판단력으로 연달아 발생한 보이스피싱 범죄로부터 총 1억 원의 고객 예금 전액을 지키는 활약을 펼쳤다.2025년 일선수협 영업점에서 보이스피싱으로부터 고객의 자산을 지킨 것은 총 4건으로 총 2억7000만 원을 보호한 것으로 집계됐다. 노동진 회장은 이날 전국 수협 조합장이 모인 총회에서 보이스피싱 예방 사례를 공유하고 보이스피싱 범죄를 막는 데 최일선 영업점 직원의 역할을 강조하며 경각심을 갖고 예방에 앞장서 줄 것을 당부했다.
-
2025-04-24▲ BNK부산은행, 부산외국인주민지원센터 전기통신금융사기 예방사업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오른쪽부터 BNK부산은행 문정원 금융소비자총괄책임자, 부산외국인주민지원센터 이인경 센터장, 금융감독원 부산울산지원 이호진 지원장)[출처=BNK부산은행]BNK부산은행(은행장 방성빈)에 따르면 2025년 4월23일(수) 오후 부산은행 본점에서 ‘금융감독원 부산울산지원’, ‘부산외국인주민센터’와 외국인 주민을 대상으로 한 금융교육 지원사업을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식에 참여한 기관은 외국인의 금융사기 예방과 금융역량 강화를 위해 금융교육 프로그램 운영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부산은행과 금융감독원은 부산외국인주민지원센터를 직접 방문해 최신 금융사기 피해사례와 안전한 금융거래 방법 등에 대한 교육을 진행한다.특히 외국인 노동자와 유학생이 취약한 부분에 맞춰 교육을 준비해 날로 늘어나고 있는 외국인 금융사기 피해를 실질적으로 예방하겠다는 계획이다.부산은행 문정원 금융소비자 총괄책임자(CCO)는 “금융사기가 갈수록 정교해지면서 그 피해가 급증하고 있으며, 지역에 거주하는 외국인도 예외가 될 수 없다”며 “앞으로도 부산은행은 외국인 고객들이 소중한 금융자산을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금융사기 예방 교육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에 따르면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과 공동으로 원격의료 서비스(telehealth services)의 접근성에 대한 글로벌 표준을 개발했다.개발된 표준은 원격 의료 플랫폼이 접근 가능한 원격 의료 서비스 제공을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될 기술적 요구사항 목록을 제공하고 있다.모든 요구사항은 시민사회와 산업계로부터 수집된 종합적인 피드백 및 의견뿐 아니라 최고로 이용 가능한 근거에 기반을 두고 있다.표준 요건은 규정이나 법률로서 회원국들에 의해 채택되도록 한 것이다. 의료 전문가나 제조업체가 자발적으로 이행해야 된다.원격의료 서비스의 접근성을 위한 WHO-ITU 세계 표준은 2022년 6월 16일 장애인권리협약 당사국총회(Conference of State Parties to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제15차 회기 중 공식 출범했다.코로나19(COVID-19) 팬데믹 기간 많은 국가에서 원격 의료 서비스 활용이 크게 증가했으며 일반인들의 기본 요구사항이 됐다. 반면 많은 장애인들은 원격 의료 서비스에 접속하고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예를 들어 원격의료 플랫폼은 시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화면 판독기와 같은 장치와의 호환문제가 발생됐다.또한 화상회의에서 자막이나 볼륨 조절 불량으로 청각 장애가 있거나 청각 장애인 들이 의료 전문가와 원격상호 작용에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했다.따라서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은 공동으로 글로벌 표준 개발을 통해 장애인들의 원격의료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ITU) 홈페이지
-
2022-05-18인도 글로벌 전기통신서비스기업인 에어텔(Airtel)에 따르면 2022년 1분기 나이지리아에서의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7.7% 증가했다. 매출액은 US$ 47억달러에 달했다. 데이터, 음성 및 모바일 머니 가입이 늘어난 것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매출별로 보면 음성은 15.4%, 데이터는 34.6%, 모바일 머니는 34.9% 각각 증가했다. 1분기 세전이익 마진은 49.0%였다. 영업이익은 15억3000만달러로 37.2% 늘어났다. 1분기 동안 고객은 8.7% 증가해 1억2840명을 기록했다.에어텔은 지난 12개월 동안 운용사 전반에 걸친 자금조달과 모바일 머니 및 송전탑 매각에 대한 소수 투자 수익으로 14억달러의 부채를 상환했다.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인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지만 에어텔은 시장에 앞선 매출 성장을 목표로 중간 정도의 마진 확대를 지속할 방침이다. ▲에어텔(Airtel) 홈페이지
-
2022-04-09필리핀 전기통신기업인 글로브 텔레콤(Globe Telecom Inc)에 따르면 데이터 센터 시장 진출을 위해 조인트벤처 파트너쉽을 체결했다. 파트너쉽을 체결한 기업은 글로브 텔레콤의 모회사인 아얄라 코퍼레이션(Ayala Corp)과 데이터 서비스 업체인 STT GDC(ST Telemedia Global Data Centres)이다. 데이터 센터 운영을 시작할 글로브 텔레콤의 자회사인 KarmanEdge Inc의 신규 주식을 아얄라와 STT GDC에서 매입한다.조인트벤처의 지분 보유율은 글로브가 50%로 가장 높으며 STT GDC는 40%, 아얄라는 10%를 각각 보유한다. 글로브는 향후 데이터 센터 운영 지역을 전국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다. ▲글로브 텔레콤(Globe Telecom Inc) 로고
-
2022-03-17싱가포르 전기통신기업인 싱텔(Singtel)에 따르면 본부를 재개발할 계획이다. 재개발 비용은 토지 비용을 포함하여 S$ 20억달러 이상으로 전망된다. 해당 Comcentre 마천루는 1979년부터 본부로 사용됐다. 가장 최신식의 지속 가능한 디자인과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스마트 빌딩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입찰 과정은 2022년 3월 마감되며 최종 결정은 2022년 5월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투자금을 확보하기 위해Comcentre 를 조인터벤처 기업에 매각할 게획이다. 신규 개발 후 싱텔이 30%를 활용하고 남은 공간은 오피스 공간으로 임대한다. 2028년 완공할 계획이며 재개발 준비를 위해 2024년 임시 부지로 이전할 방침이다. ▲싱텔(Singtel) 로고
-
프랑스 유럽전기통신표준화기구(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s Institute, ETSI)에 따르면 2022년 1월 말 PKI Consortium(Public Key Infrastructure Consortium)과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양 조직 간의 긴밀한 관계를 더욱 발전시켜 관계를 정립하고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ETSI 기술위원회와 PKI는 전자서명 및 인프라와 관련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합의했다.PKI 컨소시엄은 산업 또는 사용 사례별 정책, 절차, 모범 사례, 표준, 도구를 개선·생성·협력하기 위해 노력하는 주요 조직으로 구성됐다.이러한 조직은 일반적인 인터넷 보안뿐만 아니라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PKI를 사용하는 모든 사물과 모든 사람을 위한 자산 및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키게 된다.PKI는 가장 최신의 보안 시스템을 위한 기반을 정의하고 기밀성, 무결성, 신뢰성, 부인 방지 등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허용된 비대칭 기술인 공개 키 암호화에 의존을 통해 기업이 안전하지 않는 미디어를 사용해 안전하게 통신하도록 한다.또한 기업이 데이터를 서명자에게 안정적으로 연결하고 서명 생성 시 데이터의 존재에 대한 보증을 증명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증하게 된다.2013년 처음 설립됐을 때는 CASC(Certificate Authority Security Council) 또는 CA Security Council이라 불리었다.최초 목적은 연구를 수행하고 인터넷 보안 표준을 홍보하며 인터넷 보안 문제에 대한 대중을 교육하기 위한 다중 공급업체 산업 옹호 그룹이었다.2021년 CASC(Certificate Authority Security Council)는 PKI 컨소시엄(Public Key Infrastructure Consortium)으로 변경됐다.PKI 회원 자격은 현재 공개적으
-
유럽전기통신표준화기구(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s Institute, ETSI)에 따르면 차세대 ICT 표준 전문가를 위한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했다.ICT 표준화는 상호운용성과 혁신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실행은 여전히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주제이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 차세대 표준 전문가를 준비하기 위해 ETSI는 ICT 표준화 교육과 관련한 종합 교수 자료를 개발했다.초판은 2018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와 EFTA 사무국의 지원을 받아 출판됐다. 교수, 연구원, 표준 전문가로 구성된 작업팀이 집필했다.2판은 교육 자료의 전면 수정 및 강화 버전으로 주로 공학이나 과학 과목 학생들을 위한 고등교육을 대상으로 한다. 책과 슬라이드 세트는 모듈식으로 구성돼 있으며 경영학, 법학 과정 등에서 활용이 가능하다.공학에서 표준화 학위 과정으로 전체를 활용할 수도 있다. 1판과 관련한 슬라이드는 덴마크, 프랑스, 독일, 그리스, 아일랜드,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페인, 스웨덴, 영국 등 유럽 전역의 많은 대학과 학생들이 활용하고 있다.ETSI의 ICT 표준화 관련 자료는 전 세계 엔지니어링, 비지니스, 로스쿨, 대학교 등에서 더 많은 표준 수업 과정에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이번에 출판한 종합 교재의 제목은 'ICT 표준화의 이해 : 원리 및 실습'(2판)이다. 보조 교재로 사용하는 슬라이드 세트는 380개 이상의 슬라이드로 구성돼 있다.교재가 다루고 있는 주제는 표준화 기초, 표준 생태계, 표준의 생산, 표준화 및 혁신, 표준화 및 전략, 비지니스 관점 : 표준화 및 지적 재산권(IPR), 표준의 경제적 이점 등이다.▲ etsi▲ 유럽전기통신표준화기구(European Telecommunication Standards Institute, ETSI) 홈페이지
-
미국 전기통신공업회(Telecommunications Industry Association, TIA)에 따르면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을 위해 특별히 개발된 '공급망 보안 표준 SCS 9001'을 발표했다.TIA SCS 9001 표준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글로벌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서비스 등을 포함해 모든 ICT 산업의 제품과 관련이 있다.개발된 표준의 목표는 ICT 네트워크 인프라 전반에 걸쳐 종단 간(end-to-end) 사이버 및 물리적 보안을 확인하는 것이다.이를 달성하기 위해 SCS 9001은 공급업체와 서비스 제공업체가 자사 제품과 솔루션에 대해 중요한 보안 제어 및 프로세스가 마련돼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독립적인 감사 및 인증 프로그램을 통해 프로세스 기반 표준으로 만들어졌다.새로운 표준은 ISO 27001, 프라하 제안(Prague Proposals), 관련 NIST 표준, 보안과 신뢰에 대한 CSIS 크리테리아 QMS(Quality Management System)를 중심으로 구축됐기 때문에 고유한 특성을 가진다.글로벌 커뮤니티는 연결성에 의존하고 기술은 보안을 계속해서 앞서고 있다. 하지만 ICT 공급망에 위협을 크게 완화하기 위해 프로세스 기반 검증 가능한 표준을 제정하게 됐다.SCS 9001 표준은 TIA의 QuEST 포험 공급망 보안 워킹 그룹, 전담 산업기술 및 보안 전문가로 구성된 소위원회에서 지난 20개월동안 검토했다. 지난 2021년 12월 31일 공식적으로 승인됐다.개발 프로세스 마지막 단계에서 전 세계 90개 이상의 기업, 정부의 표준 초안에 대한 피드백과 의견이 접수됐다. 이로 인해 약 500개에 이르는 의견이 접수됐으며 워킹 그룹에서 검토 및 처리했다.주어진 현재의 글로벌 환경과 증가하는 복잡성, ICT 공급망의 다양성으로 SCS 9001과 같은 표준이 공급업체와 제조업체가 그들 솔루션의 보안 구축 및 신뢰 강화를 입증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TIA▲ 전기통신공업회(Te
-
일본 전기통신대(電気通信大)에 따르면 비가시선(NLOS)에서 인간을 감지하는 레이더 기반 탐지 방법을 발표했다. 레이더 기반 센서는 운전자 지원 시스템 및 자율주행 차량의 필수 구성 요소가 됐기 때문이다.주변 보행자 및 기타 교통 관련 물체를 구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공 인식 시스템은 악천후나 비가시선(NLOS) 상황에서 인간을 감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NLOS 상황은 보행자가 시야에서 차단될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주차된 차량 뒤에 있는 아이가 갑자기 거리로 뛰어들 때 생긴다.연구팀은 반사, 회절 신호 분석 및 기계 학습 기술을 기반으로 인간을 감지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실험에는 24GHz 레이더와 30cm 길이의 금속 실린더와 밝은 색 옷을 입은 인간의 2가지 목표물이 사용됐다. 탐지기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금속 실린더와 인간에 대해 본질적으로 다르다. 사람이 가만히 있어도 자세 조절과 관련된 호흡과 작은 움직임은 반사파 신호에 변화를 일으킨다.이 차이가 금속판의 가장자리 주변에서 파동이 '구부러지는' 회절 효과를 강화한다. 연구팀은 반사 및 회절 신호에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해 사람과 물체의 차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조치했다.이를 통해 최대 80%의 인식률을 달성했다. 또한 연구팀은 완전한 비가시선 상황에서도 인간이 서 있는지, 걷고 있는지를 인식할 수 있었다.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전기통신대(電気通信大)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