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전원장치"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이튼(Eaton)의 5A UPS[출처=VSTECS 홈페이지]2024년 9월26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필리핀과 인도네시아를 포함한다. 지능형 전력업체 이튼은 VSTECS 필리핀을 통해 단상 및 3상 무정전 전원장치(UPS)를 유통한다.인도네시아 안탐과 이날룸이 알루미늄 정제소를 설립하는 데 있어 총 20억 달러를 투자한다.◇ 이튼(Eaton), VSTECS 필리핀 무정전 전원장치(UPS) 배급업체로 공인글로벌 지능형 전력업체 이튼(Eaton)이 VSTECS 필리핀(VSTECS Phils., Inc.)을 무정전 전원장치(UPS) 배급업체로 공인을 받았다.이튼은 VSTECS를 통해 단상 및 3상 UPS를 국내 시장에 전달한다. 필리핀은 자연재해가 빈번하기 때문에 해당 파트너십으로 하여금 안정적인 전력 관리를 목표로 한다.◇ 인도네시아 안탐(Antam), 이날룸(Inalum)과 US$ 9억4100만 달러 상당 알루미늄 정제소 가동인도네시아 국영 광산업체 안탐(PT Aneka Tambang Tbk, Antam)은 국영 알루미늄 제련업체 이날룸(PT Indonesia Asahan Aluminium, Inalum)과 함께 알루미늄 정제소를 설립했다.US$ 9억4100만 달러를 투자한 이 시설은 서부 칼리만탄(Kalimantan) 지역에 위치한다. 생산용량은 연간 100만 톤(t)이며 보크사이트 330만t을 처리할 수 있다.안탐과 이날룸의 모회사 MIND ID는 추가적인 시설을 건설하는 데 9억 달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공장 설립에 총 20억 달러를 투자할 것으로 전망된다.인도네시아 정부에 따르면 국내 알루미늄 수요는 120만t이며 이 중 56%는 수입된다. 해당 공장을 통해 수입량을 줄이고 국내 광물 산업을 발전을 도모할 계획이다.
-
2024-09-10▲ LG에너지솔루션 ‘RE+ 2024’ 전시 부스[출처=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대표이사 김동명)에 따르면 2024년 9일~12일(현지시간) 나흘간 미국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에서 개최되는 북미 최대 에너지 전시회 ‘RE+(Renewable Energy Plus) 2024’에 참가한다.이번 전시회는 ‘Accelerate America’s Energy Transition (미국의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다)’라는 주제로 개최되며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 시장 내 주요 고객들을 대상으로 최신 에너지저장시스템(ESS) 제품 및 기술력을 선보인다.특히 올해는 전시장 중앙에 고용량 LFP 롱셀 ‘JF2 셀’이 적용된 컨테이너형 모듈 제품 ‘New Modularized Solutions (JF2 AC/DC LINK 5.1)’의 실제 제품을 전시해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2025년부터 미국 현지에서 생산 예정인 이 제품은 전력변환장치(PCS)가 내장된 AC 타입과 고객이 별도의 전력변환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DC 타입 중 선택이 가능하다.3.4메가와트시(MWh)의 배터리 시스템에 1.7MWh 배터리 시스템을 연결해 최대 5.1MWh의 에너지를 낼 수 있는 모듈식 제품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 등에 따라 맞춤형 제품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또한 탑재된 JF2 셀은 이전 모델 대비 에너지 밀도가 약 21% 가량 향상됐고 수냉식 형태로 최적의 시스템 성능과 안전성을 보장한다.제품이 모두 조립된 완성형으로 고객에게 전달돼 설치 과정에서 드는 시간과 비용을 크게 단축할 수 있다는 것도 차별화된 경쟁력이다.LG에너지솔루션은 이 밖에도 △북미 네트워크 △전력망용 △상업용 △UPS (무정전 전원장치) △주택용 등으로 전시 부스를 구성해 핵심 제품들을 전시했다.우선 북미 네트워크 존에서는 12년 이상 쌓아온 미국 현지 배터리 생산 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ESS LFP 배터리의 내년 미국 생산 계획을 소개했다.또한 ESS SI(시스템 통합) 자회사인 버테크(Vertech) 설립 이후의 성과들을 소개하며, 배터리 제조부터 운영 관리 및 유지 보수까지 전 단계 공급망을 현지화한 점을 강조하고 북미 시장 내 차별화된 경쟁력을 선보였다.2022년 2월 설립된 버테크는 현재까지 북미 전역에서 11기가와트시(GWh)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빠르게 성장 중이다.현지 시장과 공급망에 대한 깊은 전문성을 가지고 ESS 공급, 사업 기획, 설계, 설치, 유지보수 등 고객 맞춤형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상업용 존에서는 학교, 공장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전기 비용 절감을 돕고, 비상시 필요 전력을 제공하는 상업용 ESS 제품을 선보였다. 이와 함께 배터리 시스템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데이터 운영 소프트웨어도 함께 소개했다.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UPS (무정전 전원장치) 배터리도 전시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UPS 배터리는 기존 납축 배터리보다 에너지 효율성과 수명이 대폭 향상된 리튬 이온 배터리를 적용해 백업 용량을 극대화하면서도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한다.또한 고 안전성 설계를 적용해 글로벌 안전 인증업체 UL 솔루션의 개정된 표준 UL9540a 테스트를 통과했다. 주택용 존에서는 ‘enblock S+’ 등을 전시했다.이 제품은 모듈식으로 쌓는 NCM 기반의 ‘enblock S’ ESS 배터리, 인버터와 자동 백업 장치 등을 통합한 올인원 솔루션이다.스마트 모니터링 및 제어 앱을 통해 태양광 에너지 생산량과 가정 에너지 소비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만약 전력 공급에 문제가 있을 시 자동 백업 장치를 통해 주택 전체 전력 공급을 유지해 주는 제품이다.LG에너지솔루션 ESS 사업부장 김형식 상무는 “현지 생산 역량 및 기술 리더십을 바탕으로 향후 높은 성장세가 예상되는 북미 시장에서 앞선 시장 경쟁력 확보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NCM과 LFP를 아우르는 배터리 제조에서 통합 솔루션까지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통해 고객 가치를 극대화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
일본 전자기기업체 도시바(東芝)는 2016년 6월 도쿄메트로 긴자선 1000계 차량용에 리튬이온이차전지와 충방전제어장치를 결합한 비상주행용 전원장치를 공급했다. 해당 전력은 비상 시 전력이 차단될 경우 차량의 주요 회로에 공급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