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정유업"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우크라이나 정유업체 Ukrtatnafta에 따르면 2017년 원유공급량이 확대되면서 정제율도 40%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올해 아제르바이잔 석유공사(SOCAR)로부터 원유수입량이 증대되기 때문에 당사의 원유처리량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 것이다.2017년 연간 원유정제량은 약 130만톤으로 전망된다. 정제연료의 공급도 늘어나면서 가격이 10%정도 하락될 것으로 예상된다.참고로 2016년 1~11월 원유정제량은 약 100만톤으로 집계됐다. 이중 가솔린은 53만9000톤, 디젤은 47만3000톤으로 각각 생산됐다.▲Ukrtatnafta 홈페이지
-
태국 정유업체 페트론(Petron) 말레이시아법인에 따르면 2016년 2분기 순이익은 6153만링깃으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16.1% 감소했다. 동기간 매출액도 18.3억링깃으로 19.2% 축소됐다.저유가 지속세가 실적하락의 근본적인 원인이지만 정유업체로서 '완제품'과 '원유'와의 가격 격차가 크지 않다보니 부가가치 효과가 반감된 것도 실적에 큰 타격을 줬다.▲페트론 로고
-
태국 정유업체 페트론(Petron) 말레이시아법인에 따르면 2016년 2분기 순이익은 6153만링깃으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16.1% 감소했다. 동기간 매출액도 18.3억링깃으로 19.2% 축소됐다.저유가 지속세가 실적하락의 근본적인 원인이지만 정유업체로서 '완제품'과 '원유'와의 가격 격차가 크지 않다보니 부가가치 효과가 반감된 것도 실적에 큰 타격을 줬다.
-
일본 전기자동차제조업체 FOMM은 2016년 태국에서 현지 정유업체 BANGCHAK과 주유소 200곳에 EV용 배터리 교환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자체개발한 전기자동차(EV)의 보급하기 위한 목적이다.개발한 EV의 항속거리는 150킬로미터이며 배터리는 카세트 형식으로 주유소에서 쉽게 교환이 가능해 이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수중부양기능이 있어 수면 위에서 주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당사는 2017년 9월부터 양산을 시작해 첫해 1만대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태국 외에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등에도 수출할 계획이다. 향후 유럽시장에도 진출해 3~4만대를 판매할 예정이다.▲자체개발한 EV 이미지(출처 : FOMM)
-
일본 전기자동차제조업체 FOMM은 2016년 태국에서 자체개발한 전기자동차(EV)를 보급하기 위해 현지 정유업체 BANGCHAK과 주유소 200곳에 EV용 배터리 교환시설을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2017년 9월부터 양산을 시작해 향후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 등에 수출할 계획이다.
-
뉴질랜드 타우랑가 지방법원은 정유업체 모빌(Mobil)이 타우랑가항에서 기름을 유출한 것에 대한 벌금으로 28만8000달러 부과했다고 밝혔다.2015년 4월 27일 모빌의 연료 보급 선박 파이프라인 시스템 중 녹슨 측면 파이프에 의한 구멍으로 석유 3000~4000리터가 유출됐다. 법원은 모빌의 관리감독 소홀에 책임을 물어 최대 60만달러까지 벌금을 부과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
[인도네시아] 국영석유업체 페르타미나(Pertamina), 2016년 매월 이라크산 원유 100만배럴 수입해 '인도 정유업체'와 정제사업위한 계약체결 기대...지리적 이점으로 인도를 선정했으며 국내 정유사업 확대가 목적
-
현대중공업이 계열분리 이후 급격하게 성장한 것은 사실이지만 덩치에 비해 체질은 오히려 약화된 것은 아닌지 우려를 하는 전문가가 많다. 기업이 내∙외부 환경변화를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 사업다각화를 하지만 사업다각화가 오히려 기업의 부실을 심화시키는 경우가 많다.현대중공업의 기업문화를 진단하기 위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개발한 SWEAT Model의 3번째 DNA인 성과(Performance)를 이익(profit)과 위험(risk) 측면에서 평가해 보자.◇ 매출은 늘고 있지만 수익성은 개선되지 않아조선업의 부진이 지속되자 세계 1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현대중공업조차 매출은 늘고 있지만 수익성은 떨어지고 있다.최근 현대중공업이 1위의 자존심을 포기하고 수주량을 늘리기 위해 공격적인 가격경쟁을 벌이고 있다. 2009년 이후 선박수주가 없었지만 수주잔량으로 버텼지만 시장불황이 장기화되면서 체력이 고갈되고 있기 때문이다. 가격을 고집하기 보다는 일감을 확보해 안정적인 사업기반을 유지하는 것이&n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