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
" 지주회사"으로 검색하여,
2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6-30▲ 삼양그룹, 통합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출처=삼양그룹]삼양그룹(회장 김윤)에 따르면 지주사와 계열사의 지속가능경영 비전과 성과를 집대성한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고 이를 공식 홈페이지에 게시했다.2025년에는 지주회사 삼양홀딩스와 계열사 삼양사, 삼양패키징, 삼양케이씨아이 등 상장 4개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성과를 한데 모아 통합 보고서로 발간했다.삼양케이씨아이는 사업 운영상의 이유로 ESG 경영 전략과 성과를 상세히 담은 별도의 보고서를 발간하고, 통합 보고서에는 핵심 내용만 수록했다.삼양그룹은 이번 보고서를 통해 ESG 정보의 투명성과 신뢰도 제고에 주력했다. 그 일환으로 임직원, 협력사, 투자자, 고객 등 여러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영향 중대성 평가와 내부 유관부서 임직원을 대상으로 한 재무 중대성 평가를 통해 지속가능경영 전략 및 ESG 활동의 방향성을 설정할 7대 중대 이슈를 도출했다.이어 각 중대 이슈별로 △거버넌스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목표를 도출하고 이를 보고서에 수록했다.삼양홀딩스는 지주사로서 그룹 ESG 경영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있다. 2024년에는 거버넌스 고도화를 위해 그룹 전 임원을 대상으로 ESG KPI(Key Performance Indicator, 핵심성과지표) 기반의 성과 평가 체계를 도입하기로 결정하고 올해부터 전면 시행했다.이를 통해 ESG 과제 발굴과 리스크 대응 체계를 더욱 정교화하고 우수사례를 공유해 임직원들의 업무 방식을 개선하겠다는 구상이다.삼양사는 ‘2050 탄소중립 로드맵’에서 2030년 탄소 배출량 중간 목표를 2020년 대비 42퍼센트(%) 감축으로 상향 조정하고 사업장별 맞춤형 전략을 착실히 수행하고 있다.2024년 공급망, 협력사 등을 포함한 기타 간접적 온실가스 배출량을 의미하는 스코프3(Scope3) 온실가스 산정 체계를 고도화해 ‘2024년 탄소 정보공개 프
-
2025-04-21▲ 한국전력공사 로고[출처=한국전력공사]한국전력(사장 김동철, 이하 한전)에 따르면 에너지 신기술 사업화를 활성화하기 위해 ‘KEPCO 에너지 신기술 사업화 대전’을 처음으로 개최한다.이번 행사는 4월21일(월)부터 5월12일(월)까지 공모를 진행한다. 한전이 주최하고 한국표준협회가 주관하며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기술지주회사협회가 후원한다.이번 대전은 한전이 보유한 에너지신기술을 활용한 사업화 우수사례를 홍보하고 유망 에너지 신기술에 대한 우수 사업모델과 사업화 주체를 발굴 지원해 기술사업화 촉진을 목표로 한다.공모는 △에너지신기술 사업화 우수 사례 △유망기술 활용 BM(Business Model) 콘테스트 2개 부문으로 나뉜다. 참가자격은 우수사례 부문은 한전 기술을 활용한 사업화 경험이 있는 기업, BM 콘테스트 부문은 창업 7년 이내 중소 또는 벤처기업 등이다.참여 희망 기업은 E-mail (startup@ksa.or.kr)로 접수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한전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선정 절차는 1차 서류평가를 통과한 총 30개사를 대상으로 2개 부문별로 5개 우수기업을 선정한 후 6월 중 전문가와 일반 국민이 참여하는 최종경연으로 순위를 결정할 예정이다.최종경연 결과에 따라 산업부 장관상, 한전 사장상, 한국표준협회장 및 한국기술지주회사협회장상이 수여되고 공모 부문에 따라 CES 2026 참관, 중동지역 수출촉진회 참가 지원, 사업화자금(1~3000만 원)이 지원된다.또한 전문 컨설팅 캠프 참여 및 기술 사업화 패키지 지원, 전력연구원과 한국에너지공과대학 전문가의 기술지원, 판로개척과 투자유치 연계 등 다양한 특전도 제공될 예정이다.한전은 ‘에너지 신기술 사업화 대전’을 통해 에너지 기술혁신과 에너지 신산업에 대한 국민적 관심을 확산하고 유망 에너지 혁신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이어가 신기술 사업화와 에너지 혁신 생태계 조성에 기여해 나갈 계획이다.
-
2024년 9월 아프리카 유통·서비스업 주요동향은 나이지리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유통업과 서비스를 포함한다. 나이지리아 우정국(NIPOST)에 따르면 2024년 매출약 N 100억 나이라 창출과 우편 분실물 문제 해결을 목표로 정했다.남아프리카공화국 게임 및 숙박업 회사인 선 인터내셔널(Sun International Ltd)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상반기 수입은 R 60억 랜드로 전년 동기간 대비 5.0% 증가했다.○ 나이지리아 우정국(NIPOST)에 따르면 2024년 매출약 N 100억 나이라 창출과 우편 분실물 문제 해결을 목표로 정했다.수익 개선과 우편물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 2024년 정부 예산에서 NIPOST는 경상지출로 184억 나이라를 할당받았다.우편물 분실에 대한 우려로 서비스 이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추적 시스템을 도입해 기술 인프라시설을 향상해 공공의 신뢰를 회복하고자 한다.최근 파트너십을 체결한 나이지리아 중소기업 개발위원회(SMEDAN)와 협업을 통해 NIPOST의 운송서비스 비용을 15% 절감할 방침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슈퍼마켓 소매업체인 숍라이트(Shoprite)에 따르면 남아공 투자 및 지주회사인 펩코어(Pepkor)에 가구 부문을 매각할 계획이다.가구 사업 부문을 약 R 30억 랜드에 판매할 예정이다. 매입액은 펩코어의 시가총액의 약 4%에 달하며 현금으로 합의를 보았다.숍라이트는 향후 의류, 아동, 아웃도어, 반려동물 사업의 확장에 집중할 방침이다. 아프리카 대륙 내 국가의 주요 식료품 사업 부문도 운영을 중당했다.의류 소매업체 브랜드를 운영하는 펩코어는 이번 인수로 가구와 가전제품 사업 부문의 운영 규모를 넓히고 지점 수를 1300개로 늘리게 된다.남아공 국내를 포함해 보츠와나, 레소토, 나미비아, 에스와티니, 잠비아의 지점 400곳을 인수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슈퍼마켓 소매업체인 숍라이트(Shoprite)의 매장. [출처=숍라이트 홈페
-
냉간압연강판(CR)은 열연강판(HR)과 비교해 얇은 두께와 매끈한 표면이 특징으로 건설업과 가전제품, 기계류, 자동차 등 제조업 전반에 활용된다. 동국씨엠은 고로 방식이 아닌 타 철강사로부터 매입한 열연(핫코일)을 가공해 컬러강판을 제조한다.미국 시장조사기업인 얼라이드 마켓 리서치(Allied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냉연강판 시장은 2022년 US$ 1억5120만 달러에서 2032년 2억10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동차, 건설업에서 냉연 수요 상승은 긍정적인 요소이나 원료 가격변동과 지정학적 변동성이 성장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된다.동국씨엠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동국씨엠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동국씨엠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ESG 중장기 전략 및 비전 수립... 1분기 영업이익 238억 원으로 흑자 전환동국씨엠은 2024년 ESG중장기 전략을 새롭게 수립하며 ESG 슬로건을 ‘Clean Move, Green Steel’로 정했다. ESG경영 비전인 ‘Global No.1 Color Coating Company’를 목표로 3대 CM 핵심 가치를 △Clean Metal △Can-do Mission △Clear Message로 밝혔다.홈페이지를 확읺판 결과 ESG 경영 헌장은 없으며 환경에너지 경영방침과 안전보건 경영방침은 공개하고 있다. 경영이념을 윤리헌장의 기본으로 하며 윤리경영을 추진하기 위한 윤리헌장과 윤리규범, 윤리규범 실천지침을 수립했다.2024년 3월 기준
-
2022-04-09일본 가전제품 제조기업인 파나소닉홀딩스(パナソニ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2022년 4월 1일부터 지주회사제로 운영을 시작했다. 이전에는 주식회사였다. 파나소닉홀딩스 산하 8개 사업 회사들은 독립채산제로 운영된다. 이중 핵심 사업 회사는 가전제품과 공조기기 등을 담당하며 사명도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을 이용한다. 파나소닉홀딩스의 2022년 3월기 연결결산 매출 전망치는 7조3000억엔이다. 처음으로 매출 7조엔을 초과한 1992년 3월기와 동일한 수준으로 30년간 정체를 겪고 있다. 이번 중장기 계획에는 그룹 전체의 매출 목표를 설정하지 않았다. 매출 목표 달성보다 현장의 효율화와 설비 가동률 등 생산성 향성에 집중할 방침이다. ▲파나소닉홀딩스(パナソニ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 로고
-
2022-04-06필리핀 복합기업인 SM 인베스트먼트(SM Investments)에 따르면 투자지주회사인 AEHI(Allfirst Equity Holdings Inc)의 지분 81%를 인수할 계획이다. 현재 지분 보유율은 19%이다. AEHI는 지열 발전기업인 필리핀지열생산(PGPC)의 지주회사이다. SM 인베스트먼트의 주식 1740만주 매매를 통한 지분 인수 완료 후 AEHI와 그 자회사인 필리핀지열생산(PGPC)을 100% 보유하게 된다.필리핀지열생산(PGPC)의 기업 가치는 266억페소이다. 필리핀지열생산(PGPC)에서 발전한 전력의 판매 자금 흐름에만 기반을 둔 기업 가치 평가이며 지역들의 지열발전소 매각 가치는 제외됐다. 주요 지열발전소들은 1979년부터 운영을 시작해 시설들이 다소 노후화됐다. 포트폴리오 내에 신규 프로젝트들도 포함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개발을 통한 향후 수익성이 보장될 것으로 판단된다. ▲필리핀지열생산(PGPC) 로고
-
2022-03-30인도 금융 서비스 지주회사인 릴라이언스 캐피탈(Reliance Capital Ltd)에 따르면 해당사에 대한 인수 의사를 표명한 기업은 54개로 집계됐다. 중앙은행은 인수 입찰서 제출 마감 기한을 2022년 3월 11일에서 2022년 3월 25일로 연장했다. 일부 입찰자들이 EoI(Expressions of Interest) 기한을 늘려줄 것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대다수 입찰자들은 릴라이언스 캐피탈 전체에 대해 입찰을 제출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자회사 하나 이상에 대해 입찰서를 제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릴라이언스 캐피탈의 2021 회계연도 4분기 기준 전체 순손실은 175억9000만루피였다. 1986년 3월 5일 창립된 릴라이언스 캐피탈은 2021년 11월 29일부터 중앙은행이 파산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릴라이언스 캐피탈(Reliance Capital Ltd) 로고
-
2022-03-23필리핀 지주회사 및 주류기업인 LTG(LT Group Inc)에 따르면 2021년 순이익은 202억5000만페소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3.7% 하락한 것으로 PMFTC Inc 산하 담배 사업이 수익의 86%를 기여했다. 담배 사업의 순이익은 175억페소로 4% 상승했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과 격리 조치로 인한 소비자 구매력 영향으로 판매량은 554억개피로 10.8% 감소했다. 담배 다음으로 수익 기여도가 높았던 것은 주류 기업인 TDI(Tanduay Distillers Inc)로 2021년 순이익은 12억4000만페소로 11% 상승했다. 알콜음료 판매량은 감소했지만 바이오에탄올 매출은 올랐다. TDI의 2021년 말 증류주 국내 시장 점유율은 26.6%로 2020년 22.5% 대비 성장했다. LTG는 담배 밀수 등 불법 활동 증가에 따른 우려와 담배세율의 점진적인 인상을 요구했다. ▲LTG(LT Group Inc) 로고
-
싱가포르 식품 가공 및 투자지주회사인 윌마 인터내셔널(Wilmar International)에 따르면 2021 회계연도 하반기 수익은 US$ 11억40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20 회계연도 동기간 대비 23.4% 상승했다. 2021 회계연도 전체 수익은 18억9000만달러로 2020 회계연도 대비 23.2% 증가했다. 매출은 608억달러로 2020 회계연도 대비 30.2% 올랐다. 곡물가를 포함한 원자재 가격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사업 부문의 높은 마진이 비용부담을 상쇄하며 수익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최종 배당금은 1주당 10.5센트로 결정되었고 2021 회계연도 전체 배당금은1 주당 15.5센트가 됐다. 2020 회계연도 총 배당금은 1주당 19.5센트였다. ▲윌마 인터내셔널(Wilmar International) 로고
-
일본 지주회사인 세이부 홀딩스(西武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싱가포르 자산관리법인인 지아이씨프라이빗리미티드(GIC Private Ltd) 관련 회사인 Rico Pine Private Ltd와 기본 협정서를 체결했다. 해당 체결에 근거해 프린스 호텔(プリンスホテル)은 호텔과 레저 자산을 GIC 그룹이 출자하는 복수의 합동회사에 양도한다. 세이부 프린스 호텔 월드와이드(SPW)가 호텔과 레저 자산의 경영 업무를 맡고 세이부 SCCAT(西武SCCAT)가 해당 자산의 빌딩 매니저먼트 업무를 각각 수탁한다. 이번 협정의 대상이 된 자산은 총 76개 중에서 31개이다. 체결 시점의 양도 가격은 1500억엔 정도로 예상되며 양도 차익은 800억엔 정도로 전망된다. ▲세이부 홀딩스(西武ホールディングス) 로고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