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지주회사"으로 검색하여,
1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년 9월 아프리카 유통·서비스업 주요동향은 나이지리아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유통업과 서비스를 포함한다. 나이지리아 우정국(NIPOST)에 따르면 2024년 매출약 N 100억 나이라 창출과 우편 분실물 문제 해결을 목표로 정했다.남아프리카공화국 게임 및 숙박업 회사인 선 인터내셔널(Sun International Ltd)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상반기 수입은 R 60억 랜드로 전년 동기간 대비 5.0% 증가했다.○ 나이지리아 우정국(NIPOST)에 따르면 2024년 매출약 N 100억 나이라 창출과 우편 분실물 문제 해결을 목표로 정했다.수익 개선과 우편물 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한 목적이다. 2024년 정부 예산에서 NIPOST는 경상지출로 184억 나이라를 할당받았다.우편물 분실에 대한 우려로 서비스 이용을 꺼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추적 시스템을 도입해 기술 인프라시설을 향상해 공공의 신뢰를 회복하고자 한다.최근 파트너십을 체결한 나이지리아 중소기업 개발위원회(SMEDAN)와 협업을 통해 NIPOST의 운송서비스 비용을 15% 절감할 방침이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슈퍼마켓 소매업체인 숍라이트(Shoprite)에 따르면 남아공 투자 및 지주회사인 펩코어(Pepkor)에 가구 부문을 매각할 계획이다.가구 사업 부문을 약 R 30억 랜드에 판매할 예정이다. 매입액은 펩코어의 시가총액의 약 4%에 달하며 현금으로 합의를 보았다.숍라이트는 향후 의류, 아동, 아웃도어, 반려동물 사업의 확장에 집중할 방침이다. 아프리카 대륙 내 국가의 주요 식료품 사업 부문도 운영을 중당했다.의류 소매업체 브랜드를 운영하는 펩코어는 이번 인수로 가구와 가전제품 사업 부문의 운영 규모를 넓히고 지점 수를 1300개로 늘리게 된다.남아공 국내를 포함해 보츠와나, 레소토, 나미비아, 에스와티니, 잠비아의 지점 400곳을 인수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슈퍼마켓 소매업체인 숍라이트(Shoprite)의 매장. [출처=숍라이트 홈페이지] ○ 남아프리카공화국 게임 및 숙박업 회사인 선 인터내셔널(Sun International Ltd)에 따르면 2024 회계연도 상반기 수입은 R 60억 랜드로 전년 동기간 대비 5.0% 증가했다.그룹의 전체 매출의 77.4%를 차지하는 게이밍 수입은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3.4% 상승했다. 2024 회계연도 상반기 리조트와 호텔의 총 수입은 15억 랜드로 전년 동기간과 비교해 6.2% 증가했다.게이밍과 숙박업 매출이 상승하며 향후 새로운 온라인 도박 시장으로 사업 범위를 확장할 계획이다.○ 미국 전자상거래 기업인 아마존(Amazon.co.za)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 온라인 상점인 Shop Mzansi를 열었다. 160개 이상의 현지 브랜드를 등록해 국내 소상공인들의 상품을 고객들이 더욱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했다.아마존의 포장 및 배송 서비스 툴, 결제시스템, 홍보, 판매 향상을 위한 분석 및 보고를 통해 국내 소상공인들의 온라인 운영 성장을 지원할 방침이다.아마존의 글로벌 온라인 상점 매출의 60% 이상은 중소기업체를 포함한 개인 판매업자로 이뤄진다. 남아공에서도 유사한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
냉간압연강판(CR)은 열연강판(HR)과 비교해 얇은 두께와 매끈한 표면이 특징으로 건설업과 가전제품, 기계류, 자동차 등 제조업 전반에 활용된다. 동국씨엠은 고로 방식이 아닌 타 철강사로부터 매입한 열연(핫코일)을 가공해 컬러강판을 제조한다.미국 시장조사기업인 얼라이드 마켓 리서치(Allied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냉연강판 시장은 2022년 US$ 1억5120만 달러에서 2032년 2억1000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자동차, 건설업에서 냉연 수요 상승은 긍정적인 요소이나 원료 가격변동과 지정학적 변동성이 성장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된다.동국씨엠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동국씨엠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동국씨엠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ESG 중장기 전략 및 비전 수립... 1분기 영업이익 238억 원으로 흑자 전환동국씨엠은 2024년 ESG중장기 전략을 새롭게 수립하며 ESG 슬로건을 ‘Clean Move, Green Steel’로 정했다. ESG경영 비전인 ‘Global No.1 Color Coating Company’를 목표로 3대 CM 핵심 가치를 △Clean Metal △Can-do Mission △Clear Message로 밝혔다.홈페이지를 확읺판 결과 ESG 경영 헌장은 없으며 환경에너지 경영방침과 안전보건 경영방침은 공개하고 있다. 경영이념을 윤리헌장의 기본으로 하며 윤리경영을 추진하기 위한 윤리헌장과 윤리규범, 윤리규범 실천지침을 수립했다.2024년 3월 기준 이사회 구성은 사내이사 2명, 사외이사 3명이다, 여성 임원은 사외이사 1명 뿐이다. 2023년 이사회 개최 횟수는 총 12회였다. 이사회 평균 참석률은 △사내이사 참석률 100% △사외이사 참석률 97%로 총 98%로 집계됐다.동국제강그룹은 2023년 지주사 전환에 따라 지주사 경영은 오너 일가, 사업회사인 동국제강과 동국씨엠은 전문경영인이 대표이사를 맡도록 조치했다.동국씨엠 이사회 의장이자 대표이사로 선임된 박상훈 대표이사는 엔지니어 출신이다. 1993년 입사해 부산 공장장에서 냉연영업실장 등을 거치며 냉연 산업 관련 현장 경험을 쌓은 것으로 알려졌다.지주사 전환으로 2015년 횡령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 후 실형이 확정된 장세주 회장이 8년 만에 경영에 복귀했다. 장 회장은 동국홀딩스의 사내이사로 선임됐다.지주사 전환에 따라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해도 지수사 경영진은 책임을 회피할 수 있지만 법적 책임은 사업회사 대표가 책임질 가능성이 높다.동국씨엠의 2024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는 ESG 슬로건인 ‘Clean Move, Green Steel’을 보고서명으로 정했다. 2023년 6월 분할 후 첫 번째 발간된 보고서로 동국씨엠의 ESG 중장기 전략을 포함한다. 향후 10년 비전인 ‘DK Color Vision 2030’과 경영성과 등을 공개했다.2024년 1분기 별도 기준 영업이익 238억 원, 순이익은 213억 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모두 흑자로 전환했다. 1분기 별도 기준 매출액은 5565억 원으로 직전 분기 5244억 원 대비 6.11% 증가했다.2023년 하반기 매출액은 1조2661억 원으로 상반기 8750억 원 대비 확대됐다. 2023년 하반기 영업이익은 267억 원으로 상반기 140억 원 대비 급증했으며 영업이익률도 향상됐다. ◇ 안전보건경영 무사고·무재해 목표... 향후 해외 거점 수 7개국 8개로 확장 계획안전보건경영 목표는 무사고·무재해로 안전보건 경영방침을 전사적으로 재공포했다고 밝혔다. 지난 10년간의 재해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기반으로 ‘안전보건 십계명’을 제정했다. 2023년 신설된 안전기획팀은 전사 안전보건 활동 모니터링, 안전 로드맵 수립 등을 수행한다.2022년 기준 최근 5년간 동국제강에서 근로자가 사망한 산업재해가 4건 발생했다. 2023년 유가족은 장세욱 대표이사를 중대법 위반 혐의로 고소하며 재조사를 요구했다. 동국제강 오너 일가가 중대법 리스크에서 벗어났다고 비난했다.2024년 4월 동국씨엠 부산공장은 고용노동부와 협력업체 6개 사와 협력사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및 중대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동국씨엠과 협력사 간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과 협력이 목적이다. 해당 협약은 2024년 동안 유지되며 연말에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여부 평가와 상호협의로 연장할 수 있다.2024년 5월 동국씨엠은 독일 프랑크푸르트 에쉬본에 유럽 지사를 설립했다. 컬러강판 수출의 40%를 차지하는 핵심 지역인 유럽 고객사와 소통을 강화하고 새로운 수요 발굴에 집중할 방침이다. 고급 건축 수요가 높은 유럽 지역의 수요를 반영한 프리미엄 제품의 수출도 확대할 방침이다.독일에 새로운 유럽 지사를 설립하며 해외 거점을 5개국 6개로 확장했다. DK Color Vision 2030의 세 가지 추진 방향인 △지역별 거점 확대 △전략적 합작투자를 통한 영향력 증대 △전략 지역 소규모 생산기지 확보에 따른 것이다. 향후 해외 거점 수를 7개국 8개 구축 체제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인재 양성을 목표로 집합교육을 실시하며 최근 3년간 수료인원은 △2021년 706명 △2022년 1041명 △2023년 1239명으로 증가세를 기록했다. 2023년 교육 내용은 △DK 리더 역량 교육 강화 △직급별 필수 역량 교육 강화 △후인원 포럼 신설 등을 진행했다.동국씨엠은 리더십 교육 외에도 온라인 교육과 어학 교육을 임직원에게 제공한다. 온라인 교육 홈페이지인 SK HRD를 통해 경영/리더십, 직무/자격, 외국어, 인문계/교양 지식과 전자도서관 등을 활용할 수 있다.온라인 교육 신청 인원은 2023년 1366명으로 2022년 1414명에서 소폭 감소했다. 전화외국어 교육 신청 인원은 2023년 755명으로 2022년 740명 대비 증가했다. ◇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럭스틸, 도금강판 제품군 국내 환경성적표지(EPD) 취득동국씨엠의 환경에너지 경영 이념은 ‘철을 통해 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동국씨엠, 저탄소 녹색성장을 선도하는 친환경 기업’이다.환경경영 이념에 따른 환경방침을 수립했다. 경영시스템은 △환경에너지 투자 △환경에너지 관리시스템 △환경에너지 보호를 도입 및 관리할 방침이다.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목표로 기준연도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309톤(t)에서 2030년 277t, 2040년 223t으로 점차 줄일 계획이다. 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310t △2022년 287t △2023년 285t으로 감소세를 보였다.2024년 6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으로부터 동국씨엠의 럭스틸(Luxteel)과 도금강판 제품군이 국내 환경성적표지(EPD)를 취득했다.컬러강판 업계 중 국내 인증을 처음으로 획득한 것이다. 동국씨엠은 같은 제품군으로 2022년 유럽 국제 EPD, 2023년 미국 UL EPD 인증을 각각 취득했다.동국씨엠의 국내 EPD 인증 취득에 따라 건축주는 해당 제품의 사용 비율에 따라 녹색건축인증제도(G-SEED) 평가에서 가점이 주어진다. 녹색건축인증은 획득 시 건축물 기준의 완화와 취득세 감면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2023년 11월 폐플라스틱 재활용 도료를 활용한 컬러강판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 컬러강판 제조 시 사용되는 페인트 등 도료 사용을 줄일 수 있다.리-본 그린 컬러강판(Re-born Green PCM)을 1t 생산 시 500㎖ 페트병 100여 개를 재활용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조사됐다. 해당 기술은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도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기존 고로 소재 외에 전기로 기반의 열연강판 생산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수요가의 최종 신뢰성 평가 후 상업화를 진행할 계획이다. 동국씨엠은 2030년까지 컬러강판 관련 매출 2조 원, 100만t 판매 체제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정했다. ◇ ESG 경영을 정상적으로 추진하려면 제왕적 오너 리스크를 통제할 시스템 구축이 시급△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거버넌스는 ESG 경영 헌장을 제정하지 않았으며 아직 윤리경영 수준에 머물고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오너 리스크가 반복해 발생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여성 이사의 비율도 낮은 편이다. 전문경영인 체제를 도입했지만 ESG 경영을 정상적으로 추진하려면 오너 리스크를 통제할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다.전문경영인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 중이지만 오너 리스크도 상존해 획기적인 경영 전환이 불가피하다. 2024년 들어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등 실적이 호조를 보이며 정상 경영 궤도에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회(Social)=사회는 무사고·무재해로 안전보건 경영을 적극 추진하고 있지만 철강업 자체가 고위험 사업이라 재해를 제로(0) 수존으로 축소하기는 힘든 상황이다.고용노동부와 중대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협약을 체결해 노력하는 중이다. 근로자 사망 및 부상을 예방할 안전보건 시스템의 강화가 필요하다.△환경(Environment)=환경은 저탄소 녹생성장을 선도하겠다는 야심찬 게획을 수립했지만 철강업 자체가 환평파괴적 사업이라 어려움이 예상된다.지난 3년 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였을 뿐 아니라 폐플라스틱 재활용 도료를 활용해 컬러강판을 제조하는 등도 환경경영의 일환이다.⋇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정부·기업·기관·단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팔기는 주역의 기본 8괘를 상징하는 깃발, 생태계는 기업이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의미한다. 주역은 자연의 이치로 화합된 우주의 삼라만상을 해석하므로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
2022-04-09일본 가전제품 제조기업인 파나소닉홀딩스(パナソニ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2022년 4월 1일부터 지주회사제로 운영을 시작했다. 이전에는 주식회사였다. 파나소닉홀딩스 산하 8개 사업 회사들은 독립채산제로 운영된다. 이중 핵심 사업 회사는 가전제품과 공조기기 등을 담당하며 사명도 파나소닉(パナソニック)을 이용한다. 파나소닉홀딩스의 2022년 3월기 연결결산 매출 전망치는 7조3000억엔이다. 처음으로 매출 7조엔을 초과한 1992년 3월기와 동일한 수준으로 30년간 정체를 겪고 있다. 이번 중장기 계획에는 그룹 전체의 매출 목표를 설정하지 않았다. 매출 목표 달성보다 현장의 효율화와 설비 가동률 등 생산성 향성에 집중할 방침이다. ▲파나소닉홀딩스(パナソニックホールディングス) 로고
-
2022-04-06필리핀 복합기업인 SM 인베스트먼트(SM Investments)에 따르면 투자지주회사인 AEHI(Allfirst Equity Holdings Inc)의 지분 81%를 인수할 계획이다. 현재 지분 보유율은 19%이다. AEHI는 지열 발전기업인 필리핀지열생산(PGPC)의 지주회사이다. SM 인베스트먼트의 주식 1740만주 매매를 통한 지분 인수 완료 후 AEHI와 그 자회사인 필리핀지열생산(PGPC)을 100% 보유하게 된다.필리핀지열생산(PGPC)의 기업 가치는 266억페소이다. 필리핀지열생산(PGPC)에서 발전한 전력의 판매 자금 흐름에만 기반을 둔 기업 가치 평가이며 지역들의 지열발전소 매각 가치는 제외됐다. 주요 지열발전소들은 1979년부터 운영을 시작해 시설들이 다소 노후화됐다. 포트폴리오 내에 신규 프로젝트들도 포함되기 때문에 지속적인 개발을 통한 향후 수익성이 보장될 것으로 판단된다. ▲필리핀지열생산(PGPC) 로고
-
2022-03-30인도 금융 서비스 지주회사인 릴라이언스 캐피탈(Reliance Capital Ltd)에 따르면 해당사에 대한 인수 의사를 표명한 기업은 54개로 집계됐다. 중앙은행은 인수 입찰서 제출 마감 기한을 2022년 3월 11일에서 2022년 3월 25일로 연장했다. 일부 입찰자들이 EoI(Expressions of Interest) 기한을 늘려줄 것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대다수 입찰자들은 릴라이언스 캐피탈 전체에 대해 입찰을 제출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자회사 하나 이상에 대해 입찰서를 제출한 것으로 조사됐다. 릴라이언스 캐피탈의 2021 회계연도 4분기 기준 전체 순손실은 175억9000만루피였다. 1986년 3월 5일 창립된 릴라이언스 캐피탈은 2021년 11월 29일부터 중앙은행이 파산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릴라이언스 캐피탈(Reliance Capital Ltd) 로고
-
2022-03-23필리핀 지주회사 및 주류기업인 LTG(LT Group Inc)에 따르면 2021년 순이익은 202억5000만페소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3.7% 하락한 것으로 PMFTC Inc 산하 담배 사업이 수익의 86%를 기여했다. 담배 사업의 순이익은 175억페소로 4% 상승했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과 격리 조치로 인한 소비자 구매력 영향으로 판매량은 554억개피로 10.8% 감소했다. 담배 다음으로 수익 기여도가 높았던 것은 주류 기업인 TDI(Tanduay Distillers Inc)로 2021년 순이익은 12억4000만페소로 11% 상승했다. 알콜음료 판매량은 감소했지만 바이오에탄올 매출은 올랐다. TDI의 2021년 말 증류주 국내 시장 점유율은 26.6%로 2020년 22.5% 대비 성장했다. LTG는 담배 밀수 등 불법 활동 증가에 따른 우려와 담배세율의 점진적인 인상을 요구했다. ▲LTG(LT Group Inc) 로고
-
싱가포르 식품 가공 및 투자지주회사인 윌마 인터내셔널(Wilmar International)에 따르면 2021 회계연도 하반기 수익은 US$ 11억4000만달러로 집계됐다. 2020 회계연도 동기간 대비 23.4% 상승했다. 2021 회계연도 전체 수익은 18억9000만달러로 2020 회계연도 대비 23.2% 증가했다. 매출은 608억달러로 2020 회계연도 대비 30.2% 올랐다. 곡물가를 포함한 원자재 가격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사업 부문의 높은 마진이 비용부담을 상쇄하며 수익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최종 배당금은 1주당 10.5센트로 결정되었고 2021 회계연도 전체 배당금은1 주당 15.5센트가 됐다. 2020 회계연도 총 배당금은 1주당 19.5센트였다. ▲윌마 인터내셔널(Wilmar International) 로고
-
일본 지주회사인 세이부 홀딩스(西武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싱가포르 자산관리법인인 지아이씨프라이빗리미티드(GIC Private Ltd) 관련 회사인 Rico Pine Private Ltd와 기본 협정서를 체결했다. 해당 체결에 근거해 프린스 호텔(プリンスホテル)은 호텔과 레저 자산을 GIC 그룹이 출자하는 복수의 합동회사에 양도한다. 세이부 프린스 호텔 월드와이드(SPW)가 호텔과 레저 자산의 경영 업무를 맡고 세이부 SCCAT(西武SCCAT)가 해당 자산의 빌딩 매니저먼트 업무를 각각 수탁한다. 이번 협정의 대상이 된 자산은 총 76개 중에서 31개이다. 체결 시점의 양도 가격은 1500억엔 정도로 예상되며 양도 차익은 800억엔 정도로 전망된다. ▲세이부 홀딩스(西武ホールディングス) 로고
-
일본 지주회사인 세이부홀딩스(西武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약 30개 시설을 외국자본계열 펀드에 매각하는 방향으로 조정을 진행하고 있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악화된 재정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이다. 프린스호텔(プリンスホテル)을 포함한 국내 호텔과 스키장 등 레저 시설이 매각 목록에 포함된다. 싱가포르 정부 계열 펀드에 매각하는 방향으로 조정하고 있다. 시설 운영은 매각 후에도 해당사에서 계속 담당하며 브랜드명도 유지할 방침이다. 매각 규모는 1500억엔 정도로 전망된다. 2022년 3월까지 1년간 실적 예상에서 최종 손익은 140억엔의 적자로 2년 연속 적자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이부홀딩스(西武ホールディングス) 로고
-
2022-01-26홍콩 크루즈 및 리조트 지주회사인 겐팅 홍콩(Genting Hong Kong)에 따르면 2022년 1월 21일 회사 설립자이자 회장인 림콕타이(Lim Kok Thay)가 사임했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크루즈 사업이 큰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림콕타이는 1993년 해당사를 설립했으며 지분의 76%를 보유하고 있다. 2021년 5월 손실이 US$ 17억달러, 약 S$ 22억9000만싱가포르달러를 기록했다. 2020년 초부터 주가는 50% 이상 급락했다. 해당사의 드림크루즈(Dream Cruises)는 웹사이트를 통해 새롭게 예약을 받는 것은 중단했다. 현재 2022년 2월 4일까지 일시적으로 예약을 연기한 것으로 조사됐다. ▲겐팅 홍콩(Genting Hong Kong) 로고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