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철강 수입량"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17-02-01베트남 철강협회(VSA)의 자료에 따르면 2016년 베트남의 철강수입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빠르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으로 자동차에서 건물 등을 만들기 위해 더 많은 철강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이다.베트남의 철강수입은 전년 대비 18.4% 증가한 1840만톤을 기록했으며 수출은 36% 증가한 350만톤이었다. 이에 따른 철강무역의 적자규모는 1490만톤, 금액으로는 60억달러에 달한다. 지금까지 베트남의 철강 수입은 시장 수요의 60%를 충족시킨다.무역부는 급속하게 증가하는 국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선 2020년까지 철강수입에 매년 150억달러가 필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향후 철강수입량 전망치를 2020년까지 1500만톤, 2025년까지 2000만톤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2016년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이 6.2%인 것을 감안할 때 국가의 철강수요 증가로 2017년에는 생산량을 10~12% 가량 늘릴 것으로 보인다.현재 베트남인 1인당 철강 소비는 300kg에 달하지만 향후 몇 년 동안은 더 증가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현재 베트남은 철광석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지만 제조, 군수, 조선업 등에서는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동남아시아 국가는 중국으로부터의 철강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올해 10개의 철강 프로젝트를 실시할 계획이다.2016년 베트남의 총 철강수입 중 절반 이상은 중국산이다. 관세청의 자료에 따르면 동남아이사 국가들은 지난해 1085만톤을 수입해 전년 대비 14.3% 증가했다. 금액으로는 44억5000만달러로 집계됐다.올해 중국의 과잉생산으로 철강업계에 값 싼 철강이 유입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정부는 철강업체들에게 의무를 부과함으로써 유해한 파급효과를 막을 예정이다.중국산 철강은 주로 남부 연안지역의 제조시설에서 생산되고 있다. 또한 해상운송을 활용해 운송비용 절감으로 베트남산 제품보다 경쟁력이 높은 상황이다.
-
2016-11-29인도 철강부 산하의 합동공장위원회(Joint Plant Committee)에 따르면 2016년 상반기(4~9월) 철강수입 360만톤 중 한국·중국·일본으로부터의 수입량이 전체의 3/4를 차지했다.상반기에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양은 108만톤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서 한국이 102만톤이였다. 일본에서의 수입량은 56만톤으로 3개국가 중 가장 적었다.
-
베트남철강협회는 2016년 1~4월 철강 수입 규모가 750만톤으로 전년 동기대비 48% 증가했다고 밝혔다. 합금강과 철강제품 등은 수입물량의 90%이상을 차지하며 일시적인 보호관세에도 불구하고 수입물량이 국내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상황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