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컴퓨터칩"으로 검색하여,
2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러시아 컴퓨터 제조업체인 아쿠아리우스(Aquarius) 홍보 자료 [출처=홈페이지]러시아 컴퓨터 제조업체인 아쿠아리우스(Aquarius)에 따르면 2026년부터 리스크 파이브(RISC-V) 기반의 컴퓨터 칩을 공급할 계획이다.개발한 컴퓨터 칩은 직접 생산하는 컴퓨터 기기와 통신, 다른 전자 제품을 개발하는 국내 업체에도 공급할 방침이다. 해외에서 생산된 컴퓨터 칩을 대체하길 희망하는 업체가 대상이다.아쿠아리우스가 보유한 기술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국내외 공장에서 컴퓨터 칩을 생산한다는 구상이다. 투자 예정 금액은 43억 루블(약 709억 원)에 달한다.현재 약 100여 명에 달하는 직원으로 팀을 구성했으며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리눅스 운영 체제에서 작동할 리스크 파이브 아키텍처를 가진 시스템온칩(SoC)를 개발할 시스템 프로그래머를 충원 중이다.참고로 리스크 파이브는 미국 UC 버클리가 2010년부터 개발하고 있는 무료 오픈 소스 RISC 명령어셋 아키텍쳐다. 스마트폰이나 임베디드 장치의 CPU로 널리 쓰이는 ARM과 직접 경쟁하기 위해 개발하고 있다.
-
영국 브리스톨대(University of Bristol)에 따르면 덴마크 기술대(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와 공동연구를 통해 두 컴퓨터 칩 사이에서 처음으로 양자 순간 이동을 달성했다.물리적 또는 전자적인 연결없이 한 칩에서 다른 칩으로 정보를 즉시 전송할 수 있었다. 이러한 종류의 순간 이동은 양자 얽힘(quantum entanglement) 현상에 의해 가능하다.양자 얽힘은 두 입자가 서로 얽혀서 장거리에서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한 입자의 속성을 변경하면 두 입자를 분리하는 공간의 양에 관계없이 다른 입자도 즉시 변경된다. 본질적으로 정보가 그들 사이에서 순간 이동된다.가설적으로 양자 순간 이동이 작동할 수 있는 거리에는 제한이 없다. 이는 아인슈타인 자신도 의문을 제기할 정도로 이상한 함의를 일으킬 수 있다.물리학에 대한 현재의 이해는 빛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는 없지만 양자 순간 이동을 사용하면 정보가 속도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인슈타인은 이를 “먼 거리에서 우스운 행동(spooky action at a distance)”이라고 불렀다.연구팀은 이와 같은 현상을 활용해 칩에 얽힌 광자 쌍을 생성한 다음 양자를 1로 측정했다. 양자 측정이 수행된 후 입자의 개별 양자 상태가 두 칩을 통해 전송된다.이 측정은 양자 물리학의 이상한 행동을 이용하여 얽힘 링크를 동시에 붕괴시키고 입자 상태를 이미 수신기 칩에 있는 다른 입자로 전달하는 것으로 분석된다.이전에는 단일 컴퓨터 칩의 서로 다른 부분 간에도 수행됐지만 두 개의 서로 다른 칩간 텔레포트는 양자 컴퓨팅의 주요 혁신으로 평가된다. 이 연구결과는 Nature Physics 저널에 발표됐다.▲ UK-BristolUniversity-QuantumComputing▲ 브리스톨대(University of Bristol)의 홍보자료(출처: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