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
" 탄소 배출량"으로 검색하여,
3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12▲ 한국수자원공사-경기도-경기주택도시공사 업무협약[출처=한국수자원공사]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에 따르면 2025년 3월11일(화) 경기 화성 동탄 자연앤자이 아파트에서 경기도, 경기주택도시공사와 수열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비용 제로 아파트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에너지비용 제로(Zero) 아파트는 광역상수도 수열원을 냉난방에 활용해 에너지비용을 50퍼센트(%) 절감하고 나머지 50%에는 태양광 등을 자가 소비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아파트를 말한다.수열에너지는 댐·호수 또는 하천의 수온이 여름철에는 대기보다 낮고 겨울철에는 높은 특성을 활용해 물을 열원으로 히트펌프 등의 설비를 통해 건축물을 냉난방하는 친환경 재생에너지다.이번 협약은 수열에너지의 특성을 활용해 하남 교산 공공주택지구에 조성하는 아파트 1797세대 중 604세대를 시범 사업지로 정해 냉난방 열을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특히 협약으로 추진될 에너지비용 제로 아파트 시범사업은 국내 최초로 아파트에 수열에너지를 공급하는 사업이다.수열원을 냉난방에 활용해 에너지비용이 기존 대비 절반 수준으로 저렴하며 탄소 배출량이 약 52% 절감될 것으로 예상된다.실외기 설치가 불필요해 여름철 폭염에 따른 도시 열섬 현상과 실외기실 화재 발생 방지가 가능하고 주거 공간의 활용성 또한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한국수자원공사는 인근의 수도권 1, 2단계 광역상수도에서 분기된 관로를 활용해 개별 세대마다 설치된 냉난방 설비에 쓰이는 수열을 약 20년 간 공급할 계획이다.협약 주요 내용은 △(한국수자원공사) 광역상수도 수열원을 활용한 사업 적극 발굴 및 광역상수도 수열원의 안정적 공급 △(경기도) 아파트 수열에너지 활용 냉난방 시스템 도입을 위한 행정적 지원 △(경기주택도시공사) 아파트 수열에너지 활용 냉난방 시스템 도입 및 태양광에너지 설치를 위한 시범사업 추진이다.장병훈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환경부문장은 “국내 최초로 아파트 주거 공간에 수열을 도입하는 이번 시범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해 수열에너지가 다양한 분야에 확대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수열에너지를 활용해 국가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고, 연관 기술 혁신으로 글로벌 선도기술로서 위상을 강화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밝혔다.
-
2025-03-05▲ 현대제철,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적용[출처=현대제철]현대제철(대표이사 서강현)에 따르면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적용을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말 튀르키예 완성차업체인 포드 오토산(Ford Otosan)과 함께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소재로 '포드 투어네오 커스텀' 차량의 '리어 루프 패널' 부품을 찍어내는 프레스 테스트를 진행해 품질 적합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다.이로써 현대제철은 기존 고로에서 생산해 공급 중인 자동차강판을 동등한 성능을 내면서도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은 줄어든 제품으로 전환시키는데 성공했다.프레스 테스트는 금형을 이용해 자동차강판을 차체에 필요한 부품 형태로 만들어 성형성과 표면 품질 등 소재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과정이다.한편 현대제철은 철스크랩 등을 원료로 사용하는 전기로에 고로 쇳물을 혼합해 탄소 배출을 줄이는 '전기로-고로 복합 프로세스' 양산 체제를 준비 중이다.이 프로세스가 상용화 돼 제품을 양산할 수 있는 시점에는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탄소가 약 20% 저감된 제품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현대제철 관계자는 "유럽 상용차 시장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포드 오토산의 <탄소저감 자동차강판 적용 프레스 테스트> 첫 주자로 참여해 적합성을 검증받는 성과를 거두었다"며 "지속적으로 복합 프로세스를 연구개발해 탄소저감 제품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
우리나라는 1996년 세계 최초로 코드다중접속(CDMA) 기술을 상용화에 성공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삼성전자, 금성정보통신(LG전자), 현대전자, 맥슨전자, SK텔레콤이 공동으로 연구한 성과다.2세대 이통통신 기술인 CDMA의 상용화로 이통통신 강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이후 3세대, 3세대, 5세대 이통통신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낸 대한민국은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보다 우수한 인프라를 구축했다.ETRI는 2024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10건이 선정돼 1위를 차지했다. 최근에는 100기가비트(Gbps)급 6세대 네트워크 기반 기술을 개발했다. 속도가 5G보다 100배 이상 빠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 봤다. ◇ 2022년 ESG 경영 1차 평가... 청렴도 5년째 3등급 ‘제자리’로 높은 연봉·복리후생에도 사회봉사엔 무관심ETRI는 2022년 1월 사회문제 해결과 함께 △연구윤리 강화 △탄소중립 △열정적·창의적 연구 환경 혁신 △산학연 상생경영 등 행복한 미래세상 동반자로서 ESG 경영 혁신을 강조했다. 종합청렴도 평가결과는 △2017년 3등급 △2018년 3등급 △2019년 3등급 △2021년 3등급을 기록했다. 2020년 공직유관단체 중 연구원 유형은 격년 측정으로 결정돼 2020년은 제외됐다.2020년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ETRI는 2건의 지적을 받았다. 지적 사항은 △연구부정행위가 의심되는 상황 조치 △비정규직에 대한 처우 개선 등이다. 2021년 3월31일 기준 징계 건수는 △2017년 1건 △2018년 3건 △2019년 8건 △2020년 1건 △2021년 1건 △2022년 2건으로 총 14건이다.징계 사유는 △직무 관련 관계 법령 및 제규정 위반 △복무규정 위반 △연구원 명예 및 위신 손상 등이다. 징계 종류는 △견책 4명 △정직 1명 △감봉 13명 △강등 1명 △해임 1명 등으로 조사됐다.사회공헌활동에서 봉사활동 횟수는 △2017년 2회 △2018년 2회 △2019년 2회 △2020년 0회 △2021년 0회를 기록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에너지 총사용량은 △2016년 412.22TJ(테라줄) △2017년 402.87TJ △2018년 403.21TJ △2019년 371.84TJ △2020년 366.31TJ로 집계됐다. 환경정보공개 기준이 변경되며 2019년부터 소속기관 중 에너지 사용량이 55TJ 미만인 기관은 공개 대상기관에서 제외돼 포함하지 않았다.사업장별 폐기물 발생 총량은 △2016년 332.03t △2017년 304.98t △2018년 269.64t △2019년 379.77t △2020년 299.88t 등으로 조사됐다. 2018년 대비 2019년 폐기물량이 급증한 원인은 밝히지 않았다.설립한 후 46년 동안 과학기술 발전에 큰 공을 세웠지만 5년간 종합청렴도가 3등급을 유지한 것은 조직 전반에 걸쳐 혁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반증한다.ESG 경영 혁신을 강조했지만 정작 기본적인 헌장·선언문·추진체계·추진조직 등은 정하지 않았다. 공기업도 ESG경영에 소홀하면 지속가능 성장 기반을 구축할 수 없다.◇ 2024년 ESG 경영 2차 평가... 2023년 부채 총액 2962억 원으로 부채율 81.72%ETRI는 2024년 1월 기관운영계획을 발표하며 경영 비전을 ‘디지털 혁신으로 행복한 미래세상을 만드는 기술 선구자’로 밝혔다.경영 목표는 ‘성장동력 기술혁신’으로 디지털 주도권을 확보하고 ‘ESG 경영혁신’으로 지속가능성장을 실현하는 것으로 정했다.ESG 비전은 ‘디지털 혁신으로 지속가능한 미래세상을 만드는 기술선구자’로 밝혔다. ESG 전략방향은 △친환경 임무수행 프로세스 구현 △고유 임무를 통한 공동체 가치 실현 △투명·윤리 상생의 경영체계 선도로 설정했다. 3대 전략방향에 대한 12대 전략과제와 26개 하위 실천과제를 도출해 실행하고자 한다.ETRI의 ESG 경영 헌장은 홈페이지에 부재했으며 인권경영과 윤리경영에 대해 공개했다. 홈페이지에 인권경영의 인권경영헌장과 인권경영실천규정, 윤리경영을 위한 윤리헌장 등을 제정해 공개했다.2023년 ESG경영의 최상위 심의·의결기구로서 ESG 경영위원회를 기획했으며 2024년 2월 정식으로 승인됐다. ESG 경영위원회 구성원은 총 9명으로 원장, 부원장, 직할부서장 6명, 외부위원 1명으로 구성됐다.2023년 여성 임원 수는 0명으로 2021년 0명과 비교해 변동이 없어 양성평등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대기업은 이미 여성임원의 비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 중이다.최근 4년간 종합청렴도 평가 등급은 △2019년 3등급 △2020년 평가 제외 △2021년 3등급 △2022년 평가 제외 △2023년 2등급으로 기록됐다.2023년 자본총계는 3624억 원으로 2021년 3462억 원과 비교해 4.69% 증가했다. 2023년 부채총계는 2962억 원으로 2021년 2739억 원과 대비해 8.15% 증가했다. 2023년 부채율은 81.72%으로 2021년 79.10%에서 증가했다.2023년 매출은 7098억 원으로 2021년 6383억 원과 비교해 11.20% 증가했다. 2023년 당기순이익은 8억 원으로 2021년 –4억 원에서 흑자로 전환됐다. 2023년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부채 상환에 약 335년이 소요되어 현실적으로 부채 상환이 불가능하다. ◇ 2022년 디지털 ESG 양해각서 체결... 2024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ETRI는 연구성과 산업화 추진을 통해 지속적으로 기업과의 협력 강화와 산업계에 도움이 되는 기술사업화 성과 창출에 힘쓰고자 한다.연구성과 산업화 추진체계의 비전은 ‘R&D 산업화를 선도하는 기술-시장 큐레이터(Tech-Market Curator)’로 밝혔다.추진 방향은 △협력 완결형 R&D 성과확산 △IP 창출 관리 확산 △창업 전주기 통합지원이며 추진 전략은 △연구성과확산 통합전략 △기술사업화 통합 지원체계 수립 △핵심원천 IPR 발굴 및 수익다각화 △창업 전주기 지원 플랫폼으로 정했다.2022년 8월 ETRI는 SK증권과 에트리홀딩스(주)와 함께 ‘디지털 ESG 기술사업화 투자조합’에 대한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협약에 따라 3개 기관은 디지털 전환과 ESG를 융합한 디지털 ESG의 확산 체계의 구축과 관련 기업을 지원할 계획이다.지원 내용으로는 △디지털 ESG 기술사업화 유망기업의 발굴, 투자 및 성장지원 △협약기관 공동투자를 위한 투자조합의 결성, 운용 및 출자 △공동투자 기업에 대한 투자연계 성장 프로그램 지원 등이다.최근 3년간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21년 30명 △2022년 27명 △2023년 31명으로 감소 후 증가했다.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21년 8명 △2022년 12명 △2023년 14명으로 상승세를 보였다.지난 3년간 기부금 모금 및 활용 내역은 △2021년 해당사항 없음 △2022년 해당사항 없음 △2023년 해당사항 없음으로 홈페이지에 밝혔다.2024년 6월 2021년부터 2023년까지의 3년 간의 실적을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ICT와 융합기술 연구 성과와 사회문제 해결책, ESG에 초점을 둔 지속가능한 기관 경영의 방향성 등을 제시했다. 이번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2012년과 2014년 이후 3번째로 발간된 보고서다. ◇ 2050 탄소중립 목표로 연구개발 프로세스 적용... 2023년 녹색제품 구매액 4억 원ETRI의 환경경영 전략적 방향성은 ‘친환경 임무수행 프로세스 구현’으로 탄소중립 등 국가/사회적 난제에 대한 과학기술적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 및 사업화를 적극 추진하고자 한다. 환경 관련 규제 및 제도에 대한 능동적 대안과 함께 내부 구성원 다수가 참여할 수 있는 활동의 발굴 및 시행할 방침이다.환경경영의 4개 전략과제는 △연구과제 탄소중립 관리체계 수립·운영 △친환경 정보통신기술 개발 △탄소배출량 감축실행력 강화 △환경경영 추진 및 고도화로 구성됐다. 전략과제에 대한 하위 실천과제와 실행아이템을 구성했다.ETRI는 탄소중립관점에의 연구개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마련해 적용하고 있다. 2050 탄소중립의 달성을 목표로 ICT 연구개발을 통해 탄소중립에 기여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고자 한다.ETRI는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2023~2025년의 3개년 탄소배출저감계획을 수립했다. 비전은 ‘탄소배출 저감을 통한 친환경 연구기반 조성’으로 저감계획은 △시설운영 △전문역량 확보로 정했다.최근 3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은 △2021년 1만9853tCO2-eq △2022년 2만418tCO2-eq △2023년 2만1005tCO2-eq으로 증가세를 보였다.최근 3년간 폐기물 발생량은 △2021년 403.84톤(t) △2022년 400.21t △2023년 551.20t으로 감소 후 급증했다. 지난 3년간 배출 후 재활용되는 폐기물 비율은 △2021년 84.4% △2022년 83.0% △2023년 87.9%로 감소 후 상승했다.최근 3년간 녹색제품 구매액은 △2021년 9억4200만원 △2022년 1억5900만원 △2023년 4억2950만원으로 급감 후 증가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출처=iNIS]◇ ESG 경영위원회 구성했지만 성과는 구체적으로 드러나지 않아... 3년 동안 기부금 정보 전무해 △거버넌스(Governance·지배구조)=거버넌스는 ESG 경영혁신'을 시도하고 있지만 정작 ESG 경영헌장은 제정하지 않았다. 아직도 윤리경영 수준에서 ESG를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2023년 ESG 경영위원회를 구성했지만 어떤 업무를 수행했는지, 어떤 성과를 얻었는지 불분명하다. 여성임원도 전혀 없고 종합청렴도도 3등급에서 2등급으로 상승했지만 여전히 낮다.△사회(Social)=사회는 육아휴직 사용자가 늘어나고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도 증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지난 3년 동안 기부금에 대한 정보는 전혀 공개하지 않아 판단이 어려웠다.ESG 경영을 추진하기 위해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실적도 전무했다. ETRI가 뛰어난 연구역량을 보유한 만큼 교육교재 개발에 조금만 신경을 쓰면 충분히 가능한데도 하지 않은 것을 이해하기 어렵다.△환경(Environment)=환경은 연구소는 제조업체가 아니므로 환경에 대한 고민은 크게 하지 않아도 되며 무시해도 좋은 위험군에 속했다.탄소중립관점에서 연구개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려는 노력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온실가스 배출량, 폐기물 발생량 등은 늘어나 원인부터 파악해 조치해야 한다.◇ 2022년 1차 및 2024년 2차 평가결과 비교... 2년 간 ESG 경영이 개선됐지만 여전히 부족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 평가 결과 비교 [출처=iNIS]거버넌스(G)는 외부적으로 연구기관 중 ESG 경영에 큰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상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ESG 헌장은 2022년과 2024년 모두 제정하지 않았다.다만 2024년은 2022년과 달리 ESG 경영위원회를 구성해 초보적인 출발은 한 것으로 보인다. 사외이사는 2024년 1명으로 전체의 11.1% 수준에 불과했다.여성임원의 비율은 2022년과 2024년 모두 0%로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 연구원 중 여성의 비율이 높음에도 양성평등 정책에는 관심이 없다고 봐야 한다.부채액은 2022년 2739억 원에서 2024년 2962억 원으로 증가해 부실경영에 대한 우려를 제기한다. 종합청렴도는 3등급에서 2등급으로 1단계 상승했다.사회(S)는 무기계약직의 연봉은 자료를 공개하지 않아 평가 자체가 불가능했다. 육아휴직사용자는 소폭 증가했지만 전체 대상 직원의 비율에 관한 자료가 없어 개선됐는지 판단하지 않았다.기부금액은 전혀 공개하지 않아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2023년 1분기 기준 직원의 평균연봉은 1억1746만 원으로 높은데 기부여력이 없다고 볼 수도 없다.장애인 고용비율이나 숫자에 대한 정보도 찾아보기 어려웠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고려가 없다면 ESG 경영에 대한 의지 자체가 공염불이나 다름없다.환경(E)은 사업장 폐기물 발생량은 2022년 403t에서 2024년 551t으로 급증했다. 새로운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폐기물 배출량이 늘었는지 아니면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한 것이 원인인지 불분명하다.녹색제품 구매금액은 2022년 9억 원에서 2024년 4억 원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녹색제품의 구입금액을 줄인 이유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조사도 필요하다.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정부·기업·기관·단체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협력해 개발한 모델이다. 팔기는 주역의 기본 8괘를 상징하는 깃발, 생태계는 기업이 살아 숨 쉬는 환경을 의미한다. 주역은 자연의 이치로 화합된 우주의 삼라만상을 해석하므로 기업이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유용하다.
-
2024-12-04▲ 현대제철, 탄소저감형 건설강재[출처=현대제철]현대제철(대표이사 서강현)에 따르면 현대건설(대표이사 이한우)와 함께 '탄소저감형 건설강재 사용을 확대함으로써 탄소저감형 건축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탄소중립사회 선도에 앞장서겠다'는 계획을 수립했다.탄소저감형 건축모델 구축의 골자는 건축물의 건설단계에서 탄소배출의 주요인으로 꼽히는 건설자재를 탄소저감 자재로 전환해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것이다.이는 현재 유럽, 미국 등 선진국에서 탄소저감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내재탄소량 저감의 핵심방식이다. 내재탄소량은 건축 원자재의 생산, 운송과 건축 시공, 그리고 폐기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말한다.이를 위해 해당 건설모델에는 현대제철에서 생산한 탄소저감형 철근과 형강이 적용된다. 철근과 형강은 건축물의 핵심 건설자재로 이를 탄소저감 자재로 전환할 경우 그 효과가 매우 크다.철근과 형강은 스크랩을 원료로 하는 전기로 방식으로 생산되기 때문에 태생적인 자원재활용 제품이다. 이는 고로 방식으로 생산되는 여타의 자재에 비해 월등히 낮은 탄소배출량의 특징을 갖는다.특히 현대제철의 철근 및 형강은 같은 전기로 방식으로 생산된 자재 중에서도 한층 낮은 수준의 탄소배출량을 지니고 있다.철근의 경우, 탄소발자국 수치가 0.451 kgCO2e/kg으로 국내 환경성적표지 인증(EPD, Environmental Product Declaration)을 받은 동종 철근 제품군의 탄소배출량 평균값 0.481 kgCO2e/kg (2024년 10월 기준)보다 약 6퍼센트(%) 낮은 값을 보여주고 있다.탄소발자국은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발생량을 이산화탄소 배출량으로 환산한 값으로 친환경적인 제품인지 평가하는 지표다. 현대제철의 H형강은 0.555 kgCO2e/kg의 탄소배출량을 기록하며 이 또한 국내 환경성적표지 인증을 받은 동종 형강 제품군의 탄소배출량 평균값인 1.76 kgCO2e/kg (2024년 4차 저탄소제품 기준)보다 약 69% 낮은 수치를 보임으로써 환경부에서 인증하는 저탄소제품 인증을 취득한 상태이다.현대제철과 현대건설은 철강재 뿐 아니라 시멘트 분야에서도 탄소저감형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삼표시멘트를 포함한 3사간 협의체도 별도로 구성한 상태로 해당 제품은 2025년 건설현장 적용을 목표로 현재 상용화 검증단계에 있다.한편 현대건설의 주요 건축물을 대상으로 탄소저감형 철근과 형강, 시멘트를 적용했다는 가정 하에 탄소배출량을 평가해본 결과 내재탄소 부분에서 기존 건축물 대비 약 30% 이상 낮아진 탄소배출량을 보여 탄소저감의 효과가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해당 평가는 국제적 건물 전과정 평가의 표준기법(ISO 14040, ISO 21931-1, EN15804)에 따라 수행한 결과로, 국내외에서 활발한 수주 및 공사를 수행하는 현대건설의 활동을 통해 향후 글로벌 건설 산업 분야에서 의미 있는 탄소저감 효과를 불러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현대제철과 현대건설은 지난 2023년부터 양사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건설자재에서 건축기술, 시공에 이르는 기술협의체를 운영함으로써 관련분야의 다양한 시너지를 거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양사의 기술력 개발은 물론 건설 환경 개선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
▲ 우리금융, 2024 LACP 스포트라이트 어워드 ESG Report 부문 최고등급[출처=우리금융]우리금융그룹(회장 임종룡)에 따르면 2024년 6월 발간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가 세계적인 권위의 ‘미국커뮤니케이션연맹(LACP) 스포트라이트 어워드’ ESG Report 부문 대상(Platinum)을 수상했다.우리금융그룹은 △적합성(Perceived Relevance) △전달력(Overall Narrative) △명확성(Message Clarity) △디자인(Overall Visual Design) △첫인상(First Impression) 등 총 6개 평가항목 중 5개 항목에서 만점을 기록했다.총 99점(100점 만점)을 획득해 ESG 경영 성과를 인정받았다. 특히 가장 우수한 100개 보고서를 선정하는 ‘Top 100 Awards’에서 종합 3위를 차지했다.이번 수상작에는 △‘TCFD 리포트’를 통한 그룹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 및 구체적 실천 전략 △실질적 민생금융 지원 통한 상생금융 실천 △기업 밸류업 활동 강화 등 차별화된 정보가 상세히 담겨있다.참고로 ‘LACP 스포트라이트 어워드’는 세계적 마케팅 조사기관인 미국커뮤니케이션연맹(LACP)이 주관하는 글로벌 시상식이다.포춘 500대 기업을 비롯한 전 세계 1000여개 기업과 정부기관 등이 발간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등을 평가해 수상작을 선정한다.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우리의 ESG 성과 확산을 위한 노력이 국제적으로 인정받아 뜻깊게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투자자와 이해관계자들에게 명확하고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전달하며 진정성 있는 소통을 이어가겠다”라고 밝혔다.
-
▲ VSP One Block, 에너지 스타 인증 획득 및 업계 최고 기준 달성[출처=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AI·데이터 인프라 솔루션 전문기업 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대표 양정규)에 따르면 'VSP One Block 스토리지'가 미국 ‘에너지 스타(ENERGY STAR)’ 인증을 획득했다.또한 에너지 효율성과 성능 부문에서 업계 최고 기준을 달성해 친환경 데이터센터와 고객의 지속가능성 혁신을 위한 스토리지 기술력을 입증했다.‘VSP One Block’ 시리즈는 전력 소비와 냉각 비용을 줄여주는 동적 전력 관리를 통해 친환경 데이터센터를 위한 탄소 배출량 절감 기술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VSP One Block은 애플리케이션의 스토리지 사용량이 적은 시간에 에코모드로 전환해 에너지 사용을 줄인다. 새로운 2세대 압축 하드웨어인 컴프레션 엑셀러레이터(Compression Accelerator)를 탑재해 압축 성능과 효율을 향상시킨다.이를 통해 NVMe 미디어 사용량을 최소화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탄소 배출을 30~40%까지 감소시킨다. 따라서 VSP One Block 28 모델은 1와트당 538IOPS로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뒤를 이어 VSP One Block 26 모델은 1와트당 409IOPS, VSP E1090은 1와트당 368IOPS를 기록하며 상위권을 모두 차지했다.최근 데이터 중심 인프라 환경이 확장되면서 에너지 효율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IT 의사결정권자의 68%가 조직 에너지 사용량과 탄소 발자국에 AI/ML이 미치는 영향을 우려했다.참고로 에너지 스타 인증은 미국 환경 보호청이 평가하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엄격한 인증 과정을 통해 스토리지 솔루션의 에너지 소비 대비 입출력 효율성을 측정하는 주요 지표인 1와트(Watt)당 IOPS(초당 입력/출력 작업 수)를 기준으로 평가한다.HS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양정규 대표이사는 “VSP One Block 스토리지는 강력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기술력과 친환경 솔루션으로 고객의 지속가능성 가치와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이는 미래 비전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
▲ 미국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워너뮤직그룹(Warner Music Group) 사무실 전경 [출처=홈페이지]2024년 9월20일 북중남기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은 최대 전기자동차(EV) 제조업체인 테슬라(Tesla)의 유럽연합 판매량이 급감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미국을 대표하는 워너뮤직그룹(Warner Music Group)이 실적 악화를 이유로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있다. 또한 항공사의 인수합병과 글로벌 동맹에 가입한 내용도 알려졌다.캐나다는 2023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감소했으며 련료를 석탄에서 천연가스로 전환한 전력산업의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2024년 8월 초 폭풍우로 지급한 보험금에 대한 추산 내역이 공개됐다.브라질은 2024년 8월 사상 최고액의 세금을 거둔 것으로 드러났다. 남부 지역에서 폭우로 세금 납부를 연기했음에도 좋은 실적을 기록했다.◇ 미국 2024년 8월 테슬라(Tesla)의 유럽연합 지역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43.2% 하락유럽자동차제조협회(ACEA)에 따르면 2024년 8월 테슬라(Tesla)의 유럽연합 지역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43.2% 하락했다. 2024년 1월~8월 판매량은 전년 동월 대비 14.9% 축소됐다.2024년 8월 유럽연합 지역에서 배터리전기자동차(BEVs) 등록 대수는 9만2627대로 전년 동월 대비 43.9% 줄어들었다. 전체 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14.4%로 전년 동월 21% 대비 급감했다.미국 엔터테인먼트 기업인 워너뮤직그룹(Warner Music Group)은 2024년 9월19일 약 150명의 직원을 해고한다고 밝혔다. 구조조정 차원에서 전체 직원의 13%를 줄이고 있다.2024년 2월 600명의 직원을 내보낸다고 공개했다. 2024년 9월 기준 올해에만 750명을 구조조정했다. 광고 판매와 지원 부서의 직원이 포함된다. 세전 비용을 US$ 2억6000만 달러 절약할 것으로 전망된다.2024년 회계연도 말까지 1억8000만 달러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워너뮤직은 비핵심 미디어 자산을 매각하고 있으며 비용 절감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중이다.미국 하와이완 항공(Hawaiian Airlines)은 2026년 원월드얼라이언스(Oneworld Alliance)에 가입한다. 현재 다른 기업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알래스카 항공그룹에 포함됐다.알래스카항공은 하이이완 항공과 동일한 승객 서비스 시스템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2024년 10월 피지 항공과 오만항공이 원월드얼라이언스에 참가한다. 스타룩스 항공도 원월드에 가입한다.◇ 캐나다 기후연구소(Canadian Climate Institute), 2023년 기준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702메가톤(t)으로 전년 대비 0.8% 감소캐나다 기후연구소(Canadian Climate Institute)는 2023년 기준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702메가톤(t)으로 전년 대비 0.8% 감소했다. 경제 성장하고 인구가 증가함에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인 것이다.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줄인 산업은 전력이다. 기존의 연료인 석탄 대신에 천연가스로 전환했다. 하지만 항공여행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석유와 가스의 사용량이 늘어났다.2023년 기준 석유와 가스 산업은 전년 대비 1% 증가해 전체 국가 배출량의 31%를 점유한다. 전력 부문은 현재 2005년과 비교해 많이 줄어들어 62%로 낮아졌다. 태양광과 풍력 등으로 전기를 생산한 것도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에 기여했다.캐나다보험위원회(IBC)는 2024년 8월 초 폭풍우로 피해를 입은 차량에 대한 보험료가 C$ 9억 달러에 달한다고 밝혔다. 전체 피해금액은 28억 달러에 달한다.자동차보험 시스템에 대해 큰 비용이며 법적 수수료가 증가하게 만들었다. 전체적으로 보험업계에서 자동차 도난 관련 비용이 55% 증가한 반면 법적 비용은 19% 늘어났다.2024년 8월 초 캘거리를 강타한 폭풍우로 초래된 피해액은 캐나다 역사상 두번째로 많았다. 앨버타는 캐나다 역사상 톱 10 재난 중 5개를 경험한 지역이다. 2016년 포트 맥머레이의 산불이 가장 큰 피해를 입혔다.◇ 브라질 국세청(IRS), 2024년 8월 세금으로 R$2016억 헤알 거둬 사상 최고치 기록브라질 국세청(IRS)에 따르면 2024년 8월 세금으로 R$2016억 헤알의 거둔 것으로 집계됐다. 1994년 이후 월별 기준으록 가장 많은 금액이며 이전에 가장 많은 세금을 거둔 것은 2023년 8월로 1728억 헤알이었다.2024년 1월~8월 징수한 세금은 1조7300억 헤알로 전년 동기 1조5200억 헤알에 비해 증가했다. 인플레이션을 고려해도 세금은 명목상 16.68%가 늘어났다. 2014년 1월~8월 소비자가격지수는 9.47%를 기록했다.2024년 상반기 연방 정부가 확보한 세금은 1조3000억 헤알로 상반기 기준으로 사상 최고 금액이다. 7월 거둬들인 세금도 2310억 헤알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남부의 리오그란데 더 술 지역에 비가 많이 와서 세금 징수를 연기했음에도 좋은 실적을 기록했다.
-
2024-09-09▲ LG전자 H&A사업본부 칠러사업담당 박완규 상무(왼쪽)와 동원산업 장인성 종합기술원장(오른쪽)[출처=동원그룹]동원그룹(회장 김남정)에 따르면 2024년 9월9일 LG전자와 고효율 냉동공조(HVAC, Heating·Ventilation&Air conditioning) 솔루션 구축에 관한 MOU를 맺었다.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현재보다 40% 이상 감축하기 위한 ‘탄소중립 2050’의 일환이다.동원그룹이 LG전자와 협업해 고효율 냉동공조 솔루션을 구축하려는 이유는 LG전자의 핵심 부품 기술력인 ‘코어테크’가 적용돼 에너지 효율이 높고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그동안 동원그룹은 주로 식품 포장재의 소재를 혁신하거나 설비의 내구성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탄소 배출량 저감화를 실천해 왔다.동원그룹은 ‘탄소중립 2050’ 비전 달성을 위한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했다. 향후 2030년까지 총 400억 원을 추가로 투자해 60여 곳의 주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현재의 절반 가까이 줄일 계획이다.이번 프로젝트는 동원그룹 내에서 생산혁신 활동과 신기술 구축, 신사업 발굴을 전담하는 조직인 종합기술원이 주도하고 있다. 종합기술원 소속의 기술진·전문가들이 LG전자 기술진들과 함께 협업해 프로젝트를 수행 중이다.첫 대상지로 동원로엑스의 물류 거점인 경산센터와 양산센터가 선정됐다. 50여 대에 달하는 냉동공조 설비의 에너지 효율을 진단하고 솔루션을 구축하는 데에만 6개월 이상이 소요됐다.동원그룹은 저온유통물류체계(콜드체인시스템)를 적용한 동원로엑스의 특성을 고려해 이번 프로젝트의 첫 대상지로 선정했다.동원그룹은 2020년 창립 50주년을 맞아 탄소중립 추진의 원년을 선포하며 각 사업장의 에너지 절감 계획을 수립했다.이에 따라 수산·식품·소재·물류 등 회사의 핵심 사업 요소마다 탄소 배출량 저감화를 접목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해 왔다.이미 전국 주요 사업장에 태양광 패널(집열판)을 설치했고 이를 통해 연간 평균 1285킬로와트(KW) 규모의 전기를 생산하며 탄소 배출량 저감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동원그룹은 "국제사회가 탈탄소 경제 체제로 전환되고 있는 가운데 자사도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를 위해 생산라인 설비 교체를 시작으로 회사의 체질 자체를 완전히 혁신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
▲ 유럽연합 통계청(Eurostat) 빌딩 [출처=위키피디아]2024년 8월 3주차 룩셈부르크 경제동향은 유럽연합(EU) 27개 국가의 환경 관련 통계를 포함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산업 가동율이 회복되지 않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유럽연합 통계청(Eurostat)은 2024년 1분기 유럽연합 27개 국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19년 1분기 대비 13%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2024년 1분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8억9380만 톤(t)으로 전년 동기 9억3150만t과 비교해서 감소했다. 2021년 1분기 배출량은 9억5320만t으로 조사됐다.지난 5년 동안 산업 부문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9.4% 줄어들었다. 일반 가정의 배출량은 11.8%, 교통은 10.6%, 농업은 3.4% 각각 축소됐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종료되었지만 산업 가동률이 낮아진 것으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
2024-08-21▲ 영국 과자 제조업체인 워커스(Walkers)의 감자칩 상품 이미지 [출처=홈페이지]2024년 8월21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룩셈부르크, 스위스를 포함한다. 영국 테스코는 각종 원자재의 물가 상승을 이유로 점심 도시락 세트의 가격을 올렸다. 워커스(Walkers)는 과거 인기를 끌었던 감자칩을 다시 시장에 내놓았다.프랑스 쓰레기전문협회(CITEO)는 빈병의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보상 정책을 선보였다. 유럽연합 통계청(Eurostat)은 이산화 탄소 배출량 관련 통계를 발표했다.스위스산 시계의 수출이 전년 대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전 세계 명품의 블랙홀로 불리던 중국의 수입이 줄어든 것이 주요인이다.◇ 영국 워커스(Walkers), 2024년 8월19일부터 테스코에서 새로운 'Smokin' BBQ Sauce' 감자칩 판매 시작영국 슈퍼마켓 체인점인 테스코(Tesco)는 2024년 8월22일부터 점심 도시락 세트의 가격을 올린다고 밝혔다. 지난 2년 동안 두 차례 올리는 것이다.테스코 클럽카드를 소지한 고객은 현재 £3.40파운드가 아닌 3.90파운드를 지불해야 한다. 클럽카드가 없는 고객은 현재도 3.90파운드를 내고 있다.최근 채소 등 재료비가 올라 가격을 바꾼 것이다. 점심 도시락은 샌드위치, 파스타, 샐러드, 스낵, 음료수 등을 포함하고 있다.영국 과자 제조업체인 워커스(Walkers)는 2024년 8월19일부터 테스코에서 새로운 'Smokin' BBQ Sauce' 감자칩 판매를 시작했다.2015년 워커스는 바베큐 맛을 지닌 감자칩을 치즈, 소고기, 양파 등의 맛을 가진 제품과 잠깐 출시했었다. 하지만 곧바로 판매를 중단했다.현재 테스코에서 1봉지에 £1.25, 2봉지에 2파운드, 작은 봉지는 1파운드에 각각 판매 중이다. 워커스는 1948년 설립된 이후 감자칩으로 인지도를 쌓았다.영국 종합건설업체인 켈트브레이(Keltbray)는 최근 £4억 파운드 가치를 가진 인프라 사업을 EMK 캐피탈(EMK Capital)에 매각할 계획이다.인프라 사업의 매출액은 3억110만 파운드에 달한다. 켈르브레이의 인프라 사업을 담당하는 KISL(Keltbray Infrastructure Services Limited)는 2018년 설립된 이후 고속도로, 철도, 에너지 사업을 추진했다.켈트브레이는 2009년 갬블 레일(Gamble Rail), 2010년 아스파이어 레일(Aspire Rail)을 각각 인수했다. KISL은 설립후 계약고가 11억 파운드 규모의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11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프랑스 쓰레기전문협회(CITEO), 2025년 봄부터 4개 지방에서 유리병을 수거하는 실험을 실시할 계획프랑스 쓰레기전문협회(CITEO)은 2025년 봄부터 4개 지방에서 유리병을 수거하는 실험을 실시할 계획이다. 빈 유리병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1병에 20~30센트가 주어진다.현재 1% 이하인 빈병의 재활용율을 2027년까지 10%까지 끌어올릴 방침이다. 초기에는 과일 주스, 수프와 같은 물질을 포함한 주동이가 넓은 1리터 병부터 시작한다.빈병을 재활용하게 되면 새로 제작하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75%, 물의 50%, 이산화탄소의 79%를 절약할 수 있다. 에너지 가격이 상승하면서 유리 가격도 급상승했다.◇ 룩셈부르크 유럽연합 통계청(Eurostat), 2024년 1분기 유럽연합 27개 국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19년 1분기 대비 13% 감소유럽연합 통계청(Eurostat)은 2024년 1분기 유럽연합 27개 국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19년 1분기 대비 13%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2024년 1분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8억9380만 톤(t)으로 전년 동기 9억3150만t과 비교해서 감소했다. 2021년 1분기 배출량은 9억5320만t으로 조사됐다.지난 5년 동안 산업 부문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9.4% 줄어들었다. 일반 가정의 배출량은 11.8%, 교통은 10.6%, 농업은 3.4% 각각 축소됐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종료되었지만 산업 가동률이 낮아진 것으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스위스 시계제조연합(Swiss Watchmaking Federation), 2024년 7월 시계 수출액은 22억 스위스 프랑(약 23억 유로)로 전년 동월 대비 1.6% 감소스위스 시계제조연합(Swiss Watchmaking Federation)에 따르면 2024년 7월 시계 수출액은 22억 스위스 프랑(약 23억 유로)로 전년 동월 대비 1.6% 감소했다.중국과 홍콩 시장에서 판매가 줄어들었지만 수출액이 소폭 하락하는 것으로 그쳤다. 중국은 32.8%, 홍콩은 19.1% 각각 하락했으며 6개월 연속으로 감소했다.반면에 증가한 국가는 미국 11.3%, 일본 25.6%, 프랑스 13.7%, 한국 14.1%, 대만 25.3%, 사우디아라비아 24.8%로 조사됐다. 싱가포르는 1.9%, 독일은 0.8% 각각 하락했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