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허베이성"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9-15▲ IPA 이경규 사장, 산둥성항무그룹 리펑리 총경리와 기념사진 촬영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9월8일(월)부터 12일(금)까지 중국 허베이성(河北省) 친황다오(秦皇岛) 및 산둥성(山東省) 칭다오(青岛)에서 ‘전자상거래 최적 항만 인천항’ 포트세일즈를 성공적으로 진행했다.이경규 사장을 단장으로 한 포트세일즈단은 한·중 씨앤레일(Sea&Rail)을 통한 몽골/중앙아시아 복합운송 최적지인 친황다오항과 전자상거래 상품 교역항인 칭다오항을 찾아 복합운송항로 활성화와 전자상거래 물동량 확대를 통한 한·중 교역 증대를 적극 추진했다.포트세일즈 기간 동안 인천항만공사는 허베이성항무그룹, 친황다오 경제기술개발구, 친황다오 시정부 관계자와 면담을 갖고 인천항-징탕항 간 신규항로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이번 허베이성항무그룹, 친황다오시정부 등과의 면담을 통해 한·중 간 신규 항로 개설 및 항로 운영 효율화, 화물수송 확대 등 실질적 협력 방안을 적극 확대키로 합의했다.이와 함께 인천항만공사는 산둥성항무그룹과 칭다오자유무역구 관리위원회를 방문해 관계자들과 면담을 진행하고 현지 항만 및 물류 운영 현황을 공유하며 인천항과 칭다오간 전자상거래 물류 활성화를 위한 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IPA 이경규 사장, 칭다오자유무역구 한중일 소비자 전자상거래 체험센터 현장 견학 [출처=인천항만공사]특히 9월29일(월)부터 시행 예정인 중국인 단체관광객 대상 무비자 시행과 연계하여 양 항만간 해양관광 활성화에 힘을 모으고 관광 서비스 및 상품 개발에 함께 협력하기로 했다.또한 인천항만공사는 청도자유무역구 홍보관과 한중일 소비자 전자상거래 체험센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물류센터를 방문해 항로 활성화와 한중 전자상거래 물동량 증대를 위한 실질적 협력방안을 검토했다.이어 칭다오에 지사를 둔 국적선사 대표자를 초청해 인천항을 통한 중국 전자상거래 화물과 신규항로 활성화 방안
-
▲ 인천항만공사, 허베이성항만그룹과 우호항만 업무협약 체결(허베이성항무그룹 차오쯔위 동사장(왼쪽)과 인천항만공사 이경규 사장)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9월9일(화) 중국 친황다오에서 허베이성항만그룹(河北港口集团有限公司) 차오쯔위(曹子玉) 동사장과 양 항만간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우호항만 업무협약을 체결했다.허베이성항만그룹은 2009년 설립된 항만 운영기관으로 친황다오항(秦皇岛港), 징탕항(京唐港), 황화항(黄骅港)을 총괄 관리하고 있다.이번 협약은 인천항만공사 설립 이후 중국 북부지역 항만기관과 맺는 첫 협력 사례다. 최근 △HIS(인천항∼징탕항∼황화항) ‘컨’ 서비스* 신설(’25.7) △인천∼친황다오 카페리 신조선(’25.8∼)** 추진 등과 맞물려 그 의미가 더욱 크다.* 주 1.5항차 / 600TEU급 M/V SHAO YUN(샤오윈)호 / 허더항운** 승객 800명, 화물 340TEU / 3만톤급 선박 / ’25.8.∼’26.12▲ 친황다오 컨테이너터미널 호우루쥔 총경리(오른쪽 두번째)가 인천항만공사 이경규 사장(왼쪽 세번째)에게 친황다오항 개발 현황 설명 [출처=인천항만공사]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전략적 협력관계 설정 △인천∼친황다오 카페리 항로 활성화 △전자상거래 활성화 △해운 및 무역기업 성장 지원 △친환경 및 국제물류 허브항만 육성 △해양관광 활성화 등 총 7개 분야에 대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했다.이경규 사장은 협약식에 이어 친황다오 시(市)정부를 방문해 한카이(韩恺) 부시장과 면담을 갖고 카페리 항로를 활용한 해양관광 활성화 및 씨앤레일(Sea&Rail) 복합물류 운송사업의 성공적 운영방안을 논의했다.▲ 허베이성항무그룹과 인천항만공사 임직원 [출처=인천항만공사]또한 친황다오 컨테이너 터미널 내 카페리 전용선석 조성현장을 시찰하고 신조선 추진 경과와 향후 협력과제에 대해
-
2019-11-25중국 IT기술기업인 바이두(百度)에 따르면 허베이성(河北省) 창저우(常州)시에서 승객을 태운 총 30대의 자율주행차량의 테스트를 시작했다.창저우(常州)시 정부가 중국 인공지능 개척자인 바이두의 지능형 커넥티드 차량(ICV)에 총 30개의 번호판을 제공했다.바이두의 지능형 커넥티드 차량이 베이징-톈진-허베이 지역의 승객들과 함께 도로 테스트를 위한 번호판을 발급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바이두의 아폴로 자율주행 시스템이 장착된 자율주행 차량은 창저우(常州)시의 경제개발구역의 총 길이가 114km인 테스트 도로에서 주행했다.중앙정부는 2018년 4월 지방 정부가 다양한 자율주행을 다루는 지능형 커넥티드 차량 도로 테스트를 주선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이에따라 베이징, 상하이, 충칭 등 점점 더 많은 수의 도시들이 지능형 커넥티드 차량의 도로 테스트용 번호판을 발행하고 있다.향후에도 이러한 자율주행차량이나 지능형 커넥티드 차량의 다양한 도로 테스트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창저우(常州)시는 인공지능, 지능형 차량 및 운송과 같은 신산업을 개발하려는 노력을 가속화해왔다.▲ China-Baidu-autonomousCar▲ 바이두(百度)의 자율주행차량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중국 허베이성 장자커우시(河北省张家口市)에 따르면 석탄광산의 과잉생산능력을 해결하기 위해 18개의 광산을 폐쇄했다.또한 17개 광산에 대한 검수를 마쳐 추가로 폐쇄할 것인지 판단할 계획이다. 석탄생산능력을 443만톤을 감축하고 철강생산능력 68만톤을 줄여 2016년 목표 대비 초과 달성했다.2016년 장자커우시는 철강분야 생산능력을 8월까지 61만톤 감축할 계획이었으나 용광로 1기당 630입방미터를 감축해 총 68만톤을 줄였다.▲ China_Zhangjiakou_Homepage▲장자커우시(张家口市人民政府) 홈페이지
-
▲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홍보 자료 [출처=홈페이지]일본무역진흥기구(JETRO)는 2016년 7월 중국 퉁지대(同済大)가 허베이성에서 수탁한 화학·의약공장 오수처리사업에 일본기업이 참가한다고 발표했다.미쯔비시상사가 출자한 스잉(水ing)이 수처리기술을 제공하고 아사히카세이가 정화필터를 제공한다. 총사업비는 약 115억엔이다.
-
일본 섬유제품제조업체인 세이렌은 2016년 중국 허베이성에 자동차용 시트재 및 에어백을 생산하는 새로운 공장을 건설한다고 발표했다.시트재의 수요증가에 대응하는 것 외에도 인건비 상승이 완만한 지역에서 에어백을 생산해 생산비용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이다.초기 투자액은 30억엔이지만 차후 추가적으로 투자를 지속할 계획이다. 2017년 공장이 가동되면 시트자재 생산량은 기존 대비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세이렌은 허베이성 스자좡시에 현지법인 '세이렌 허베이'에서 시트재 등을 생산한다. 생산된 제품은 주로 일본계 자동차 부품업체에 납품하고 있다.새로운 공장은 세이렌 허베이 인근에 세워지는 것으로 처음에는 기존공장에서 가져오는 시트재의 봉제를 주로 할 계획이다. 또한 쑤저우공장에서 에어백의 생산설비를 단계적으로 이전해서 2~3년 후에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SEIREN▲ 세이렌 에어백 ( 출처 :セーレン 홈페이지 )
-
일본 섬유제품제조업체인 세이렌은 2016년 중국 허베이성에 자동차용 시트재 및 에어백을 생산하는 공장을 건설한다고 발표했다.초기 투자액은 30억엔으로 차후 추가적으로 투자를 지속하며 2017년 공장이 가동되면 시트자재 생산량은 기존 대비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중국] 허베이성 야금산업협회, ‘3월 허베이성 철강 PMI 57.6 기록’해 9개월 만에 최고점 달성...지방 철강산업 가동률과 시장수요의 점진적 회복과 함께 3월 생산지수 또한 2월 대비 23.5p 증가해 65.4%로 최고기록 달성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