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1
" 2분기"으로 검색하여,
20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26▲ 삼성SDS 잠실 캠퍼스 전경 [출처=삼성SDS]삼성SDS(대표이사 사장 이준희)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잠정 매출액이 3조512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퍼센트(%) 증가했으며 영업이익은 2302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2% 늘어났다.정보기술(IT) 서비스 부문 매출액은 1조6784억 원으로 2024년 같은 기간 대비 5.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클라우드 사업 매출액은 6652억 원을 기록해 약 20% 성장했다.클라우드 사업 중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기반 CSP 사업은 △고성능 컴퓨팅(HPC) 서비스 증가 △클라우드 네트워크 서비스 확대 △공공 클라우드 사업 본격화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26% 성장했다.MSP 사업은 공공 기관의 클라우드 전환/구축 확대,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사업 수주, 글로벌 SCM·CRM 사업 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20% 증가했다.물류 부문은 미국 관세 정책 영향에 따른 1분기 조기 선적으로 물동량이 감소했으나 창고 물류 신규 고객을 확보해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약 3% 증가한 1조8336억 원으로 집계됐다.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Cello Square) 매출액은 2701억 원을 기록했으며 가입 고객은 지난해 2분기 대비 48% 증가해 2만1900개사를 넘어섰다.한편 불확실한 경제 상황이 지속되는 가운데 삼성SDS는 경쟁력을 강화하고 성장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 추진할 방침이다.클라우드, 생성형 AI 서비스 사업은 금융 및 공공 업종을 중심으로 대외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디지털 물류 사업은 대외 신규 사업을 적극 수주하는 한편 선사/항공사 등 실행사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
2025-07-26▲ HD현대건설기계 본사 전경[출처=HD현대건설기계]HD현대(대표이사 회장 권오갑, 대표이사 수석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자회사 HD현대건설기계(대표이사 사장 최철곤)가 2025년 2분기 매출은 9677억 원, 영업이익 400억 원을 각각 기록했다.매출은 자원 및 인프라 개발 수요에 따른 신흥 시장의 성장과 중국 시장의 회복세로 전년 동기 대비 13.4퍼센트(%)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025년 4월 공시된 중국 사업 재편 등 일회성 비용 213억 원이 반영돼 31.6% 감소했다.지역별로는 신흥 시장의 성장세와 중국의 회복 흐름, 인도의 견조한 수요가 이어지고 있다. 선진 시장에서도 영국, 이탈리아 등 일부 유럽 국가응 중심으로 점진적인 반등 흐름이 나타나며 글로벌 시장이 회복 국면에 진입할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아프리카·중동·인도네시아 등 신흥 시장에서는 마이닝 및 인프라 개발 수요 확대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32% 증가했다.중국은 내수 부양 정책과 해외 수주 증가에 따른 수출 확대 효과로 전년동기 대비 77%의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이어갔다.인도는 인프라 투자 기조가 이어지며 견조한 수요를 보였고 매출은 전년 수준을 유지했다. 브라질은 금리 인상 등 외부 요인으로 수요가 감소하며 매출이 줄었으나 신형 HX 굴착기 출시와 구매 지원 프로그램 확대를 통한 하반기 판매 반등이 기대된다.선진 시장에서는 북미가 전 분기 대비 23%, 유럽은 5%의 매출이 증가하며 수요 흐름의 안정화와 함께 반등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HD현대건설기계는 판매 채널 강화와 함께 굴절식 덤프트럭(ADT) 판매 확대, 스키드 스티어 로더·콤팩트 트랙 로더 신모델 출시 등을 통해 제품 믹스를 개선하면서 하반기 선진 시장 매출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HD현대건설기계는 "건설기계 시장이 올해를 저점으로 회복세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역별 맞춤형 포트폴리오를 통해 매출을 확대해 나갈 것이다"며 "신흥 시장에서 입지 강화와 글로벌 생산
-
▲ 동아쏘시오홀딩스 본사 전경 [출처=동아쏘시오홀딩스]동아쏘시오홀딩스(회장 강정석, 대표이사 사장 김민영)에 따르면 연결 기준 2025년 2분기 매출액은 3469억 원으로 주요 사업회사들의 외형 성장으로 전년 분기 대비 6.9퍼센트(%) 증가했다.영업이익은 287억 원으로 동아제약, 에스티젠바이오가 증가해 전년 동분기 대비 28.8% 늘어났다.◇ 2분기 실적 개요(4~6월)· 매출 : 3469억 원, 전년 동분기 3245억 원 대비 224억 원 증가(+6.9%)· 영업이익 : 287억 원, 전년 동분기 223억 원 대비 64억 원 증가(+28.8%)◇ 주요 자회사별 실적 내용헬스케어 전문회사 동아제약은 일반의약품 사업부문 성장으로 매출이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효율적 판관비 집행으로 전년 동분기 대비 13.7% 증가했다.· 매출 : 1816억 원, 전년 동분기 1756억 원 대비 60억 원 증가(+3.4%)· 영업이익 : 239억 원, 전년 동분기 210억 원 대비 29억 원 증가(+13.7%)◇ 동아제약 주요 사업부문별 2분기 매출· 박카스 사업 부문 : 694억 원, 전년 동분기 714억 원 대비 20억 원 감소(-2.8%)· 일반의약품 사업 부문 : 545억 원, 전년 동분기 443억 원 대비 102억 원 증가(+23.2%)· 생활건강 사업 부문 : 498억 원, 전년 동분기 529억 원 대비 31억 원 감소(-5.8%)바이오의약품 CMO(위탁생산) 전문회사 에스티젠바이오는 신규 수주 및 글로벌 상업화 물량으로 매출이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매출 증가 및 생산 효율화로 6137.4% 증가한 43억 원이다.· 매출 : 250억 원, 전년 동분기 76억 원 대비 174억 원 증가(+230.5%)· 영업이익 : 43억 원, 전년 동분기 1억 원 대비 42억 원 증가(+6137.4%)물류 전문회사 용마로지스는 글로벌 불확실성, 내수 경기
-
▲ HD현대 볺사 사옥 [출처=HD현대]HD현대(대표이사 회장 권오갑, 대표이사 수석부회장 정기선)에 따르면 해양산업 분야 종합 솔루션 기업 HD현대마린솔루션(대표이사 이기동 사장)이 2025년 2분기 매출액은 467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퍼센트(%) 증가했다.2025년 2분기 영업이익은 830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9% 확대되면서 매출 및 영업이익 모두 반기 기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 17.7%를 기록했다.HD현대마린솔루션의 실적 성장은 주력 사업인 AM(After Market) 부문이 견인했다. 특히 친환경 이중연료 엔진의 ‘장기 유지보수 계약’이 크게 증가하며 AM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6% 늘어났다.디지털 솔루션 사업 역시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신조 시장 호황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강화된 친환경 규제로 ‘축 발전 시스템’ 등 디지털 신사업 성장이 본격화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12.8% 증가했다.친환경 개조 사업은 일부 환경 규제 발효를 앞둔 과도기 상황 속에서 선사들이 투자 결정을 보류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2% 감소했다.다만 2025년 상반기 수주한 ‘엔진 부분 부하 최적화’ 프로젝트 매출이 순차적으로 반영될 예정이어서 향후 실적 개선이 예상되고 있다.HD현대마린솔루션은 "지정학적 리스크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져 가는 가운데도 차별화된 경쟁력을 바탕으로 중동, 아시아 지역까지 고객망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며 "친환경 규제 강화 움직임에 발맞춰 친환경 엔진, 스마트 솔루션 등 고부가가치 사업 영역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공고히 해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
-
▲ 현대자동차그룹 본사 사옥 전경 [출처=현대자동차그룹]현대자동차(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2025년 7월24일(목) 경영실적 컨퍼런스콜에서 발표한 2025년 2분기 국제회계기준(IFRS) 연결 기준 실적이 매출액 48조2867억 원(자동차 37조302억 원, 금융 및 기타 11조256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3퍼센트(%) 증가했다.또한 △도매 판매 106만5836대 △ 영업이익 3조6016억 원 △경상이익 4조3853억 원 △당기순이익 3조2504억 원(비지배지분 포함)을 기록했다.현대차의 2025년 2분기 매출액은 역대 최대 수준의 하이브리드 판매 및 금융 부문 실적 개선 등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다. 영업이익률은 인센티브 증가 및 투자 확대 추세 속에도 우호적인 환율 효과 등으로 인해 7.5%를 기록했다.국내와 미국, 유럽 등 주요 시장 판매량 증대로 외형적 성장이 가능했지만 미국 관세 영향이 본격화되고 경쟁 심화에 따른 글로벌 인센티브 및 판매 비용 증가 등의 원인으로 손익이 둔화됐다.◇ 2분기 실적(4~6월 기준) 글로벌 시장에서 106만5836대 판매현대차는 2025년 2분기(4~6월) 글로벌 시장에서 106만583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해 0.8% 증가한 수치다(※ 도매 판매 기준).국내 시장에서는 팰리세이드 및 아이오닉 9 신차 효과로 SUV 판매가 성장하며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한 18만8540대가 판매됐다.해외에서는 미국 판매가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한 26만2305대를 기록했다. 대외 환경 악화로 신흥 시장 판매가 감소했지만 해외 판매는 전년 동기보다 0.7% 증가한 87만7296대가 팔렸다.2025년 2분기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대수(상용 포함)는 유럽 지역 중심 전기자동차(EV) 판매 비중 확대, 하이브리드 라인업 강화에 따른 판매 견인 효과로 전년 동기 대비 36.4% 증가한 26만2126대가 판매됐다. 이중 EV는 7만8802대, 하이브리드는 16만8703대로 집계됐다
-
▲ HD현대인프라코어 로고 [출처=HD현대인프라코어]HD현대인프라코어(대표이사 조영철, 오승현)에 따르면 7월23일(수) 공시를 통해 2025년 2분기 실적을 발표했다.매출은 1조1846억 원으로 주요 지역의 건설기계 수요 회복과 엔진 부문의 안정적인 실적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6.9퍼센트(%) 증가했다.영업이익은 제품 가격 인상의 영향과 수익성이 높은 지역 내 판매, 고부가가치 제품의 판매 확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29.8% 증가한 1058억 원을 기록했다. 매출은 7분기 만에 성장세로 전환했으며 영업이익은 전분기 대비 56% 증가했다.사업부별로 살펴보면 건설기계 사업은 매출 857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했다. 글로벌 수요가 완만한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신흥 시장이 전체 매출 증가를 이끌었다.특히 인프라 투자와 자원개발 수요가 활발한 동남아, 아프리카, 중남미를 중심으로 중대형 장비 판매가 확대되고 수익성도 개선됐다.중국 시장 매출은 인프라 투자 확대와 부동산 부양 정책, 장비 교체 주기의 도래에 따른 수요가 맞물리며 회복세를 나타냈다. 북미와 유럽 등 선진시장도 금리 인하에 따른 수요 개선으로 매출이 소폭 증가했다.엔진 사업은 전력 수요 확대와 탄소 저감 제품군의 판매 증가 등으로 견조한 흐름을 이어갔다. 매출은 32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다.영업이익은 판가 인상과 고수익 제품 중심의 포트폴리오 개선에 힘입어 32% 증가한 672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발전기용 엔진과 친환경 선박용 엔진을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했으며 방산용 엔진은 꾸준한 수요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매출을 유지했다.HD현대인프라코어는 "업황 전반이 바닥을 다져가는 시점에서 선제적인 대응 전략이 실적 개선으로 이어졌다"며 "하반기에도 시장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며 고부가 제품군 판매에 집중하고 핵심 시장을 공략해 수익성 중심의 내실 있는 성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
2025-07-18▲ 2025년 7월 튀르키예 상공회의소인 이스탄불 상공회의소(ITO)가 정기 총회를 진행하는 모습이다. [출처=ITO 엑스(X) 계정] 2025년 7월17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튀르키예의 부동산과 기업 경영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부동산 기업인 프로비던트 에스테이트(Provident Estate)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두바이(Dubai) 주거용 부동산 거래 건수는 4만9606건으로 집계됐다.튀르키예 항공사인 튀르키예 항공(Turkish Airlines)에 따르면 2025년 7월 서비스 4개 부문의 직원을 고용할 계획이다. ◇ UAE 프로비던트 에스테이트, 2025년 2분기 두바이 주거용 부동산 거래 건수 4만9606건아랍에미리트 부동산 기업인 프로비던트 에스테이트(Provident Estate)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두바이(Dubai) 주거용 부동산 거래 건수는 4만9606건으로 집계됐다.2024년 2분기 대비 22% 증가했으며 2023년 2분기와 비교해 82% 급증했다. 2025년 2분기 동안 주거용 부동산 거래 규모와 가치 모두 최고치를 기록했다.국내와 해외 투자자 모두 두바이의 부동산 자산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 거래 건수가 상승세를 보인 것으로 판단된다.2025년 2분기 주거용 부동산 거래 규모는 AED 1476억 디르함(US$ 402억 달러)로 2024년 2분기 1039억 디르함, 2023년 2분기 702억 디르함과 비교해 지속적인 상승세를 기록했다.2025년 2분기 주거용 부동산 평균가는 297만디르함으로 1평방피트당 가격은 1823디르함으로 집계됐다. ◇ 이스탄불 상공회의소, 2025년 7월 이스탄불 빵 최고 판매가격 200그램당 15리라로 2024년 12월 대비 20% 인상튀르키예 항공사인 튀르키예 항공(Turkish Airlines)에 따르면 2025년 7월 서비스 4개 부문의 직원을 고용할 계획이다.고용 부문은 △서비스 부문 경력자 
-
2025-07-14▲ 대한항공 본사 전경 [출처=대한항공 인스타그램]대한항공(회장 조원태 사장 우기홍)에 따르면 2025년 2분기 잠정 매출액이 3조9859억 원으로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다.이중 여객 사업 매출은 2조39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퍼센트(%) 감소했다. 화물 사업 매출은 1조55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 줄어들었다.2025년 2분기 매출은 글로벌 무역 갈등 심화로 인한 경기 둔화 우려 지속되는 가운데 효율적인 공급 운용으로 전년 동기와 비슷한 수준을 달성했다.2분기 영업이익은 유가 하락세에 따른 연료비 감소에도 인건비, 감가상각비 등 영업비용 증가로 인해 전년비 3.5% 감소했다.2분기 여객 사업 매출은 계절적 비수기 영향에 따른 노선별 수요 감소에 선제 대응 및 5월 초 연휴 수요 집중으로 수익성 지표는 전년과 유사하다.2분기 화물 사업 매출은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 및 유예 조치에 따라 수요 변동성 확대됐다. 수익 포트폴리오 다변화 및 반도체, 배터리, 태양광 셀 등 프로젝트성 수요와 계절성 신선 화물 유치를 통해 시장 변화에 대응했다.3분기 여객 사업은 하계 성수기 진입에 따른 수요 증가 및 주요 관광 노선 중심 실적 호조 전망이다. 수요 집중 노선 공급 확대 등 탄력적 공급 운영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할 계획이다.화물 사업은 미국의 관세정책 불확실성 지속 예상되는 가운데 당면한 시장 상황 대응력 강화, 관세 협상 결과에 맞춘 유연한 노선 운영으로 안정적 수익 유지 계획이다.
-
▲ LG에너지솔루션 2025년 2분기 잠정실적 발표 [출처=LG에너지솔루션]LG에너지솔루션(대표이사 김동명)에 따르면 2025년 2분기(잠정 실적) 매출은 5조5654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9.7퍼센트(%) 감소했으며 전기 대비 11.2% 줄어들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49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2.0% 증가했으며 전기 대비 31.4% 늘어났다.미국 IRA(Inflation Reduction Act)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dvanced Manufacturing Production Credit) 제도(45X)에 따른 Tax Credit은 4908억 원으로 동 금액을 제외한 영업이익은 14억 원이다.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이며 투자자들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
2025-07-08▲ 삼성전자 본사 전경 [출처=삼성전자]삼성전자(회장 이재용)에 따르면 2025년도 2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이 매출액 74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09퍼센트(%), 전기 대비 6.49% 각각 감소했다.동기간 영업이익은 4.6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94%, 전기 대비 31.24% 각각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잠정 실적은 한국채택 국제회계기준(IFRS)에 의거해 추정한 결과다. 아직 결산이 종료되지 않은 가운데 투자자들의 편의를 돕는 차원에서 제공됐다.삼성전자는 2009년 7월부터 국내 기업 최초로 분기 실적 예상치를 제공하고 2010년 IFRS를 선적용함으로써 글로벌 스탠다드에 입각한 정보 제공을 통해 투자자들이 보다 정확한 실적 예측과 기업가치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주주가치를 제고해왔다.한편 삼성전자는 투자자들과 소통 강화 및 이해 제고 차원에서 경영 현황 등에 대한 문의사항을 사전에 접수해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주주들의 관심도가 높은 사안에 대해 답변을 진행할 예정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