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2040년"으로 검색하여,
16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7-16▲ 기아 오토랜드 화성에 설치된 태양광 자체발전 설비 [출처=기아]기아(대표이사 사장 송호성)에 따르면 2025년 2월 체결한 한국남동발전과 재생에너지 구매 계약(PPA, Power Purchase Agreement)을 통해 기아 국내사업장 중 최초로 오토랜드 화성에 최근 재생에너지 전력을 도입했다.재생에너지 PPA는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고정된 가격으로 재생에너지를 구매해 사용하는 방식이다.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전력을 조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한국남동발전이 생산한 재생에너지 전력을 연간 약 1215메가와트시(MWh)를 공급받게 된다. 이는 58.3kWh의 배터리가 장착된 EV4 스탠다드 모델을 2만 회 이상 완충할 수 있는 양이다.기아는 주요 사업장에 재생에너지 전력 공급을 확대하며 재생에너지 100%(RE100) 추진을 가속화한다.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오는 2040년까지 RE100 달성을 목표로 국내외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및 전력 자체발전 설비 구축을 적극 추진 중이다.2025년 하반기 중 국내 오토랜드 3개소에 PPA를 통한 재생에너지 전력 공급을 지속 확대해 총공급량을 연간 약 61기가와트시(GWh) 규모로 늘릴 계획이다.또한 이미 PPA를 통해 재생에너지 전력을 공급받고 있는 국내 및 중국 사업장에 더해 향후 미국, 인도 사업장 등에서도 PPA를 통해 전력을 조달할 예정이다.나아가 기아는 2025년 중 국내, 미국, 인도, 멕시코, 슬로바키아 사업장에 합산 38메가와트(MW) 규모의 태양광 자체발전 설비를 설치해 모든 생산 거점에서 태양광 발전을 가동할 예정이다. 2027년까지 설비 규모를 62MW로 확장할 계획이다.기아는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프로바이더’라는 비전 실현과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재생에너지 사용 외에도 △전동화 전환 △차량 내 재활용 플라스틱 적용 확대 △협력사 탄소감축 교육/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기아 지속가능경영실장 이덕현 상무는 &
-
▲ 8월까지 적양파 수입 금지를 재차 연장[출처=필리핀 농업부(DA) 홈페이지]2024년 7월 3주차 필리핀 경제는 필리핀 지열 개발업체인 PGPC는 루손 섬에서 새로운 지열 신재생에너지원을 찾기 위한 탐사 및 개발을 진행한다.필리핀 농업부(DA)가 2024년 8월까지 적양파 수입 금지 조치를 연장한다. 국내산 적양파의 가격은 1kg당 80페소~150페소로 전년 동기 1kg당 150~180페소였던 것보다 낮아졌다.국제공인회계사협회(AICPA)와 미국 NASBA가 미국 CPA시험의 국제 시험 응시 범위를 확대하면서 필리핀에서도 시험을 볼 수 있게 됐다.필리핀 마닐라워터(Manila Water)는 2025년까지 루손섬 타기그시에 파이프라인 건설 프로젝트를 진행함으로써 거주민 70만 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SM인베스트먼트(SM Investments)가 이끄는 필리핀 지열 개발업체인 PGPC(Philippine Geothermal Production Company)는 7월14일 루손 지방에서 새로운 지열 신재생에너지원에 대한 탐사와 개발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이 지역은 최대 400메가와트(MW)까지 생산할 수 있는 잠재성을 갖추고 있다.프로젝트는 향후 5~7년 동안 루손섬의 칼링가, 벵게트, 카가얀, 케손, 카마리네스노르테, 카마리네스 수르에서 진행된다. 일자리 2000개 이상을 이끌어낼 것으로 예상되며 지역 주민을 우선적으로 고용할 방침이다.재생가능한 전력을 보충함으로써 부족한 전력망을 채울 방침이다. 이는 2040년까지 국가 총 전력용량에서 재생 에너지원이 최소 50%를 차지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분석된다.PGPC는 1971년 동남아시아 최초의 상업용 지열 발전 프로젝트를 시작한 바가 있다.○ 필리핀 농업부(DA)는 2024년 8월까지 적양파 수입 금지를 재차 연장한다고 밝혔다. 수입금지는 수입 양파를 실은 선박이 늦게 도착해 수확 기간과 겹쳐 과잉 공급된 것이 발단이었다.농업부는 적양파의 소매 가격이 더 하락하는 것을
-
▲ 동아시아·오세아니아 주요 국가[출처=iNIS]2024년 6월 농축산업 분야 일본의 주요 동향을 살펴보면 전국미곡판매사업공제협동조합(全国米穀販売事業共済協同組合)이 2040년 일본 쌀 수요가 375만 톤으로 인구감소, 고령화, 소비자의 쌀 소비 감소 등으로 2020년 대비 41%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오스트레일리아는 2024년 1분기 염소 75만4141건의 도축으로 고기 1만1777톤을 생산했으며 2021년~2023년 글로벌 위기로 오스트레일리아 기업이 최소 AU$ 980억 달러의 이익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일본] 전국미곡판매사업공제협동조합(全国米穀販売事業共済協同組合), 2040년 국내 쌀 수요 375만 톤(t)으로 2020년 대비 41% 감소 전망… 쌀 생산자는 30만 명으로 65% 감소 예측, 인구감소, 고령화, 소비자의 쌀 소비 감소 등으로 신규 귀농자수 줄어들며 2038년 이후 국내수요 충족 불가 에상[일본] 농림수산성(農林水産省), 5월 집하업자 JA그룹 등이 도매회사에 판매한 2023년산 쌀 가격 60kg당 평균 1만5597엔… 지난해 같은 시기 1만3907엔 대비 12%인 1690엔 높아, 2023년 기록적인 무더위로 생산량 감소 및 2024년 수요 회복 등이 가격 상승 배경[일본] 농림수산성(農林水産省), 17일주(17~19일 전국 평균) 양배추 가격 1kg당 193엔으로 전주 대비 15% 하락, 전월 1026엔 대비 큰폭 하락… 주산지 치바현(千葉県) 3월 저온에 의한 생육지연, 폭우 등으로 수확량 줄어, 6월부터 날씨가 좋아 출하량 늘고 가격 하락세, 7월 이후 군마현(群馬県)산 본격 출하[오스트레일리아] 2024년 1분기 염소 도축 75만4141건으로 고기 1만1777톤 생산… 2017년 1분기 대비 5.4% 증가했으며 NSW 염소 가공량은 2022년 3월 대비 4787% 증가[오스트레일리아] 옥스팜(Oxfam Australia), 2021년~2023년 글로
-
▲ 칠레 국기 [출처=CIA]지난 6월 3주차 칠레 경제동향은 2030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녹색 수소를 생산하고 2040년까지 3대 수출국 중 하나가 되는 녹색수소 실천 계획을 수립했다.○ 정부, 전문가위원회와 협의를 거쳐 녹색수소 실천 계획을 도입... 2030년까지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녹색 수소를 생산하고 2040년까지 3대 수출국 중 하나가 되며 2025년까지 5GW(기가와트) 용량의 전기분해 전용 재생에너지 확보 ▲ 김봉석 기자[출처=iNIS]
-
▲ 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 빌딩 [출처=위키피디아]일본 경제산업성(経済産業省)에 따르면 2024년 3월12일 해상풍력발전소를 배타적경제수역(EEZ)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재에너지해역이용법' 개정안을 각의 결정했다고 밝혔다.정부에서 결정됐으므로 국회에서 법안이 통과되면 시행할 수 있다. 해상풍력발전을 영해 뿐 아니라 EEZ까지 확대하려는 것은 탈탄소 실현을 위한 목적이다.현행 법은 해상풍력발전소의 설치는 영해 내에서만 허가할 수 있었다. 2040년까지 30~45기가와트의 해상풍력발전소를 확보할 계획이라 영해 만으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2021년 기준 국내 생산되는 전력 중 재생가능 에너지의 비율은 20.3%로 낮은 편이다. 특히 풍력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의 비중은 해상과 육상을 포함해도 0.9%에 불과하다경제산업성은 EEZ까지 해상풍력발전소를 확대해 해상풍력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정부는 205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을 제로(0)으로 만들기 위해 노력 중이다.
-
▲ 일본 총무성(総務省) 빌딩 [출처=홈페이지]일본 총무성(総務省)에 따르면 2019년 10월1일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3589만 명으로 고령화율은 28.4%로 집계됐다. 같은 기준으로 보면 국내 인구는 1억2617만 명을 기록했다. 노동 인구는 2017년 6732만 명에서 2022년 6902만 명으로 증가했다. 여성과 청소년 등 비정규직 노동자의 증가, 정년 연장, 고령자의 취업 등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하지만 생산 인구로 분류되는 현역 노동자는 2022년 7406만 명에서 2056년 5000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2년 기준 전체 인구의 59.1%이지만 2040년에는 비율이 53.9%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2040년 기준 현역 세대 1.5명이 1명의 고령자를 부양해야 한다. 고령자의 연금, 의료비, 개호비 등을 감당해야 하므로 1인당 연간 250만 엔 가량의 부양비를 내야 한다.현재 고령자의 의료비는 연간 26.4조 엔에 달해 국민 의료비의 60%를 차지한다. 국세 수입의 3분의 1, 소비세, 개인소득세 등과 비슷한 수준으로 국가재정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총 인구가 감소하므로 생산 연령 인구와 노동력 인구가 줄어드는 현상은 막기 어렵다. 하지만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노동자의 비율이 줄어든다면 사회 시스템이 붕괴될 수밖에 없다.저출산, 초고령화 사회 등으로 노동자가 부족해지며 외국인 근로자의 이민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022년 기준 해외 근로자는 182만 명으로 집계됐다.
-
미국 재무 컨설팅회사 번스타인(Bernstein)에 따르면 2040년 AR/VR 기기 매출이 애플(Apple) 매출액의 2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번스타인의 분석가 토니 사코나기(Toni Sacconaghi)가 제시했다.애플의 AR/VR 헤드셋 및 자동차 출시에 이르기까지 혁신을 거듭하고 있기 때문이다. 애플이 애플워치 등 웨어러블 비지니스를 구축하고 나서 연간 380억달러 매출을 올렸다.또한 서비스 사업의 확대로 지난 4년 동안 700억달러의 매출로 끌어 올렸다. 지난 5년간 애플의 iPhone 매출이 40% 성장한 반면 주식은 500% 폭등했다.참고로 1976년 설립한 Apple은 2018년 창립 44년만에 주가가 1조달러를 돌파했다. 2020년 3월 2조달러, 2021년 11월 기준 약 3조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애플(Apple)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식음료 기업인 코카콜라 HBC(Coca-Cola Hellenic Bottling Company)에 따르면 2040년까지 전체 가치 사슬에서 이산화탄소 순 제로(0) 배출 달성을 목표로 삼았다.이에 따라 2025년까지 배기 가스 감축 이니셔티브에 €2억5000만유로를 투자할 계획이다. 다양한 이니셔티브의 채택을 통해 2040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수년 전부터 시작한 공동체의 사회-경제적 발전을 지원하고 보다 긍정적인 환경적 영향을 주기 위함이다. 상기 목표는 코카콜라 HBC뿐만 아니라 지역 공동체에게도 미래 성장에 필수적이라 판단한다.코카콜라 HBC는 기후 변화를 이루기 위해서 신중하고 예방적이며 협력적인 노력을 필요로 한다고 지적한다. 기후 변화는 전 세계적인 비상사태이기 때문이다.코카콜라 HBC는 미국 글로벌 식음료 기업인 코카콜라(Coca-Cola)의 나이지리아 법인이다. 또한 나이지리아 보틀링 컴퍼니(Nigerian Bottling Company)의 모기업이다. ▲코카콜라 HBC(Coca-Cola Hellenic Bottling Company) 홈페이지
-
2021-04-07영국 및 네덜란드 다국적 석유대기업인 로얄 더치 쉘(Royal Dutch Shell)에 따르면 2040년에 유럽 최대의 녹색 수소 프로젝트를 주도하는 기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네덜란드에서의 NortH2 프로젝트를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여러 개의 수소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기 때문이다.또한 로얄 더치 쉘은 수소를 해상 운송 산업에서 배기가스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연료 중 하나로 판단했다. 특히 액체 수소가 해운 산업에서 다른 잠재적 이산화탄소 제로(0) 배출 연료보다 더욱 유리한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액체 수소가 탈탄소화를 위한 미래 연료이기 때문이다.▲로얄 더치 쉘(Royal Dutch Shell) 홈페이지
-
미국 투자금융회사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에 따르면 2020년까지 글로벌 드론산업 시장규모가 $US 1000억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이중 군사용 드론 시장 규모는 약 700억달러, 소비자 드론 시장 규모는 약 170억달러, 기타 비지니스 및 몇몇 정부기관을 위한 드론 시장 규모는 130억달러로 각각 예상된다.완벽한 사진을 얻기 위해 카메라가 장착된 드론을 공원에서 날리는 소비자도 늘어나고 있다. 상업용 드론 시장에서는 운송, 농업, 건설, 재난구난 등에 사용이 증대될 것으로 판단된다.항공산업에서는 드론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해 안전하게 항공기를 검사할 수 있다. 군대에서는 무장세력을 감시하는데 활용하거나 전장에서는 전술적 이익을 얻거나 표적을 향해 쏠 수도 있다. 또한 2040년까지 드론 배송, 날으는 택시, 군용 UAV, 산업 근로자용 드론 등을 포함하는 자율형 도시 항공기 시장이 1조5000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2030년까지 영국 상공에는 7만6000개 이상의 드론이 운영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향후 20년내 글로벌 드론 시장은 시장을 선점하려는 국가들이 추진한 기술발전경쟁으로 가열될 것으로 전망된다.▲ morgan▲모건스탠리(Morgan Stanley)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