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3년 연속"으로 검색하여,
19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4-10▲ 하림이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조사’에서 냉장·냉동육 부문 23년 연속 1위를 차지한 것을 기념해 특별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출처=하림]종합식품기업 하림(회장 김흥국, 대표이사 정호석)에 따르면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조사’에서 냉장·냉동육 부문 23년 연속 정상을 차지한 것을 기념해 특별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한다.하림은 닭가슴살로 만든 햄 ‘챔’부터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두 좋아하는 ‘용가리’, 맛있게 식단 관리를 하고 싶은 소비자들에게 인기가 높은 ‘수비드 닭가슴살’ 등 맛과 편의성은 물론 건강까지 한 번에 챙긴 제품들을 꾸준히 선보이며 소비자들의 탄탄한 지지를 얻고 있다.하림은 이러한 성원에 보답하기 위해 공식 온라인 쇼핑몰 ‘하림몰’(www.harimmall.com)에서 4월13일까지 전 제품을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쿠폰을 지급한다.또한 쿠팡을 비롯한 주요 온·오프라인 채널에서도 브랜드파워 1위 수상기념 다채로운 할인 행사를 진행할 예정이다.한편 ‘한국산업의 브랜드파워(K-BPI) 조사’는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1999년 개발한 국내 최초의 브랜드 평가 모델이다.대한민국 소비생활을 대표하는 각 산업의 제품·서비스는 물론 브랜드 경쟁력까지 측정해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하림은 2003년부터 브랜드 인지도, 충성도, 이미지, 구입 가능성, 선호도 등 모든 부문에서 최고점을 받으며 올해도 명실상부한 업계 리더 자리를 공고히 했다.하림은 "오랜 기간 하림을 믿고 구매해 주신 분들의 성원에 감사한 마음을 전하기 위해 이번 프로모션을 준비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소비자들에게 최고의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
▲ KB금융, ‘MSCI ESG평가’에서 국내 금융회사 최초로 3년 연속 최상위 등급 ‘AAA’ 획득[출처=KB금융그룹]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에 따르면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이하 MSCI)의 ‘2024년 MSCI ESG평가’에서 국내 금융회사 최초로 3년 연속 최상위 등급인 ‘AAA’ 등급을 획득했다.세계적인 투자 연구기관인 MSCI는 매년 전 세계 약 8500개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ESG 경영성과를 평가해 그 결과를 AAA(최고)부터 CCC(최저)까지 총 7단계로 발표하고 있다.KB금융은 이번 평가에서 ‘기업 지배구조’, ‘인적자본 개발’, ‘금융소비자 보호’, ‘금융 접근성’ 등 주요 항목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국내 금융사 중 유일하게 ‘AAA’ 등급을 3년 연속 획득함으로써 국내외 최고 수준의 ESG경영 선도기업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KB금융은 ‘2024년 MSCI ESG평가’뿐 아니라 ‘서스테이널리틱스(Sustainanalytics) ESG리스크 평가’에서 국내 금융회사 중 최고 등급인 ‘Low Risk 등급’으로 평가받았다.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ow Jones Sustainability Indices)’에서도 9년 연속 ‘월드지수’에 편입됐다.글로벌 ESG 평가기관들이 KB금융을 지속적으로 높게 평가하는 이유는 KB금융이 이사회 산하 ‘ESG위원회’를 중심으로 안정적인 지속가능경영 체제를 구축하고, 금융 취약계층과 소상공인을 위한 상생 금융 및 지원 서비스를 확대하는 등 전 계열사와 함께 ESG경영 실천을 강화해 왔기 때문이다.KB금융 관계자는 “이번 성과는 환경, 사회, 지배구조적 측면에서 기업 가치를 제고하고자 그룹의 모든 구성원이 힘을 모아 ESG경영을 실천한 결과다”며 “앞으로도 KB금융은 솔선수범의 자세로 미래를 열어가는 실천에 앞장서며, 국민과 함께 성장하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
2025-04-08▲ KT&G, 렉시스넥시스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 3년 연속 선정[출처=KT&G]KT&G(사장 방경만)에 따르면 2025년 4월4일(금) 글로벌 지식재산권(IP) 솔루션 기업인 ‘렉시스넥시스(Lexis Nexis)’가 꼽은 ‘글로벌 100대 혁신기업’에 3년 연속(’23~’25년) 선정됐다.렉시스넥시스는 1600만 개의 글로벌 특허 데이터베이스를 바탕으로 정보기술(IT)·전자·자동차·소비재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매년 글로벌 혁신기업 100곳을 선정해 발표한다.KT&G는 전자담배 기술혁신 등의 성과를 인정받아 국내 소비재기업 중에서는 유일하게 100대 혁신기업에 이름을 올렸다.특히 체계적인 지식재산권 관리를 통해 NGP(Next Generation Products)사업의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한 점을 인정받았다.KT&G는 2024년도에만 총 2977건의 지식재산권을 출원했으며 2024년 기준 총 누적 지식재산권은 1만4400여 건이다. 이 중 해외 지식재산권은 1만1000여 건에 달하는 등 회사는 지식재산권(IP) 경쟁력에 기반한 기술혁신에 주력했다.KT&G는 지식재산권 경쟁력을 바탕으로 독자혁신 기술이 적용된 전자담배 디바이스 ‘릴(lil)’과 전용 스틱을 통해 국내외 시장 리더십을 강화하고 있다.실제 2024년 NGP 전용 스틱 국내 점유율은 46퍼센트(%)를 기록해 시장 선두를 유지했으며 해외에서는 PMI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전 세계 34개국에 전자담배 ‘릴’을 선보였다. 이를 통해 국내외 NGP사업의 매출과 영업이익, 판매량은 전년 대비 ‘트리플 성장’을 달성했다.2024년 KT&G만의 하이테크 기술을 적용해 출시한 ‘릴 에이블 2.0’도 소비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릴 에이블 2.0은 ‘리얼, 그래뉼라, 베이퍼’ 총 3가지 카테고리의 스틱을 디바이스 하나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과 ‘밸런스 모드’, ‘클래식 모드’ 총 두가지 흡연 모드를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또한 일시정지, 고속충전 등의 기능도 탑재해 세분화된 소비자들의 취향을 충족시키며 높은 호응을 얻고 있다.KT&G 관계자는 “차세대 담배 시장의 성장에 발빠르게 대응하고 체계적인 IP 관리를 통해 확보한 독자기술로 고객맞춤형 NGP제품을 지속 개발 및 출시해왔다”며 “향후에도 NGP사업 전반에 걸친 혁신을 통해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에 맞춘 제품을 선보여 시장리더십을 확고히 다지겠다”고 강조했다.
-
2025-03-25▲ KB금융그룹 전경[출처=KB금융그룹]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에 따르면 세계적인 브랜드 평가 기관인 영국 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가 발표한 ‘Banking 500’(이하 뱅킹 500)에서 국내 금융기업 브랜드 가치 1위, 전 세계 금융기업 브랜드 가치 54위 기업으로 선정됐다.브랜드 파이낸스는 매년 전 세계 금융기업을 대상으로 재무 실적, 성장 전망, 브랜드 충성도, 기업의 지속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브랜드 가치를 평가한 후 ‘뱅킹 500’을 통해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2025년 브랜드 파이낸스의 발표에 따르면, KB금융의 브랜드 가치는 전년 대비 35퍼센트(%) 증가한 약 10.6조 원(US$ 75억400만 달러)으로 국내 금융사 중 1위를 기록했다.이는 글로벌 금융사 중에서도 상위권에 해당하는 수치로 브랜드 가치가 10조 원을 넘은 것은 국내 금융사 중 최초다.또한 이번 ‘뱅킹 500’ 보고서에는 KB금융의 비전과 브랜드 전략, 디지털 전략, 지속 가능한 경영 전략 등이 ‘브랜드 스포트라이트(Brand Spotlight)’ 섹션을 통해 주요하게 소개됐다.KB금융은 최고 수준의 재무 성과를 기록하면서도 돌봄과 상생을 중심으로 사회적 문제 해결에 앞장서고 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
▲ 현대자동차 아이오닉 5N[출처=현대자동차그룹]현대차그룹(회장 정의선)에 따르면 영국 자동차 전문매체의 차급별 최고 모델 시상식 ‘2025 왓 카 어워즈(2025 What Car Awards)’에서 7관왕을 차지했다.이번 시상식에서는 현대차 △아이오닉 5N이 ‘최고의 핫해치 전기차’ △캐스퍼 일렉트릭이 ‘최고의 도심형 소형 전기차’ △싼타페가 ‘최고의 7인승 차량’ △아이오닉 5N의 E-Shift 기술이 ‘최고의 기술’, 기아 △EV3가 ‘최고의 소형 전기 SUV’ △스포티지가 ‘최고의 패밀리 SUV’ △EV4가 ‘가장 기대되는 차’ 부문에 선정됐다.특히 기아 스포티지는 3년 연속 ‘왓 카’ 선정 최고의 패밀리 SUV로 선정되며 2024년 영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SUV로서 인기를 증명했다.현대차그룹의 이번 왓 카 어워즈 7관왕 달성은 현대차그룹이 소형차부터 대형차, 전기차, 고성능차까지 모든 영역에서 경쟁력을 갖춘 것을 입증한 것으로 해석된다.1978년 처음 시작돼 올해로 48회를 맞은 ‘왓 카 어워즈’는 유럽 내에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영국 대표 자동차 전문 매체 ‘왓 카(What Car?)’가 주최하는 자동차 시상식이다.올해의 차 등을 포함해 차급별 최고의 모델을 선정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우수한 제품 경쟁력과 전기차를 포함한 다양한 라인업을 바탕으로 영국, 미국에서 수상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먼저 미국 유력 자동차 전문지 ‘카 앤 드라이버(Car and Driver)’가 발표한 ‘2025 에디터스 초이스 어워즈(Editors’ Choice Awards)’에서 현대차 9개, 기아 7개, 제네시스 7개 등 총 23개 차종이 최고 모델에 선정됐다.‘카 앤 드라이버’는 1955년 창간 이래 미국은 물론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영향력을 미치는 자동차 전문지로 매년 전문 에디터들이 미국 시장에 판매되는 세단, SUV 등을 시승하고 평가를 실시해 에디터스 초이스라는 이름으로 차급 및 부문별 수상 모델을 발표한다.이번 어워즈에서는 현대차 △아이오닉 5와 아이오닉 5N이 ‘콤팩트 전기 SUV’ △아이오닉 6가 ‘콤팩트 전기 세단’ △아반떼 N이 ‘콤팩트 스포츠 세단’ △투싼 하이브리드가 ‘콤팩트 하이브리드 SUV’ △싼타페 하이브리드가 ‘중형 하이브리드 SUV’ △팰리세이드가 ‘중형 SUV’ △싼타크루즈가 ‘콤팩트 픽업트럭’ △쏘나타가 ‘중형 세단’ 부문을 수상하는 등 총 9개 모델이 수상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기아는 △EV6가 ‘콤팩트 전기 SUV’ △EV9이 ‘중형 전기 SUV’ △카니발 하이브리드가 ‘하이브리드 미니밴’ △K5가 ‘중형 세단’ △텔루라이드가 ‘중형 SUV’ △니로 하이브리드가 ‘서브 콤팩트 SUV’ △카니발이 ‘미니밴’ 부문을 수상하는 등 7개 차종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제네시스 역시 △G80 전동화 모델이 ‘중형 럭셔리 전기 세단’ △GV70 전동화 모델이 ‘콤팩트 럭셔리 전기 SUV’ △GV70가 ‘콤팩트 럭셔리 SUV’ △G70가 ‘콤팩트 럭셔리 세단’ △G80가 ‘중형 럭셔리 세단’ △GV80가 ‘중형 럭셔리 SUV’ △G90가 ‘대형 럭셔리 세단’에 오르는 등 총 7개 차종이 선정됐다.현대차그룹은 2025년 1월 ‘카 앤 드라이버’ 주관 ‘2025 베스트 10(10 Best Trucks for 2025)’에 △현대차 아이오닉 5, 아이오닉 5N △기아 텔루라이드 △제네시스 GV70가 선정되며 북미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은 바 있다.이 밖에도 현대차, 기아 7개 차종이 미국 유수의 매체 ‘US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U.S. News&World Report)’ 선정 ‘2025 최고의 고객가치상(2025 Best Cars for the Money)’을 수상했다.2025 최고의 고객가치상에는 현대차 △아반떼 하이브리드가 ‘최고의 하이브리드 승용차’ △투싼이 ‘최고의 콤팩트 SUV’ △투싼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가 ‘최고의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SUV’ △코나 일렉트릭이 ‘최고의 전기차’, 기아 △스포티지 하이브리드가 ‘최고의 하이브리드 SUV’ △텔루라이드가 ‘최고의 3열 SUV’ △쏘울이 ‘최고의 서브 콤팩트 SUV’ 부문에서 수상했다.특히 현대차 아반떼 하이브리드는 4년 연속 최고의 하이브리드 승용차 부문을 수상해 의미를 더했다. ‘US 뉴스 앤드 월드 리포트’는 2007년부터 미국에서 판매하는 대부분의 신차 순위와 리뷰를 발표해왔다. 최고의 고객가치상은 연비, 편안함 및 실용성 등 품질에 기여하는 요소와 구매 가격, 총 소유 비용 등 가격 대비 성능을 위주로 평가해 수상 차량을 선정했다.현대차그룹은 "글로벌 시장에서 자사그룹의 뛰어난 제품 경쟁력을 인정받아 기쁘다"며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는 자동차 시장에서 다양한 차량 라인업을 바탕으로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밝혔다.
-
▲ Digital Science 산하 기업 IFI CLAIMS Patent Services 로고[출처=Digital Science]디지털 사이언스(Digital Science)에 따르면 자회사 IFI CLAIMS Patent Services가 '글로벌 특허 데이터 동향'을 발표했다. IFI는 세계에서 가장 공신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특허정보 조사기관이다.지난 4년 동안 감소세를 보였던 미국의 2024년 특허 취득(patent grants) 건수는 2023년 대비 3.8% 증가한 32만4043건으로 상승세를 기록했다.◇ 미국 특허 등록 상위 50위 순위 요약한국 삼성의 2024년 특허 취득은 6377건으로 2023년 6165건 대비 3% 증가해 1위를 유지했으며 해마다 특허수를 늘리고 있다. 실제로 2024년 미국에서 허가받은 전체 특허 중 삼성은 거의 2%를 차지했다.대만 반도체 업체인 TSMC는 2023년의 3687건에 비해 8% 증가한 3989건의 특허를 획득하며 순위가 1계단 상승했다. 2023년 2위를 차지했던 퀄컴은 2024년 3854건에서 3422건으로 11% 감소하며 1계단 하락했다.애플은 3계단 상승해 2024년 4위에 올랐다. 구글도 3계단 상승한 10위를 차지했다. 한편 많은 관심을 받았던 특허 강자 IBM은 2024년에 4계단 하락했지만 여전히 상위 10위권에 머물렀다.상위 50위권에서 가장 큰 상승세를 보인 기업은 모두 아시아 기업이다. 창신 메모리 테크놀로지스(Changxin Memory Technologies, +57위), 텐센트(+54위), LG에너지솔루션(+37위)이 그 주인공이다.알파벳, 아마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엔비디아, 테슬라 등 이른바 ‘매그니피슨트 7(Magnificent Seven)’은 2024년에도 화려한 주가 상승세를 이어갔다.하지만 앞의 4개 기업만 상위 50위권에 진입할 정도의 특허를 취득했고 나머지 3개 기업은 진입에 실패했다. 주가상승과 특허는 연관성이 낮은 셈이다. ◇ 미국 기업의 특허 취득 건수 감소미국 기업이 가장 많은 특허(14만3382건)를 취득했지만 미국 특허의 대부분(56%)은 미국 외의 기업이 취득한 특허로 확인된다.즉 일본 기업이 4만3364건의 특허를 획득해 2위를 차지했다. 중국(2만8258건), 한국(2만4115건), 독일(1만4044건)이 뒤를 이었다.특허 등록 상위 10개국 중 8개국에서 특허 수가 증가했다. 중국이 2023년 대비 32%로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스위스가 21%로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미국과 대만만 각각 4%, 5% 감소했다.◇ 무의미하게 낭비되지 않는 급성장 추세의 기술IFI가 발표한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10대 기술 순위는 특허 출원을 기준으로 한다. 특허 출원은 지연 시간이 훨씬 짧기 때문에 현재 진행 중에 있는 기술 관련 특허 등록 현황보다는 보다 나은 지표 역할을 하게 된다.2024년 가장 빠른 성장 추이를 보인 기술은 2020~2024년 27% 이상 증가한 전해 방식(eletrolytic methods)과 관련된 기술인 셀 운영 또는 관련 서비스다.2024년은 이 기술이 리스트에 등장한 첫 해에 해당한다. 하지만 2024년 순위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비철금속 재생(연평균 26.2%), 폐기물 회수(연평균 26.1%), 고형 폐기물 파괴(연평균 17.7%) 등 폐기물 감소를 대상으로 한 관련 기술이 상위 10위 중 3개를 차지했다는 점이다.관련 분야에 있는 기업들은 세상을 보다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혁신에 미래 수익이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지속가능성을 주제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또 다른 기술로는 전 세계 인구 증가에 따라 필수적인 비 전통적인 공급원으로부터 단백질을 생산하는 기술(CAGR: 22.6%)이 있다.Kratz CEO는 “인공지능(AI)에 대한 시장의 모든 관심에도 불구하고 AI의 기반이 되는 머신러닝 같은 기술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그는 이어 “그러나 이것이 놀라운 점은 아니다. 해당 기술들은 현재 나타나고 있는 AI 호황에 앞서 빠른 성장세를 보여왔고 그 이전 몇 년 동안 우리가 발표한 리스트에 올라와 있었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투자자들은 성장세에 있는 특허 분야에 주목해야 한다. 이를 통해 보다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특허 활동은 연구자, 애널리스트, 투자자에게 기업의 연구개발(R&D) 활동에 대한 귀중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게 된다. 생산성, 기술 효율성 및 IP 전략을 다루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술 동향과 경쟁 환경을 보여준다.기업의 진정한 가치는 지적 재산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허 자산을 조사하는 것은 상장 기업의 무형 자산을 측정하는 데 중요한 툴에 해당한다.여러 국가와 특허 관할권에서 특허를 취득한 상위 1000개 기업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무료 도구인 IFI CLAIMS Live 1000을 사용해 나만의 분석 현황을 만들어 볼 수 있다.이 도구는 실시간 데이터를 표시하고 다양한 필터를 사용해 사용자가 직접 목록을 만들고 정렬할 수 있는 대화형 기능을 제공한다.IFI CLAIMS Patent Services는 미국 특허청(USPTO)과 전 세계 특허 발급 기관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해 관련 동향을 조사하는 Digital Science 산하 기업이다.IFI는 세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 정보를 집계해 매년 미국 상위 50개(U.S. Top 50) 및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10대 기술(Top 10 Fastest Growing Technologies) 특허 순위를 발표하는 등 기업의 R&D 활동에 대한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미국의 특허 취득 증가세와 더불어 미국 특허 출원(patent applications) 신청 건수도 2023년 41만8111건에서 2024년 43만625건으로 3%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의 혁신 기반 경제가 그 어느 때보다 강세를 보이고 있음을 보여줬다.IFI의 2024년 미국 50대 기업 순위(2024 U.S. Top 50 Ranking)에 따르면 반도체 칩 위탁 생산업체(파운드리)인 TSMC가 3위로 내려간 퀄컴을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애플과 화웨이는 8위로 밀려난 IBM을 제치고 상위 5위권 내에 진입했다. IBM은 29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켰지만 보다 선별적인 특허 전략을 채택하면서 2년 전 삼성에 자리를 내주게 됐다.IFI CLAIMS Patent Services의 CEO인 Ronald Kratz는 “특허 등록 추세가 다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어 반갑다”고 밝혔다.그는 이어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심사를 거치지 않은 특허 출원들이 누적되면서 특허 등록건수가 줄어드는 추세였다.미 특허청은 누적된 특허 신청건을 처리하기 위해 심사관을 더 많이 고용하고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실제 2023년 75만 건을 기록한 미심사 출원 건수는 2024년 81만3000건으로 증가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54만 건 수준이었다.
-
▲ 뉴질랜드 금융시장감독청(Financial Markets Authority, FMA) 홈페이지일본 이데미츠코산의 오스트레일리아 법인 이데미츠 오스트레일리아(Idemitsu Australia)는 자회사 이데미츠 데벨라(Idemitsu Debella)는 베코그룹(Vecco Group) 지분을 51%로 확대한다.오스트레일리아 저널리스트 앨런 오스틴(Alan Austin)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 경제가 세계 무대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국내 경제 회복력에 대해 잘못 표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뉴질랜드 금융시장감독청(Financial Markets Authority, FMA)에 따르면 웨스트팩 은행(Westpac Bank)이 약 2만5000명의 고객에게 약속한 할인 및 혜택을 제공하지 않고 약 NZ$ 630만 달러 이상을 과도하게 청구했다.◇ 오스트레일리아, 9년 연속 적자 이후 2022-23년과 2023-24년 연속 흑자를 기록한 유일한 국가일본 이데미츠코산의 오스트레일리아 법인 이데미츠 오스트레일리아(Idemitsu Australia)는 자회사 이데미츠 데벨라(Idemitsu Debella)는 베코그룹(Vecco Group) 지분을 51%로 확대한다.베코그룹에 투자하는 프로젝트는 퀸즐랜드 북서쪽 줄리아 크릭의 고순도 바나듐을 채굴하고 정재하는 중요 광물 및 바나듐 전해질 프로젝트에 AU$ 7500만 달러 이상을 투자하기로 했다.2026년 건설을 시작해 2027년 말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 지역에서 약 6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된다.오스트레일리아 저널리스트 앨런 오스틴(Alan Austin)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 경제가 세계 무대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국내 경제 회복력에 대해 잘못 표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그 근거로 전 세계에서 인플레이션 3% 미만, 실업률 4% 미만, 성인 1인당 중위 재산이 US$ 25만 달러를 넘는 나라는 오스트레일리아 단 한곳 뿐이라고 전했다.지난 2년 동안 8분기 내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플러스를 기록하고 성인 1인당 평균 54만 달러를 넘는 국가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미국이다.9년 연속 적자 이후 2022-23년과 2023-24년 연속 흑자를 기록한 경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유일하다. 예산 흑자를 기록하고 AAA 신용 등급을 받았으며 2년 연속 GDP 대비 부채를 줄인 국가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덴마크 뿐이다.◇ 뉴질랜드 금융시장감독청(FMA), 웨스트팩 은행(Westpac Bank)이 약 2만5000명 고객 대상 약 NZ$ 630만 달러 이상 과도 청구뉴질랜드 금융시장감독청(Financial Markets Authority, FMA)에 따르면 웨스트팩 은행(Westpac Bank)이 약 2만5000명의 고객에게 약속한 할인 및 혜택을 제공하지 않고 약 NZ$ 630만 달러 이상을 과도하게 청구했다.따라서 웨스트팩 은행이 다양한 은행 상품에 대해 광고된 혜택 제공을 하지 않아 실제 소비자 및 기업 고객에게 과도한 요금을 청구했다는 이유로 민사소송을 제기했다.웨스트팩 은행은 고객 유치를 위해 우대 가격을 홍보했으나 실제로는 이를 충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은행의 모럴해저드에 대한 비판이 제깆되는 이유다.
-
▲ 베이징세관을 방문한 해관총서 국장[출처=해관총서]중국 해관총서(海关总署)에 따르면 2024년 1~7월 상품 무역 수출입 총액이 24조83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했다.2024년 1~7월 민간기업의 수출입액은 13조67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했다. 대외 무역 총액의 55.1%를 차지해 전년 동기 대비 2.3%포인트 늘어났다.중국 헝다그룹(中国恒大集团. Evergrade Group)은 홍콩법원에 PwC의 감사 관련 소송을 제기했다. 헝다르룹은 PwC가 2017년, 2018년 상반기 재무제표 보고서 작성 시 과실 및 허위 기재가 있었다고 주장했다.일본 소프트뱅크그룹(ソフトバンクグループ)은 4~6월기 결산 결과 1742억엔 적자로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대만 홍하이그룹(鴻海集團)에 따르면 자회사 폭스콘(Foxconn)이 허난성 정부와 정저우시에 10억 위안을 투자하기로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중국, 1~7월 상품 무역 수출입 총액 24조83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중국 해관총서(海关总署)에 따르면 2024년 1~7월 상품 무역 수출입 총액이 24조83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6.2% 증가했다.이 중 수출은 14조2600억 위안으로 6.7% 늘어났으며 수입은 10조5700억 위안으로 5.4% 증가했다. 무역 흑자규모는 3조6900억 위안으로 10.6% 늘어났다.2024년 1~7월 일반무역수출입은 16조8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 증가해 대외 무역 총액의 64.7%를 차지했다. 이 중 수출은 9.4조 위안으로 8% 늘어났으며 수입은 6조6800억 위안으로 0.9% 증가했다.동기간 가공무역 수출입액은 4조3300억 위안으로 3.2% 증가해 17.4%를 점유했다. 이 중 수출은 2조7300억 위안, 수입은 1조6000억 위안으로 각각 0.2% 감소, 9.7% 증가를 기록했다.중국 해관총서(海关总署)에 따르면 2024년 1~7월 민간기업의 수출입액은 13조67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했다. 대외 무역 총액의 55.1%를 차지해 전년 동기 대비 2.3%포인트 늘어났다.이 중 수출액은 9조2200억 위안으로 10% 증가했으며 총 수출액의 64.7%를 차지했다. 수입액은 4조4500억 위안으로 12.8% 늘어났으며 총 수입액의 42.1%를 기록했다.동기간 외국인투자기업의 수출입 규모는 7조2800억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1% 늘어났으며 대외 무역 총액의 29.3%를 차지했다. 이 중 수출은 3조9200억 위안, 수입은 3조3600억 위안으로 각각 1%, 1.1% 늘어났다.국유기업의 수출입규모는 3조8200억 위안으로 0.7% 증가했으며 대외 무역 총액의 15.4%를 차지했다. 이 중 수출은 1조1000억 원, 수입은 2조7200억 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각각 1.8%, 0.3% 늘어났다.중국 헝다그룹(中国恒大集团. Evergrade Group)은 홍콩법원에 PwC의 감사 관련 소송을 제기했다. 헝다르룹은 PwC가 2017년, 2018년 상반기 재무제표 보고서 기재시 과실 및 허위 기재가 있었다고 주장했다.2024년 1월 홍콩 법원은 중국 최대 부동산 회사 헝다그룹의 청산을 명령했다. 동년 3월 PwC와 중국 계열사 중티엔 회계(中天会计)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헝다그룹이 PwC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것은 채권자들로 부터 투자금을 회수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일본 소프트뱅크그룹(ソフトバンクグループ), 4~6월기 1742억엔 적자로 3년 연속 적자일본 소프트뱅크그룹(ソフトバンクグループ)은 4~6월기 결산 결과 1742억엔 적자로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엔화 저감 영향으로 뷰유 달러 지급 부채가 엔으로 환산한 외환차손이 4439억엔 손실, 주력 사업 산하 투자 펀드 사업의 외부 투자자 분배금이 증가해 2043억엔 적자 등이 원인이다.소프트뱅크그룹은 블랙먼데이, 리먼쇼크 때와 비교하면 나쁜 상황은 아니며 적자 규모자 커지 않아 향후 인공지능(AI) 관련 반도체, 데이터센터, 로봇 등 3가지 분야에 주력해 매출은 늘려 나갈 계획을 밝혔다.일본 출판대기업 카도카와(KADOKAWA)에 따르면 대규모 사이버 공격으로 자회사 도완고의 일부 거래처, 도완고(ドワンゴ) 전 종업원 등 25만4241명의 개인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드러났다.종업원 계정정보가 도용당한 것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학교법인 카도카, 도완고 학원 N중등부, N고등학교, S고등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들의 이름, 생년월일, 진학처, 일부 거래처와 계약서, 사내 문서 등이 유출됐다.◇ 대만 홍하이그룹(鴻海集團) 자회사 폭스콘(Foxconn), 허난성 정부와 정저우시에 10억 위안 투자대만 홍하이그룹(鴻海集團)에 따르면 자회사 폭스콘(Foxconn)이 허난성 정부와 정저우시에 10억 위안을 투자하기로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폭스콘은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 배터리, 디지털 헬스, 로봇 산업 등을 육성하기 위해 새로운 사업 본사 건물과 7개 주요 센터를 건설한다.1단계로 정동신구(鄭東新區) 700에이커 규모를 건설하며 약 5만 명이 신규 직원으로 채용돼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 박재희 기자[출처=iNIS]
-
▲ 동아시아·오세아니아 주요국 국기[출처=CIA][중국] 지리자동차(吉利汽車), 5월31일 영국 런던에 호스 파워트레인(Horse Powertrain) 법인 설립 및 본사 설치… 지리자동차, 프랑스 르노자동차(Renault Group), 아람코(Aramco) 각각 45%:45%:10% 지분 인수, 고효율 ICE, 변속기 및 하이브리드 파워트레인, 저탄소 합성 연료 및 수소와 같은 대체 연료, 차량 전기화 등 자동차 산업의 성공적인 탈탄소화 공유, [중국] 푸싱국제유한공사(复星国际有限公司), 민영투자회사로 일본 홋카이도 스키 리조트 호시노 리조트 토마무 408억엔에 매각… 중국 부동산 불황에 따른 주식 99.998% 자산 매각[일본] 니토리홀딩스(ニトリホールディングス), 광저우시, 난징시, 충칭시 등 총 4개 점포 오픈으로 중국 내 100점포 달성… 2007년 해외 첫 출점 이후 2024년 3월 말 기준 해외 179개 점포 전개 및 2032년까지 전 세계 4000점 목표, 2023년 태국, 홍콩, 한국, 베트남에 첫 출점, 2024년 4월 필리핀 진출 등 가속화[일본] 내각부(内閣府), 2023년 7~9월기 이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하향 조정… 2024년 1~3월기 성장률은 실질연률 환산시 2차 속보 마이너스 1.8%에서 마이너스 2.9%로 수정, 전기 대비 마이너스 0.5%에서 0.7%로 인하[일본] 재무성(財務省), 2023년도 국가 일반회계세수 72.1조 엔으로 4년 연속 과거 최고 갱신 및 2년 연속 70조 엔 돌파, 2022년 세수 71조1373엔… 2023년 보정예산 단계 세수 69조6110억 엔으로 추정해 2022년도 실적 밑돌 것으로 전망했으나 실제 2022년 대비 증가[대만] 노동기금활용국(勞動基金運用局), 2024년 5월 말 기준 노동기금 규모 NT$ 6조5994억 달러, 수익은 6073억8000만 달러로 수익율은 9.99%… 신규 근로자 퇴직기금 규모 4조3265억 달러, 수익은 4119억3000만 달러, 수익율은 11.56%, 노동보험기금 규모는 9990억 달러, 수익은 893억 달러, 수익률은 10.39%[마카오] 마카오특별행정구(澳门特区), 2024년 현금 공유 계획에 따라 7월2일부터 7월31일까지 71만7018명의 영주권자에 1만 파타카 지급… 자격을 갖춘 비영주권자 3만850명에 6000파타카 지급 및 지급형식은 은행 송금 또는 우편환[오스트레일리아] 뉴파인더(New Finder), 대출자 42만9000명 이자율 상승을 막기위해 대출기간 몇 년 더 연장, 2022년 4월 이자율 상승기 전 대비 평균 주택담보채출 비용 연간 AU$ 2만1000달러… 주택담보대출자 중 7%인 23만1000명 대출기간 5년 미만, 6%는 대출 기간 5년 이상으로 연[뉴질랜드] 신용조사기관 센트릭스(Centrix), 2024년 5월 기업 청산 규모 233개사로 2023년 5월 156개 대비 49% 증가… 2024년 1분기 기업 청산 94개로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 오클랜드(Auckland) 259개로 38%, North Island 137개사로 10% 증가▲ 박재희 기자[출처=iNIS]
-
2024-06-25▲ 동아시아·오세아니아 주요국 국기[출처=CIA][중국] 지제탸오둥(字节跳动, 바이트댄스), 틱톡 운영기업으로 미국 반도체 설계기업 브로드컴(Broadcom)과 인공지능(AI)용 반도체 프로세서 개발… 5나노 특정용도용 집적회로(ASIC) 개발 중으로 2022년부터 양사 간 제휴 관계, 제조는 TSMC에 위탁 예정이며 2025년 이후 시작 방침[중국] 후베이성인민정부(湖北省人民政府), 4월 '대규모 장비 업데이트 및 소비재 거래 촉진을 위한 후베이성 구현 계획' 발표… 표준 개선 조치, 장비 업데이트 전면 실시, 소비재 거래, 재활용, 선제적 개발 등 5대 조치를 포함[중국] 후베이성인민정부(湖北省人民政府), 전국적 신규 제정 국가표준 100여 개 중 후베이성 기업 및 기관 주도 21개… 국가표준, 지방표준 등 정부공표 표준 외 50개 우수 단체표준 제정기관 육성 등 독자표준 시장 활성화 추진[일본] 정부, 2023년도 일반회계세수 70조 엔 돌파 가능해 2022년도 71조1373억엔에 이어 2년 연속 70조엔 대 전망… 기업 실적 상승으로 소득세 및 법인세 납부가 증가, 매년도 세수는 4월~다음해 5월까지로 정확한 수치는 7월초 발표 예정[일본] 일본백화점협회(日本百貨店協会), 5월 전국백화점 매출액 4692억 엔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4% 증가, 면세품 매출액 718억 엔으로 약 33배 성장… 시계, 보석품, 브랜드 제품 등의 판매 증가 및 외출 기회, 기온 상승 등으로 여름 의류 판매 확대[일본] 도쿄상공리서치(東京商工リサーチ, TSR), 5149개 기업 설문조사, 퇴직자 전체 9.3%가 퇴직대행서비스 이용 퇴직, 자본금 1억 엔 이상 대기업 18.4%, 중소기업 8.3%… 퇴직대행으로부터 연락받은 기업, 퇴직희망자에 대해 73.5%, 대기업은 84.9%, 중소기업 72.2% 임금인상 제안, 휴가일수 확대 제안 24.4%, 대기업 17.7%, 중소기업 25.2%[일본] 도쿄상공리서치(東京商工リサーチ, TSR), 2023년 신설된 노인복지·개호사업자 3203개로 전년 대비 6.1% 증가… 2014년 3611개에서 2018년 2351개로 줄어들었으나 5년 연속 증가세, 2023년 휴폐업·해산(休廃業·解散) 510개, 도산(倒産) 122개로 2022년 각각 495개, 143개 대비 감소 및 증가[홍콩] MPFA(強制性公積金計劃管理局,積金局), 1분기 홍콩에서 영구 출국을 이유로 자금 인출 신청 6500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 전분기 대비 10% 감소, 자금인출액는 HK$ 15억1000만 달러로 각각 4%, 11% 감소… 1분기 MPF 수령 금액 228억9000만 달러로 전분기 대비 7% 증가, 이 중 의무 납부 75%, 자발적 납부 25%, 3월 말 기준 의무적립기금 1조1800억 달러로 10년 동월 대비 1.3배 증가[오스트레일리아] 폐기물관리 및 자원회수협회(Waste Management and Resource Recovery Association, WMRRA), 정부에 폐기물 및 재활용 부문보다 안전한 배터리 반납 장소 긴급 요청 발표… 매년 폐기물 관리 트럭에서 리튬 이온 배터리 관련 1만 건 화재 발생, 시설 및 트럭 화재, 부상 및 사망 등 심각한 피해 우려[오스트레일리아] 마이어(Myer), 억만장자 솔로몬 류(Solomon Lew)의 프리미어 인베스트먼트(Premier Investments)가 소유한 의류 브랜드 포트폴리오 인수 제안… PI는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에 Portmans, Jacqui E, Dotti, Just Jeans, Jay Jays 등 유명 의류 브랜드 포함, 지난 회계년도에 AU$ 8억4500만 달러 수익 창출[뉴질랜드] 통계청(Stats NZ), 5월 상품수출액 NZ$ 71억5561만 달러로 전년 동월대비 2.9%인 2억200만 달러 증가, 상품 수입은 69억5140만 달러로 0.6%인 3900만 달러 늘어났으며 무역수지는 2억420만 달러 흑자 기록… 미국 수출액이 10억 달러 초과해 전년 동월 대비 2억55000만 달러 증가, 소고기 수출이 31% 늘어났으며 중국 소고기 수출은 45% 감소▲ 박재희 기자[출처=iNIS]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