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2
" 600"으로 검색하여,
21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기아 로고[출처=기아자동차]기아자동차(대표이사 송호성)에 따르면 2025년 1월24일(금) 2024년 4분기(10~12월) 실적을 발표하고 주주 및 투자자 대상으로 기업설명회를 개최했다.지난 4분기 경영실적(IFRS 연결기준) 기준 △판매대수(도매 기준) 76만9985대 △매출액 27조1482억 원 △영업이익 2조7164억 원 △세전이익(경상이익) 2조4638억 원 △당기순이익 1조7577억 원 등을 공시했다.2023년 4분기와 비교해 판매대수는 5%,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11.6%, 10.2% 증가했다. 영업이익률(10%)은 2022년 4분기 이래 9분기 연속으로 두 자릿수를 달성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도 8.5% 늘어나며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기아는 확고한 상품 경쟁력으로 북미와 신흥 시장에서 판매대수가 증가했다. 다각화된 파워트레인(PT) 경쟁력과 차별화된 관리 능력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 대비 이익 성장을 달성했다.이어 2024년 4분기 인센티브 및 기타 비용이 다소 늘어났지만 본원적 경쟁력에 따른 판매 호조 및 환율 효과로 이를 상쇄했다고 설명했다.투자자 가이던스 차원에서 기아는 2025년 전망 및 사업계획도 발표했다. 기아는2025년 연간 판매목표(321만6000대)를 지난해 대비 4.1%, 연간 매출(112조5000억 원)은 같은 기간 4.7%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2조4000억 원, 연간 영업이익율은 11%로 각각 제시했다.기아는 대외 불확실성에도 제품 믹스 및 평균 판매가격(ASP) 개선에 따른 본원적 경쟁력을 앞세워 올해에도 두 자릿수 영업이익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설명했다.◇ 2024년 4분기 국내 14만934대 및 해외 62만9051대 판매2024년 4분기 기아는 국내 14만934대, 해외 62만9051대 등 전 세계(글로벌) 시장에서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한 76만9985대(도매 기준)를 판매했다.국내에선 스포티지 상품성개선(PE) 모델을 출시하고 K8·카니발 하이브리드 판매가 늘어나면서 전년 동기 대비 판매대수가 1.6% 증가했다. 북미를 비롯한 해외 시장에선 K4·카니발 하이브리드 등 신차 효과에 레저용 차량(RV) 판매 증가로 5.8% 늘었다.경영실적을 살펴보면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한 27조1482억 원으로 집계됐다. 글로벌 판매대수가 2023년 4분기와 비교해 3만6000여대(5%) 늘어났고, 평균판매가격(ASP)이 5.9% 상승하며 매출 증가에 기여했다.같은 기간 영업이익 역시 10.2% 증가한 2조7164억 원을 기록했다. 2023년 4분기와 비교하면 판매장려금(인센티브) 및 판매보증 충당부채의 원화 환산 금액이 증가했지만 북미·신흥시장을 중심으로 한 판매 호조와 우호적 환율 효과 등이 이를 상쇄했다.매출원가율은 전년동기 대비 0.7%포인트 상승한 78.8%, 판매관리비율은 효율적 예산 집행에 따른 마케팅 비용 축소로 같은 기간 0.6%포인트 개선된 11.2%다.기아의 2024년 연간 경영실적은 △도매판매 308만9300대 △매출 107조4488억 원 △영업이익 12조6671억 원 △영업이익률 11.8%로 집계됐다.연간 기준으로 사상 첫 100조 원 대 매출을 달성했을 뿐 아니라 역대 최다 판매, 최대 영업이익, 최고 영업이익률을 올렸다.세부별로 보면 도매판매는 전년 대비 0.1%, 매출은 7.7%, 영업이익은 9.1% 각각 증가했고, 영업이익률도 전년 대비 0.2%포인트 높아졌다.◇ 2024년 4분기 친환경차 판매 전년 동기 대비 14.5% 증가한 16만4000대4분기 친환경차 판매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14.5% 증가한 16만4000대(소매 기준, 백 단위 반올림)로 집계됐다.특히 하이브리드차(10만 대)가 2023년 4분기(7만6000대)와 비교해 31.7% 증가했다. 미국에서 4분기 출시한 카니발 하이브리드, 국내에서 지난해 하반기 출시한 K8 하이브리드가 판매 증가를 이끌었다.지난 4분기 전체 판매대수 가운데 친환경차 비중(21.5%)은 전년 동기(19.9%) 대비 1.6%포인트 상승했다. 주요 시장별 친환경차 비중은 △국내 42.3%(전년 동기 대비 3%포인트 증가) △미국 19.3%(5.3%포인트 증가) △서유럽 40.1%(2.4%포인트 감소) 등으로 나타났다.2024년 연간 글로벌 친환경차 판매는 63만8000대로 전년 대비 10.9% 증가했다. 세부별로 살펴보면 △하이브리드 36만7000대(전년 대비 20% 증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7만1000대(19.5% 감소) △전기차(EV) 20만1000대(10.2% 증가)로 집계됐다. 친환경차 비중은 지난해 대비 2.3%포인트 증가한 21.4%로 집계됐다.◇ 2025년 321만6000대 판매해 112조5000억 원 매출 달성 목표기아는 2025년 실적 가이던스로 △판매 321만6000대 △매출 112조5000억 원 △영업이익 12조4000억 원 △영업이익률 11%를 제시했다. 도매판매는 지난해와 비교해 4.1%, 매출은 4.7%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외부 환경 변화에도 기아는 제품 믹스·ASP 개선에 따른 차별화된 경쟁력을 앞세워 올해에도 두 자릿수 영업이익율을 지속 유지할 것으로 확신하고 있다. 선진 시장인 북미와 유럽 등지에선 하이브리드·EV 등 친환경차 판매를 지속적으로 늘릴 계획이다.신차로는 기아의 첫 픽업트럭인 타스만, 인도 전략모델 시로스,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PV5를 올해 출시한다. 세단형 전기차 EV4를 전 세계에 순차 출시하고, 준중형 SUV EV5를 국내 출시해 ‘대중화 EV 풀 라인업’을 구축한다.◇ 2025년 주주 배당금은 연간 기준으로 주당 6500원씩 지급회사의 성장을 지원한 주주 및 투자자를 위해 기아는 경영 성과에 대한 적극적 보상을 실시하기로 했다. 2025년 주주 배당금은 연간 기준으로 주당 6500원씩 지급한다. 지난해(5600원)와 비교하면 900원 증가했다. 자사주 매입·소각분(7000억원)은 전년 대비 2000억원 확대했다.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매입한 자사주는 올해부터 조건 없이 100% 소각한다. 2024년에만 하더라도 1분기에 연간 자사주 매입분의 50%, 3분기 누적 기준으로 재무 목표 달성 시 나머지 50%를 소각했다.매입 방식도 연중 상·하반기 분할 형태로 전환한다. 2024년까진 1분기에 자사주를 전량 매입했지만 수급 안정화 및 안정적 주가 흐름을 위해 상·하반기 분할 매입 방식을 택했다.최근 발표한 밸류업 프로그램에 따라 ‘총 주주환원율(TSR, 배당 및 자사주 매입·소각분)’은 2024년 기준으로 33.3%를 달성한다. 2023년(30.7%)과 비교하면 2.6% 포인트 증가했다. 2025년 기준으로는 TSR를 35%까지 확대할 예정이다.기아는 앞으로도 경영 성과뿐 아니라 주주에 대한 이익 환원을 동시에 추구하는 동반 성장 기조를 지속적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주주 및 투자자와의 적극적 소통을 위한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는 4월 초 실시한다.
-
2025-01-13▲ 동아제약, ‘써큐란 아르기닌 6000’ [출처=동아제약]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백상환)에 따르면 ‘써큐란 아르기닌 6000’을 CU편의점에서 판매한다. 써큐란 아르기닌 6000은 L-아르지닌 6000밀리그램(mg)을 담은 제품이다. 써큐란 아르기닌 6000은 1+1 프로모션으로 CU편의점에서 만나볼 수 있다.아르기닌 특유의 비린 맛을 보완하기 위해 블루베리 맛을 더해 섭취의 부담을 줄였다. 비타민 B6, 나이아신, 아연도 각각 1일 영양 성분 기준치 대비 1000% 함량으로 포함돼 있다.아르기닌은 신진대사와 단백질 합성에 관여하며, 운동 능력 개선, 면역 기능, 피로 회복, 활력 증진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특히 이번 신제품은 사격 국가대표 김예지 선수와 협업한 패키지로 선보인다. 2024 파리 올림픽 이후 긍정적이고 파워풀한 에너지를 전파하고 있는 김예지 선수의 집중력을 모티브로 해 일명 ‘예지력 아르기닌’이라는 별칭을 붙였다.써큐란 아르기닌 6000은 휴대와 보관이 용이한 액상 스틱 형태로, 간편하게 섭취가 가능하다.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운동 30분 전 공복 상태에 물에 타 먹거나 원액 그대로 섭취하는 것을 추천한다.한편 써큐란은 1994년 출시된 동아제약의 대표 혈행 개선 브랜드로 혈액순환 개선 브랜드 인지도 1위를 차지한 바 있다.
-
2025-01-07▲ 싱가포르 퍼시픽라이트 파워(PacificLight Power Pte Ltd.), 주롱섬에 600메가와트(MW) 가스 발전소 시설 구축[출처=퍼시픽라이트 파워 홈페이지]2025년 1월7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포함한다. 2029년부터 가동을 시작할 싱가포르 퍼시픽 라이트 파워의 가스발전소 시설은 주롱섬에서 가장 큰 수소 복합 사이클 가스터빈이 될 예정이다.말레이시아 건설업체 AIZO는 에너지위원회의 태양광 발전소 개발 프로그램 중 페락주 시설을 수주했다.◇ 싱가포르 퍼시픽라이트 파워(PacificLight Power Pte Ltd.), 주롱섬에 600메가와트(MW) 가스 발전소 시설 구축싱가포르 퍼시픽라이트 파워(PacificLight Power Pte Ltd., PLP)에 따르면 주롱섬에 600메가와트(MW) 가스 발전소 시설을 구축한다.PLP는 주롱섬에서 가장 거대한 수소 복합 사이클 가스터빈(CCGT)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2029년 초 가동을 시작해 최소 30%, 최대 100%까지의 수소를 활용해 전기를 생산한다.참고로 퍼시픽라이트 파워는 필리핀 메랄코 파워젠(Meralco PowerGen Corporation, MGen)와 홍콩 퍼스트 퍼시픽(First Pacific Co.)의 합작투자사로 MGen이 지분 58%를 보유한다. 2014년 설립된 이래 싱가포르 전체 전기 수요의 10%를 충족한다.◇ 말레이시아 AIZO(Aizo Group Bhd), 페락주에 99.9메가와트(MW) 상당의 태양광 발전 시설 개발업체로 선정돼말레이시아 건설업체 AIZO(Aizo Group Bhd)는 에너지위원회(EC)로부터 페락주 캄파르 지역에 99.9메가와트(MW) 상당의 태양광 발전 시설 개발을 맡기로 선정됐다. AIZO 산하 코랄 에너지(Coral Energy Sdn Bhd)의 자회사 WDSB(Wawasan Demi Sdn Bhd)가 수주했다.EC는 총용량 2000MW을 차지하는 LSS5(Large Scale Solar 5) 프로그램을 4개의 패키지로 나눴다. WDSB 이외 가당 홀딩스(Gadang Holdings Bhd)의 누산트라 수리아마스(Nusantara Suriamas Sdn Bhd), 코넥스톤 에너지(Conextone Energy Sdn Bhd), 에드라 파워 홀딩스(Edra Power Holdings Sdn Bhd)와 월드와이드 홀딩스(Worldwide Holdings Bhd)의 합작사 등이 해당 프로젝트를 할당받았다.2024년 7월~9월 AIZO는 전년 동기 순이익 34만8000링깃과 비교해 순손실 253만 링깃을 기록한 바 있다. 매출은 2805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 3324만 링깃 대비 16% 줄어들었다.
-
▲ 사우디아라비아 통계청(GASTAT) 홍보자료 [출처=홈페이지]2024년 12월31일 중동 경제동향은 사우디아라비아의 통계를 포함한다. 사우디아라비아 통계청(GASTAT)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해외직접투자(FDI) 순유입은 SAR 160억 리얄(US$ 42억6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2024년 2분기 117억 리얄과 비교해 3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우디아라비아 통계청(GASTAT), 2024년 3분기 해외직접투자(FDI) 순유입 SAR 160억 리얄(US$ 42억6000만 달러)로 집계사우디아라비아 통계청(GASTAT)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해외직접투자(FDI) 순유입은 SAR 160억 리얄(US$ 42억6000만 달러)로 집계됐다.2024년 2분기 117억 리얄과 비교해 37%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2024년 3분기 FDI 순유출 규모는 78억 리얄로 2분기와 비교해 74% 급감했다.2024년 3분기 FDI 유출 규모는 20억 리얄로 2023년 3분기와 대비해 27% 증가했다. 정부는 FDI를 유치해 석유 의존도 경제를 전환하고자 한다.2024년 초 정부에서 투자 관련 법안 및 규정을 개정하며 투자자들의 권리와 자유를 하나의 통합된 체계로 정리한 것이 투자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된다.
-
2024-12-17▲ IBK기업은행 전경[출처=IBK기업은행]IBK기업은행(은행장 김성태)은 2024년 12월17일(화요일) 한국무역보험공사(사장 장영진)와 수출 중소·중견기업을 위해 4600억 원 규모의 ‘수출패키지 우대금융’ 업무협약을 체결했다.미·중 무역갈등과 전 세계적 불확실성 확대로 자금조달에 애로사항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협약을 통해 기업은행은 300억 원 규모의 무역보험 기금을 한국무역보험공사에 특별 출연한다.수출기업에 대출금리 인하, 수수료 및 환가료율 우대 등의 혜택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한국무역보험공사는 은행이 추천한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최대 20% 보증·보험료 할인 및 보증한도 최대 2배 확대 등을 지원한다.이를 통해 수출기업은 일반 무역금융 대비 높은 대출한도를 낮은 금리로 이용할 수 있어 자금 부담을 덜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신설되는 ‘수출패키지 우대금융’ 프로그램은 내년 1월 중 시행될 예정이다.김성태 은행장은 “이번 협약은 혁신성과 성장 잠재력이 있으나 담보 여력이 부족한 수출 중소기업에게 자금애로 해소 및 금융비용을 지원하는 상생금융 사업이다. 수출기업이 사업에 새로운 활력을 찾고 힘차게 도약하는데 보탬이 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
2024-11-11▲ BNK 빌딩[출처=BNK금융그룹]BNK금융그룹(회장 빈대인)에 따르면 2024년 11월11일(월) 부산광역시청에서 부산시, 한국자산관리공사(이하 캠코)와 함께 지역 경제 활력 제고를 위한 ‘민·관·공 협업 부산지역기업 지속 성장 및 고용 활성화 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협약에 따라 BNK금융그룹은 △부산시 고용정책사업 재정지원, 부산은행, 경남은행, 투자증권 등 계열사를 통한 △유동성 위기 기업 추천 △공동 투자 △동산담보 대출 △회생기업 보증서 대출 △졸업기업에 대한 우대금리 지원 등 연간 약 300억원 규모의 사업을 진행한다.BNK금융그룹은 2025년부터 캠코와 함께 최대 600억 원 규모의 부산 지역 특화 기업지원 및 고용 활성화 사업을 공동으로 진행할 계획이다.이번 협약에는 빈대인 BNK금융그룹 회장, 박형준 부산시장, 권남주 캠코 사장이 참석했다. 지역 내 경영 애로 중소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과 함께 고용문화 개선을 통한 자생적 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해 함께 뜻을 모으기 위함이다.한편 BNK금융그룹은 2024년 8월 ‘지역 동반성장 선언문’을 채택하고 지역 산업, 중소기업 육성을 중심으로 지역 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중소기업과 소상공인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한 18조4000억 원 규모의 금융지원, 지역 대표 현안인 가덕신공항 개항 관련 인프라 개발 업종을 대상으로 금융지원, 조선업 선수금 환급보증(RG) 발급을 확대하는 등 지역 특화 산업 육성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BNK금융그룹 빈대인 회장은 “이번 협약은 금융과 산업이 공생하고 행정이 긴밀히 뒷받침하는 ‘자생적 경제 생태계 육성’을 위한 초석의 의미를 가진다. 여러 이해관계자들과 함께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사업을 이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 식품기업 네슬레 파키스탄(Nestlé Pakistan)은 2030년까지 5000만 달러 가치의 포장 식품 수출 비전을 공개했다[출처=네슬레 파키스탄 홈페이지]2024년 11월7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철도금융공사의 회계연도 2025년 2분기 매출은 689억93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2% 증가했다.네슬레 파키스탄은 2024년 26개국을 대상으로 수출액 US$ 23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인도철도금융공사(IRFC), 회계연도 2025년 2분기 순이익 Rs 161억26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인도철도금융공사(IRFC)에 따르면 회계연도 2025년 2분기 순이익은 Rs 161억26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154억4600만 루피 대비 4.4% 증가했다.매출액은 689억93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676억5000만 루피에서 2% 늘어났다. 영업이익은 161억31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4.4% 확대됐다.◇ 네슬레 파키스탄(Nestlé Pakistan), 2030년까지 포장식품 수출 US$ 5000만 달러 달성식품기업 네슬레 파키스탄(Nestlé Pakistan)은 2030년까지 US$ 5000만 달러 가치의 포장 식품 수출 비전을 공개했다. 네슬레 파키스탄은 2024년 26개국에 2300만 달러 상당을 수출한 바 있다.네슬레 파키스탄은 2023년 재생 에너지 부문에 20억 루피를 투자함으로써 국내 제조 단지에 태양광 발전소 및 바이오매스 보일러를 구축했다.또한 우유 4억2000만 리터, 7500톤(t) 상당의 밀과 쌀, 과일 5만 톤 등 원자재 및 포장재 90% 이상을 현지에서 조달하고 있다.
-
▲ 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홈페이지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에 다르면 2024년 1~9월 전국 규모 이상 공업기업의 이윤총액이 5조2281억6000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감소했다. 동기간 영업 소득은 2.1% 증가했으나 성장률은 0.3%포인드 하락했다.중국 주요 6대 은행과 다수 은행이 기존 모기지 지자율 인하로 전국 5000만 가구, 1억5000만 명이 연간 약 1500억 위안의 혜택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일본은행(日銀)은 2024년 10월30일부터 2일간 금융정책을 결정하는 회의를 개최해 경제·물가 정세를 점검한다. 니혼페인팅홀딩스(日本ペイント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미국 화학기업 AOC를 순유이자 부채를 합해 6300억 엔에 인수한다.일본 정부는 2024년 11월1일부터 프리랜서에 대한 거래조건 명시의무 등 프리랜스신법(フリーランス新法)을 시행한다. 보수 미지급, 부당한 감액, 괴롭힘 방지 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발주하는 기업 측도 대응을 촉구할 수 있다.PCB 공장 딩잉(定穎, Dynamic)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NT$ 47억4800만 달러로 매출총이익률은 23.83%, 분기별 감소율은 3.4%포인트, 연간 감소율은 3%포인트를 기록했다.◇ 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 2024년 1~9월 전국 규모이상 공업기업의 이윤총액 5조2281억6000 위안중국 국가통계국(国家统计局)에 다르면 2024년 1~9월 전국 규모이상 공업기업의 이윤총액이 5조2281억6000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5% 감소했다. 동기간 영업 소득은 2.1% 증가했으나 성장률은 0.3%포인드 하락했다.2204년 1~8월까지는 5754억6000만 위안이 증가했으나 유효 수요 부족, 공업 제품 가격 하락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줄어들었다.중국 주요 6대 은행과 다수 은행이 기존 모기지 지자율 인하로 전국 5000만 가구, 1억5000만 명이 연간 약 1500억 위안 혜택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금리 인하에 참여하는 주요 6대은행은 공상은행(工行), 농업은행(农行), 중국은행(中行), 건설은행(建行), 교통은행(交行), 우체국저축은행(邮储银行) 등이다. 흥업은행(兴业银行), 저상은행(浙商银行) 등도 참여한다.◇ 일본 정부, 11월1일부터 프리랜서에 대한 거래조건 명시의무 등 프리랜서신법(フリーランス新法) 시행일본은행(日銀)은 2024년 10월30일부터 2일간 금융정책을 결정하는 회의를 개최해 경제·물가 정세를 점검할 계획이다.이번 회의에서는 선행을 신중하게 파악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나왔다. 향후 리스크 요인이라고 지적해 온 미국 경제가 시장의 예상을 웃도는 경제 지표가 잇따르고 있다.지난주 우에다 총재는 미국 워싱턴에서 선행에 대해서 낙관론이 조금 퍼지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기 때문이다.니혼페인팅홀딩스(日本ペイントホールディングス)에 따르면 미국 화학기업 AOC를 순유이자 부채를 합해 6300억 엔에 인수할 계획이다.미국 대형 사모펀드인 론스타로부터 AOC 지주회사 LSF11 A5 TopCo의 주식 모두를 취득한다. 주식 취득액은 US$ 23억400만 달러에 달한다.규제 당국의 심사를 거쳐 2025년 상반기 인수를 완료할 예정이다. 인수자금은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해 충당하기로 결정했다.일본 정부는 2024년 11월1일부터 프리랜서에 대한 거래조건 명시의무 등 프리랜서신법(フリーランス新法)을 시행한다.보수 미지급, 부당한 감액, 괴롭힘 방지 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발주하는 기업 측도 대응을 촉구할 수 있다. 국내 프리랜서는 약 257만명으로 다양하고 유연한 일을 뒷받침할 수 있는 단계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대만 딩잉(定穎, Dynamic), 2024년 3분기 매출액 NT$ 47억4800만 달러대만 PCB 공장 딩잉(定穎, Dynamic)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매출액은 NT$ 47억4800만 달러로 매출총이익률은 23.83%으로 집계됐다.분기별 감소율은 3.4%포인트, 연간 감소율은 3%포인트를 각각 기록했다. 세후 순이익은 2억5700만 달러로 연간 38.61% 줄어들었다.2024년 1~3분기 매출액은 131억4700만 달러로 총 이익률은 24.63%를 기록했다. 세후 순이익은 8억8000만 달러로 연간 증가율은 17.18%다.
-
2024-10-24▲ PCSPC(Philippine Coastal Storage & Pipeline Corp.)와 아이 스퀘어드 캐피탈(I Squared Capital, ISQ)의 로고[출처=ISQ 홈페이지]2024년 10월24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말레이시아와 필리핀을 포함한다. 말레이시아 AIZO와 넷러너는 데이터 센터를 설립하고자 사라왁 전력공사와 양해각서를 체결한 바 있다.필리핀 인프라 투자업체 아이 스퀘어트 캐피탈이 연료 터미널 PCSPC를 인수한다.◇ 말레이시아 AIZO(AIZO Group Bhd), 넷러너(NetRunner Sdn Bhd)와 사라왁 주에 데이터 센터 설립말레이시아 건설업체 AIZO(AIZO Group Bhd)는 사라왁 주에 데이터 센터를 설립하고자 기술업체 넷러너(NetRunner Sdn Bhd)와 협력한다.마인테크 리소시스(Minetech Resources Bhd)로 알려졌으며 토목 공학서비스를 제공하는 AIZO가 데이터 센터 사업에 처음 진출한 것이다.2024년 10월17일 양사는 데이터 센터에 쓰일 전기의 판매 및 구매를 위해 사라왁 전력공사(Syarikat SESCO Berhad)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필리핀 메트로 퍼시픽 인베스트먼트(MPIC), PCSPC(Philippine Coastal Storage & Pipeline Corp.) 지분을 US$ 4억6000만 달러에 매각필리핀 투자회사 메트로 퍼시픽 인베스트먼트(MPIC)에 따르면 케펠 인프라스트럭처 트러스트(KIT)가 50:50으로 소유한 PCSPC(Philippine Coastal Storage & Pipeline Corp.)의 지분 전체를 매각했다.이로써 연료 운반 사업을 종료한다. PCSPC는 제트용 연료, 석유, 재생연료 등의 수입 터미널로 저장용량은 600만 배럴이 넘는다.이를 인프라 투자업체 아이 스퀘어드 캐피탈(I Squared Capital, ISQ)의 계열사가 2025년 초에 인수한다. 매각 가격은 US$ 4억6000만 달러이며 MPIC와 KIT는 2110만 달러의 이익을 예상하고 있다.
-
2024-10-23▲ 파키스탄 호스터PK(HosterPK)는 자사 서비스 intoHOST를 아랍에미리트로 확대한다[출처=호스터PK 홈페이지]2024년 10월23일 서남아시아 경제는 인도와 파키스탄을 포함한다. 인도 바자즈 주택 금융은 2024년 9월 기업공개를 진행한 이래 첫 실적을 공개했다.파키스탄 웹호스팅업체 호스터PK는 아랍에미리트 고객들에게 디지털 인프라 개선 솔루션을 제공한다.◇ 인도 바자즈 주택금융(BHFL), 회계연도 2025년 2분기 순이익 Rs 54억56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대비 21% 성장회계연도 2025년 2분기 인도 NBFC(비은행 금융회사) 바자즈 주택금융(Bajaj Housing Finance Ltd, BHFL)의 순이익은 Rs 54억5600만 루피로 전년 동기 Rs 45억1000만 루피 대비 21% 증가했다.총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18% 증가한 Rs 89억7000만 루피를 기록했다. 운영수익은 Rs 241억 루피로 전년 동기 Rs 191억1500만 루피에서 21.1% 증가했다.바자즈 주택금융은 2024년 9월 Rs 656억 루피 규모의 기업공개(IPO)를 진행한 바 있다.◇ 파키스탄 호스터PK(HosterPK), 자사 서비스 intoHOST 아랍에미리트로 확대파키스탄 웹 호스팅업체인 호스터PK(HosterPK)는 자사의 intoHOST 서비스를 아랍에미리트(UAE)로 확대한다고 밝혔다.기업이 웹사이트를 개설하는 등 디지털 인프라를 개선하는 데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다. 2009년 설립된 호스터PK는 공유 호스팅·VPS 호스팅 서비스, 도메인 등록, 맞춤형 고객 지원 등을 제공한다.intoHOST의 호스팅 패키지 및 서비스는 국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한 할인 혜택이 포함돼 저렴한 가격으로 웹 호스팅을 가능케 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