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Alphabet"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18-12-31미국 글로벌 ICT기업인 알파벳(Alphabet)에 따르면 2018년 12월말 현재까지 2000건의 드론 택배를 수행한 것으로 집계됐다.자회사 프로젝트윙(Project Wing)의 드론(drone) 택배서비스가 11월 중순 이후 오스트레일리아 수도특별행정자치구역(ACT)에서 시작됐다.드론 택배는 ACT의 보니턴(Bonython), 캔버라(Canberra) 등에서 이행됐다. 안전사고는 전혀 없었고 다만 비행 중에 발생한 5건의 비상착륙 상황이 있었다.한편 거주민 중에는 드론 택배의 소음에 항의한 사례가 많았다. 드론의 프로펠러 소음이 거주민의 신경을 거슬리게해 스트레스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많은 고객과 드론 택배서비스에 참여한 사업체들이 프로젝트윙의 드론 택배서비스를 긍정적으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프로젝트윙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계속해서 테스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또한 윙팀은 2019년 핀란드의 헬싱키에서 겨울 상황에서 드론 택배서비스 기술을 테스트할 계획이다. ▲ 프로젝트윙(Project Wing), ACT에서 드론택배 서비스(출처 :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컨설팅기업 알파베타(alphaBeta)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4차 산업혁명으로 국내에 $A 3150억 달러의 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현재 오스트레일리아는 기술혁신을 현금으로 바꾸는 능력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다른 국가들도 산업혁명의 흐름에 보조를 제대로 맞추지 못하고 있어 여전히 기회는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자동로봇, 인공지능(AI), 원격센서, 사물인터넷(IoT) 등이 디지털 혁신의 백본에 해당된다. 이러한 기술을 확보할 경우에만 생산성이 확대되고 새로운 사업기회를 만들 수 있다.농업만 하더라도 디지털 혁신이 필요한 실정이다. 2050년까지 글로벌 인구를 먹여 살리기 위해서는 식량생산을 현재에 비해 50% 늘려야 하기 때문이다.4차 산업혁명은 글로벌 국가에게 10~15조 달러 상당의 경제적 가치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지금 다양한 기술개발을 통해 씨를 뿌리지 않으면 다음 세대의 일자리와 경제성장을 사라질 것으로 판단된다.▲알파베타(alphaBeta) 홈페이지
-
미국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Alphabet)은 피아트크라이슬러오토모빌(FCA)와 자동운전차량 기술 개발을 위한 제휴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완전 자동운전 차량의 실용화 및 개발 가속화를 위해 기존 자동차제조사와 협력하기로 결정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