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IoT 솔루션"으로 검색하여,
10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3-11▲ SK네트웍스 로고[출처=SK네트웍스]SK네트웍스(대표이사 이호정)에 따르면 2025년 3월11일 퀄컴과 협업을 통해 본사 및 자회사 등 보유 사업에 퀄컴 사물인터넷(IoT) 솔루션을 접목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사업 포트폴리오 확대를 추진키로 했다.이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온디바이스 AI 중심의 새로운 사업 모델 구축이 이뤄질 예정이다. SK네트웍스는 AI 중심 사업 지주회사로서 본·자회사의 혁신을 이끌며 미래 사업 가치를 키우고 있다.퀄컴 테크날러지스 Inc.(Qualcomm Technologies Inc.)와 손잡고 AI 사업 강화에 나선다. 퀄컴은 SK네트웍스에 온디바이스 LLM (On-device LLM)을 지원하는 ‘퀄컴 드래곤윙 QCS6490(Qualcomm Dragonwing™ QCS6490)’ 등 IoT 솔루션을 제공할 방침이다.퀄컴 드래곤윙 QCS6490은 산업 및 상업용 IoT를 위한 고성능 SOC 솔루션으로 로봇, 드론, 게이트웨이, 태블릿, 키오스크 등 다양한 IoT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된 것이 특징이다.이를 통해 투자사들이 다양한 영역에서 사업을 전개하며 AI 연계 사업모델을 접목 중인 SK네트웍스 특성에 맞춘 시너지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SK네트웍스는 본사 및 자회사들의 퀄컴 기술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우수한 IoT 솔루션을 활용해 세계 최고 수준의 AI 성능과 보안성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아울러 글로벌 기술·투자 업계 전문가 네트워크인 하이코시스템(Hicosystem)을 기반으로 확보한 역량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진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2024년 초 ‘AI 민주화를 통한 인류 문명화’란 비전을 선포한 바 있는 SK네트웍스는 보유 사업별로 AI를 연계한 사업모델 구축을 활발히 이어오고 있다.SK스피드메이트는 독일 DAT와 협력해 AI 자동견적시스템 등의 서비스를 적용할 예정이다. 엔코아의 경우 2024년 10월 생성형 AI가 대두되는 환경 속에서의 자산화 전략인 ‘Data Orchestration Strategy for AI’를 발표했다.엔코아는 2025년 신규 솔루션 패키지 출시를 준비 중이며 민팃은 AI 기술을 활용해 휴대전화 성능검사 및 등급을 판별하고 있다.또한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피닉스랩은 2024년 말 자체 개발한 우리나라 최초의 Modular RAG 기반 의약학 특화 솔루션을 론칭해 업계 관계자들의 큰 호응을 받았다. 이와 같은 AI 적용 사업모델 케이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최성환 SK네트웍스 사업총괄 사장은 “글로벌 기술 전문성을 지닌 퀄컴과 파트너십을 맺게 돼 AI 기업으로서 깊이와 진화 속도를 더할 수 있게 됐다”며 “SK네트웍스의 제품, 서비스에 AI를 접목해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인류의 내일을 더 풍요롭게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권오형 퀄컴 아태지역 총괄 사장 겸 본사 수석 부사장은 “퀄컴은 산업 및 상업용 IoT 제품과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며 로보틱스, 제조, 물류, 소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며 “SK네트웍스와의 협업을 시작으로 온디바이스 AI의 장점을 지원하는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더욱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
2025-02-28▲ ‘2025 기아 EV 데이’ 행사장에 전시된 기아 PBV-삼성전자 스마트싱스 프로(SmartThingsPro) 기술 협업 관련 화면[출처=기아]기아(대표이사 사장 송호성)에 따르면 2025년 2월24일(월, 현지시간) 스페인 타라고나의 타라코 아레나에서 열린 ‘2025 기아 EV 데이’ 행사장에서 ‘기아 PBV-삼성전자 사물인터넷(IoT) 솔루션 기반 B2B 사업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이번 협약은 제품과 서비스, 플랫폼의 경계를 넘어 고객에게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양사의 공동 목표 아래 이뤄졌다. 협약식에는 기아 PBV비즈니스사업부 김상대 부사장, 삼성전자 B2B통합오퍼링센터 박찬우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양사는 2024년 9월 ‘현대차그룹-삼성전자 기술 제휴 및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개인 소비자를 대상으로 했던 기술 협력의 범위를 B2B 사업자 고객으로까지 확대하게 됐다.협약에 따라 양사는 기아 PBV와 삼성전자의 AI B2B 솔루션 ‘스마트싱스 프로(SmartThings Pro)’를 연동한다. 이를 기반으로 B2B 고객의 PBV와 차량 외부의 비즈니스 공간이 연결되고 자동화 제어가 가능해진다.즉 고객이 ‘스마트싱스 프로’ 기반으로 상황에 따라 필요한 루틴을 설정하면 PBV 내부 차량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인 ‘IVI(In-Vehicle Infotainment)’에서 입력한 목적지에 따라 루틴이 실행되고 주행 중에도 쉽고 안전하게 외부 사업장 통합 관리와 모니터링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예를 들어 베이커리 매장을 운영 중인 소상공인 고객이 목적지를 인근 도매시장으로 입력하면 사전에 설정된 영업 루틴에 따라 ‘재료 구매 모드’가 실행되고 구매한 재료를 신선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차량 내부 냉장 시설이 자동 세팅된다.재료 구매 후 목적지를 매장으로 입력하면 ‘출근 모드’ 실행으로 매장 도착 전 에어컨, 사이니지, 오븐, 조명 등이 작동된다.또한 운전 중에도 IVI를 통해 재고 현황과 같은 필요 업무 리스트를 미리 제공받으며 직원 없이도 영업 준비를 할 수 있다.영업 종료 후에는 목적지를 집으로 입력해 ‘퇴근 모드’를 실행한다. 미리 공조 장치가 작동된 PBV 차량을 타고 귀가하며 매장 내부 기기들의 전원이 꺼지고 에너지 절감 및 보안 관리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카메라를 통해 이상 행동이 감지되거나 기기가 고장 나는 등 유지 보수 필요한 상황에 대한 실시간 알림도 운전 중 편리하게 IVI로 받을 수 있다.또 다른 예로 게스트 하우스를 운영하는 소상공인의 경우 ‘무인 영업 모드’를 실행해 별도 직원 없이도 PBV를 활용한 시설 운영이 가능하다.운전 중에도 IVI를 통해 객실 내외부의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투숙객의 예약 정보를 확인해 원격 체크인 및 체크아웃을 진행할 수 있다.그 결과 고객은 다양한 비즈니스 환경에 최적화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받을 수 있다. 업무의 편리함은 물론 영업 환경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이와 함께 양사는 PBV 내부에 무선 제어가 가능한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환경 조성을 위해서도 협력한다.이를 통해 고객은 PBV 차량 내 IVI, 태블릿 등을 활용해 센서류, 조명, 스마트플러그 등 개인이 소유한 IoT 기기를 손쉽게 통합 제어하고 에너지 관리 등의 효과도 누릴 수 있다.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에 기반한 서비스를 자영업자·소상공인 고객을 대상으로 먼저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이를 기반으로 △PBV 특화 IoT 제품군 △B2B 사업자의 요구에 맞춘 결합 상품 개발 등에도 힘쓰며 신규 비즈니스 모델을 지속 창출, 글로벌 시장의 B2B 고객까지 확보한다는 목표다.기아는 이번 삼성전자와 파트너십을 통해 PBV 고객의 차량 이용 경험을 외부 영역으로 확장하고 다양한 소상공인 고객의 비즈니스 환경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해 ‘차량 그 이상의 플랫폼(Platform Beyond Vehicle)’이라는 비전 달성에도 기여할 예정이다.기아 PBV비즈니스사업부 김상대 부사장은 “기아 PBV와 삼성전자 AI B2B 솔루션 스마트싱스 프로 기반의 사업 협업으로 비즈니스 고객의 차량 이용 경험을 PBV 외부의 IoT 생태계까지 확장하고 새로운 고객 가치 발굴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삼성전자 B2B통합오퍼링센터 박찬우 부사장은 “AI B2B 솔루션 스마트싱스 프로와 기아 PBV가 만나 비즈니스 고객들에게 매장과 모빌리티가 연결된 새로운 일상을 선보이겠다”며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 B2B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기반으로 최적화된 매장 통합 관리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
중국 IoT 솔루션 공급업체인 퀙텔(Quectel Wireless Solutions)에 따르면 LTE-A 자동차 모듈 AG525R-GL에 대한 글로벌 인증서를 획득했다.특히 GCF, FCC, CE, PTCRB, UKCA, IC, IFETEL, SRRC, NAL, CCC, KC, NCC, JATE, TELEC, RCM, Verizon, AT&T, T-Mobile, Telus, KT, NTT DOCOMO 및 Telstra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인증된 AG525R-GL 모듈은 AEC-Q100 인증 퀄컴(Qualcomm) SA415M 칩셋을 기반으로 한다. AG525R-GL 모듈은 LTE-A Cat 12를 지원하고 600Mbps의 최대 다운링크 데이터 속도를 제공한다.또한 기존 UMTS 및 GSM 네트워크와 하위 호환이 가능하고 다중입출력(MIMO) 기술을 지원한다. 수신기 측에서 동시에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면 오류가 크게 최소화되고 데이터 속도가 최적화된다.보안 부팅, TrustZone, SELinux, 다중 APN 등을 포함한 일련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반 기능을 제공해 데이터 통신 보안을 강화한다.이와 같은 장점들을 통해 이 모듈은 다양한 자동차 브랜드에서 선택됐다. 따라서 다양한 브랜드에서 채택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퀙텔(Quectel Wireless Solution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22-03-18미국 스마트 안경 공급업체인 부직스(Vuzix)에 따르면 Converge IoT와 상품의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 4G LTE 및 5G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연결 솔루션을 판매하기 위한 목적이다. Converge IoT는 독점적인 국가 1차 에이전트이다. 이동통신 회사인 티모바일(T-Mobile)의 5G 네트워크를 사용해 여러 산업 분야에 걸쳐 부직스 스마트 안경(Vuzix smart glasses)을 적용할 예정이다. Converge IoT는 4G LTE 및 5G 장비를 활용해 티모바일 고객이 무선 솔루션을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부직스 스마트 안경을 사용하는 솔루션은 현장 기술 작업자가 있는 비즈니스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주거 및 상업용 부동산의 유지와 건설, 의료산업, 유틸리티, 자동차 등이 포함된다. 또한 고객이 생산, 물류, 소매, 현장 서비스 및 의료 전반에 걸친 디지털 작업 프로세스를 설계하는 것을 지원한다. 이와 같이 부직스의 솔루션은 5G 기술을 활용한 비즈니스 프로세스 혁신의 중요한 구성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부직스(Vuzix)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스위스 위성 통신 기업인 아스트로캐스트(Astrocast)에 따르면 싱가포르 IoT 네트워크 운영업체인 우나비즈(UnaBiz)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자산 추적 및 모니터링을 통한 자산 추적용 IoT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다. 아스트로캐스트의 연결 기술과 우나비즈의 IoT 센서 및 데이터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설계 전문성의 조합으로 평가된다.양사가 공동으로 개발한 자산 추적 및 모니터링 솔루션은 위성 전용 애플리케이션과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데이터는 아스트로캐스트의 직접 위성 네트워크 및 LPWA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2022년 상반기까지 프로토타입 개발, 개념 증명 및 현장 테스트가 완료되고 연말까지 시장에 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아스트로캐스트(Astrocast)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미국 시장조사업체 리서치앤마켓(ResearchAndMarkets)에 따르면 2026년 글로벌 IoT(사물인터넷) 분야 빅데이터 시장 규모는 US$ 509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다.2026년까지 IoT 서비스 분야 빅데이터 시장 규모는 73억달러로 성장하고 북미지역이 선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IoT 분야 빅데이터 스토리지 시장 규모는 162억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내 IoT 분야 빅데이터 시장 규모는 60억달러로 군대와 공공 부분에 의해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21~2026년까지 기술, 인프라, 솔루션, 산업 분야에 의해 성장이 예상된다.▲ 리서치앤마켓(ResearchAndMarkets) 홈페이지
-
2021-05-28지난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는 '드론쇼 코리아((Drone Show Korea 2021)' 전시회가 개최됐다. 옥스드론은 전시회 현장에 기자들을 파견해 참여한 기업들을 취재했다. 국내 드론 산업의 발전과 기술력을 소개하는 것이 글로벌 드론 종합지를 지향하는 목표와 부합하기 때문이다. (주)넥스앤텍, (주)ASOA, 순돌이드론, 성우엔지니어링, (주)만물공작소, 디브레인, (주)씨너렉스, (주)시스테크, (주)코코드론, (주)스카이뷰 등 10개 업체를 소개했다.다음으로 UMAC Air, (주)무지개연구소, 지오소나(주),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이노뎁(주), 유콘시스템(주), (주)이스턴스카이, (주)드론월드에 이어 소개하려는 기업은 BSTARCOM(이하 비스타컴)이다.비스타컴은 무선통신,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솔루션을 전문으로 하는 기업으로 지난 2012년에 설립했다. 주요 제품에는 Anti-Drone, 증강현실(AR), 열화상 체온 감시 시스템(IR Camera), SI 솔루션 등이 있다.안티드론에는 Spoofing System, 돔타입 지역 방어시스템, Anti Drone Total Solution 등이다. Spoofing System은 유도 및 포획 시스템으로 탐지장비 Radar, 무력화장비(유도) Spoofing Controller 및 Antenna, 무력화장비(포획) RF 재머 등으로 구성돼 있다.♦ Spoofing System(출처 : 홈페이지)주로 GPS와 GLONASS 위성 신호를 받아 위성항법 비행 무인기 및 드론의 위도·경도·고도 등 3차원 위치, 속도 파악, 추적을 통해 탐지된 드론을 보호지역 밖으로 유도 착륙시키는 시스템이다.돔타입 지역 방어시스템은 드론돔, RF 스캐너, EOIR Camera로 구성돼 있다. 드론의 위성항법을 기만해 보호지역 밖으로 드론을 추방하는 최첨단 드론 방어 시스템이다.♦ 드론돔 개념도(출처 : 홈페이지)또한 Anti Drone Total Solution은 국가 주요시설 드론 침투 방어에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탐지 및 식별을 통해 1차 방어선에서 유도 및 포획을 하고 최종방어선에서는 추방하는 형태이다.♦ Anti Drone Total Solution(출처 : 홈페이지)증강현실 (Augmented Reality) 관련 AR 이용 스마트한 장비운용(AR Tutorial), 증강현실 이용 모니터링 시스템(AR Monitoring System) 구현, IoT기술·AR기술·제어기술의 융합을 통한 첨단 스마트 팩토리를 완성하는 기술이다. SI 솔루션 분야는 제어(Control), 계측(Measurement), 자동화(Automation), IT융합(IT Convergence)과 관련된 모든 솔루션, 각종 프로토콜의 분석 및 개발을 하고 있다.자동화 통합 솔루션, 측정 Istrument의 IT 융합, 네트워크 프로토콜 제반 기술, 신뢰성 시험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 최단기일 납품 서비스, 유지보수 및 컨설팅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비스타컴은 통신시장 전문성과 신뢰를 바탕으로 고객의 만족과 새로운 가치 창출을 위해 끊임 없는 기술개발과 제품개발에 매진할 계획이다.
-
2021-03-24캐나다 솔루션 제공업체인 칼 데이타 솔루션(Carl Data Solutions)에 따르면 고품질 IoT 제품을 제공하는 스마트 IoT 테크놀로지스(Smart IoT Technologies, 이하 "스마트IoT")와 파트너쉽을 체결했다. 고부가가치의 서비스형 환경 모니터링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이다. LoRa 기술은 서비스로서의 환경 모니터링 산업뿐만 아니라 다양한 스마트시티 시장 부문의 개발자 및 통합자에게도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칼 데이타 솔루션의 기존 데이터 분석기술을 보완하기 위해 맞춤형 센서 개발을 제공할 수 있다. 협력을 통해 기존 데이터 수집 기술 및 네트워크 제품군을 보완하고 새로운 시장으로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전략적 파트너십은 환경 모니터링 서비스 공간에서 비즈니스 성장에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이와 같이 양사의 기술 및 서비스 제공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장기적인 성장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칼 데이타 솔루션(Carl Data Solutions)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3-07미국 솔루션개발업체인 IoT.nxt에 따르면 미국 플로리다의 몇몇 학교에서 사물인터넷(IoT) 솔루션을 활용해 에너지 비용 절감을 실현했다.2018년 9월 설치가 시작된 이래로 일부 학교에서는 최대 15%의 비용 절감효과를 나타냈다.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하면 인력 및 주변의 외부 온도와 같은 다양한 요인을 고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특히 건물의 온도를 변화시키거나 공기를 정화하는 데 사용되는 에너지를 지능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너지 소비가 최적화되어 상당한 비용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2019년 연말까지 50개 학교가 사물인터넷 솔루션을 운영할 것으로 기대된다. 다른 사물인터넷 솔루션 공급업체와는 달리 미국에서 IoT.nxt의 강력한 성장이 예상된다.다른 회사에서는 기존 인프라를 활용할 수 없지만 IoT.nxt가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솔루션은 새로운 투자를 크게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USA-IoTNxT-IoT▲ IoT.nxt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 미국 복합기업인 하니웰(Honeywel) 로고글로벌 부동산투자업체 하니웰빌딩솔루션(Honeywell Building Solutions.,HBS)의 자료에 따르면 뉴질랜드의 부동산 소유자들이 사물인터넷(IoT)에 투자하라고 조언했다.사물인터넷을 활용할 경우 건물유지비용을 50% 줄일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HSB는 전세계에 1000만개의 빌딩과 1억개의 주택에 장비를 납품하고 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