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KAC"으로 검색하여,
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북중남미 주요 국가[출처=iNIS][미국] 가스업체 탐보란리소스(Tamboran Resource), 보통주 312만5000주의 최초 공모가격으로 1주당 US$ 24 달러 발표... 총 수익금은 75000만 달러이고 보통주 최대 468,750주를 추가로 구매할 수 있는 30일 옵션 제공[캐나다] 정부, 휘발유 가격이 1리터당 평균 5.3센트 하락했으며 밴쿠버는 두 자릿수 하락... 최근 2024년 10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일부 감산 계획 철회 결정 이후 하락[멕시코] 미국에너지청(US Energy Administration), 2024년 1분기 1일 5894백만 입방피트의 미국산 천연가스 수입해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 미국에서 수출되는 천연가스의 60% 이상을 멕시코에서 수입[멕시코] 미국 멕시코퍼시픽(Mexico Pacific), 향후 2~3년 내 멕시코 북부의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에 US$ 150억 달러 추가 투자 계획... 푸에르토 리베르타드(Puerto Libertad)에 위치한 사구아로 에네르기아(Saguaro Energia) LNG 수출 시설은 연간 1410만 톤의 설계 용량으로 3단계에 걸쳐 개발[콜롬비아] 캐나다 광산기업 컬렉티브 마이닝(Collective Mining), 표면 노두 샘플의 새로운 고급 분석 결과에 따라 드릴링 대상 영역을 확장... 2024년 과야발레스 프로젝트(Guayabales Project)로 5개 시추 시설 운영 중[콜롬비아] 정부, 가자지구 전쟁으로 이스라엘에 석탄 수출 중단... 2023년 첫 8개월 동안 이스라엘에 US $3억2000만 달러의 석탄 수출, 이스라엘은 석탄의 50% 이상을 콜롬비아로부터 수입[아르헨티나] 코울 인디아(Coal India), 미국 회사와 협력해 아르헨티나의 카치(Kachi) 광구에서 리튬 탐색... 미국 주도의 광물 안보 파트너십(MSP)에 따라 20~25개 중요 광물 프로젝트에 초대 받아[아르헨티나] 블루스카이우라늄(Blue Sky Uranium), 네우켄
-
▲ 북중남미 주요국의 국기 [출처=CIA][미국] 빌딩 관리기업 존슨컨트롤(Johnson Controls), 중견 사모펀드인 트루링크캐피탈(Truelink Capital)에 공조사업 매각 예정... 인공지능(AI) 스마트 빌딩 솔루션 및 서비스 오픈블루(OpenBlue) 제품군에 집중하기 위해 난방/환기/에어컨(HVAC) 사업 매각 방침의 일환[미국] 트래블퍼크(TravelPerk), 비즈니스 여행 플랫폼 에이엠트래브(AmTrav) 인수해 매출액 2배 확대 전망... 자산 관리업체 블랙스톤 크레디트앤인슈런스(Blackstone Credit & Insurance) 및 블로오울크레디트(Blue Owl Credit)의 주도하에 US$ 1억3500만 달러 조달[미국] 인구조사통계국(United States Census Bureau), 5월 소매 및 식품 서비스 매출은 4월보다 0.1% 증가한 US$ 7031억 달러로 추정... 2024년 3월부터 2024년 5월까지 총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2.9% 및 무점포 소매업체는 전년 동기 대비 6.8% 각각 증가했으며 음식 서비스와 주점은 2023년 5월보다 3.8% 확대[캐나다] 전자상거래 솔루션 기업 북키프(Bookkeep), 빅토리아에 사무소 개설 예정... 다양한 지방 규칙과 판매세를 처리해 캐나다 판매세법에 부합하고 준수를 보장하는 자동화된 기록 보관에 대한 액세스를 장부 담당자와 회계사에게 제공하는데 중점[캐나다] 마케팅 소프트웨어 기업 포네사(Phonexa), 최대 비즈니스, 기술 및 금융 허브인 토론토에 사무소 개설... 역동적인 비즈니스 환경과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를 바탕으로 더 큰 협업 및 제휴를 통한 더 나은 마케팅 제품과 솔루션 제공[캐나다] 엔지니어링 기업 맥더모트(McDermott), 1일 165kta의 수소와 5000톤(t)의 암모니아 생산이 가능한 아브라삭스파워(Abraxas Power)의 녹색 수소시설 계약 체결... 3.
-
2022-03-08지난 2월25일 한국공항공사((Korea Airport Corporation, 이하 KAC)는 제13대 윤형중 사장이 취임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낙하산으로 내려오던 국토교통부나 경찰이 아니라 국가정보원 출신이지만 전문성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 KAC가 직면한 대규모 적자를 해소할 묘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인지가 초미의 관심사다.KAC는 1980년 국제공항관리공단으로 설립됐다가 2002년 현재 명칭으로 바꿨다. KAC는 김포, 김해, 제주, 대구, 울산, 청주, 무안, 광주, 여수, 포항, 양양, 사천, 군산, 원주 등 14개 지방공항과 군비행장을 관리∙운영하는 공공기관이다.KAC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 DB, 국정감사, 감사원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 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생태계(8-Flag Ecosystem)’를 적용해 KAC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보자.▲ 한국공항공사 ESG경영 평가 결과 [출처 = iNIS]◇ 윤리경영에 비해 ESG 경영은 고민한 흔적조차 보이지 않아KAC가 공개한 자료를 분석해보면 2005년 윤리경영의 선포, 2007년 유엔 글로벌 콤팩트 가입, 2009년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도 도입 등 윤리경영의 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오랜 기간 동안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2012년 KAC의 윤리경영을 평가할 때와 ESG 경영을 추진하는 현재 상황은 크게 차이가 없다.우선 윤리경영의 범위를 환경성과, 사회적 경제 활성화, 사회 공헌, 일자리 창출, 동반성장, 인권경영, 윤리경영, 공정거래자율준수, 사회성과,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전부 나열했다. 반면 ESG 경영은 이해관계자 참여, 주요 이슈, 커뮤니케이션 채널로 구분하고 있는데, 구체적인 내용이 보이지 않는다.윤리경영은 윤리헌장을 제정하고 윤리강령, 행동강령, 인권헌장, 인권이행지침, 임원직무청렴계약규정, 골프 및 사행성 오락 관련 행동 강령 운영지침 등을 잘 정비해 운영하는 편이다. 윤리강령은 총 7장 3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