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ROE"으로 검색하여,
11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5-09▲ 한화생명 로고 [출처=한화생명]한화생명(대표이사 부회장 여승주)에 따르면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Fitch Ratings)’가 한화생명의 신용등급을 종전 ‘A’에서 ‘A+’로 상향했다.피치는 한화생명이 IFRS17 도입 후 지속적인 수익성(ROE) 개선과 안정적인 재무건전성, 높은 수준의 리스크관리 역량을 보인 점을 높이 평가했다.한화생명이 향후에도 중장기적으로 재무건전성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해 등급을 ‘A/긍정적(Positive)’에서 ‘A+/안정적(Stable)’으로 상향했다.피치는 한화생명의 수익성 높은 보장성 중심 포트폴리오 구축이 수익성 및 자본건전성 강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또한 판매 자회사인 한화생명금융서비스의 3만1000 여명 보험설계사를 중심으로 한 채널경쟁력과 우수한 브랜드 이미지를 바탕으로 판매조직의 안정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해외사업 확대 추진 전략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투자 리스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향후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비한 장기채 중심의 자산 리밸런싱, 자산과 부채 간 듀레이션 갭 축소 등 적극적인 자산·부채 관리(ALM)도 높은 점수를 받았다.한화생명은 2024년 보험영업의 근간인 조직 규모를 확대하고 고객서비스·영업·상품 전 영역에서 인공지능(AI) 기술 등 디지털 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한 결과 8660억 원의 당기순이익(연결 기준)을 올렸다.한편 한화생명은 2025년 3월 국내 3대 신용평가사(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NICE신용평가)에서 최상위 신용등급을 획득한 바 있다.한화생명은 :이번 피치의 등급 상향이 안정적인 재무 기반과 수익성, 중장기적 자산·부채 관리 전략이 시장에서 신뢰를 얻고 있음을 입증했다. 보험계약자와 국내외 투자자들의 대외 신뢰도 제고 효과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 KB금융그룹 전경[출처=KB금융그룹]KB금융그룹(회장 양종희)에 따르면 2025년 4월24일(목) 인터넷·모바일 생중계를 통해 2025년 1분기 경영 실적을 발표했다. KB금융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1조6973억 원, ROE는 13.04%를 기록했다.이자수익 감소에도 2024년 1분기 은행의 ELS 손실 보상 관련 충당부채 전입의 기저효과가 소멸되고 그룹의 강점인 균형 잡힌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비은행 계열사의 이익이 전반적으로 확대되며 양호한 실적을 시현했다.KB금융 재무담당 나상록 상무는2025년 1분기 경영 실적에 대해 “시장금리 하락 영향으로 이자수익이 감소했지만 핵심예금 유입이 확대되면서 이자이익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며 “비우호적인 영업 환경에서도 은행과 비은행 계열사간 상호보완적인 실적을 시현하면서 그룹 이익에서 비은행 부문 비중이 42%까지 증가했다”고 말했다.한편 실적 발표에 앞서 개최된 이사회에서는 주당 912원의 현금배당과 3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결의했다. 2024년 10월 발표한 기업가치 제고 계획(밸류업) 공시에 대한 이행 현황도 전자공시를 통해 공개했다.이행 현황 내용에는 주주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밸류업 이행 노력으로 주당 가치, 시가총액 등이 꾸준히 상승 중이다.자본 비율과 수익성 관리, 지속적인 지배구조 개선 및 ESG·IR 활동 등을 통해 ‘시장 모범 기업’으로서의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겠다는 비전도 포함돼 있다.또한 이날 발표된 주요 경영지표 가운데 비용효율성 지표인 그룹 CIR(Cost-to-Income Ratio)은 견조한 핵심 이익 성장과 그룹 차원의 지속적인 비용 합리화 노력으로 역대 최저 수준인 35.3%를 기록하며 뚜렷한 하향 안정화 추세를 보였다.1분기 말 기준 그룹 보통주자본(CET1)비율과 BIS자기자본비율은 효율적인 자본 할당 및 안정적인 위험가중자산 관리에 힘입어
-
▲ 금호석유화학 본사 전경[출처=금호석유화학]금호석유화학(대표 백종훈)에 따르면 새로운 주주환원정책과 향후 성장 전략 등의 내용을 담은 금호석유화학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했다.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목표는 크게 3가지로 △2030년까지 매출 성장률 6퍼센트(%) △2030년까지 ROE(자기자본이익률) 10% △향후 3개년 주주환원율 최대 40%로 각각 구분된다.◇ ‘별도 당기순이익의 최대 40% 환원’ 내용 담은 새로운 주주환원책 발표우선 주주환원율 관련, 회사는 약 3년 전인 2021년 발표했던 별도 당기순이익 기준 5~10% 수준의 자기주식 매입 및 소각 비율을 2025년부터 10~15% 수준으로 5%p 상향한다.또한 업황 둔화에도 20~25%의 배당 성향을 유지한다. 이로써 별도 당기순이익의 최대 40%에 달하는 금액이 주주환원정책에 사용된다.또한 2024년 발표한 기(旣) 보유 자기주식의 50%를 3년간 단계적 소각하는 주주가치제고정책 역시 진행 중이다. 2024년 3월 1차로 87만5000주를 소각 완료했으며 2025년과 2026년에 각각 2차와 3차 소각을 계획 중이다.◇ 3대 성장전략 통해 2030년까지 매출 성장률 6% 달성금호석유화학은 △친환경 자동차 솔루션 강화 △바이오/지속가능 소재 확대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 전환 가속화를 회사의 3대 성장전략으로 설정해 2030년까지 매출 성장률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물론 궁극적으로 주주환원정책의 지속적인 확대로 연결되는 청사진을 계획하고 있다.◇ 高수익 포트폴리오 기반으로 2030년까지 ROE 10% 달성금호석유화학은 위의 3대 성장전략을 중심으로 사업포트폴리오를 재편하여 최적의 자원 배분을 통해 자본효율성을 제고해 재무 안전성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고효율 생산기술에 투자하고 차세대 성장 산업에 대한 R&D경쟁력을 강화하며 고부가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는 동시에, 한계 및 저(低)수익 사업은 개편하여 자원의 선택과 집중을 도모해 나갈 계획이다.이를
-
2024-11-22▲ LG이노텍 로고[출처=LG이노텍]LG이노텍(대표 문혁수)에 따르면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2030년까지 ROE(Return Of Equity, 자기자본이익률)를 15% 이상 향상하고 육성사업의 매출 규모를 8조 원 이상으로 확대하기로 했다.이날 공시를 통해 2030년까지 △ROE 15%(퍼센트) 이상 향상 △육성사업 매출 8조 이상 달성 △배당성향 20% 확대 △ESG 경영 강화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하는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했다.이번 밸류업 계획은 수익성 강화와 중장기 육성사업 성장을 통해 기업가치를 높이고 주주환원을 확대한다는 것이 핵심이다.먼저 ROE를 2030년까지 15%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LG이노텍은 2024년 ROE 12%를 기록하며 전기전자 업계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해왔다. 앞으로 전략적 생산지 재편 및 인공지능(AI)∙디지털전환(DX)를 활용한 원가 경쟁력 제고, 현금 창출력∙자산 운영 효율성 강화 등 전사적 수익성 개선 활동 전개와 동시에 사업 부문별 수익 창출력을 강화해 목표를 달성한다는 전략이다.이와 함께 육성사업의 매출 규모를 8조 이상으로 키운다. 자율주행 핵심 사업 가속화, FC-BGA(플립칩 볼그리드 어레이) 등 AI∙반도체 신사업 육성을 통해 사업구조를 고도화하고 중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할 방침이다.특히 차량 통신∙조명∙센싱 등 자율주행 핵심부품 중심으로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RF(Radio Frequency, 무선주파수) 설계∙센싱∙제어 기술 기반의 차량용 통신모듈 △차별화된 면광원 기술을 앞세운 차량용 조명 모듈 △독보적인 광학 원천기술을 적용한 자율주행용 카메라와 같은 차량 센싱솔루션 등으로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기판사업 분야는 적층∙패터닝 등 핵심기술의 경쟁 우위를 기반으로 전략고객 파트너십 강화, 매출 구조 다변화를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FC-BGA와 같은 고부가 기판 제품은 기술 경쟁력 강화를 통해 고객을 확대하며 시장 내 입지를 공고히 할 방침이다.
-
2024-07-26▲ 신한금융그룹 ‘10·50·50 기업가치 제고 계획’ [출처=신한금융그룹 공식 홈페이지]더 쉽고 편안한 더 새로운 금융 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은 2027년까지 13% 이상의 안정적 보통주자본비율(CET1)에 기반한 자기자본이익률(ROE) 10%를 달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또한 속도감 있는 주주환원정책을 통한 주주환원율 50%를 달성할 방침이다. 향후 3조 원 이상의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통해 2024년 말 5억주 미만, 2027년 말 4억5000만주까지 주식수를 감축해 주당 가치를 제고한다.신한금융은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보통주자본비율(CET1) 관리 목표를 12%에서 13% 수준으로 상향한다. 이를 기반으로 자기자본이익률(ROE) 10% 및 유형자기자본이익률(ROTCE) 11.5%를 달성할 계획이다.국내 금융사 최초로 도입한 유형자기자본이익률(ROTCE)은 그룹 자본에서 영업권 등 무형자산을 차감해 산출하는 개념으로 실질적인 자본 수익성을 알 수 있는 지표다.신한금융은 그룹의 자본비용(COE)을 10%로 산출하고 그 이상을 자기자본이익률(ROE) 목표로 설정해 유형자기자본이익률(ROTCE)과 함께 관리한다.자기자본이익률(ROE) 및 유형자기자본이익(ROTCE) 제고를 위해 자회사별 배분된 자본 대비 수익성을 측정하는 ROC(Return on group capital) 지표를 도입한다. 경영진의 평가/보상 지표로 활용해 실행력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다.국내 금융그룹 최초로 2021년 분기배당과 2023년 균등배당을 도입했다. 7분기 연속 자사주 매입 및 소각을 실시하는 등 투자자들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노력해 왔다.또한 기존 주주환원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면서 주당 현금배당 및 배당 규모를 매년 확대하고 있다. 지속적인 자사주 소각을 통해 주식수를 감축하며 2027년까지 주주환원율 50%를 달성한다는 구상이다.2024년 말까지 주식수를 5억주 미만, 2027년 말까지 4억5000만주 이하로 각각 감축해 주당 가치를 제고
-
영국 수퍼마켓 체인운영기업인 아스다(Asda)에 따르면 2022년 3월 전국 581개의 모든 식품매장과 온라인에 '스마트 프라이스 앤 팜 스토어(Smart Price and Farm Stores)' 를 배치할 계획이다.보다 저렴한 제품들을 배치해 고객의 제품 선택폭을 늘려 주기 위함이다. 국내 가구의 상당 부분이 직면하고 있는 생활비 상승에 대한 광범위한 정밀 조사에 따른 것이다.또한 유명한 요리사이자 빈곤 퇴치 운동가인 잭(Jack Monroe)의 의견을 아스다가 받아들인 것이기도 하다. 잭은 물가상승의 실제 비용에 대한 보다 투명한 보고서를 정부에 요구했다.2022년 2월 현재 아스다 300개 매장에 스마트 프라이스 앤 팜 스토어 제품 150개를 배치하고 있다. 3월부터 아스다 581개 매장에 스마트 프라이스 앤 팜 스토어 제품 200개도 추가로 늘린다2022년 2월 현재 아스다 온라인에서는 스마트 프라이스 앤 팜 스토어 제품 100개를 추가해 전체 온라인 제품군을 187개로 늘렸다. 2월 말까지 200개로 확대할 예정이다. ▲아스다(Asda) 홈페이지
-
2021-06-01태국 육류생산업체인 짜른포카판푸드(Charoen Pokphand Foods Pcl)에 따르면 사라부리(Saraburi)주 공장 운영을 5일 동안 중단한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 확산을 막기 위함이다. 가금류 가공 공장은 2021년 5월 30일부터 6월 3일까지 폐쇄한다. 해당 공장은 전체 직원 5800명 중 245명이 감염된 것으로 발견됐다. 해당 가공공장은 방콕 북부 100km에 위치해 있다. 다른 국내 기업들인 Sri Trang Gloves(Thailand) Pcl, Cal-Comp Electronics(Thailand) Pc도 감염병 확산을 이유로 가동을 중단했다.▲짜른포카판푸드(Charoen Pokphand Foods Pcl) 홈페이지
-
프랑스 자동차회사 푸조시트로엥(Peugeot Citroen)에 따르면 우즈베키스탄 지자흐 자유경제구역에서 새로운 생산단지 건설에 착수했다.생산단지의 부지는 45헥타르 규모이며 연간 1만6000대의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공장건설은 프랑스의 감독하에 가능한 최단기간으로 진행될 예정이다.공장설계는 푸조시트로엥의 기준 및 요구에 따라 당사의 숙련된 엔지니어와 함께 진행하며 유럽 표준에 맞는 생산공정과 품질을 유지할 계획이다.▲푸조시트로엥(Peugeot Citroen) 로고
-
▲ 일본 편의점체인 세븐일레븐(7-Eleven) 점포 전경 ;출처=홈페이지]일본 편의점체인 세븐일레븐(7-Eleven)에 따르면 2017년 6월 당사는 인도네시아에서 운영 중인 136개의 매장을 태국 복합기업 Charoen Pokphand에 매각하고 있다.6월 초 양사간 체결된 매각금액은 약 1조루피아이며 현재 세븐일레븐 영업장은 폐쇄 중이다. 지금부터 세븐일레븐의 인도네시아 시장철수에 대한 주요인을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첫째, 편의점의 수요가 일반 카페테리아의 성격과 유사했다. 편의점 주변은 고객과 그들의 차량으로 혼잡했지만 대부분의 고객들은 음료 1개를 구입하고 4시간동안 무료 와이파이를 이용했다.둘째, 결국 고객 회전율이 축소되면서 매장 내 운영비 부담은 가중되기 시작했다. 전기세, 와이파이 요금, 인건비 등 영업관리 비용이 순이익을 위태롭게 하는 요인으로 치닫게 된 것이다.셋째, 2015년 4월 인도네시아 정부가 편의점과 미니마켓에 알코올음료 판매 금지령을 내렸다. 당사 매출의 15%가 맥주이며 간접 매출효과까지 감안할 경우 그 피해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었다.이처럼 고객의 소비성향과 정부의 정책에 대응하지 못한 세븐일레븐은 결국 영업을 중지하게 됐으며 시장진입 초기 '24시간 편의점체제'의 강점을 부각시키기도 전에 실패하게 됐다.반면 인도네시아 현지 미니마켓 알파마트(Alfamart)와 인도마렛(Indomaret)은 세븐일레븐의 편의성을 벤치마킹했고 알코올음료와 식품서비스 대신 신선품 판매에 주력해 영업을 지속하고 있다.
-
중국 신롱자동차(神龙汽车有限公司, Dongfeng Peugeot Citroen Automobile Company LTD)에 따르면 2016년 1~7월 자동차 판매량은 32만12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했다.또한 7월 자동차 판매량은 3만4300대로 전년 동월 대비 7% 줄어들었다. 신롱자동차는 중국자동차기업 둥펑자동차와 프랑스자동차제조사 PSA Peugeot Citroën간 합작으로 1992년 5월 18일 설립했다.▲ China_DPCAC(Dongfeng Peugeot Citroen Automobile Company Ltd.)_Homepage▲신롱자동차(둥펑푸조시트로엥자동차) 홈페이지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