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Transfer"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HR 아시아 매거진이 선정한 "아시아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 사이공산신은행(Sacombank)[출처=사이공산신은행 홈페이지]2024년 8월 동남아시아 금융업 주요동향은 2024년 상반기 싱가포르 전자결제기관에서의 비접촉식 결제 애플리케이션 출시, 중국 전자지갑 서비스의 말레이시아 사업 종료, 태국 은행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스타트업 지원 펀드 설립을 포함한다.○ 주로 초기 단계 투자를 행하는 싱가포르 앤틀러(Antler)가 두 번째 동남아시아 펀드를 마감했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위해 US$ 7200만 달러를 모았다.2024년 1월부터 7월 사이 328회의 자기자본 펀딩라운드에서 동남아시아 기술 기업들은 23억1000만 달러를 모았다.이는 전년 동기간 426회 라운드에서 모은 76억3000만 달러와 비교해 69.69% 감소한 수치다.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동남아시아는 펀딩 불황 상태에 처해 있다.그러나 앤틀러의 공동 창립자이자 APAC(아시아·태평양) 관리 파트너인 Jussi Salovaara는 현재가 초기 단계 투자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앤틀러는 앤틀러 SEA 펀드 II(Antler SEA Fund II)로 하여금 6~9개월 안에 2700만 달러를 초기 단계 스타트업 45곳에 투자할 방침이다. 또한 자사 프로그램을 통해 300개의 스타트업을 지원한다.○ 싱가포르 전자결제기관 NETS(Network for Electronic Transfers)는 Nets SoftPOS라는 비접촉식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했다. 판매자는 해당 앱을 통해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단말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현재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카드, QR코드, 모바일 등의 결제수단을 수용한다.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 해외 뱅킹 시스템 및 전자지갑 앱을 사용할 수도 있다.판매자가 기존 단말기 혹은 하드웨어에 통합할 필요없이 업무 도중 움직이면서 결제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2024년 상반기에 시범적으로 상인 30명에게 프로그램을 보급한 바 있다.○ 중국 IT기술 기업 텐센트(腾讯)는 전자지갑서비스 위챗페이 말레이시아(WeChat Pay Malaysia)를 6년만에 종료한다. 위챗페이 말레이시아는 8월1일부터 새로운 신규고객 등록을 중단했으며 2024년 9월1일 완전히 국내 서비스를 종료한다.텐센트는 기존 동남아시아에서의 사업에서 초점을 바꿔 중국에 방문한 관광객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지불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관광 부문의 회복세가 보여 중국에 해외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위함이다. 향후 말레이시아 현지 전자지갑업체와 협력해 상호 운용성을 지닌 QR코드 결제 방식을 접목할 계획이다.○ 말레이시아 디지털통신부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에 이루어진 국내 디지털 투자는 662억2000만 링깃이다. 이는 2023년 한 해 동안의 디지털 투자액 462억 링깃을 훨씬 상회한다.디지털 통신부는 이러한 강력한 상승 궤적에 대해 투자자 간의 높아진 신뢰도와 2024년 예상 경제 성장률 수치가 4~5%임을 근거로 들었다.디지털 수출 부문에서는 말레이시아 디지털경제공사(MDEC)와 파트너십과 비지니스 매칭 프로그램을 통해 19억3000만 링깃에 달하는 가치의 수출 기회를 형성했다. 전년 동기 13억5000만 링깃 대비 43% 증가했다.11개국 228개의 기업이 참여했으며 특히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이 수출 기회에 있어 상당히 기여했다. 데이터 센터와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이 디지털 투자에 있어 가장 큰 몫을 차지했다.○ 2024년 2분기 말레이시아 MBSB의 순이익은 5483만 링깃으로 전년 동기 8370만 링깃과 비교해 34.5% 감소했다. 유지보수(OpEx)와 손상차손 충당금이 증가했기 때문이다.매출액은 9억6085만 링깃으로 2023년 2분기 7억1153만 링깃에서 35% 증가했다. 2024년 상반기 MBSB의 순이익은 전년보다 15.6% 감소한 1억3317만 링깃이었으나 매출은 18억5000만 링깃으로 34.7% 증가했다.MBSB는 말레이시아 산업개발기금(MIDF)와 MBSB 은행의 금융 지주 회사로 2023년 10월 MIDF를 인수했다. 2024년 동안 당좌예금·저축예금(CASA)를 유치하는 데 집중할 것을 밝혔다.○ 베트남 하노이증권거래소(VNX)는 싱가포르 증권거래소(SGX)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는 논의와 협상 시 국내 시장 정보, 법적 프레임워크, 시장 정보, 정보 제공 서비스와 같은 정보를 공유하는 데 있어 기반이 된다.양국은 주식시장을 발전을 위해 커뮤니케이션 통로를 개발할 방침이다. 또한 상장 규정 준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개선하며 상장 기업의 이미지를 서로의 주식시장에서 홍보할 예정이다.○ 베트남 사이공상신은행(Sacombank)은 HR 아시아 매거진(HR Asia Magazine)이 선정한 "아시아에서 가장 일하기 좋은 기업"과 "가장 배려심 있는 기업" 어워드를 4년 연속 수상했다.2024년 HR 아시아 어워즈(2024 HR Asia Awards)는 "Z세대 확신의 선택"을 주제로 했다. 사이공상신은행은 직원 관리 및 교육, 성과 개선 등의 인적 자원 부문을 전부 디지털화한 선구적인 기업으로 꼽힌다.또한 남성과 여성 직원 간의 형평성과 기회의 균등을 실현하고 있다. 당사의 근무자들은 X세대에서 Z세대까지 다양하며 여성 근로자의 비율은 48.4%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태국 크룽스리 은행(Krungsri Bank)의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크룽스리 피노베이트(Krungsri Finnovate)가 인터넷 기업 이프라스트럭처(EfraStructure)와 파트너십을 통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펀드를 설립한다.시드와 프리 A(Pre-A)단계에 위치한 스타트업 중 디지털 혁신을 이끌 기업에 중점을 둬 지원한다. 피노이프라 사모 신탁(Finno Efra Private Equity Trust)에 따르면 향후 4년 동안 13억 바트를 투자할 방침이다.펀드의 약 60%는 국내 스타트업에 할당되어 있으며 나머지는 아시아·태평양에 속해 있다. 스타트업은 잠재성을 증명하기 위해 일관된 매출을 창출하는 상품을 갖고 있거나 연간 매출 1000만 바트를 달성해야 한다.크룽스리 피노베이트는 펀드를 통해 태국을 포함한 아시아·태평양 스타트업 40곳에 투자할 것으로 전망한다. 투자 규모는 800만 바트에서 4000만 바트 사이다.
-
▲ 전자결제기관 NETS의 비접촉직 결제 애플리케이션 Nets SoftPOS 이미지[출처=NETS그룹 홈페이지]2024년 8월 2주차 싱가포르 경제는 NETS의 비접촉식 결제 애플리케이션 Nets SoftPOS 출시와 앤틀러(Antler)의 동남아시아 스타트업 투자 계획을 포함한다.○ 싱가포르 전자결제기관 NETS(Network for Electronic Transfers)는 Nets SoftPOS라는 비접촉식 결제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했다. 판매자는 해당 앱을 통해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디바이스를 단말기로서 사용할 수 있다.현재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카드, QR코드, 모바일 등의 결제수단을 수용한다. 중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등 해외 뱅킹 시스템 및 전자지갑 앱을 사용할 수도 있다.판매자가 기존 단말기 혹은 하드웨어에 통합할 필요없이 업무 도중 움직이면서 결제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2024년 상반기에 시범적으로 상인 30명에게 프로그램을 보급한 바 있다.○ 초기 단계 투자를 행하는 싱가포르 앤틀러(Antler)가 두번째 동남아시아 펀드를 마감했다.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베트남, 인도네시아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위해 US$ 7200만 달러를 모았다.2024년 1월부터 7월 사이 328회의 자기자본 펀딩라운드에서 동남아시아 기술 기업들은 23억1000만 달러를 모았다.이는 전년 동기간 426회 라운드에서 모은 76억3000만 달러와 비교해 69.69% 감소한 수치다.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동남아시아는 펀딩 불황 상태에 처해 있다.그러나 앤틀러의 공동 창립자이자 APAC(아시아·태평양) 관리 파트너인 Jussi Salovaara는 현재가 초기 단계 투자에 적합하다고 판단했다.앤틀러는 앤틀러 SEA 펀드 II(Antler SEA Fund II)로 하여금 6~9개월 안에 2700만 달러를 초기 단계 스타트업 45곳에 투자할 방침이다. 또한 자사 프로그램을 통해 300개의 스타트업을 지원한다.
-
영국 항공사인 브리티시 에어웨이(British Airways)에 따르면£215억파운드 상당의 자사 연금 자산인 브리티시 에어웨이 펜션(British Airways Pensions)의 운용권을 블랙록(BlackRock)에게 이전시켰다.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브리티시 에어웨이의 항공사업이 크게 줄어들며 4억5000만파운드의 퇴직금 지급을 연기한 이후 겨우 몇 달만에 연금 자산 운용권을 이전하게 됐다.영국 슈퍼마켓 체인운영기업인 테스코(Tesco)에 따르면 동종 프랑스기업인 까르푸(Carrefour)와 진행했던 지난 3년간의 제휴를 마감했다.양사는 자체 라벨 제품에 대한 고객의 선택 폭을 넓히고 가격을 낮추기 위해 제휴를 진행해왔다. 하지만 기대한 수준의 효과를 거두지 못했던 것으로 분석된다.영국 중앙은행(BoE)에 따르면 디지털 통화의 증가는 금융 안정과 경제 확대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시중은행들은 금융 불안을 초래하는 대규모 인출사태에 직면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됐다.중앙은행은 스테이블코인(Stablecoins)이 널리 사용 가능하게 되려면 시중은행들에서 취급하는 결제와 같은 방식으로 규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중앙은행(Bank of England, BoE) 홈페이지
-
2021-02-18토고 기반의 범아프리카 은행인 에코은행(Ecobank)에 따르면 나이지리아 고객들도 에코은행의 모바일 앱에서 송금이 가능해졌다. 이메일, SMS, Whatsapp 등의 기능도 도입했다.디지털 은행 및 금융 업무의 혁신 과정의 일부로서 상기 서비스를 고객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고립되고 사회적 거리를 유지해야 하는 사람들에게 디지털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의미가 크다.은행 및 고객 양측 모두가 좋은 기회로 삼아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로 에코은행은 토고의 수도인 로메를 본사로 하는 범아프리카 은행이며 아프리카 대륙 36개 국가에서 은행을 운영하고 있는 금융 대기업이다. ▲에코은행(Ecobank) 홈페이지
-
2020-12-17나이지리아 통계청(NBS)에 따르면 2020년 3분기 온라인 송금액은 N116조600억나이라를 기록했다. 2020년 3분기 온라인 송금 건수는 179만9199건으로 집계됐다. 'RTGS 지불수단' 또는 '실시간 총액 결제'로 불리는 자금 이체 방식으로 진행된다. 해외 송금을 받는 것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 수혜자는 송금 요청 후 30분 이내에 돈을 받을 수 있다.2020년 3분기 민간 부문에 대한 신용도 측면에서 은행이 배분한 총 금액은 19조8700억나이라에 이른다. 석유 제조업, 가스 제조업 부문은 각각 3조7400억나이라, 3조300억나이라의 신용을 배분받았다.▲통계청(NBS) 홈페이지
-
2020-12-11나이지리아 폴라리스은행(Polaris Bank)에 따르면 송금받는 사람들에게 전국 모든 지점에서 미국 달러화(US$) 지급을 시작했다.송금받는 사람은 미국달러화 현금으로 받을 수도 있고 은행 계좌로 직접 받을 수도 있게 됐다. 이번 서비스는 은행 계좌가 있거나 은행 계좌가 없는 사람 모두에게 가능하다. 이번 송금 지급정책 개정은 중앙은행(CBN)의 최근 방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폴라리스은행은 세계 어느 곳에서 송금해도 국내 모든 지점에서 미국달러화 현금을 지급한다.전국 300개 이상의 지점과 주요 도시 전역에 있는 전용 송금장소로 구성된 폴라리스은행의 대규모 네트워크를 통해 고객 편의를 추구할 방침이다.▲폴라리스은행(Polaris Bank) 홈페이지
-
2020-09-18나이지리아 금융서비스 기술기업인 오페이(OPay)에 따르면 세계적인 디지털 결제 플랫폼운영기업인 월드리밋(WorldRemit)과 파트너십 제휴를 맺었다. 오페이 국내 모바일 지갑에 직접 국제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양사의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국내인들에게 미국, 영국, 캐나다 등을 포함한 50개 이상의 국가들로부터 직접 휴대폰으로 돈을 받을 수 있다.오페이의 목표는 은행을 사용하지 못하는 사람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국내 전역에 금융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포함시키는 것이다. 또한 오페이는 연간 최대 12%의 수익률을 제공하는 자사의 플렉시픽스드(FlexiFixed)서비스에 고객이 투자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오페이(OPay) 홈페이지
-
2020-05-26글로벌 웹사이트인 구글트렌드(Google Trends) 조사에 따르면 2020년 5월 나이지리아인의 11%가 암호화폐를 소유하거나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이로써 나이지리아는 암호화폐에 대한 열정적인 국가 세계 5위에 선정됐다. 나이지리아 청년 암호화폐 사용자는 46%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국가별 증가로 나이지리아는 211%나 급증했다. 나이지리아인들은 자금을 이체하는 저렴한 방법으로 암호화폐를 적극적으로 사용한다.나이지리아인들이 현재 이용 가능한 비싸고 관료적인 자금 이체 시스템을 피하기 위해 암호화폐를 사용하는 현실이 반영한 것이다. ▲구글트렌드(Google Trends)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