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facility"으로 검색하여,
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Facility E 위치도[출처=삼성물산]삼성물산 건설부문(대표이사 오세철, 이하 삼성물산)에 따르면 카타르 수전력청 카라마(KAHRAMAA)가 발주한 카타르 Facility E 담수복합발전 프로젝트를 수주해 건설 설계, 구매, 시공(EPC)을 수행하게 된다.EPC 금액만 US$ 28억4000만 달러, 기준 환율 (1398.2원) 적용시 3조9709억 원에 이르는 프로젝트로 삼성물산이 단독으로 수행한다.삼성물산이 수주한 카타르 Facility E 담수복합발전 프로젝트는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KIND), 한국남부발전, 일본 스미토모상사 등이 컨소시엄 사업자로 선정됐다.이번 프로젝트는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남동쪽으로 약 18킬로미터(km) 떨어진 라스 아부 폰타스 지역에 최대 2400메가와트(MW) 규모의 전력을 생산하는 복합화력발전소와 1일 평균 50만 톤(t)의 물을 생산하는 대규모 담수복합발전을 건설하는 사업이다.총 사업비만 37억 달러에 이르며 2029년 프로젝트가 완공되면 카타르 전체 전력량의 약 16%와 담수량의 17%를 담당하게 된다.이번 Facility E를 건설하는 지역 인근에 유사한 규모의 담수복합발전과 담수화 플랜트 확장공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면서 발주처와 확고한 파트너십과 신뢰 관계를 구축했다.카타르 최대 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비롯해 2조8000억 원 규모의 액화천연가스(LNG) 공사를 수행하면서 카타르 시장에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특히 카타르 정부가 증가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지속 설비 용량을 확대할 계획이어서 향후 추가 수주에 대한 기대감도 높은 상황이다.삼성물산은 현재 아랍에미리트(UAE) 푸자이라 F3 복합화력발전을 비롯해 사우디 아라비아에서도 아미랄과 타나집 복합화력 등 다수의 발전플랜트를 수행하고 있다.최근에도 미국 자치령인 괌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등 글로벌 발전분야 리딩플레이어로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삼성물산 이병수 에너지솔루션사업부장(부사장)은 “카타르 국가 인프라 사업이다 보니 기존 수행 경험과 이를 통한 확고한 신뢰구축이 프로젝트 수주에 큰 역할을 했다. 성공적으로 프로젝트를 마무리해 안정적인 전력과 담수 공급을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말했다.
-
나이지리아 중앙은행(CBN)에 따르면 신용대출 제도인 TCF(Targeted Credit Facility)에 의해 제공되는 N4000억나이라 중 92.4%인 3700억나이라를 지출했다. 2020년 4분기부터 국내 경기 침체를 억제하고 경제 회복을 견인하기 위해 TCF를 제공했다. 어려움을 겪는 80만명이 넘는 가계 및 중소기업에게 3700억나이라를 분배했다.중요한 지역 제조 및 생산을 위해 도입한 1조나이라 시설업체들 중에서 제조업체 53곳, 농업 관련 제조업체 21곳, 서비스 프로젝트 업체 13곳 등에 사업 자금을 지원했다. 중앙은행은 제약회사와 헬스케어 종사자들이 국내 헬스케어 기관의 역량을 확대하고 강화할 수 있도록 2000억나이라 규모의 헬스케어 펀드도 조성했다.▲중앙은행(Central Bank of Nigeria, CBN) 홈페이지
-
나이지리아 중앙은행(CBN)에 따르면 HSIF(Healthcare Sector Intervention Facility) 산하 9개 의료 프로젝트에 N53억9000만나이라를 투자했다. 의료 보건 분야의 탄력성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HSIF는 중앙은행의 의료 보건 분야 신용 지원 부문이다. 중앙은행이 병원과 제약업계에 지출한 누적액은 1086억5000만나이라에 달한다. 자금이 지원된 117개 프로젝트 중 54개가 병원 서비스를 위한 것이었다. 2021년 11월말 기준 지난 18개월 동안 의료 보건 분야에 대한 자금 지원은 2개의 새로운 암 센터를 설립하는 결과를 낳았다. 59개 이상의 MRI와 42개 이상의 CT 스캔 센터 등도 포함된다. 나이지리아는 아프리카 1위 경제대국이지만 의료서비스는 여전히 낙후돼 있다.▲중앙은행(CBN) 홈페이지
-
싱가포르 ST텔레미디어글로벌데이터센터(ST Telemedia Global Data Centres)에 따르면 로양에 국내 최대 데이터센터를 설립하는데 S$3억5000만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로양데이터센터는 2019년초 건설을 시작해 2020년 중반에 완공될 예정이다. 현재 STT Defu 1, STT Defu 2, STT MediaHub, STT Tai Seng 1, STT Tai Seng 2, STT Jurong 등 6개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이다.새로운 데이터센터는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업체와 디지털혁신을 추진 중인 기업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싱가포르에 글로벌 기업의 데이터센터 구축붐이 일고 있다.2018년 9월 미국 소셜미디어업체인 페이스븍은 14억달러를 투자해 싱가포르에 첫번째 아시아데이터센터를 설립한다고 밝혔다. 구글도 US$3억5000만달러를 추가로 투자해 싱가포르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이다.중국 통신업체인 차이나모바일(China Mobile)도 2018년 7월 싱가포르에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2번째 데이터센터를 싱가포르에 오픈한다고 공개했다. 첫번째 데이터센터는 홍콩에 위치해 있다.▲ST텔레미디어글로벌데이터센터(ST Telemedia Global Data Centres)
-
2018-10-29일본 글로벌 전자대기업인 도시바(Toshiba)에 따르면 슈퍼차지 이온배터리(SCiB)를 제조할 두 번째 생산시설의 건설한다고 발표했다. 미래의 강력한 수요를 예상했기 때문이다.관련 시설은 요코하마에 위치하며 투자금액은 ¥162억엔($약 1억 4,300만 달러)에 달한다. 2019년 7월 건설을 시작해 2020년 10월부터 운영할 예정이다.두번째 생산시설은 생산기술개발센터의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SCiB 셀은 몇 분 안에 초고속 충전이 가능하고, 수천 사이클 동안 지속되며 광범위한 온도에서 작동할 수 있다2008년 SCiB셀을 출시한 이래로 전기 및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철도차량의 구동시스템 및 변전소의 에너지 저장시스템에서 배터리 애플리케이션을 획득했을 정도로 SCiB셀의 다목적성과 신뢰성을 인정받고 있다.참고로 도시바는 그동안 티타늄 산화 니오븀 - TiNb2O7(TNO) 복합 음극을 개발해 1세대(LTO 양극)보다 우수한 SCiB 배터리를 생산할 수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Japan-Toshiba-SCiB-homepage▲ 도시바의 SCiB(출처 : 홈페이지)
-
2018-09-03영국 가전제품회사인 다이슨(Dyson)에 따르면 전기자동차를 테스트하기 위한 월트셔 연구개발시설을 2배로 확장할 계획이다.시설을 확장하는데 £2억파운드를 투자할 계획이다. 시설이 완공될 경우 2000명 이상의 직원들이 근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현재 시설에는 400명 정도가 근무하고 있으며 10마일 규모의 자동차 테스트 트랙이 있다. 트랙은 전기자동차가 운행될 다양한 환경을 감안해 속도구간, 언더, 오프로드 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다이슨(Dyson)은 2020년 전기자동차의 도로주행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전기자동차 업계의 라이벌 기업인 미국의 테슬라(Tesla)와 경쟁하고 있다.전세계적으로 1만2000명을 고용하고 있으며 영국에만 4800명이 일한다. 주력제품은 전기청소기, 핸드 드라이어, 자동차 개발 등이다.향후 배터리 기술, 고속전기 모터, 비전 시스템, 머신러닝, 인공지능(AI)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2019년 4월 브렉시트(Brexit)로 정치 및 경제전망이 불투명한 상황이지만 상황을 낙관해 투자를 늘리고 있다.▲다이슨(Dyson) 사무실(출처 : 홈페이지)
-
필리핀 산업은행(DBP)에 따르면 교통부의 공공차량현대화프로젝트(PUVMP)에 15억페소를 제공할 계획이다. 교통부는 차량의 현대화뿐만 아니라 공공도로교통을 전문화하기 위해 해당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교통부는 산업은행의 자원자금을 자동요금징수시스템(AFCS)의 설계, 개발, 실행하는데 지원할 예정이다. 현대화된 차량을 구입하는 사람에 대한 자금지원도 산업은행이 담당한다.또한 공공차량을 보관할 수 있는 차고, 터미널 등을 건설하기 위한 토지의 구입, 건물건축, 시설지원 등에도 사용된다. 공공차량을 적정하게 운영하고 유지관리할 수 있는 장비를 구입하는 용도로도 지출된다.▲필리핀 산업은행(DBP) 로고
-
▲ 오스트레일리아 정부 로고오스트레일리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주정부에 따르면 핵폐기물저장시설을 건설할 경우 경제유발효과가 A$ 257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39만톤의 핵폐기물이 있기 때문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