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plans"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1-07-14케냐 B2B 소매 유통 플랫폼 제공업체인 마켓포스(MarketForce)에 따르면 프리 시리즈 A 라운드에서 US$ 200만달러를 모금했다. 마켓포스는 상기 모금액을 상인들을 위한 자사의 B2B 전자상거래 시장인 레자레자(RejaReja) 사업에 집중 투자할 계획이다. 마켓포스의 상기 라운드에 참여한 투자업체들은 다음과 같다. P1 Ventures, Y Combinator, Launch Africa, V8 Capital, Future Africa, GreenHouse Capital, Rebel Fund, Remapped Ventures 등이다.글로벌 컨설팅업체인 PwC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아프리카 주요 경제에서 매출의 90%가 시장 및 가판대와 같은 비공식 채널을 통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SSA) 지역에서는 비공식 채널을 통한 가계 소매 거래의 90%가 1억개의 초소형 및 소형업체(MSME)들의 네트워크를 통한다.대부분 현금으로 지급되는 아프리카의 소매 지급액은 2025년까지 2조1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관련 시장의 디지털화에 대한 수요는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마켓포스(MarketForce) 홈페이지
-
2021-07-14영국 가장 오래된 타블로이드판 신문사인 데일리 메일(Daily Mail)에 따르면 £8억1000만파운드에 데일리 메일 뉴스 그룹인 DMGT(Daily Mail and General Trust)에 대해 인수를 제안했다.특히 데일리 메일의 설립자인 로더미어(Lord Rothermere)경이 개인적으로도 이번 인수에 대해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로더미어는 현재 DMGT의 지분 28%를 소유하고 있다. DMGT는 1932년 상장된 회사로 신문사와 기타 많은 데이터 및 미디어 업체의 소유주이다. DMGT는 로더미어의 제안을 받아들일 준비가 돼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제안에는 DMGT의 사업 부문인 보험사와 중고차 플랫폼인 캐슈(Cashew) 등도 매각 대상에 포함된다. ▲데일리 메일(Daily Mail) 홈페이지
-
2021-07-06영국 백화점 체인운영기업인 존 루이스(John Lewis)에 따르면 향후 10년 동안 소유하고 있는 부지에 1만채의 임대주택을 건설할 계획이다. 상기 부지는 존 루이스 백화점과 자회사인 수퍼마켓 웨이트로즈(Waitrose) 등이 소유하고 있다. 개발 계획은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침체된 자산가치를 회복시키기 위함이다. 임대주택 규모는 원룸에서 침실 4개짜리 주택에 이르기까지 다양화하다. 존 루이스 소유 임대주택의 세입자는 백화점의 상품이 완비된 부동산을 임대하거나 자신의 집으로 사용할 수 있다.일부 임대주택 개발에는 컨시어지 서비스가 제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많은 임대주택 개발의 일환으로 웨이트로즈의 편의점이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존 루이스는 일반적인 주택 개발업체처럼 수익을 극대화하기 보다는 집세를 공정하게 받고 장기 임대할 방침이다. 하지만 일부 임대주택은 급증하는 '빌드 투 임대' 부문을 구성해 건축할 계획이다. 임차인에게 더 높은 수준의 재무 안전성을 제공한다면 임대료도 더 올려 받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존 루이스(John Lewis) 홈페이지
-
2020-10-07나이지리아 석유기업인 쉐브론(Chevron Nigeria)에 따르면 비용 절감 차원에서 국내 현지 인력 25%를 감축할 계획이다. 중국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석유 수요가 감소하며 유가가 하락했기 때문이다. 쉐브론은 나이지리아국영석유공사(NNPC)와 합작법인으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쉐브론은 석유산업계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인력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했다. 또한 노동자 및 일자리를 해외로 옮길 계획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이번 감원 조치가 회사 전체의 근로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참고로 코로나-19로 인해 항공산업 다음으로 석유산업이 큰 타격을 받고 있다.▲쉐브론(Chevron Nigeria)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