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supply chain"으로 검색하여,
4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08-20▲ LG이노텍, ‘2024년 인턴 수료식’[출처=LG이노텍]LG이노텍(대표 문혁수)에 따르면 최근 5주간 실시한 글로벌 인턴십을 마루리하고 수료식을 개최했다. 글로벌 인턴십은 국내외 대학 및 대학원에 재학중인 유학생 대상의 채용 연계형 인턴십으로 2021년부터 활발히 운영하고 있다.글로벌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해외 우수 인재 확보에 드라이브를 걸었다. 글로벌 고객 및 해외 법인 대응 역량을 강화하고 인재 다양성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다.2025년 글로벌 인턴십에는 국내 대학 재학중인 외국인 유학생과 한국인 해외대학 유학생 등 총 31명이 참여했다. 인턴십 참여 학생들은 R&D, 생산기술, 해외마케팅, SCM(Supply Chain Management)등 다양한 부서에 배치됐다. 인턴십 우수 수료자는 면접을 거쳐 정규직으로 전환된다.LG이노텍은 인턴십 참가자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취업을 위한 행정 절차부터 입사 전 과정을 밀착 지원하고 있다,한국인 유학생들은 유사 경험을 가진 해외대학 출신 선배사원을 멘토로 배정해 조직에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적극 돕고 있다.이뿐 아니라 외국인 선배사원과의 대화, 유학생 네트워킹 등 활동을 통해 인턴십에 몰입할 수 있도록 다각적으로 지원하고 있다.LG이노텍의 해외 매출은 전체 20조 원에 달하는 전사 매출에서 96%가량을 차지하고 있다. 대부분의 고객사가 글로벌 기업이라 지속가능 성장을 위해 글로벌 인재 채용에 발벗고 나선다.2024년 글로벌 인턴십에 참가한 24명의 학생 중 우수 수료자 11명은 정규직으로 입사했다. 특히 정규직으로 선발된 외국인 유학생 출신 직원에게는 우선 국내에서 사업과 직무를 익히게 하고 향후 해외법인 파견 시 우선권을 부여해 글로벌 지역 전문가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베트남 법인의 성장에 따라 하노이공과대, 호치민 폴리테크닉대 등 현지 주요 대학과 업무협약(MOU)을 통해 계약학과 운영, 인턴십, 진로 지도 등 다양한 채용 연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또한 2924년 9월 북미 주요 대학의 우수 석∙박사 인재 영입을 위해 CEO 등 경영진이 직접 찾아가는 ‘북미 R&D 우수인재 초청 컨퍼런스’도 개최할 예정이다.글로벌 인턴십을 통해 입사한 전장해외마케팅팀 바바예바 쿄눌(아제르바이잔)은 “인턴십 당시 취업허가 신청부터 전 과정을 세심히 챙겨주고 하나라도 더 배우고 경험할 수 있도록 정교하게 과정을 운영하는 것을 보고 인재를 정말 중요하게 여기는 회사라 생각했다”며 “아제르바이잔어를 비롯 한국어, 영어, 러시아어, 튀르키예어 등 다양한 외국어 역량을 바탕으로 글로벌 고객 및 해외 법인과 활발히 소통하는 프로페셔널한 마케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흥식 CHO(부사장)는 “LG이노텍은 해외 생산 및 판매 법인 규모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고 세계 각지의 고객사들과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성장하는 기업으로 글로벌 사업 경쟁력 확보는 필수다”며 “회사의 미래 성장을 이끌어갈 우수 인재를 적극 확보해 차별적 고객 가치를 지속 제공해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
2021-11-20인도 물류업체인 TVS SCS(TVS Supply Chain Solutions)에 따르면 FIT 3PL(FIT 3PL Warehousing Pvt Ltd)의 지분 69.1%를 인수했다. 구체적인 금액은 밝히지 않았으며 FIT 3PL은 물류서비스 제공업체이다.이로써 TVS SCS는 150만스퀘어피트 이상의 창고 공간을 확보했다. 1997년 설립된 FIT 3PL은 전국적으로 33개 도시에 75개의 물류창고를 보유하고 있다.공장자동화, 소비재, 전자상거래, 소매업, 자동차, 엔지니어링 등과 같은 모든 영역의 고객을 확보했다. 이전 사명은 Jayem Warehousing Pvt Ltd였다.지난 3개월 동안 TVS SCS는 Rs 160억루피의 투자금을 확보했다. 2021년 10월 59억루피를 Exor에 의해 관리되는 펀드로부터 투자를 받았다. 2021년 9월 Kotak Special Situations Fund가 100억루피를 투자했다. 2021년 11월 기준 TVS SCS의 직원은 총 1만7000명에 달한다. 다양한 인수합병을 통해 글로벌 전체적으로 모든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TVS SCS(TVS Supply Chain Solutions) 로고
-
2020-03-24미국 공급망 솔루션의 선두 공급업체인 복스웨어(Voxware)에 따르면 물류체인산업 박람회 'Modex 2020'에서 쇼케이스를 오픈했다. 'Modex 2020'은 3월 9~12일에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됐다.참석자는 복스웨어의 증강현실(AR) 솔루션과 엔터프라이즈 분석 소프트웨어인 복스파일럿(VoxPilot)의 이점을 경험할 수 있었다.또한 참석자들은 복스웨어 보이스(Voxware Voice)의 성능을 직접 평가할 수있는 '슈트 아웃'을 경험할 수 있었다. 맞춤형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은 참석자에게 복스웨어 AR에 대한 1인칭 시점을 제공한다.사용자가 가상 헤드셋을 착용하면 소프트웨어가 다중 모드 작업에서 단계별로 사용자의 작업을 초기화하고 안내한다. 음성, 스캔, 이미지 캡처 및 비전을 결합해 작업자 성능을 개선하고 창고 프로세스를 최적화할 수 있다.또한 배포 작업을 현대화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시나리오를 화이트보드로 만들 수 있다. 복스웨어의 복스파일럿 엔터프라이즈(VoxPilot Enterprise)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작업 생산성을 높이고 오류율을 줄일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SA-Voxware-AR▲ 복스웨어(Voxware)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캐나다 정부에 따르면 블록체인업체인 피어렛저(Peer Ledger)와 마베넷(Mavennet)에 C$15만 캐나다달러 자금을 승인헀다. 철강 공급망 추적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다.캐나다는 2018년에만 1340만톤 이상의 철강을 생산했다. 이러한 생산량에 대해 공급망 내에서 추적 메커니즘과 투명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해당 자금은 중소기업의 연구개발을 촉진하는 정부 이니셔티브인 ISED(Innovation, Science, and Financial Development Canada)를 통해 제공될 예정이다.양사는 블록체인 기술과 인공지능(AI)을 사용해 디지털 추적성을 위한 PoC(Proof-of-concept) 프로토 타입을 개발할 계획이다. 공급망 내에서 체인 가용성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어하고 공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참고로 피어렛저는 블록체인 기반 MIMOSI SaaS 플랫폼을 개발하는 업체이다. 금을 포함한 금속 생산 추적에 집중해왔다.마베넷은 미국과 캐나다의 국경간 석유수입에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합하기 위해 미국 국토안보부(DHS)로부터 $182,700달러를 지원받은 바 있다.▲ Canada-ISED-Blockchain▲ ISED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