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7
" terra"으로 검색하여,
65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5-01-15▲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 빌딩 [출처=홈페이지]2025년 1월15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은 2024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9% 상승해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캐나다는 미국 거대 곡물기업의 인수를 승인해 세계 2위 곡물기업이 탄생하게 됐다. 글로벌 곡물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브라질은 2024년 11월 국내총생산(GDP)의 70%를 차지하는 서비스 부문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 정보통신은 호전되고 있지만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교통 부문은 하락했다.◇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 2024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2.9% 상승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은 2024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9% 상승했다고 밝혔다. 11월 2.7%에 비해 소폭 확대됐다.2024년 하반기 연방준비은행이 목표한 2%보다는 높은 수치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트럼트 도널드 대통령 당선자가 관세를 올린다고 천명해 1월에 물가는 더욱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2024년 12월 식품과 에너지 부문을 제외하면 CPI는 0.2% 상승에 그쳤다. 새로운 정부의 세금 인하도 경제 확장세를 유도해 인플레이션에 대한 압박은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번지(Bunge), 캐나다 정부로부터 비테라(Viterra)의 인수 승인받아미국 4대 곡물 기업 중 하나인 번지(Bunge)에 따르면 캐나다 정부로부터 비테라(Viterra)의 인수를 승인받았다. 비테라는 글로벌 곡물기업인 글렌코어(Glencore)의 자회사다.승인 조건은 웨스턴 캐나다에 있는 6개 곡물 창고의 분할과 캐나다에 향후 5년 동안 최소 C$ 5억2000만 달러를 투자하는 조건이다.또한 번지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소유하고 있는 곡물회사인 G3가 결정하는 가격 정책과 투자 결정에 관여해서는 안된다. 번지는 H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양사는 2023년 합병 계획을 공개했지만 캐나다 반독점 규제당국이 우려를 표명하며 승인이 지연됐다. 양사가 합병하면 US$ 340억 달러 규모의 세계 2위 곡물회사가 탄생하게 된다. ◇ 브라질 지리통계청(IBGE), 2024년 11월 서비스 부문의 성장률 0.9%브라질 지리통계청(IBGE)는 2024년 11월 서비스 부문의 성장률이 0.9%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서비스는 국내총생산(GDP)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서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하기 이전인 2020년 2월 16.9%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치다. 2024년 10월 1.4%와 비교해 소폭 축소됐다.2024년 11월 에너지 가격의 상승으로 교통은 2.7% 하락 등 실적이 좋지 않았다. 반면에 정보통신은 1,1%, 기타 서비스는 1.8% 등으로 올랐다.
-
▲ 미국 와이오밍주(州) 테라파워 SMR 발전소 조감도[출처=두산에너빌리티]두산에너빌리티(대표이사 회장 박지원)에 따르면 테라파워와 소형모듈원자로(SMR) 주기기 제작성 검토 등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미국 테라파워(TerraPower)의 첫 SMR 사업에 주기기를 공급한다.이번 계약으로 두산에너빌리티는 테라파워 초도호기 SMR 기자재의 제작 가능성 검토 및 설계 지원 용역을 수행한다.이후 두산에너빌리티는 2025년부터 원자로 보호용기(Reactor Guard Vessel), 원자로 지지구조물(Reactor Support Structure), 노심동체구조물(Core Barrel Structure) 등 주기기 3종에 대한 제작도 본격 착수할 계획이다.테라파워는 현재 미국 와이오밍주(州)에서 화력발전소 인근 부지를 활용해 345메가와트(MW) 용량의 SMR 1기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테라파워는 자사의 SMR 초도호기가 적용되는 이번 사업을 위해 2024년 3월 4세대 SMR 개발사 중 처음으로 미국원자력규제위원회(NRC)에 건설 허가를 신청했다.SMR의 발전구역(Energy Island) 시공에 착수했다. 이 사업은 미국 에너지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으며 2030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순항하고 있다.테라파워는 마이크로소프트(MS) 창립자인 빌 게이츠가 2008년 설립한 SMR 개발사로 4세대 원자로인 SMR의 소듐냉각고속로(SFR) 설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이 기술은 핵분열을 통해 발생한 열을 액체 나트륨 냉각재로 전달하고 이 과정에서 증기를 발생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두산에너빌리티 원자력BG 김종두 부사장은 “우수한 제작역량을 인정받아 이번 테라파워의 초도호기 SMR 사업에 참여하게 돼 큰 자부심을 느낀다. 앞으로 제작역량을 한층 고도화하고 신규 제작공장 건설도 추진해 글로벌 SMR 파운드리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
▲ 폰테라 홈페이지리나스 희토류(Lynas Rare Earths)에 따르면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Western Australia) 칼굴리(Kalgoorlie)에 최첨단 희토류 가공 시설을 공식적으로 개장했다.오스트레일리아 자동차협회(Australian Automobile Association, AAA)에 따르면 2025년 4월1일까지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부가급부세(fringe benefits tax , FBT) 면제로 배터리 구동 전기 자동차 판매가 급감했다.유제품 대기업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주요브랜드 앵커(Anchor)와 메인랜드(Mainland)를 포함해 소비자 사업을 매각할 방침이다.매각 대상은 버터, 치즈, 영유아용 조제분유를 포함해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Anchor, Mainland, Kāpiti, Anlene, Anmum, Fernleaf, Western Star, Perfect Italiano 등의 소비자 기업 브랜드가 포함된다.◇ 오스트레일리아 리나스 희토류(Lynas Rare Earths), 최첨단 희토류 가공 시설 오픈리나스 희토류(Lynas Rare Earths)에 따르면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Western Australia) 칼굴리(Kalgoorlie)에 최첨단 희토류 가공 시설을 공식적으로 개장했다.2019년 처음 발표됐으며 AU$ 8억 달러 규모의 대규모 시설은 건설 승인 이후 2년 반도 되지 않아 완공됐다. 칼굴리 공장은 리나스 인근 마운트 웰드 광산에서 생산된 광석을 처리해 혼합 희토류 탄산염을 생산하게 된다.골드필즈 지역에 약 115개의 직접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필수 광물과 희토류 원소는 전기 자동차, 태양광 패널, 풍력 터빈과 같은 청정 에너지 기술과 첨단 전자 제품, 방위 산업, 의료 기기에 필수적이다.오스트레일리아 자동차협회(Australian Automobile Association, AAA)에 따르면 2025년 4월1일까지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부가급부세(fringe benefits tax , FBT) 면제로 배터리 구동 전기자동차 판매가 급감했다.2024년 9월30일까지 3개월간 전기차 판매량은 1만8990대로 전분기 2만5353대 대비 25% 감소했다. 시장 점유율은 6.57%로 8.10% 대비 1.53%포인트 줄어들었다.반면 하이브리드 판매량은 4만8282대로 전월 4만6727대 대비 3.3% 증가했다. 시장 점유율은 16.70%로 성장했다.◇ 뉴질랜드 폰테라(Fonterra), 주요 브랜드 앵커(Anchor)와 메인랜드(Mainland)를 포함해 소비자 사업 매각유제품 대기업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주요브랜드 앵커(Anchor)와 메인랜드(Mainland)를 포함해 소비자 사업을 매각한다.매각 대상은 버터, 치즈, 영유아용 조제분유를 포함해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Anchor, Mainland, Kāpiti, Anlene, Anmum, Fernleaf, Western Star, Perfect Italiano 등 소비자 기업 브랜드가 포함된다.매각에는 통합 사업체인 Fonterra Oceania와 Fonterra Sri Lanka도 빠지지 않았다. 뉴질랜드에 있는 3곳과 전 세계 17개 제조 시설도 매각한다.협동조합의 이익을 위해 매각이 최선의 선택이라고 결정했다. 다른 소비자 식품 제조업체를 위한 재료와 고부가가치 유제품을 생산하기로 결정했다.
-
▲ 테라 솔라 프로젝트(Terra Solar Project)에 협력하는 메랄코(Meralco)[출처=메랄코 인스타그램]2024년 9월27일 동남아시아 경제는 싱가포르와 필리핀을 포함한다. SI 그룹이 싱가포르 알킬페놀 제조시설의 운영을 중단한 이후 유럽과 아메리카 시설에서 생산을 지속한다.필리핀 메랄코의 자회사 MIESCOR은 테라 솔라 필리핀의 테라 솔라 프로젝트를 루손 지역 배전망과 연결하고자 협력한다.◇ SI그룹, 2025년 하반기 싱가포르 주롱섬 알킬페놀 제조시설 운영 중단화학기업 SI그룹(SI Group, Inc.)에 따르면 2025년 하반기 싱가포르 주롱섬에 위치한 알킬페놀 제조시설을 닫는다. 유럽과 아메리카 시설에서 알킬페놀 생산을 계속한다.2006년 설립돼 아시아·태평양 지역 고객들에게 알킬페놀과 항산화제 제품을 공급한 바 있다. 그러나 수요-공급 균형의 변화 및 제조비용의 증가에 따라 운영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2024년 2월 SI그룹은 중국 랴오닝딩지데석유화학(Liaoning Dingjide Petrochemical Co., Ltd, 辽宁鼎际得石化股份有限公司)과 장기 파트너십을 맺었다. 딩지데는 공동 생산자로서 특정 SI 그룹 제품을 중국에서 제조한다.◇ 필리핀 메랄코(Meralco), 테라 솔라 프로젝트와 루손 지역 전력망 연결 자회사 MIESCOR와 협력필리핀 마닐라전력 메랄코(Meralco)는 자회사 MIESCOR(Meralco Industrial Engineering Services Corp.)와 함께 2000억 페소 상당의 테라 솔라 프로젝트를 루손 지역 배전망과 연결한다.테라 솔라 필리핀(Terra Solar Philippines, Inc., TSPI)은 3500메가와트(MW) 상당의 태양광 발전소와 4000메카와트시(MWh) 용량 에너지 저장시스템을 설립하고 있다.MIESCOR은 이 태양광발전소와 전력망을 연결하기 위한 주요시설을 개발 및 설치하는 데 TSPI과 협력한다. MIESCOR는 메랄코의 엔지니어링, 물품 조달, 건설, 운영 등을 맡고 있다.
-
▲ 맥쿼리은행(Macquarie Bank) 홈페이지오스트레일리아 5대 은행중 하나인 맥쿼리은행(Macquarie Bank)은 전기 선물 시장에서 의심스러운 주문을 막지 못했다는 혐의로 AU$ 499만5000달러의 벌금에 처해졌다.퀸즐랜드(Queensland) 부총리와 에너지 장관은 주정부가 오스트레일리아에 본사를 둔 ESI(Energy Storage Industries – Asia-Pacific)가 건설 중인 공장에 AU$ 25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망간 채굴업체 엘리먼트25(Element 25, E25)는 미국 에너지부(DOE)로부터 AU$ 2억4300만 달러의 자금을 확보했다.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건설할 계획인 고순도 황산망간 일수화물(HPMSM) 시설의 건설에 일부 사용될 예정이다.글로벌 6대 유제품 기업 중 하나인 뉴질랜드 폰테라(Fonterra)는 특별 배당금을 포함해 2024 회계연도 순이익이 NZ$ 11억 달러를 기록했다. 세후 이익은 11악6800만 달러다.뉴질랜드 로토루아(Rotorua)는 세계 최초로 가스를 이용해 가축 사료를 만드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2045년까지 국가에 NZ$ 5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스트레일리아 맥쿼리은행(Macquarie Bank), AU$ 499만5000달러 벌금오스트레일리아 5대 은행중 하나인 맥쿼리은행(Macquarie Bank)은 전기 선물 시장에서 의심스러운 주문을 막지 못했다는 혐의로 AU$ 499만5000달러의 벌금에 처해졌다.증권투자위원회(Australian Securities and Investments Commission, ASIC) 시장징계위원회(Market Disciplinary Panel, MDP)가 부과한 역대 최대 규모 벌금이다.기업 규제기관에 따르면 맥쿼리는 2022년 1월~9월 사이에 3명의 고객이 의심스러운 주문을 하도록 허용함으로써 50회에 걸쳐 시장 성실성 규칙을 위반했다.퀸즐랜드(Queensland) 부총리와 에너지 장관은 주정부가 오스트레일리아에 본사를 둔 ESI(Energy Storage Industries – Asia-Pacific)가 건설 중인 공장에 AU$ 25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ESI는 LDES(long-duration energy storage) 공장은 2026년 하반기 가동되면 연간 생산 용량이 200메가와트(MW)/1600MWh가 될 예정이다. 2029년말까지 연간 용량은 400MW/3600MWh까지 늘릴 계획이다.ESI는 미국 기술기업 및 IP 보유자(IP holder)인 ESS Inc.로부터 무독성이자 불연성이며 최대 14시간 지속이 필요한 응용 분야에 적합한 플로우 배터리(flow battery)기술에 대한 라이선스를 받았다.오스트레일리아 망간 채굴업체 엘리먼트25(Element 25, E25)는 미국 에너지부(DOE)로부터 AU$ 2억4300만 달러의 자금을 확보했다.미국 루이지애나주에 건설할 계획인 고순도 황산망간 일수화물(HPMSM) 시설의 건설에 일부 사용될 예정이다. 황산망간은 리튬 이온 배터리 양극의 안정화 성분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정제된 형태의 대부분은 중국으로부터 공급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국 정부는 중국 공급원에 대한 현재 의존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해 투자하기로 했다. E25 공장이 HPMSM을 생산하는 미국 최초의 상업 시설 중 하나가 된다.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주도인 퍼스에 본사를 둔 E25는 전기 자동차(EV) 배터리 제조에 사용하기 위해 매년 약 6만5000톤의 HPMSM을 생산하기 위해 2만1000제곱미터 규모의 정유 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다.망간 광석은 웨스트오스트레일리아의 Butcherbird 광산에서 조달해 미국 루이지애나로 운송된다. 자원안보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뉴질랜드 폰테라(Fonterra), 2024 회계연도 순이익 NZ$ 11억 달러글로벌 6대 유제품 기업 중 하나인 뉴질랜드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특별 배당금을 포함해 2024 회계연도 순이익이 NZ$ 11억 달러를 기록했다. 세후 이익은 11악6800만 달러 이다.법인세전이익(Earnings before interest and tax, Ebit)는 15억6000만 달러, 계속적인 운영으로 인한 주당 수입은 주당 70센트이다. 2024 회계연도 매출액은 228억 달러로 2023년 회계연도 245억 달러 대비 17억 달러 줄어들었다.뉴질랜드 로토루아(Rotorua)는 세계 최초로 가스를 이용해 가축 사료를 만드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이를 통해 2045년까지 NZ$ 5억 달러의 수익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사료는 지열 발전소에서 포집된 온실가스 배출물을 미생물이 섭취해 생성되는 단백질이 풍부한 바이오매스로 만들어지게 된다. 지열로 인해 발생하는 메탄과 이산화탄소는 곧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Province Resources의 친수소 및 암모니아 가스 생산 시설 Hyenergy 조감도[출처=Province Resources 홈페이지]오스트레일리아 콴타스항공(Qantas Airway)는 멜버른-호놀룰루 신규 노선 개설 확정에 따라 북미 및 남미 목적지로 가는 좌석 5만석 이상에 대해 할인혜택으르 제공했다.Province Resources는 퍼스(Perth)에서 북쪽으로 약 900킬로미터 떨어진 카나번(Carnarvon)에 있는 자사의 친환경 수소 및 암모니아 가스 생산 시설 Hyenergy의 운영을 무기한 보류한다고 발표했다.뉴질랜드 낙동기업 폰테라(Fonterra)는 NZ$1억5000만 달러를 투자해 사우스랜드(Southland) 에덴데일(Edendale)에 새로운 UHT(Ultra High Heat, 초고온순간살균) 크림 공장을 짓기로 했다.◇ 오스트레일리아 콴타스항공(Qantas Airway), 멜버른-호놀룰루 신규 노선 개설 확정오스트레일리아 콴타스항공(Qantas Airway)는 멜버른-호놀룰루 신규 노선 개설 확정에 따라 북미 및 남미 목적지로 가는 좌석 5만석 이상에 대해 할인혜택으르 제공했다.2025년 5월 초부터 멜버른-호놀룰루 간 항공편을 개설할 예정이며 에어버스 A330으로 주3회 운항한다. 저가 항공사 제트스타(Jetstar)의 멜버른-호놀룰루 노선을 인수했으며 제트스타의 주2회 항공편은 2025년 4월 말 종료된다.Province Resources는 퍼스(Perth)에서 북쪽으로 약 900킬로미터 떨어진 카나번(Carnarvon)에 있는 자사의 친환경 수소 및 암모니아 가스 생산 시설 Hyenergy의 운영을 무기한 보류한다고 발표했다.주정부가 적절한 토지 소유권을 부여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지연되면서 투자자들이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을 잃고 있다고 밝혔지만 주정부는 이를 부인하고 있다.AU$ 250억 달러 규모의 제안에는 945헥타아르(ha)의 풍력 터빈과 최대 1만ha의 태양광 패널로 가동되는 녹색 수소와 암모니아 가스 생산 시설을 건설하는 내용이 포함됐다.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Western Australian) 해안 도시를 청정 에너지 허브로 변모시키는 것을 목표로 수십억 달러 규모의 녹색 수소 프로젝트가 보류됐다. 다른 프로젝트의 실행 가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뉴질랜드 폰테라(Fonterra), 사우스랜드(Southland) 에덴데일(Edendale)에 공장 건설에 NZ$1억5000만 달러 투자뉴질랜드 낙동기업 폰테라(Fonterra)는 NZ$1억5000만 달러를 투자해 사우스랜드(Southland) 에덴데일(Edendale)에 새로운 UHT(Ultra High Heat, 초고온순간살균) 크림 공장을 짓기로 했다.푸드서비스 사업을 통해 증가하고 있는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것으로 70개의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UHT 크림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2023년~2032년 사이에 연간 수요가 4% 이상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에덴데일 공장은 최초 5000만 리터(L) 이상의 UHT 크림을 생산하고 2030년까지 1억L 이상 생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
▲ 유제품 대기업 폰테라(Fonterra) 홈페이지딜로이트(Deloitte Access Economics)에 따르면 오스트레일리아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3.5%로 1인당 소매 지출이 지난 8분기 동안 감소했다.소매 부문이 지난 18개월 동안 사실상 불황에 빠져 있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생계비 부담 등으로 가계 예산이 줄어들면서 향후 몇 달 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에어뉴질랜드(Air New Zealand, ANZ)에 따르면 2024 회계년도 세전 이익이 NZ$ 2억2200만 달러로 전년도 5억7400만 달러 대비 약 61% 감소했다.◇ 오스트레일리아, 7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3.5%로 1인당 소매 지출이 지난 8분기 동안 감소글로벌 회계벙인 딜로이트(Deloitte Access Economics)에 따르면 2024년 7월 오스트레일리아 소비자물가지수(CPI)는 3.5%로 1인당 소매 지출이 지난 8분기 동안 감소했다.소매 부문이 지난 18개월 동안 사실상 불황에 빠져 있었다. 주택담보대출 금리, 생계비 부담 등으로 가계 예산이 줄어들면서 향후 몇 달 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오스트레일리아 콴타스항공(Qantas Airway)에 따르면 2024 회계년도 세후 이익이 AU$ 12억5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8% 하락했다.세전 이익은 20억 달러로 전년 대비 16% 감소했다. 세전·세후 수익이 줄어든 것은 운임 인상, 고객 응대 비용 지출 증가, 화물 운송료 수입 감소 등이 원인이다.◇ 뉴질랜드 폰테라(Fonterra), 스터드홀름(Studholme) 공장 확장에 AU$ 7500만 달러 투자에어뉴질랜드(Air New Zealand, ANZ)에 따르면 2024 회계년도 세전 이익이 NZ$ 2억2200만 달러로 전년도 5억7400만 달러 약 61% 감소했다. 순이익은 1억4600만 달러로 전년 도 4억1200만 달러 대비 65% 줄어들었다.뉴질랜드의 더 어려운 경제 상황과 운영상의 어려움으로 회계연도 하반기 점점 더 어려워졌으며 국내 수요 가 감소했기 때문이다.항공사 재무 실적이 상당하게 침체한 이유는 인플레이션으로 비용 압박, 항공기 가용성 문제의 영향, 미국 노선에서 경쟁이 치열했던 점이 원인이다.유제품 대기업 폰테라(Fonterra)에 따르면 스터드홀름(Studholme) 공장 확장에 AU$ 7500만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 고부가가치 원료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사우스 캔터베리(South Canterbury)에 있는 공장을 확장할 예정이다.9월부터 현장 공사를 시작해 첫 번째 제품은 2026년 출시될 예정이다. 향후 4년간 연간 7%의 성장률로 약 100억 달러 확대가 예상된다.
-
미국 NFT 마켓플레이스 탈리스(Talis)에 따르면 $US 230만달러의 비공개 토큰을 판매했다. 지난 화요일(23일) ParaFi Capital, Arrington Capital 주관으로 Benson Oak Ventures, GCW Capital, Blocbits 등이 참여했다.이번에 투자받은 자금은 탈리스가 2020년 테라 블록체인(Terra blockchain) 기반 NFT를 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확장하는데 사용될 예정이다. 2022년 2분기 마켓 플레이스를 MVP(Minimal Viable Product) 상태의 버전 1로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다. 탈리스는 이더리움이라는 마켓플레이스를 벗어나 OpenSea, Rarible, Nifty Gateway와 같은 온체인 마켓플레이스와 같은 플랫폼으로 새로운 성장을 모색하고 있다.애링턴 캐피탈(Arrington Capital) 파터너 니노르 만소르(Ninor Mansor)는 테라의 NFT는 예술과 게임을 통해 생명력을 얻기 시작했다.탈리스 마켓플레이스는 이러한 트렌드를 활용할 수 있는 위치와 적절한 시기에 판매를 결정한 것으로 분석했다. 2021년 9월 시스템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진행했다.▲ 탈리스(Talis) 홈페이지
-
2021-11-19영국 생활용품 제조사인 유니레버(Unilever)에 따르면 유럽계 사모펀드가 전통적인 홍차(tea) 사업을 €45억유로(£38억 파운드)에 인수했다. PG 팁스(PG Tips)와 브룩 본드(Brooke Bond) 등을 포함한다.2020년 유니레버는 국내에서 차 사업을 전개했지만 젊은 소비자들은 커피와 고급 허브차를 선호하면서 전통적인 홍차에 대한 판매가 줄어들었다. 또한 2020년 매출액이 20억유로에 달했던 에카테라(Ekaterra)라는 이름의 분사된 차 사업은 CVC 캐피털 파트너스(CVC Capital Partners)가 인수하는 단계이다. 유니레버는 식물성 식품, 고급 스킨케어 등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시장에 사업을 집중할 계획이다. 유니레버가 소유한 브랜드는 마마이트(Marmite), 도브(Dove), 벤앤제리스(Ben & Jerry’s) 등 다수의 가정용 브랜드이다. ▲유니레버(Unilever) 홈페이지
-
2020-10-21프랑스 항공기제조업체인 에어버스(Airbus)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이 지중해를 건너는 난민을 찾는 드론을 운영할 계획이다. 에어버스는 이스라엘 무기회사와 공동으로 유럽연합과 €1억유로 계약을 체결했다.에어버스와 이스라엘 항공우주산업(IAI)이 5000만 유로, 이스라엘 무기업체인 엘빗시스템(Elbit Systems)은 별도의 5000만 유로를 각각 받을 예정이다.책임기관인 유럽 국경 및 해안 경비대(European Border and Coast Guard Agency, Frontex)의 예산은 2005년 600만 유로에서 2015년 1억4200만 유로로 증가된 후 2020년 4억6000만 유로로 급증했다.정치적 반발로 인해 유럽 남부 국경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에 대한 지출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이번 프로젝트가 시작됐다.지중해 상공의 드론 작전은 그리스 크레타섬에서 테스트가 실시된 후 2021년 시작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중고도 장기 내구성(medium-altitude long-endurance) 드론을 운영할 예정이다.이스라엘의 헤론(Heron) 드론은 24시간 이상 비행할 수 있으며 3만5000 피트 이상의 고도에서 최대 1000마일까지 비행할 수 있다. 드론은 그리스, 이탈리아 또는 몰타를 기반으로 운영될 예정이다.에어버스는 무선 및 위성 링크를 통해 드론을 제어 할 수 있는 장비와 운영자를 제공할 방침이다. 드론을 이용해 지중해를 건너는 난민을 보다 효율적으로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France-Airbus-drone1▲ 에어버스(Airbus)의 드론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