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Power plant"으로 검색하여,
1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생성형 AI를 활용해 ‘에너딕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표현한 상상도[출처=LG CNS]디지털 전환(DX) 전문기업 LG CNS(대표이사 현신균)에 따르면 통합발전소(Virtual Power Plant, VPP) 사업자를 위한 전력 인공지능(AI) 솔루션 ‘에너딕트(Enerdict)’를 출시했다.VPP는 전국에 분산된 태양광, 풍력 등 소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소들을 정보통신기술(ICT)로 연결해 하나의 발전소처럼 운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에너딕트’는 에너지(Energy)의 흐름을 정확하게 예측한다(Predict)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LG CNS가 선보인 ‘에너딕트’는 VPP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 고객을 위한 최적의 솔루션으로 향후 전력중개 솔루션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VPP 사업자는 계절, 날씨 등 기상 상황에 따라 발전량의 변동성이 큰 소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소들의 발전량을 예측하고 전력거래소의 급전 지시를 이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급전 지시란 우리나라 전력의 수요와 공급을 관리하는 한국전력거래소에서 각 발전소에 발전량 조절을 실시간 지시하는 것으로 VPP 사업자의 중요 의무사항이다.LG CNS는 ‘에너딕트’에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딥러닝(Deep learning) 등 AI와 수학적 최적화 기술을 접목해 발전량 예측 정확도를 높였다. 전력거래소의 급전지시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 VPP 사업자의 운영 수익을 극대화한다.수학적 최적화는 현재 보유한 자원과 조건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계산해 최대 효율을 내는 최적의 대안을 찾아내는 기술로 LG CNS의 ‘에너딕트’는 업계 최고 수준의 발전량 예측 정확도를 자랑한다.‘에너딕트’는 과거에 축적된 기상 자료와 더불어 국내외 기상 예측 기관에서 예보하는 다양한 기상 데이터까지 AI가 분석함으로써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 발전소의 위치별로 발전량의 예측 정확도를 한층 높였다.전력거래소의 급전 지시에는 수학적최적화 기술이 최적의 대응 옵션을 찾아낸다. VPP 사업자는 하나의 대형 발전소가 아닌 소규모로 분산된 다양한 형태의 발전소들을 통합 운영하기 때문에 급전지시를 이행하기 위한 최적의 방법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렵다.‘에너딕트’는 VPP에 속한 수많은 발전소의 발전량을 각각 어떻게 조절해야 급전지시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지를 자동으로 찾아준다.LG CNS는 ‘에너딕트’를 SaaS(Software as a Service) 형태로 제공한다. SaaS는 기업 고객이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지 않고 클라우드 환경에서 솔루션을 구독해 사용하는 방식을 뜻한다.이를 통해 고객은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사업장에도 ‘에너딕트’를 손쉽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고객은 항상 최신, 최상의 상태로 ‘에너딕트’ 솔루션을 이용할 수도 있다.LG CNS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고객의 요청사항이나 서비스 개선에 대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에너딕트’에 발 빠르게 반영하기 때문이다.LG CNS는 VPP 사업을 준비 중인 △에너지 △통신 △건설 등 분야의 기업들과 ‘에너딕트’ 도입을 논의 중이다. 향후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기조 등에 따라 국내 VPP 시장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측되면서 ‘에너딕트’를 도입하는 기업들도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정부는 2024년 6월부터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을 시행 중이다. 기존 중앙집중형 전력산업 구조를 분산 형태로 전환해 지역 내 소규모 발전소에서 생산된 에너지를 인근 수요처에서 직접 소비할 수 있도록 한다.이와 같은 에너지 공급 개편에 따라 VPP 시장이 새롭게 떠오르면서 다수의 기업들이 사업에 뛰어들고 있다. 미국의 시장조사 전문기관 ‘스카이퀘스트(SkyQuest)’에 따르면 글로벌 VPP 시장 규모는 30년까지 US$ 169억 달러(약 23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LG CNS D&A(Data Analytics&Artificial Intelligence)사업부장 장민용 상무는 “LG CNS의 AI와 수학적최적화 기술 역량을 결합해 VPP 사업자들을 위한 최고의 솔루션을 구현했다. 에너딕트’를 통해 고객들이 비즈니스 가치를 혁신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고 말했다.
-
▲ 우간다 진자구(Jinja District) 진자(Jinja)에 위치한 부자갈리 수력발전소(Bujagali Hydro Power Plant)의 모습. [출처=부자갈리 에너지(BEL) 엑스(X) 계정] 2024년 8월 아프리카 전력산업 주요동향은 발전을 포함한다. 우간다 전력 발전회사인 부자갈리 에너지(BEL)에 따르면 프랑스 석유회사인 토탈(TotalEnergies)에게 수력발전소 지분 28.3%를 매각했다.○ 우간다 전력 발전회사인 부자갈리 에너지(BEL)에 따르면 프랑스 석유회사인 토탈(TotalEnergies)에게 수력발전소 지분 28.3%를 매각했다.토탈이 추진하는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 계획의 일환이다. 부자갈리 수력발전소(Bujagali Hydro Power Plant)는 진자구(Jinja District) 진자(Jinja)에 위치하며 발전용량은 250메가와트(MW)이다.정부는 토탈과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개발을 통해 국내 민간 부문의 전기세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2024-08-01▲ 우간다 진자구(Jinja District) 진자(Jinja)에 위치한 부자갈리 수력발전소(Bujagali Hydro Power Plant)의 모습. [출처=부자갈리 에너지(BEL) 엑스(X) 계정] 2024년 8월1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우간다를 포함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부동산 자산 컨설팅기업인 로데&어소시에이트(Rode & Associates)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전국 아파트 공실률은 6.7%로 집계됐다.우간다 전력 발전회사인 부자갈리 에너지(Bujagali Energy Ltd)에 따르면 프랑스 석유회사인 토탈(TotalEnergies)에게 수력발전소 지분 28.3%를 매각했다.◇ 남아공 부동산 자산 컨설팅기업인 로데&어소시에이트(Rode & Associates), 2024년 2분기 전국 아파트 공실률 6.7% 집계남아프리카공화국 부동산 자산 컨설팅기업인 로데&어소시에이트(Rode & Associates)에 따르면 2024년 2분기 전국 아파트 공실률은 6.7%로 집계됐다. 2024년 1분기 7.9% 대비 감소했다.2023년 전국 평균 공실률인 7.2%와 대비해도 이하다. 지역별로는 하우텡(Gauteng)주의 아파트 공실률은 2024년 2분기 7.1%로 2024년 1분기 9.3%에서 급격히 하락했다. 아파트 임대비가 1분기 전년 대비 2% 올랐기 때문이다.남아공 국가 올림픽·패럴림픽 위원회인 남아프리카 체육 연맹 올림픽 위원회(SASCOC)에 따르면 2024년 파리 올림픽(Paris 2024)에 출전한 선수는 총 138명이다.SASCOC은 메달 포상금으로 최대 R 40만 랜드(US$ 2만1900달러)을 지급한다. 메달 수여자에게 지급되는 포상금은 개인, 릴레이, 팀, 보트 등으로 나뉜다.참고로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세계 각국의 금메달 포상금 규모는 △홍콩 HK$ 600만 달러(76만8000달러) △이스라엘 100만 셰켈 △세르비아 21만8000달러 △말레이시아 21만4000달러 △모로코 20만525달러 순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의 금메달 포상금은 4만3288달러(약 6600만 원)으로 추정된다.◇ 프랑스 토탈(TotalEnergies), 우간다 전력 발전회사인 부자갈리 에너지(BEL)의 수력발전소 지분 28.3% 인수우간다 전력 발전회사인 부자갈리 에너지(BEL)에 따르면 프랑스 석유회사인 토탈(TotalEnergies)에게 수력발전소 지분 28.3%를 매각했다.토탈이 추진하는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투자 계획의 일환이다. 부자갈리 수력발전소(Bujagali Hydro Power Plant)는 진자구(Jinja District) 진자(Jinja)에 위치하며 발전용량은 250메가와트(MW)이다.정부는 토탈과 재생에너지 프로젝트 개발을 통해 국내 민간 부문의 전기세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
미국 캘리포니아 기반의 태양광발전 기술기업인 솔라리저브(SolarReserve)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에 R116억랜드 상당의 대규모 태양광발전단지 건설을 시작할 예정이다.'레드스톤 태양광발전단지(Redstone CSP)' 프로젝트로 남아공 국내 가장 큰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다국적 전자상거래기업인 주미아그룹(Jumia Group)에 따르면 2020년 하반기 순이익은 US$ 5억7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중국발 코로나-19 사태로 온라인 매출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2021년 1분기 세전손실액은 €2700만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20% 감소했다. 2021년 1분기 주문당 판매 및 광고비는 12% 감소하는 상황에서 총 주문액은 660만유로에 달했다. 총 주문액이 연간 3%씩 증가한 셈이다. 영국 다국적 이동통신사인 에어텔 아프리카(Airtel Africa)에 따르면 2021년 3월 마감 기준 나이지리아에서의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1.9% 증가했다. 또한 동아프리카 국가들에서는 23.5% 확대됐다. 2021년 3월 마감 기준 에어텔 아프리카의 4분기 매출은 전년 대비 14.2%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부분의 사업 지역에서 매출이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텔 아프리카(Airtel Africa)홈페이지
-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에 따르면 이집트 나일강 상류지역인 Kom Ombo에 200MW 규모의 태양광발전단지를 건설하기 위한 US$ 2720만달러의 대출을 승인했다.이를 통해 기업들 및 일반 가정들의 전기료를 낮추고 온실가스 감축과 태양광발전단지 건설로 인한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건설 단계에서 800개의 일자리가 생길 것으로 전망된다.이번 프로젝트의 총 비용은 1억5640만달러로 추산된다. 아프리카개발은행으로부터 상기 자금조달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국제기구들로부터 자금을 조달할 계획이다. 유럽부흥개발은행(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GCF), 아랍은행(Arab Bank), 국제개발을 위한 석유수출국기구 기금(OPEC Fund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등이다.이집트 경제는 코로나-19 사태 동안에도 계속해서 성장해왔다. 전력 수요는 연평균 7%씩 증가하고 있다. 이번 태양광발전단지 건설로 향후 25년 동안 700만 tCO2e에 상당하는 온실 가스 배출량을 줄일 것으로 예측된다. ▲아프리카개발은행(African Development Bank, AfDB) 홈페이지
-
2021-03-04프랑스 다국적 전력기업인 엔지(ENGIE)에 따르면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시나 솔라 원(Xina Solar One)의 지분 40%를 아벤고아(Abengoa)로부터 인수하기로 합의했다.시나 솔라 원은 100MW급 태양광발전소를 운영한다. 또한 에너지 기술 및 저장시스템으로 5.5시간 동안 전기를 저장해 전력 피크 수요에 안정적인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설치했다.생산된 전력은 남아공 국영전력공사인 에스콤(Eskom)과 20년 전력 구매 계약을 통해 매매될 것으로 전망된다. 시나 솔라 원은 현재 9만5000가구에게 청정에너지를 공급하고 있다.결과적으로 매년 34만8000톤의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셈이다. 참고로 엔지는 천연가스, 원자력, 신재생에너지, 석유 등을 활용해 전력을 생산하고 판매한다.▲엔지(ENGIE) 홈페이지
-
2019-11-18영국 에너지저장 전문기업인 하이뷰파워(Highview Power)에 따르면 북부의 폐열된 화력 발전소 현장에 유럽에서 가장 큰 극저온 저장 플랜트를 건설할 예정이다.극저온 에너지 저장 분야의 개척자로서 작년에 개최된 엔지니어 이노베이션 어워드(The Engineer Innovation Award)에서 수상한 바 있다. 저장 플랜트는 50MW/250MWh 용량의 극저온 에너지 저장시설이다.해당 플랜트는 슬라우(Slough)의 파일럿 플랜트에서 시연된 기술을 사용하고 맨체스터 시범 플랜트에서 추가로 개발할 방침이다. 하이뷰파워의 기술은 재생가능 공급원에서 생성된 에너지와 같은 초과 에너지를 사용한다.전기가 필요하고 분배될 수 있을 때까지 공기를 액화하고 액체를 저장하기 위해 재생가능한 공급원을 그리드로 즉시 보낼 수 없다. 액체 공기는 터빈을 통해 증발 및 팽창할 수 있다.여기서 증발 기화 에너지는 전류로 변환된다. 환경 친화적인 재료만 사용하고 탄소 배출이 없으며 물 사용 또는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또한 이 기술을 이용하면 몇 주 동안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하이뷰파워는 10시간 200MW/2GWh 시스템에서 약 £110/MWh의 비용을 청구한다.극저온 기술은 20MW/80MWh에서 200MW/1.2GWh 이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수명은 30-40년이다. 극저온 배터리 플랜트는 안정적인 그리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K-HighViewPowerStorage-Battery▲ 하이뷰파워(Highview Power)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8-29독일 에너지저장그룹인 소넨(Sonnen)에 따르면 개인 에너지저장 시스템에서 가상 발전소(Virtual Power Plant)를 구축하고 있다.해당 프로젝트는 미국 에너지 공급업체인 록키마운틴파워(Rocky Mountain Power) 및 와사치그룹(Wasatch Group)과의 공동 프로젝트의 일환이다.미국 유타주 허리먼 (Herriman)에 위치한 Soleil Lofts 아파트 커뮤니티에는 가상발전소로 알려진 최초의 태양열 배터리 저장 시스템 네트워크가 구축됐다.소넨은 600개가 넘는 개별 Sonnen ecoLinx 배터리를 설치하였다. 록키마운틴파워가 관리하는 총 12.6 MWh의 태양 에너지 저장 장치에 대한 비상 백업전원, 피크 에너지사용 및 전력망 관리를 위한 목적이다.태양열 주택 저장 시스템은 개인 고객의 재생가능 전력 사용을 개선하고 그리드에 유연성을 제공하는 중요한 기술로 분석되고 있다.이와 같은 태양 에너지의 총 전력 저장용량은 향후 10년 동안 50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통해 심각한 대기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Germany-Sonnen-EnergyStorage▲ 소넨(Sonnen)의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2019-04-09미국 글로벌 전기자동차 제조업체인 테슬라에 따르면 일본 서부 오사카의 기차역에서 그리드 규모의 배터리 에너지 저장시스템(BESS)을 설치하는 프로젝트를 완료했다.테슬라 시스템의 용량 규모는 4,200kW/7,098kWh이다. 철도 운영자인 킨키일본철도(近畿日本鉄道)는 4월 1일부터 완전한 운영을 개시했다.킨키일본철도의 나라선(奈良線) 서비스에 위치한 히가시하나조노(東花園)의 변전소와 연결돼있다. 배터리 시스템은 필요에 따라 정전 또는 긴급 상황을 대비해여 원격으로 충방전할 수 있다.예를들면 킨키일본철도(近畿日本鉄道)가 잠재적으로 정전사고가 발생했을 때 이 시스템을 이용해 42개의 연결된 파워팩(Powerpack)이 열차를 계속 움직이게 한다.최대 30분 동안 또는 더 짧은(나뉘는) 기간 동안 여러 줄로 열차를 이동할 수 있다. 시스템은 그리드의 최고 부하를 줄이기 위해 사용된다.또한 간접 전력회사인 간사이 전력 (關西電力)의 VPP(Virtual Power Plant) 시범 프로젝트에도 추가될 예정이다. 향후 테슬라는 일본의 배터리 에너지저장시장에서 시장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할 방침이다.▲ Japan-Tesla-Kintets-energystorageBattery▲ 테슬라(Tesla)의 에너지 저장시스템 홍보자료(출처 : 홈페이지)
-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Queensland)주정부에 따르면 향후 5년동안 $A 4억달러를 투자해 쓰레기를 에너지로 전환하는 화력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다.이 프로젝트에는 독일기업 Remondis가 퀸즐랜드주 레드뱅크(Redbank)에 폐기물화력발전소를 건설하는 것도 포함된다.퀸즐랜드주정부는 폐기물화력발전소 건설 및 관련된 다른 프로젝트 등에 쓰레기처리비에서 1억달러를 지원할 예정이다.폐기물화력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는 5만 가구에게 공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것으로 드러났다. 무엇보다 쓰레기 매립지를 줄이는 것도 큰 혜택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1억달러는 증가하고 있는 쓰레기량을 처리하기 위한 새로운 인프라와 기술에 대한 투자를 촉진시키기 위해 준비된 예산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정부는 늘어나는 쓰레기의 매립을 줄이기 위해 쓰레기 소각발전소 건설을 검토하고 있다.▲퀸즐랜드주 레드뱅크(Redbank) 위치(출처 : 구글맵)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