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
" 인프라 부문"으로 검색하여,
7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인천항만공사 수상자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출처=인천항만공사]인천항만공사(IPA, 사장 이경규)에 따르면 2025년 10월8일(수) 일본 고베에서 열린 국제항만협회(IAPH) 세계항만컨퍼런스 ‘IAPH 2025 지속가능성 어워즈’ 인프라(Infrastructure) 부문 1위를 차지하며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이번에 수상한 인천항만공사의 「ICT 기반 스마트 유지관리 기술(ICT–Based Smart Maintenance Technology for Port Infrastructure)」 프로젝트는 노후 항만시설의 안전성과 환경성을 동시에 개선하고 첨단 ICT 기술을 접목하여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항만 운영을 가능케 한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ICT 기반 스마트 유지관리 기술은 항만 구조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하고 위험요소를 사전에 예측하는 수중·수상 드론 관련 기술이다.▲ ICT 기반 스마트 유지관리 기술 공식 홍보물 [출처=인천항만공사]2025년 어워즈에는 전 세계 112개 프로젝트가 출품되었다. 전문가 심사(70퍼센트(%))와 온라인 대국민 투표(30%)를 합산하는 방식으로 최종 수상작이 결정됐다.인천항만공사는 일본 기타큐슈항, 미국 시애틀항과 함께 인프라 부문 최종 후보에 올라 경합을 벌였다. 온라인 투표에서 최다 득표를 기록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이번 수상을 계기로 항만 인프라의 안전관리 체계 고도화, 친환경 설비 투자 확대, 스마트 기술 융합을 통한 효율성 제고, 국제사회와 공동연구·협력 강화 등 후속 과제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국제항만협회는 1955년 설립된 세계 최대 항만 관리자·관계자 국제기구로서 90여 개국 340여 개의 항만 및 항만 관계기관이 회원으로 가입돼 있으며 유엔 산하 5개 전문기구와 1개 정부간기구의 공식 자문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특히 협회는 유엔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항만 분야에서 실현하기 위해 2018년부터 매년 지속
-
2025-04-28▲ BC카드 로고 [출처=BC카드]BC카드(대표이사 사장 최원석)에 따르면 통합결제 비즈니스 전문 기업 다날(사업 부문 대표 진창용)과 결제 인프라 협업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BC카드는 다날의 선불전자지급수단 기반 결제 서비스에 필요한 가맹점 네트워크와 결제 프로세싱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날은 BC카드의 결제 인프라를 활용해 자체 선불전자지급 수단 기반의 통합결제 비즈니스를 확장한다.먼저 다날이 조만간 출시할 화이트 라벨링 서비스 기반의 선불카드 상품에 BC카드의 결제 인프라가 적용된다. 화이트 라벨링은 중·소 규모 핀테크사 등을 대상으로 다날이 직접 선불전자지급수단의 발행과 관리를 지원하는 서비스다.이번 파트너십을 토대로 화이트 라벨링 이용 기업은 안정적인 선불 사업 운영과 함께 BC카드의 348만 가맹점 네트워크를 활용한 범용 결제 서비스를 자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화이트 라벨링 선불카드를 이용하는 고객은 BC카드의 ‘페이북’을 비롯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토스페이 등 주요 간편결제 서비스에 탑재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나아가 양사는 최근 국내 거주 외국인의 규모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2025년 3분기 내로 외국인 특화 선불카드를 선보일 예정이다.국내 대학 등 교육시설과 주요 상권에 전용 키오스크를 설치해 편리하고 신속하게 발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설명이다.이 외에도 다날의 자체 선불 서비스 리뉴얼 및 고도화에도 BC카드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는 등 양사 간 시너지를 적극 도모할 예정이다.한편 다날이 BC카드를 새로운 결제 파트너로 선정하게 된 배경에는 BC카드가 40여 년간 축적한 결제 인프라와 프로세싱 노하우가 있었다는 설명이다.BC카드는 국내 유일의 지급결제 프로세싱 전문 기업으로서 업계 최대 규모의 결제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카드사별 금융감독원 공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BC카드의 가맹점 수는 348만 개로 국내 카드사 중 가장
-
▲ 오만 상공회의소인 OCCI(Oma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에서 회담을 진행하고 있다. [출처=OCCI 홈페이지]2024년 9월 4주차 오만 경제는 통계를 포함한다. 오만 상공회의소인 OCCI(Oma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에 따르면 2023년 오만과 중국의 양국간 무역 규모는 OMR 104억 리알(US$ 270억 달러)로 집계됐다.○ 오만 상공회의소인 OCCI(Oma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에 따르면 2023년 오만과 중국의 양국간 무역 규모는 OMR 104억 리알(US$ 270억 달러)로 집계됐다.2023년 상반기 기준 양국간 무역 규모는 56억 리알(145억 달러)를 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오만-중국 경제 포럼 등 민간 부문에의 무역과 경제 협업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산업 부문의 투자를 유치할 계획이다.오만은 도로, 공항, 항만을 포함한 국내 인프라시설 부문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해 집중할 방침이다. 인프라시설의 현대화에 투자해 글로벌 수출 허브로 부상하기 위한 목적이다.
-
▲ 인도 통상산업부(MOCI) 로고인도 통상산업부(MOCI)에 따르면 2023년 12월 주요 인프라시설 산업 8개 부문의 생산 성장율은 3.8%로 집계됐다. 14개월 동안 산업 생산 성장율 중 가장 둔화된 것으로 조사됐다.2023년 12월 주요 산업 부문의 생산 성장율은 8.3%를 기록했다. 주요 인프라시설 산업 8개 부문인 △석탄△철강 △천연가스 △석유정제 제품 △시멘트 △비료 △원유 △전력은 국내 산업 생산량의 40%를 차지한다.주요 인프라시설 산업 8개 부문 중 철강, 석탄, 석유 및 가스, 전력 부문의 생산 성장율은 2023년 10월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2023년 12월 석탄 생산 성장율은 10.6%로 2022년 12월 12.3%와 비교해 낮았다. 겨울에 높아질 석탄 수요를 미리 대비하기 위해 생산량이 높아진 것으로 예상된다.2023년 12월 철강 생산 성장율은 5%로 2023년 11월 9.4%에서 하락했다. 2022년 12월 철강 생산 성장율인 12.3%와 비교해 둔화됐다.
-
인도 신용평가기관 ICRA에 따르면 2019 회계연도 국내 시멘트 생산 성장율은 6%로 확장될 전망이다. 2018년 5월에 보인 긍정적인 실적을 상회할 것으로 조사됐다.2018년 5월 국내 8개 인프라시설 산업 성장율이 10개월 최저치인 3.6%를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시멘트 부문은 긍정적인 성장율을 나타냈다.저렴한 가격대, 농촌 지역 부동산 시장의 회복, 인프라시설 및 건설 부문의 상승 등이 주요인이다. 참고로 국내 8개 인프라시설 산업은 석탄, 정제제품, 비료, 철강, 시멘트를 포함한다.▲ICRA 로고
-
인도 정부에 따르면 아부다비국영석유공사(ADNOC)의 첫 선적은 국내 망갈로르(Mangalore) 석유일 것으로 전망된다. 2018년 5월 선적을 개시할 예정이다.2개 석유 수송선 중 하나로 망갈로르(Mangalore)에 위치한 전략적 석유는 150만톤에 달한다. 협약을 통해 정부와 석유공사는 윈-윈(Win-Win)할 계획이다.인도와 아랍에미리트(UAE) 간의 석유화학, 정제소, 석유 및 가스 탐사 개발을 포함한 인프라 부문에 대한 협약도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인도의 원유 매장량은 530만톤으로 ▲ 비샤카파트남(Vishakhapatnam) 133만톤, ▲망갈로르(Mangaluru) 150만톤, ▲파두르(Padur) 250만톤의 총 3곳에 분포해 있다. 개발 투자비는 409억8000만루피이지만 상황에 따라 추가로 확대할 계획이다.▲정부 로고
-
필리핀 시멘트제조협회(CEMAP)는 2016년 1분기 시멘트판매량이 643만 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8%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공공·민간 부문 모두 인프라 사업의 증가가 주요인이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