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
" 2012년"으로 검색하여,
18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2024-12-02▲ 박은경 대웅제약 C&D전략팀장이 우수 혁신형 제약기업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여 받고 있다.[출처=대웅제약]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에 따르면 2024년 11월28일(목요일) 서울 포시즌스 호텔에서 개최된 ‘2024 보건산업 성과교류회’에서 우수 혁신형 제약기업으로 선정돼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다.또한 현해정 대웅제약 자가면역신약개발팀장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 표창을 수상했다. 국산 신약개발을 선도해 온 대웅제약이 우리나라 제약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정부 포상을 받은 것이다.‘2024 보건산업 성과교류회’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주최로 개최되고 있으며 매년 혁신형 제약기업 중 신약 연구개발, 해외 수출로 우리나라 제약 산업발전에 기여한 기업과 소속 임직원을 선정해 포상하고 있다.2024년은 총 42개의 혁신형 제약기업 중 대웅제약을 포함한 단 2곳이 ‘우수 혁신형 제약기업’으로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박은경 대웅제약 C&D전략팀장(사진 왼쪽에서 여섯번째) 등 2024 보건산업 성과교류회에서 포상을 받은 기업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출처=대웅제약]대웅제약은 2001년 국내 1호 바이오신약인 ‘이지에프’를 개발한 것을 시작으로 △2019년 미국 FDA 바이오 신약으로 승인된 ‘나보타’ △2022년 국산 34호 신약인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 △2023년 국산 36호 신약인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 개발에 잇따라 성공하며 신약개발 전문기업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세계 최초 신약(First-in-Class)으로 기대를 받고 있는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인 베르시포로신(DWN12088)을 비롯해 비만·대사, 항암, 자가면역질환, 정신질환 등 미래 초고령사회를 대비한 항노화 관련 핵심
-
1879년 미국 토마스 에디슨이 백열전구를 개발한지 8년 만에 조선 왕실도 전기에 관심을 가졌다. 1898년 고종은 황실의 자본으로 한성전기회사를 설립하며 근대화에 대한 열정을 불태웠지만 1910년 일제에 강제병합되며 꿈을 접어야 했다.정부는 1961년 남한 지역에서 운영되는 3개 전력회사를 통합해 한국전력주식회사를 만들었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인 2001년 한국전력주식회사는 한국전력이 지주사로 남고 발전자회사와 한국전력거래소로 분할됐다.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폭파 사고 이후 원자력발전소의 가동을 중지하고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건설했을 뿐 아니라 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늘리며 한전의 부채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났다.2024년 8월 기준 한전의 부채가 200조 원을 넘긴 상황을 어떻게 해소할 것인지 고민거리다. 태양광, 풍력, 조력, 지력 등 재생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늘렸음에도 전력 수급과 적자 문제를 해결할 가능성은 낮다. 한국전력공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현황을 진단하기 위해 홈페이지, 국가정보전략연구소(국정연) 데이터베이스(DB), 국정감사·감사원·사법기관 자료, 각종 제보 등을 참조했다.글로벌 스탠다드를 지향하며 개발된 ‘팔기(八旗)생태계(8-Flag Ecosystem)’ 모델을 적용해 한전의 ESG 경영 현황을 진단해봤다. ◇ 2011년 부채액 47조5000억인데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내... 자회사는 이익내며 돈잔치 벌여 비난 받아전기세와 원자력발전에 대한 논란을 초래하고 있는 한전은 가정과 산업을 포함해 대한민국 전역에 전기를 공급하는 공기업이다.공기업은 ‘공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가 직∙간접적으로 투자해 소유권을 갖거나 통제력을 보유하는 기업’이다.공기업은 설립목적에서 보듯이 공익의 보호가 최우선과제가 되어야 함에도 주인 없는 기업이라는 평가와 함께 임직원이 자신들의
-
▲ 나이지리아 국민연금 규제당국인 국민연금위원회(PenCom) 대표자인 아이샤 알-오마르(Aisha Dahir-Umar). (출처: 홈페이지)나이지리아 국민연금 규제당국인 국민연금위원회(PenCom)에 따르면 2023년 12월 31일 기준 가산세 N 125억 나이라를 징수한 것으로 집계됐다.미납된 연금이 약 129억 나이라에 달했지만 이번 조치로 125억 나이라는 회복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연금위원회는 2012년부터 미납세액 징수 프로그램을 강력하게 실행 중이다.징수액은 연금펀드관리기관(PFAs)과 국민연금위원회 등의 기관에서 운용하지 않고 전부 연금저축계좌(RSA)에 할당된다.국민연금위원회는 가산세 징수에 의한 비용 발생과 개개인의 미납금 벌금 부담을 피하기 위해서라도 각 기업과 근로자들이 연금 규제 사항을 준수하라고 당부했다.정부는 전통적인 연금으로 보호를 받지 못하는 비공식적 사업 영역이나 자영업에 종사하는 개인을 위해 마이크로 연금을 제공하고 있다. 도입한 이후 10만개의 RSA가 오픈됐으며 불입액만 5억 나이라에 달한다.
-
필리핀 건강정보관리협회(HIMAP)에 따르면 지난 6년 동안 북아메리카에 위치한 고객들에게 건강상담하는 사업이 10배나 확대된 것으로 집계됐다.의사나 간호사가 전화기로 환장의 건강에 대해 상담을 해주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스마트밴드인 피비트(Fitbit)가 대표적인 제품이다.건강을 관리해주는 스마트밴드와 같은 제품이 유행하면서 사람들은 병원에서 몇 시간씩 진료를 기다리지 않는다. 스마트밴드에 나타난 수치에 관해 전화로 상담을 하는 것이다.2017년 기준 국내 관련 산업의 매출액은 28억달러로 2012년 4억5000만달러 대비 6배 성장했다. 동기간 직접 고용인원만 13.3만명으로 6년 사이에 787%나 늘어났다.전화로 건강을 체크하고 분석하는 사업은 국내 BPO 사업의 10%를 점유한다. 하지만 이러한 사업으로 인해 병실제 병원의 근무자 숫자가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참고로 피비트(Fitbit)은 2007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제임스 파크가 설립한 회사이다. 스마트밴드를 통해 심박수, 운동량, 수면의 효율 등을 체크해 건상이상 유무를 진단한다.▲피비트(Fitbit) 제품(출처 : 홈페이지)
-
글로벌 시장조사회사 닐슨(Nielson)에 따르며 2018년 미국의 비건밀크(Vegan Milk) 판매량은 전년 대비 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전체 시장 규모는 $US 16억 달러로 전체 미국 우유시장 점유율은 13%에 달한다. 반면에 일반 우유의 판매는 동기간 6% 줄어들었다.2012년부터 2017년 사이 미국 일반 우유 판매액은 15% 줄어들어 161.2억 달러를 기록했다. 시장전문가들은 2020년까지 일반 우유의 판매량은 11% 축소될 것으로 전망한다.2012년부터 2017년 사이 비건밀크의 판매량은 61% 확대됐다. 더 많은 소비자들이 식물에 기반한 우유를 선택하고 있는 것이다.미국 소비자의 19%는 건강상의 이유로 식물성 우유를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식물성 고기 등을 포함한 식품의 인기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닐슨(Nielson) 로고
-
영국 제약업체 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에 따르면 다른 제약회사인 23andMe에 $US 3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향후 4년간 인간의 유전자를 활용한 약품을 공동으로 개발하기 위한 목적이다. 23andMe은 현재 건강과 조상 유전자 검사에는 건당 199달러, 단지 조상 유전자 검사에는 99달러를 받고 있다. 현재 23andMe은 500만명에 달하는 소비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80%는 유전자 연구를 통한 제약개발에 찬성하는 입장이다.지난 2012년에는 Amgen이 유전자 연구를 진행하는 아이슬랜드 deCODE Genetics에 4억1500만달러를 투자한 사례가 있다.▲글락소스미스클라인(GlaxoSmithKline) 로고
-
오스트레일리아 유제품제조사 A2밀크(A2 Milk)에 의하면 네덜란드 유제품기업 신레이트밀크(Synlait Milk)의 지분 8.2%를 매입했다. 1460만 주를 $A 3.275달러에 인수했다. 우유판매업체와 낙농업체 간의 기존 공급계약을 바탕으로 이뤄진 지분판매 계약이다. 2012년 A2 Milk와 Synlait Milk는 중국에서 유아용 조제분유 판매 및 공급사업 등을 추진하기 위해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낙농전문가들은 이번 계약으로 인해 A2 Milk가 안정적으로 제품판매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A2 Milk의 주가는 최근 2.37달러로 거래됐으며 지난 12개월 동안 32% 상승했다. ▲A2밀크(A2 Milk) 로고
-
일본 전자기기업체 NEC의 자료에 따르면 2030년까지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2012년에 비해 30% 삭감을 목표로 한다. 중기목표로 2020년도에는 18%를 줄이며 업무의 IT화로 고객사의 온실가스 감소도 진행할 계획이다.
-
일본 자동차부품업체 덴소(デンソー)는 2025년까지 공장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CO2)의 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량을 2012년에 비해 반감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고 밝혔다. 점심시간 설비자동 중지, 라디에이터 활용해 폐열을 재이용하는 등의 실천방안을 수립했다.
-
파키스탄의 국가규제국(NAB)은 과대 가격 의약품에 연루된 제약회사로부터 3억8510만루피를 회수했다고 밝혔다. 이들 제약업체들은 공무원과 공모해 2012년 10월 9일 약품가격책정위원회(DPC)에서 가격을 불법으로 인상했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