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한국 핵심기업] 14. 한화... 석유화학·태양광·첨단소재에 선택과 집중
오너 리스크 해결 만으로 그룹 성장 전환?
한화는 1952년 김종희 회장에 의해 설립된 한국화약주식회사로 출발했으며 1993년 ㈜한화로 사명을 변경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산업용화약, 방산제품, 인플레이터 및 항공기 유압기기를 생산하는 제조중심 화약부문과 미국, 유럽, 일본 등 세계 주요 도시에 9개의 현지 법인과 14곳의 해외지사를 통해 수출입중계, 자원개발과 환경, 신재생 에너지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 중인 무역부문으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종속회사로는 (주)한화건설,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한화저축은행, 한화생명보험(주), 한화테크엠(주), 한화에너지(주), 한화케미칼(주), 여천NCC(주), 한화역사(주), 한화갤러리아(주) 등의 국내 법인이 있다.
해외법인은 Hanwha International (Shanghai) Co., Ltd., Hanwha Europe Gmbh, Hanwha Saudi Contracting Co. Ltd., 등이 있다.
김승연 회장이 석방된 이후 석유화학과 태양광, 소재사업을 중심으로 2020년까지 주요 사업부문을 세계 일류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사업구조 개편을 추진 중에 있다. 2014년 글로벌 포춘 500대 기업 중 331위, 한국기업 중 10위를 차지한 한화의 기업개요는 표 1과 같다.
▲ 한화의 개요 [출처=iNIS]
◇ 석유화학·태양광·첨단소재에 선택과 집중
지난 2012년 김승연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각 계열사가 선택과 집중으로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사업구조를 고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한화그룹은 2020년까지 주요 사업부문을 세계 일류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사업구조 개편을 추진 중이다.
특히 최근 한화L&C의 건재부문과 드림파마를 매각하고 오스트레일리아 태양광업체인 엠피리얼과 국내 화학업체인 KPX화인케미칼을 인수했다.
그뿐만 아니라 자동차 및 전자소재를 중심으로 첨단소재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설비증설과 해외업체 인수를 적극 추진 중인 한화의 경영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사업부문별 특징, 재무제표, 경쟁력 등을 살펴봤다.
첫째, 한화의 주요 사업내용은 도소매업, 화학제조업, 건설업, 레저서비스업, 태양광사업, 금융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는 화약부문, 무역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화약부문의 경우 화약 기술을 바탕으로 방위사업, 자동차부품, 항공우주사업 등 기계항공사업에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해왔으며 무역부문의 경우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세계 주요 도시에 11개의 현지 법인과 19곳의 해외지사 등의 네트워크를 구축해 운영 중이다.
산업 원자재부터 식량자원 및 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고 있으며 자원개발, 해외 직접 투자 등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한화는 최근 몇 년간 사업 구조조정을 통해 석유화학, 태양광, 첨단소재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 사업에 집중하고 있는 데 후발주자인 한화케미칼, 삼성정밀화학, KCC 등은 기존 선두업체인 OCI와의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화케미칼은 2015년 3월 폴리실리콘 양산을 앞두고 있는데 시제품만 보고 미리 계약을 맺으려는 중국과 대만 웨이퍼 업체들이 상당수라고 한다. 한화케미칼은 올해 전남 여수에서 연간 생산능력 1만톤 규모의 폴리실리콘 공장을 짓고 현재 시험 생산 중이다.
삼성정밀화학도 미국의 MEMC와 합작해 내년부터 연간 1만톤 규모의 울산 폴리실리콘 공장을 가동한다. 특히 삼성정밀화학의 폴리실리콘은 전기가 적게 소요되는 고효율 FBR공법을 적용해 가격경쟁력을 향상시켰다.
지난 2년간 국내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했던 KCC도 내년 해외에서 폴리실리콘 사업에 재도전할 예정이다. KCC는 사우디아라비아 MEC와 합작해 연간 생산 3000톤 규모의 폴리실리콘 공장을 짓고 있다.
OCI와 같은 선두업체들의 원가를 후발기업들이 어느 정도 따라잡느냐가 관건이 되고 있어 앞으로 삼성정밀화학과 KCC와의 원가경쟁이 매우 치열할질 것으로 보인다.
▲ 한화의 주요지표 [출처=iNIS]
둘째, 한화의 2013년 실적은 2012년에 비해 순이익이 크게 감소한 것이 특징이다. 매출은 표2에서와 같이 2013년 약 5조340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약 1.9%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2013년 약 1120억원으로, 전년 대비 0.6% 감소했다. 순이익은 2012년에 비해 2013년에 크게 감소해 약 538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22.2% 감소했다.
한화는 올해 2분기에 들어 한화건설의 2000억원대 손실로 적자로 전환했다. 한화는 현재 1654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해 전년 동기 대비 적자로 전환한 것이다.
매출도 9조1992억원으로 전년보다 3.8% 감소했으며 한화건설과 한화케미칼이 적자로 돌아섰으며 한화호텔앤드리조트도 수익이 77.5%나 감소했다.
한화건설의 경우 해외사업장의 충당금의 영향으로 2025억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그뿐만 아니라 한화케미칼도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30.7% 줄어든 219억원에 머물렀으며 저금리의 영향을 받은 한화생명은 1621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전년과 대비해 17.4%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실적악화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한화의 경쟁력은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수합병전략이다. 한화는 기존 사업 외에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3대 사업을 결정했는데 바로 석유화학, 태양광, 소재사업이다.
특히 석유화학부문의 M&A는 올해 들어 가시화되고 있는데 한화케미칼은 최근 420억원을 투자해 KPX화인케미칼을 인수했다. KPX화인케미칼는 가구와 자동차, 페인트 등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의 원료인 TDI(Toluene Diisocyanate)를 생산한다.
한화케미칼은 KPX화인케미칼에 염소를 공급했었는데 염소가 한화케미칼 주력제품인 PVC는 물론 TDI의 원료로 사용되는 만큼 앞으로 염소를 활용한 사업의 확대가 될 전망이다.
한화는 KPX화인케미칼 인수 후 가동정지 상태에 있는 전체 3개 TDI 공장에 대한 가동률을 점차 높여 2015년까지 모두 가동해 연간 4000억원의 매출을 올릴 계획이다.
그뿐만 아니라 한화케미칼은 석유화학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추가 인수합병도 검토 중이다. 이미 지난 4월에 GDR(Global Depository Receipts, 해외주식예탁증서)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했으며 최근 제약회사인 드림파마도 1945억원에 매각해 유동성을 확보한 상태다.
그리고 첨단소재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중이다. 한화는 사업구조조정에서 건재사업부문을 매각하고 그 사명도 한화첨단소재로 변경했다.
한화첨단소재는 앞으로 차량 경량화를 위한 탄소계 복합소재, 전자소재 부문의 나노 프린팅 및 코팅기술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한화케미칼과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는 연구소를 분리하는 한편 연구인력을 지속적으로 충원하는 등 관련분야 R&D를 강화하고 있다.
건재사업 매각자금으로 해외 자동차와 필름 관련 소재기업 인수도 적극 검토 중인데 미국 현지의 자동차소재 공장 증설을 통해 국내외 생산기지를 확대하는 등 소재산업 강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 오너 리스크 해결 만으로 그룹 성장 전환?
한화는 최근 사업구조 개편이 한창이다. 비주력사업들은 빠르게 매각절차가 진행 중이며 핵심사업인 석유화학·태양광·첨단소재에 집중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오너 부재로 1년 8개월여간 멈춰있던 한화가 올해 초 리스크가 해소되자마자 고강도 사업재편에 들어가며 미래 먹거리를 위한 과감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나온 지 반년이 지났고 건강상태도 상당 부분 호전되면서 그룹의 오너리스크도 함께 해소된 상태다.
김 회장이 풀려난 이후 건축자재·제약 등 비핵심사업을 정리하는 한편 3대 핵심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는 방식의 그룹 구조재편이 이어졌다.
지난 6월 한화L&C 건재사업 부문은 모건스탠리 프라이빗에쿼티 측에 3000억원에 매각된 것을 시작으로 경쟁력이 없거나 시너지가 부족한 사업부문을 매각하고 있다.
기존 존속법인인 소재사업 부문은 ‘한화첨단소재’로 사명을 변경해 수익성이 부진했던 건자재부문 대신 그룹 간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첨단소재 쪽으로 방향을 정했다. 한화케미칼은 제약 자회사 드림파마도 매각했다.
비주력사업 정리와 함께 주력사업에 대한 투자도 이어지고 있다. 석유화학부문의 강화를 위해 한화케미칼은 폴리우레탄 원료인 TDI를 생산하는 KPX화인케미칼을 인수했으며. 미국의 다우케미칼 기초화학사업부 인수도 검토하고 있다.
다우케미칼은 1897년 설립된 미국기업으로 세계 화학제품 시장에서 독일 바스프와 함께 1, 2위를 다투는 선두기업이다. 또 미래성장동력인 태양광 부문의 육성도 활발하다.
최근 그룹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주택용 태양광 사업과 에너지 절감사업을 펼치고 있는 주택용 태양광 리테일러인 엠피리얼(Empyreal) 지분 4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일본, 독일, 중동 등 주요 지역에서 태양광 리테일 업체 인수 및 발전소 운영사업의 참여도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다.
하지만 기대만큼 한화의 성장을 속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지적이 많다. 한화가 그룹 차원에서 추진 중인 태양광 사업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신(新)성장 동력이 미약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4분기 한화케미칼의 매출액은 2조1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4%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407억원으로 1.0% 줄어들었다. 특히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1.93%에 불과해 2%에도 못 미친다.
실적부진의 이유로 글로벌 태양광 업황의 개선으로 사상 최대 출하량과 태양광 손익분기점(BEP) 근접에도 주원료의 50%를 차지하는 에틸렌 가격 급등에 따른 원료 실적둔화로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밑돌아 본업인 화학의 실적 부진을 들 수 있다. 한화의 고민거리 중 하나는 후계자 승계 문제다. 김 회장의 장남 김동관 한화큐셀 전략마케팅 실장은 그룹의 태양광산업을 흑자로 전환시키고 기업 성장동력의 주축으로 성장시켜야 할 막중한 임무를 지고 있다.
경영활동이 전무했던 김 회장의 차남 김동원도 올해 그룹 경영기획실 디지털 팀장으로 업무를 시작해 그룹 경영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재계에서는 지난 2월 집행유예로 풀려난 김 회장이 ㈜한화·한화케미칼 등 주요 계열사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나면서 3세 경영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 삼성과 같이 후계자 승계에 따른 그룹 내 혼란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주요 종속회사로는 (주)한화건설,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한화저축은행, 한화생명보험(주), 한화테크엠(주), 한화에너지(주), 한화케미칼(주), 여천NCC(주), 한화역사(주), 한화갤러리아(주) 등의 국내 법인이 있다.
해외법인은 Hanwha International (Shanghai) Co., Ltd., Hanwha Europe Gmbh, Hanwha Saudi Contracting Co. Ltd., 등이 있다.
김승연 회장이 석방된 이후 석유화학과 태양광, 소재사업을 중심으로 2020년까지 주요 사업부문을 세계 일류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사업구조 개편을 추진 중에 있다. 2014년 글로벌 포춘 500대 기업 중 331위, 한국기업 중 10위를 차지한 한화의 기업개요는 표 1과 같다.
▲ 한화의 개요 [출처=iNIS]
◇ 석유화학·태양광·첨단소재에 선택과 집중
지난 2012년 김승연 회장은 신년사를 통해 각 계열사가 선택과 집중으로 경쟁력을 강화함으로써 사업구조를 고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한화그룹은 2020년까지 주요 사업부문을 세계 일류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사업구조 개편을 추진 중이다.
특히 최근 한화L&C의 건재부문과 드림파마를 매각하고 오스트레일리아 태양광업체인 엠피리얼과 국내 화학업체인 KPX화인케미칼을 인수했다.
그뿐만 아니라 자동차 및 전자소재를 중심으로 첨단소재 분야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설비증설과 해외업체 인수를 적극 추진 중인 한화의 경영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사업부문별 특징, 재무제표, 경쟁력 등을 살펴봤다.
첫째, 한화의 주요 사업내용은 도소매업, 화학제조업, 건설업, 레저서비스업, 태양광사업, 금융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크게는 화약부문, 무역부문으로 나눌 수 있다.
화약부문의 경우 화약 기술을 바탕으로 방위사업, 자동차부품, 항공우주사업 등 기계항공사업에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해왔으며 무역부문의 경우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세계 주요 도시에 11개의 현지 법인과 19곳의 해외지사 등의 네트워크를 구축해 운영 중이다.
산업 원자재부터 식량자원 및 생활용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품목을 취급하고 있으며 자원개발, 해외 직접 투자 등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한화는 최근 몇 년간 사업 구조조정을 통해 석유화학, 태양광, 첨단소재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태양광 사업에 집중하고 있는 데 후발주자인 한화케미칼, 삼성정밀화학, KCC 등은 기존 선두업체인 OCI와의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한화케미칼은 2015년 3월 폴리실리콘 양산을 앞두고 있는데 시제품만 보고 미리 계약을 맺으려는 중국과 대만 웨이퍼 업체들이 상당수라고 한다. 한화케미칼은 올해 전남 여수에서 연간 생산능력 1만톤 규모의 폴리실리콘 공장을 짓고 현재 시험 생산 중이다.
삼성정밀화학도 미국의 MEMC와 합작해 내년부터 연간 1만톤 규모의 울산 폴리실리콘 공장을 가동한다. 특히 삼성정밀화학의 폴리실리콘은 전기가 적게 소요되는 고효율 FBR공법을 적용해 가격경쟁력을 향상시켰다.
지난 2년간 국내 생산라인 가동을 중단했던 KCC도 내년 해외에서 폴리실리콘 사업에 재도전할 예정이다. KCC는 사우디아라비아 MEC와 합작해 연간 생산 3000톤 규모의 폴리실리콘 공장을 짓고 있다.
OCI와 같은 선두업체들의 원가를 후발기업들이 어느 정도 따라잡느냐가 관건이 되고 있어 앞으로 삼성정밀화학과 KCC와의 원가경쟁이 매우 치열할질 것으로 보인다.
▲ 한화의 주요지표 [출처=iNIS]
둘째, 한화의 2013년 실적은 2012년에 비해 순이익이 크게 감소한 것이 특징이다. 매출은 표2에서와 같이 2013년 약 5조3400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약 1.9% 증가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은 2013년 약 1120억원으로, 전년 대비 0.6% 감소했다. 순이익은 2012년에 비해 2013년에 크게 감소해 약 538억원으로, 전년대비 약 22.2% 감소했다.
한화는 올해 2분기에 들어 한화건설의 2000억원대 손실로 적자로 전환했다. 한화는 현재 1654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해 전년 동기 대비 적자로 전환한 것이다.
매출도 9조1992억원으로 전년보다 3.8% 감소했으며 한화건설과 한화케미칼이 적자로 돌아섰으며 한화호텔앤드리조트도 수익이 77.5%나 감소했다.
한화건설의 경우 해외사업장의 충당금의 영향으로 2025억원의 적자가 발생했다. 그뿐만 아니라 한화케미칼도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30.7% 줄어든 219억원에 머물렀으며 저금리의 영향을 받은 한화생명은 1621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려 전년과 대비해 17.4% 감소하는 등 전반적으로 실적악화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한화의 경쟁력은 경쟁력 제고를 위한 인수합병전략이다. 한화는 기존 사업 외에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3대 사업을 결정했는데 바로 석유화학, 태양광, 소재사업이다.
특히 석유화학부문의 M&A는 올해 들어 가시화되고 있는데 한화케미칼은 최근 420억원을 투자해 KPX화인케미칼을 인수했다. KPX화인케미칼는 가구와 자동차, 페인트 등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의 원료인 TDI(Toluene Diisocyanate)를 생산한다.
한화케미칼은 KPX화인케미칼에 염소를 공급했었는데 염소가 한화케미칼 주력제품인 PVC는 물론 TDI의 원료로 사용되는 만큼 앞으로 염소를 활용한 사업의 확대가 될 전망이다.
한화는 KPX화인케미칼 인수 후 가동정지 상태에 있는 전체 3개 TDI 공장에 대한 가동률을 점차 높여 2015년까지 모두 가동해 연간 4000억원의 매출을 올릴 계획이다.
그뿐만 아니라 한화케미칼은 석유화학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추가 인수합병도 검토 중이다. 이미 지난 4월에 GDR(Global Depository Receipts, 해외주식예탁증서)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했으며 최근 제약회사인 드림파마도 1945억원에 매각해 유동성을 확보한 상태다.
그리고 첨단소재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중이다. 한화는 사업구조조정에서 건재사업부문을 매각하고 그 사명도 한화첨단소재로 변경했다.
한화첨단소재는 앞으로 차량 경량화를 위한 탄소계 복합소재, 전자소재 부문의 나노 프린팅 및 코팅기술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한화케미칼과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는 연구소를 분리하는 한편 연구인력을 지속적으로 충원하는 등 관련분야 R&D를 강화하고 있다.
건재사업 매각자금으로 해외 자동차와 필름 관련 소재기업 인수도 적극 검토 중인데 미국 현지의 자동차소재 공장 증설을 통해 국내외 생산기지를 확대하는 등 소재산업 강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 오너 리스크 해결 만으로 그룹 성장 전환?
한화는 최근 사업구조 개편이 한창이다. 비주력사업들은 빠르게 매각절차가 진행 중이며 핵심사업인 석유화학·태양광·첨단소재에 집중하고 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오너 부재로 1년 8개월여간 멈춰있던 한화가 올해 초 리스크가 해소되자마자 고강도 사업재편에 들어가며 미래 먹거리를 위한 과감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나온 지 반년이 지났고 건강상태도 상당 부분 호전되면서 그룹의 오너리스크도 함께 해소된 상태다.
김 회장이 풀려난 이후 건축자재·제약 등 비핵심사업을 정리하는 한편 3대 핵심사업에 역량을 집중하는 방식의 그룹 구조재편이 이어졌다.
지난 6월 한화L&C 건재사업 부문은 모건스탠리 프라이빗에쿼티 측에 3000억원에 매각된 것을 시작으로 경쟁력이 없거나 시너지가 부족한 사업부문을 매각하고 있다.
기존 존속법인인 소재사업 부문은 ‘한화첨단소재’로 사명을 변경해 수익성이 부진했던 건자재부문 대신 그룹 간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첨단소재 쪽으로 방향을 정했다. 한화케미칼은 제약 자회사 드림파마도 매각했다.
비주력사업 정리와 함께 주력사업에 대한 투자도 이어지고 있다. 석유화학부문의 강화를 위해 한화케미칼은 폴리우레탄 원료인 TDI를 생산하는 KPX화인케미칼을 인수했으며. 미국의 다우케미칼 기초화학사업부 인수도 검토하고 있다.
다우케미칼은 1897년 설립된 미국기업으로 세계 화학제품 시장에서 독일 바스프와 함께 1, 2위를 다투는 선두기업이다. 또 미래성장동력인 태양광 부문의 육성도 활발하다.
최근 그룹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주택용 태양광 사업과 에너지 절감사업을 펼치고 있는 주택용 태양광 리테일러인 엠피리얼(Empyreal) 지분 40%를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일본, 독일, 중동 등 주요 지역에서 태양광 리테일 업체 인수 및 발전소 운영사업의 참여도 적극적으로 검토 중이다.
하지만 기대만큼 한화의 성장을 속단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지적이 많다. 한화가 그룹 차원에서 추진 중인 태양광 사업 등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신(新)성장 동력이 미약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4분기 한화케미칼의 매출액은 2조1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4% 감소했고 영업이익도 407억원으로 1.0% 줄어들었다. 특히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1.93%에 불과해 2%에도 못 미친다.
실적부진의 이유로 글로벌 태양광 업황의 개선으로 사상 최대 출하량과 태양광 손익분기점(BEP) 근접에도 주원료의 50%를 차지하는 에틸렌 가격 급등에 따른 원료 실적둔화로 영업이익이 컨센서스를 밑돌아 본업인 화학의 실적 부진을 들 수 있다. 한화의 고민거리 중 하나는 후계자 승계 문제다. 김 회장의 장남 김동관 한화큐셀 전략마케팅 실장은 그룹의 태양광산업을 흑자로 전환시키고 기업 성장동력의 주축으로 성장시켜야 할 막중한 임무를 지고 있다.
경영활동이 전무했던 김 회장의 차남 김동원도 올해 그룹 경영기획실 디지털 팀장으로 업무를 시작해 그룹 경영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재계에서는 지난 2월 집행유예로 풀려난 김 회장이 ㈜한화·한화케미칼 등 주요 계열사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나면서 3세 경영에 힘을 실어주고 있는 것 아니냐는 평가가 나오고 있어 삼성과 같이 후계자 승계에 따른 그룹 내 혼란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