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시아 금융허브로 육성] 23. 아베노믹스로 경제부흥 실패해 도쿄 금융 경쟁력 하락…폐쇄적인 정치 혁신과 더불어 제조업 경쟁력 확보가 우선
민진규 대기자
2023-01-05

▲ 민진규 국가정보전략연구소 소장 [출처 = iNIS]

지난해 7월8일 선거 유세 중 피살된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아베노믹스라는 경제부흥 정책을 펼쳤다. 2000년대 이후 0% 성장세를 유지하는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목적이었지만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비슷한 시기 중국에서는 리커창 총리의 이름을 딴 리커노믹스, 한국에서는 최경환 경제부총리의 이름을 빗대 초이노믹스라는 아류작이 탄생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안보는 미국에게 위탁하고 경제성장에 매진했던 경제동물 일본은 1950년대 후반 유럽을 넘어 미국에 이은 경제대국으로 떠올랐다.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에 가입한 중국이 급격하게 추격하며 2010년대 들어 일본의 G2(주요 2개국) 지위가 무너지며 금융허브도 허물어졌다.

일본 수도인 도쿄는 국제금융센터지수(GFCI)가 지속적으로 하락해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2020년 9월 6위를 기록했던 순위는 2021년 3월 8위를 거쳐 2022년 9월 16위로 떨어졌다. 1868년 메이지 유신 이후 탈(脫)아시아를 외치며 급성장하던 기세마저 사라졌다.

일본 정부와 국민은 1990년대 초반 버블이 붕괴된 이후 ‘잃어버린 30년’을 치욕적이라고 여기지만 대안 마련에는 소극적이다. 금융전문가들은 도쿄의 글로벌 금융도시 위상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폐쇄적인 정치부터 혁신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금융업이 자금 수요가 생기는 제조업을 기반으로 성장하기 때문에 전자·반도체·자동차 등 제조업의 글로벌 경쟁력부터 확보하라고 첨언한다.

로봇 등 4차 산업 관련 투자를 확대하고 저임금 체계를 개선해 우수 인재의 해외 이탈을 막는 방안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아시아의 가장 선진화된 도시였던 도쿄가 아시아 금융허브로 위상을 회복할 수 있는지 초미의 관심사다. 
- 계속 -
저작권자 © 엠아이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 기사
금융 분류 내의 이전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