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 213
" AT"으로 검색하여,
2,123 건의 기사가 검색 되었습니다.
-
▲ 남아프리카공화국 소매업체인 숍라이트(Shoprite)의 CEO인 피테르 엥브렉트(Pieter Engelbrecht)의 사진. [출처=숍라이트 홈페이지] 2025년 1월21일 아프리카 경제동향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기업 경영을 포함한다. 남아프리카공화국 헬스케어 소매업 기업인 클릭스(Clicks)에 따르면 2025년 1월 국내 지점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남아프리카공화국 소매업체인 숍라이트(Shoprite)에 따르면 2025년 1월 남아공 부동산 투자 기업인 임페리얼 레드 자산(Imperial Red Properties)에 브룩사이드 몰(Brookside Mall)을 매각할 계획이다.◇ 숍라이트(Shoprite), 2025년 1월 남아공 임페리얼 레드 자산(Imperial Red Properties)에 브룩사이드 몰(Brookside Mall) 매각 계획남아프리카공화국 헬스케어 소매업 기업인 클릭스(Clicks)에 따르면 2025년 1월 국내 지점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5년 1월21일 보건부(Department of Health)로터 약학 라이센스를 새로 발급받으며 발표했다.2016년 클릭스 그룹의 제조업 자회사인 유니콘 제약회사(Unicorn Pharmaceuticals)의 라이센스 문제가 제기되며 2023년 5월부터 보건부는 클릭스에 약학 라이센스 발급을 중단했다.2024년 8월 클릭스는 규제와 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니콘 제약회사를 매각했다. 매각 이후 보건부는 점차적으로 라이센스를 발급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27개의 라이센스를 발급받았다.클릭스는 2024년 11월과 12월 동안 국내에 11개의 신규 점포를 개점했다. 국내 시장 점유율을 강화하기 위해 향후 확장 계획을 가속화할 방침이다.남아프리카공화국 소매업체인 숍라이트(Shoprite)에 따르면 2025년 1월 남아공 부동산 투자 기업인 임페리얼 레드 자산(Imperial Red Properties)에 브룩사이드 몰(Brookside Mall)을 매각할 계획이다.매각 금액은 R 2억 랜드로 전망되며 숍라이트의 부채 상환에 활용될 방침이다. 해당 쇼핑몰은 콰줄루나탈(KwaZulu-Natal)주 주도인 피터마리츠버그(Pietermaritzburg)에 위치한다.임페리얼 레드 자산은 현재 피터마리츠버그 내의 2개 쇼핑 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건축물과 소매업 자산 운영에 집중하며 운영 지역을 확장할 방침이다.2021년 폭동으로 파괴된 브룩사이드 몰의 재개장과 지역 내 사업체 고용을 통해 지역 경제가 활성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
최근 유전공학에 대한 연구가 급진전되면서 인간의 유전자, 즉 데옥시리보 핵산(DNA)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인간과 마찬가지로 조직에도 DNA가 있다. 창업자의 정신, 그에 기반한 업무방식, 사고방식, 가치관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인간의 유전자는 특별한 노력 없이 다음 세대에 자연스럽게 전달되지만 조직 DNA는 그렇지 않다. 조직 DNA는 공식적인 방법 혹은 비공식적인 방법을 통해 새로운 직원에게 이식된다.하지만 인간과 달리 완전한 전달 가능성은 매우 낮다. 이런 점에서 어떻게 효율적으로 조직 DNA를 전파시킬 것인지 연구가 필요하다. 기업문화의 형성과 전수에 5가지 DNA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이 DNA를 구성하는 10가지 요소(10-Element)를 살펴보자. ◇ 5–DNA 10–Element의 구성.. 동서양의 철학을 융합해 창안한 SWEAT Model로 4차 산업혁명 시대 대응기업문화를 혁신하기 위해서는 기업문화를 구성하는 5–DNA, 즉 비전, 사업, 성과, 조직, 시스템의 혁신이 필요하다.5–DNA에 있어서 비전(Vision)은 목표(Goal)와 책임(Respnsibility), 사업(Business)은 제품(Product)과 시장(Market), 성과(Performance)는 이익(Profit)과 위험(Risk), 조직(Organization)은 일(Job)과 사람(People), 시스템(System)은 방법론(Methodology)과 운영(Operation)으로 각각 구성돼 있다.기업문화에 대해 다방면으로 연구하고 기업에 적용해보면서 기업문화를 혁신하기 위한 모델을 아래 그림과 같이 개발했다. 기업업문화를 구성하는 5개의 DNA와 10가지 요소 즉 ‘5-DNA 10–Element’로 구분해 ‘로 명명했다.각 DNA를 연결하는 화살표 방향은 다른 DNA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업문화는 조직 구성원이 공유하는 가치로 2차원적이고 지엽적으로 인식된다.이에 반해 국가정보전략연구소가 창안한 SWAT Model에 서는 기업문화를 기업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3차원으로 인식하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했다.▲ 동서양 철학을 접목한 SWEAT Model 소개 [출처= iNIS]◇ DNA 1 : Vision의 수립... 측정 불가능한 비전보다 모두가 공감하는 목표 수립 필요5-DNA 중 1 DNA는 ‘Vision’의 수립이고 목표와 책임이 요소이다. 현재 비전보다는 미래의 비전이 중요하다. 글로벌 기업의 비전은 본사뿐만 아니라 국내 계열사, 해외 법인 및 지사까지 모든 조직이 공감할 수 있어야 한다.즉 삼성전자, 현대자동차와 같은 글로벌 기업이라면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모든 지역의 문화를 수용할 수 있어야 글로벌 기업문화를 정립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기업의 비전은 목표와 책임을 포함한다. 목표를 설정할 때는 내부의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중요하다. 목표의 설정과정도 상의하달이 아니라 하의상달이 돼야 한다.기업이 지향하는 사업적 목표에 대해 주주, 경영진, 직원, 소비자, 정부 등 내·외부의 이해관계자가 어떻게 생각하는지 파악해야 한다.기업의 목표는 도달 가능하지만 현실보다 높으며 측정 가능해야 한다. 이런 관점을 종합적으로 적용해 기업의 목표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검증해야 한다.한국 기업이 선호하는 막연한 목표는 오히려 기업문화에 해가 된다. ‘세계 최고’, ‘세계 최대’, ‘글로벌 1기업’ 등 대부분 달성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명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용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업 목표를 세워서는 안 된다.또한 목표는 기업의 한정된 자원 즉 인적, 물적 자원을 총동원해 주어진 시간 내에 달성 가능해야 한다. 목표 달성 시 기업은 무엇을 얻게 되는지 명확하게 결과 중심적으로 설정해야 하며 객관적으로 평가가 가능해야 한다.책임은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으로 단순한 실정법이나 도덕적 관념 준수를 넘어서 이해관계자를 건전한 사회로 선도해야 하는 책임까지 포함한다.사회, 문화활동을 통해 적극적으로 사회공헌활동을 함으로써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목표가 돼야 한다.세계 최대 에너지 기업인 BP는 ‘Extended Responsibility’를 핵심가치로 내세우며 이해관계자와 상호이익, 인권, 투명성, 사회적 영향, 정부와의 관계와 영향을 중요시한다.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무한대로 확장했다. 따라서 기업뿐만 아니라 기업 구성원 모두가 사회에 바람직한 역할을 하고 권리와 책임의 균형을 맞출 수 있도록 기업이 지원하는 것까지 사회적 책임의 범위로 봐야 한다. ◇ DNA 2: Business의 재정립... 마케팅 비용투입만으로 시장 장악력 확대 불가능DNA 2는 ‘Business’의 재정립이다. 사업의 요소는 제품과 시장으로 구성된다. 사업영역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다. 사업영역을 확장하고 포트폴리오 구성전략에 대해 면밀한 사전 검토와 내부토론을 거쳐야 한다.새로운 사업을 추가하는 것이 기업의 비전이나 기존 사업과 관련성이 낮을 경우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오너가 일방적으로 결정하는 사업전략은 성공보다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1960년대 국내 3대 연탄제조기업은 삼표의 강원산업, 대성연탄, 삼천리연탄이었다. 삼천리와 대성은 연탄이 사양화되자 ‘에너지 전문기업’을 목표로 도시가스, 충전소, 지역난방사업, 전력사업 등으로 사업전환에 성공했다.반면에 국내 에너지 시장의 70퍼센트를 점유할 정도로 최대 기업이었던 강원산업은 건설, 중공업, 부품산업, 유통업 등으로 사업을 다각화했다.결국 강원산업은 무리한 사업확장과 부진에 시달리다 1998년 워크아웃기업으로 지정됐다. 2000년 인천제철에 흡수합병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제품은 경쟁제품, 보완제품과의 경쟁, 사업파트너와 협력에 대한 전략을 수립하고 기업의 전략적 위치를 선정하는 포지셔닝(positioning)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뛰어난 기업문화가 브랜드와 연계되어 기업의 시장인지도를 상승시키고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시켜야 한다. 시장은 다양한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주력 제품의 시장지배력을 포함한다.마케팅 전략과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설정하는 것까지 시장의 영역에 속한다. 천문학적인 마케팅 비용을 집행하면서도 포지셔닝에 실패하는 제품과 기업은 분명 문제가 있는 것이고 기업문화의 개선에서 해답을 찾아야 한다. ◇ DNA 3: Performance는 이익과 위험관리... 기업의 위험이 국가위기로 확산되지 않아야DNA 3은 ‘Performance’로 성과이다. 성과는 이익과 위험으로 구성된다. 기업은 단기적, 장기적 관점에서 이익을 구분하고 관리해야 한다.오너가 실질적으로 통제력을 행사하는 기업은 단기적 이익을 희생하더라도 장기적이고 실질적인 이익을 고려한다.반면에 단기적 주주가치를 중시하는 미국식 전문 경영인은 자신의 임기 중 실적을 내기 위해 장기적 이익을 훼손해 단기적 성과에 집착하는 경우가 많다.기업의 이익은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훼손한 것이 아닌 ‘착한 이익’이어야 한다. 기업의 주인인 주주의 이익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경영진, 직원, 소비자, 정부, 지역 사회 등의 이익도 기업의 지속가능성장 관점에서 고려해야 한다.경영학자가 정의하는 착한 이익도 기업마다 해석이 다를 수 있지만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기준으로 정립할 수 있는 기업문화가 필요하다.기업의 위험은 재무적 요인과 비재무적 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재무적 요인은 금전적인 측면에서 자금 부족으로 발생한다. 비재무적 요인은 직원의 로열티 저하에서부터 제품의 경쟁력 저하까지 다양하다.기업의 이익이 한두가지 제품에 국한되어서도 안 되고 수명이 짧은 제품에 치우쳐서도 안 된다. 이익의 포트폴리오를 잘 구성해야 기업의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기업은 영리조직이기 때문에 이익실현이 가장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자금 부족, 제품의 경쟁력 약화, 핵심직원의 이직, 국가정책의 변화 등 위험을 잘 관리해야 한다.국가경제에 막대한 부문을 차지하는 기업의 위험은 국가경제의 근간을 흔들 수 있으므로 체계적으로 위험을 관리해야 한다. 기업이 이익을 늘리고 위험을 관리하는 시스템을 개발해 운영하는 출발점이 기업문화가 돼야 한다. ◇ DNA 4: Organization은 조직관리... 공정한 경쟁과 성과보상이 우수 인재 확보의 지름길DNA 4는 ‘Organization’으로 조직이다. 조직은 일과 사람을 포함한다. 조직이 체계적인 유기체로서 작동하기 위해서는 직원별 업무, 즉 일이 잘 정의돼 있어야 한다.업무를 처리하는 과정, 프로세스가 정의되어야 하고, 이 업무절차에 따라 업무가 자연스럽게 처리돼야 한다. 업무 메뉴얼이 만능은 아니지만 기본적인 업무 메뉴얼조차 없는 조직이 업무를 잘한다고 보기는 어렵다.일부 우수한 직원은 업무 매뉴얼이 없어도 정상적인 업무 처리가 가능하겠지만, 대부분의 평범한 직원은 불가능하다.조직은 전 직원이 최소한 평균 이상의 능력을 발휘할 때 최상의 효율을 발휘한다. 잘 정의된 업무 매뉴얼이 이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직원이 일하는 방식을 변화시키는 것도 중요한 과정이다. 비효율적인 행동양식을 찾아내 없애거나 개선하는 과정을 밟아간다.수십 개의 절차가 사라지거나 통합되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정리되는 이 필요한 것이다. 직원의 직무는 직무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분류돼 있어야 한다.직무 분류의 기준이 합리적인지, 직무의 역할과 책임이 정의되어 있는지도 관심사항이다. 잘 분류되고 정의된 직무라고 해도 기업의 비전, 사업의 영역, 업무 범위의 변화에 따라 체계적으로 직무를 관리해야 한다. 기업의 목표달성을 위해 요구되는 핵심역량을 구체적으로 정의해 직원의 직무에 반영해야 한다.유능한 직원을 선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직원이 건전한 경쟁을 통해 조직 내에서 성장하고 조직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따라서 창의적 갈등을 유발시키면서 조직을 관리하는 것이 시급하다. 기업은 직원이 입사 후 퇴사까지 자신의 경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협조해야 한다.자아실현의 욕구도 중요하지만 조직목표 달성도 이에 못지않게 강조돼야 하므로 직원과 기업이 머리를 맞대고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경력개발은 과거의 ‘generalist’에서 ‘specialist’로 될 수 있도록 직무를 전문화해야 한다. 내부의 공정한 경쟁이 보장돼야 자기계발에 대한 동기부여가 된다.기업이 직원에게 줄 수 있는 것이 급여 외에도 새로운 지식, 경험 등 자아실현의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요소도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아무리 황금만능주의라고 해도 돈보다 더 가치 있는 요소도 분명히 존재하며 비금전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는 직원도 존재한다. 특히 경제적으로 풍족한 시대에 성장한 신세대 직장인은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다.자신이 성공적으로 수행한 업무경험을 매뉴얼화해서 다른 직원과 공유하는 분위기가 내부에 충만해야 한다. 기업의 조직에서 일과 사람의 중요성은 기존의 기업문화 연구가 이 부문에 한정되었다는 점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 DNA 5: System의 유기적 구축... 시스템 구축보다 중요한 것은 효율적인 운영 능력DNA 5는 ‘System’으로 조직의 업무와 구성원의 화학 결할이 가능하도록 유기적으로 구축돼야 한다. 시스템은 방법론과 운영을 말한다.방법론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그런 의미보다는 경영에 관한 진리를 얻기 위한 경영도구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했다. 방법론도 기업문화 변화를 지원하기 위한 인프라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경영에 직접적으로 활용되는 EIS(경영자정보시스템), ERP(전사적자원관리), SCM(공급망관리), BSC(균형성과지표) 등 시스템에 대한 고려도 중요하지만 직원의 능력개발에 관련된 교육시스템도 자사의 기업문화에 적합하게 관리해야 한다.직원에 대한 교육도 강제적인 훈련에서 자발적인 학습으로 개념 전환이 이뤄져야 한다. 자발적인 학습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직원의 마인드를 관리하고 반영할 수 있어야 하므로 기업문화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운영은 기업의 생산과 조직의 전반에 걸친 노하우로 단순히 생산설비의 효율적 작동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조직의 각종 시스템에까지 적용하는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운영의 원칙은 연구개발, 구매, 생산, 품질관리, 인사관리 등 업무의 플로우 진행과정에서 원칙을 표시하고 통일적, 지속적인 행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 생산의 효율화 뿐 아니라 조직의 의사결정을 위한 제도 효율화도 운영의 영역이다.시스템은 개별적으로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이며 종합적으로 운용되도록 해야 한다. 예를 들면 학습조직(CoP)은 지식생성 및 공유를 위해 조직 내부에 특정 지식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직원들의 모임이다.는 유사한 관심과 흥미를 가진 직원들의 네트워크가 됨으로써 조직 내 핵심역량 개발의 주체가 될 수 있다. 조직의 구조적 장벽을 타파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업무수행이 가능하고 유기적 조직으로 성장하는 기반이 된다.이 조직은 단순히 시스템만 개발한다고 되는 것이 아니라 직원들의 자발적인 동참의지와 이를 가능케 하는 운영이 중요하다.CoP는 시공간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정보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기업문화 혁신의 주체로서 중요성을 인식한 경영진의 절대적인 지원이 요구된다.또한 직원의 자발적인 참여 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업무 시간의 20~30퍼센트(%) 정도를 활동에 할애하는 기업문화가 정착돼야 성공확률이 높아진다.지식기반의 활동이 중요한 기업인 컨설팅 회사, 자원개발, 에너지 회사, 화학회사 등이 전사적 관점에서 전략적으로 를 운영하고 있다.정보화시대에 정보시스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기업문화를 반영하지 못한 시스템은 단순히 업무의 전산화, 컴퓨터의 네트워크화에 불과한 것이 된다.기업의 역사와 업무 노하우, 선진기업의 노하우가 시스템화 되고 기업의 모든 시스템이 하나의 유기체로 작동하는 인프라로 역할을 수행할 때 시스템이 기업문화의 혁신 도구로 자리매김할 것이다.이런 관점에서 시스템이 중요하고 글로벌 선진기업은 시스템을 살아 있는 유기체로 만들기 위한 노력에 수천억 원을 아낌없이 투자하고 있다.- 계속 -
-
2025-01-20▲ 한국수자원공사 본사 전경[출처=한국수자원공사]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에 따르면 행정안전부 주관으로 시행된 ‘2024년 정보공개 종합평가’ 결과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됐다.고객인 정보이용자에 대한 수요분석을 기반으로 정보 제공에 이르기까지 전담 인력이 정보의 적정성 및 신속성 등을 지속 모니터링하며 수준 높은 정보공개에 주력해 왔다.또한 전 직원의 정보공개 역량 향상을 위한 학습 자료를 상시 공유하며 정보공개의 질적 개선을 뒷받침하는 기반도 다지고자 노력했다.그 결과 이번에 최우수 등급 획득으로 이어졌다. 이는 2024년에 비해 한 단계 상승한 등급으로 내실 있고 투명한 정보공개를 위한 노력의 성과다.특히 △ 사전정보공표 충실성 △ 청구처리 적정성 △ 고객 만족도 △ 정보공개법 준수 등 9개 지표에서 만점을 획득하는 등 실적을 인정받았다.정보공개 종합평가는 전국 554개 중앙행정기관, 공공기관 등을 대상으로 정보공개 수준을 평가하는 제도로, 이번 평가에서 한국수자원공사는 공사 최초로 최우수 등급을 획득했다.평가지표는 △ 사전정보 △ 원문공개 △ 청구처리 △ 고객관리 △ 제도운영의 5개 분야, 11개 지표로 구성되며, 해당 기관이 속한 유형 군 내 득점 순위를 기준으로 최우수, 우수, 보통, 미흡 등급이 부여된다.구자영 한국수자원공사 기획부문장은 “이번 정보공개 종합평가 최우수기관 선정은 정보이용자들과 신뢰를 바탕으로 적극적인 소통을 실천하고자 모든 직원이 함께 노력해 이뤄낸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고객의 눈높이에 맞춰 선제적으로 경영정보를 공개하고 국민 알 권리 향상을 위해 앞장서서 신뢰받는 공기업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
▲ 캐나다 티민스에 위치한 노던 칼리지(Northern College) 캠퍼스 전경 [출처=홈페이지]2025년 1월20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일본 제약업체인 다이이치 산쿄가 개발한 유방암 치료제의 판매를 승인했다.미국에서 조류독감과 케이지프리 계란에 대한 규제 때문에 계란 가격이 폭등하고 있다. 2025년에도 계란 가격이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캐나다 연방정부가 유학생에 대한 비자를 줄이기로 결정하면서 대학이 경영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대학은 국제유학생의 입학 자체를 취소하고 직원을 축소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 유방암 치료제인 절제 불가능하거나 전이성 호르몬 수용체(HR+), 사람 표피성장수용체(HER2)의 판매 승인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유방암 치료제인 절제 불가능하거나 전이성 호르몬 수용체(HR+), 사람 표피성장수용체(HER2)의 판매를 승인했다.이번 승인은 일본 제약업체인 다이이치 산쿄가 개발한 항체약물접합체(antibody drug conjugate)로서는 처음이다. 다이이치 산쿄는 아스트라제너카와 협업했다.36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했으며 향상된 반응 비율을 얻었다. 연구소 이상증세와 같은 부작용은 최소 20%의 환자에서 나타났다.미국 고용통계국(US Bureau of Labor Statistics)에 따르면 2024년 12월 기준 A 등급 계란 12개의 가격은 US$ 4.15달러로 전년 동월 2.51달러에 비해 급상승했다.계란 가격이 오른 것은 조류 독감의 발생, 케이지프리 계란에 대한 주정부 법률이 주요인으로 분석된다. 2025년에도 계란 가격은 20% 이상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2023년 1월 평균 계란 가격은 4.92달러였다. 이후 2023년 8월까지 계란 평균가격은 2.04달러로 하락하며 안정세를 유지했다.◇ 캐나다 노던 칼리지(Northern College), 2024년 수입이 줄어들며 직원을 대규모 해고할 계획캐나다 티민스에 위치한 노던 칼리지(Northern College)는 2024년 수입이 줄어들며 직원을 대규모 해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4년 겨울 학기에 입학하려던 200명의 국제 학생 입학을 취소했다.다음 학기에 적자로 600만 달러가 필요하며 2026-2027년 1200만 달러를 추가로 투입해야 한다. 적자는 정부가 유학생의 비자를 줄이며 발생했다.연방정부는 2024년 9월 국제학생의 비자를 10% 줄인다고 발표했다. 2025년과 2026년 목표는 43만7000명으로 2024년 48만500명에서 크게 축소됐다.
-
▲ 미국 방산업체인 안두릴(Anduril) 빌딩 [출처=홈페이지]2025년 1월16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아르헨티나를 포함한다. 미국 방산업체인 안두릴(Anduril)은 오하이오주에 대규모 첨단 제조시설을 건설하는데 US$ 1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2024년 기준 미국에서 연간 320만 대의 전기자동차가 판매됐지만 190만 대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인 것으로 드러났다. 테슬라의 시장점유율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캐나다 연방정부는 미국으로 전기를 보내기 위해 온타리오주에 새로운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고려 중이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부과로 위협하는 것도 주요인으로 분석된다.아르헨티나 은행들은 2025년 1월부터 현금자동입출금기(ATM)의 1일 인출 한도를 상향조정하고 있다. 현금 수요가 더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안두릴(Anduril), 오하이오주 콜롬버스에 첫 번째 대규모 제조시설을 건설할 계획미국 방산업체인 안두릴(Anduril)은 오하이오주 콜롬버스에 첫 번째 대규모 제조시설을 건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동화 시스템의 속도를 높이고 무기 제조 규모를 늘리기 위한 목적이다.미국의 국방 산업 기반을 구축해 미국의 전쟁 수행능력을 강화하며 급상승하고 있는 국제 위협을 저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새로운 제조시설을 건설하는데 US$ 10억 달러를 투자하고 4000개의 직접 일자리를 창출한다. 오하이오주에는 숙련된 노동자가 풍부한 점도 강점이다.미국 자동차 시장조사업체인 모터 인텔리전스(Motor Intelligence)는 2024년 320만 대 이상의 전기자동차(EV)가 판매됐다고 밝혔다.플러그인 모델을 포함한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190만 대, 순수 전기모델이 130만 대를 구성한다. 미국의 테슬라가 전기자동차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시장점유율은 49%로 하락했다.테슬라는 2024년 12월20일 타이어압력 경고시스템의 문제로 70만 대의 전기자동차를 리콜했다. 2024년 사이버트럭, 2017형부터 2025형까지 모델 3, 2020년형부터 2025년형까지 모델 Y 등을 포함한다.◇ 캐나다 연방정부, 온타리오주 남부 웨슬리빌에 있는 새로운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고려캐나다 연방정부는 온타리오주 남부 웨슬리빌에 있는 새로운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2050년까지 온타리오주 전력망에 75%의 전기를 추가로 공급하기 위한 목적이다.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에 관세를 위협하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캐나다 교역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에서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고민하고 있다.기존 원자력발전소 시설이 국경 남부인 미국으로 전력을 보낼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캐나다에서 가동 중인 원자력발전소 4개 중 3개가 온타리오주에 위치해 있다.◇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은행(Banco de la Nación Argentina), 2025년 1월부터 현금자동입출금기(ATM) 1일 한도가 AR$ 50만 페소로 상향조정아르헨티나 최대 은행인 아르헨티나은행(Banco de la Nación Argentina)은 2025년 1월부터 현금자동입출금기(ATM) 1일 한도가 AR$ 50만 페소로 상향조정됐다.기존에는 40만 페소였디만 10만 페소를 추가로 올린 것이다. 은행 고객이 현금에 대한 수요가 많아 상향해달라는 요구가 많았다.반면에 산탄데르 은행은 직불 카드를 사용하면 최대 60만 페소를 인출할 수 있다. 플래티움은 100만 페소, 중소기업은 250만 페소까지 각각 찾을 수 있다.
-
2025-01-16▲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국제공항(DXB)의 터미널 1(Terminal 1)의 모습. [출처=DXB 홈페이지] 2025년 1월16일 중동 경제동향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의 서비스와 금융을 포함한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국제공항(DXB)에 따르면 2024년 세계에서 가장 바쁜 국제공항(World’s Busiest International Airport) 1위로 선정됐다. 영국 글로벌 여행 데이터 기업인 OAG에서 조사한 결과다.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SAMA)에 따르면 2025년 1월 미국 글로벌 IT기업인 구글(Google)과 서비스 출시 계약을 체결했다.◇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국제공항(DXB), 2024년 세계에서 가장 바쁜 국제공항(World’s Busiest International Airport) 1위로 선정아랍에미리트 두바이 국제공항(DXB)에 따르면 2024년 세계에서 가장 바쁜 국제공항(World’s Busiest International Airport) 1위로 선정됐다.영국 글로벌 여행 데이터 기업인 OAG에서 조사한 결과다. 2024년 DXB의 이용 좌석 수는 6020만 석으로 2019년과 2023년에 이어 1위를 기록했다.DXB의 항공 수용력은 2023년과 비교해 7%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이전과 대비해서 12% 확장됐다.2024년 세계에서 가장 바쁜 공항 부문에서는 DXB는 2위로 선정됐다. 참고로 1위는 미국의 하츠필드 잭슨 애틀랜타 국제공항(Atlanta Hartsfield-Jackson International Airport)이었다.◇ 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SAMA), 2025년 1월 미국 글로벌 IT기업인 구글(Google)과 서비스 출시 계약 체결사우디아라비아 중앙은행(SAMA)에 따르면 2025년 1월 미국 글로벌 IT기업인 구글(Google)과 서비스 출시 계약을 체결했다.2025년 내에 전국 결제 시스템인 마다(mada)를 통해 구글 페이(Google Pay)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번 계약은 SAMA의 사우디 비전 2030(Saudi Vision 2030)의 목표인 디지털 결제 시스템의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구글은 2024년 10월 사우디아라비아 내에 인공지능(AI) 허브를 구축하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정부가 적극적으로 산업 육성정책을 펼치고 있기 때문이다.
-
2025-01-16▲ 신한카드 로고[출처=신한카드]신한카드(사장 박창훈)에 따르면 2025년 1월16일(목요일) 2025년 소비 트렌드 키워드는 ‘R.E.V.I.V.E’다. ‘R.E.V.I.V.E’는 고객의 결제 데이터와 소셜 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됐다.‘R.E.V.I.V.E’는 불확실한 일상 속에서도 새로운 출발을 모색하고 삶의 의미와 활력을 되찾으려는 부활과 회복의 의미를 담았다.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R.E.V.I.V.E’의 세부 키워드로 페스티벌 코어(Redefine Festivities), 셀프 디깅(Exploring Identity), AI 네이티브(Virtual Companions), 콘텐츠 커머스(Integrated Contents Commerce), 다정력(Value of Tenderness), 기후 이코노미(Environment First)를 전망했다.◇ R : 페스티벌 코어: Redefine Festivities먼저 신한카드는 물질소비보다 경험소비에서 더 큰 만족감을 느끼며 작은 축제를 찾아다니고 일상 속 이벤트를 즐기는 여가 문화로 ‘페스티벌 코어’를 주목했다.뮤직페스티벌과 작은 지역축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불교 박람회, 국제 도서전, 야구장 등 가성비 있게 즐길 수 있는 경험의 장이 각광을 받고 있다.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의 2024년 1~10월 소셜분석 데이터의 주요 축제 언급 비중을 살펴보면 2022년 동기 대비 뮤직페스티벌, 지역축제에 대한 언급 비중이 각각 9%에서 11%, 15%에서 19%로 증가했다.또한 전국 9개 구장 주변 상권의 프로야구 시즌 개막 직후 3주간의 신한카드 이용건수를 살펴보면 2019년 대비해서 18%, 2023년 대비해 13%나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이 밖에도 자신이 태어난 날을 기념하는 굿즈의 인기나 기념거리를 찾아 자신만의 축제를 만들어가는 여가 문화는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의 2024년 1~10월 소셜분석 데이터에서 축하, 기념, 생빈의 언급량이 2022년 대비 각각 48%, 76%, 98% 증가한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생빈 : 생년 빈티지의 줄임말. 특별한 연도 기념 위한 주류를 의미).◇ E : 셀프 디깅(Exploring Identity)두 번째, 신한카드는 자신을 깊이 이해하고 표현하는 소비 목적의 변화로 ‘셀프 디깅’을 제시했다. 외모, 건강, 심리, 운세에 이르기까지 자신을 잘 알기 위한 분석이 유행했다.유전자 검사, 심리 검사, 퍼스널 컨설팅, 생활기록부 열람 등 셀프 진단이 다양해지고 사주나 타로도 자신을 알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되는 것이 확인됐다.신한카드의 2024년 1~9월 오프라인 철학관 및 운세 관련 가맹점의 이용 변화를 보면 전년동기 대비 이용자수는 5.4%, 이용건수는 4.9%, 이용금액은 13% 늘어났다. 특히 20대의 이용건수 증감률은 6.1%, 30대는 9.9%로 전체 증감율 4.9%를 상회했다.한편 자신이 지향하는 이미지와 감성을 표현하는 ‘추구미’ 담론의 대상이 확대되면서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의 2024년 1~10월 소셜분석 데이터의 추구미 연관어를 보면 ‘분위기’, ‘취향’, ‘콘셉트’ 등에서 ‘성격’, ‘표정’, ‘인생’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V : AI 네이티브(Virtual Companions)세 번째로 신한카드가 제시한 ‘AI 네이티브’는 AI가 익숙해지며 AI를 창작과 교감의 영역까지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즐기는 것을 의미한다.텍스트 뿐 아니라 이미지, 음성, 영상을 생성하는 AI서비스들이 다수 출시되면서 AI와 함께하는 창작이 일상화되고 기존 미디어 플랫폼들도 생성형 AI 도입을 서두르고 있다.2024년도 1월~11월 기준 신한카드의 창작 특화 생성형 AI 유료 이용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해 104% 증가했다. 같은 기간 일반 생성형 AI와 창작 특화 생성형 AI 이용 연령대 비중을 비교해 보면 일반 생성형 AI는 40대가 38.8%, 50대가 26.2%로 높게 나타났다.반면 창작 생성형 AI는 30대 37%, 20대 이하가 28.5%로 높게 나타나 젊은 세대일수록 AI를 창작의 동반자로 여기는 것을 알 수 있다(*일반 생성형 AI-챗 GPT, Copilot, Calude 등 4개 사 분석, 창작 특화 생성형 AI - Pika, Kling, Midjourney 등 9개 사 분석).◇ I : 콘텐츠 커머스(Integrated Contents Commerce)베 번째 키워드인 ‘콘텐츠 커머스’는 콘텐츠의 영향력이 소비로 깊숙이 침투하는 것을 말한다. ‘쿠팡템’이나 ‘올영템’을 추천해주는 커머스 콘텐츠의 인기가 급증하고 있다.신한카드 소셜분석 데이터에 의하면 전년 대비해서 2024년 1월~10월의 ‘쿠팡템’이 포함된 콘텐츠는 389%, ‘올영템’이 포함된 동영상은 45%나 증가했다.넷플릭스 콘텐츠인 ‘흑백요리사’의 흥행으로 파인다이닝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며 종영 후인 2024년 10월 9일부터 2주간 신한카드의 미슐랭 레스토랑 이용건수는 39.7% 증가했으며 특히 20대의 이용 증가율은 60.5%에 달했다.동시에 커머스 공간도 콘텐츠가 중시되면서 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의 2024년 1~10월 소셜분석 데이터를 보면 지난해 오픈 후 많은 화제를 모았던 복합 쇼핑몰의 연관어로 ‘시그니처’, ‘콘텐츠’, ‘포토존’ 등이 언급되며 공간 자체가 콘텐츠 상품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V : 다정력(Value of Tenderness)다섯번째 신한카드는 불안 심리와 스트레스가 고조되는 일상속에서 정서적 안정감을 추구하고 애정을 쏟을 수 있는 대상을 찾는 현상으로 ‘다정력’을 전망했다.나만의 애착템을 찾고 만들어가는 수요가 증가하면서 꾸미기 문화가 확산되고 작고 귀여운 아이템 판매처가 부상하고 있다.옷, 가방 등을 꾸밀 수 있는 재료를 판매하는 ‘와펜숍’의 신한카드의 2024년 1월~10월 이용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98% 증가했다. 미니 사이즈의 피규어나 굿즈 등을 랜덤으로 뽑는 ‘가챠숍’의 이용건수도 동기간 393%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따뜻함을 콘셉트로 주목받는 뜨개질 카페의 2024년 1월~10월 신한카드 이용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10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 E : 기후 이코노미(Environment First)신한카드는 마지막 키워드로 기후 변화가 일상에 영향을 끼치면서 소비 결정에 핵심 요소가 되는 ‘기후 이코노미’를 제시했다.계절 아이템의 시기가 재편되면서 여름 가전이 추석 선물로 떠오르고, 폭염으로 인한 전기요금의 증가가 눈에 띈다.실제 2024년 6월~10월 신한카드의 월평균 전기요금은 9만7000원으로 전년 동기의 9만1000원에 비해 6.6% 증가했다.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의 2024년 6~10월 소셜분석 데이터와 2022년 동기간의 날씨 관련 주요 감성어의 순위 변화를 살펴보면 ‘고민되다’는 32위에서 25위, ‘힘들다’는 20위에서 13위로, ‘걱정되다’는 11위에서 9위로 상승하는 등 소비자들의 기후에 대한 걱정과 근심이 확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폭염으로 인해 ‘실내공간’ 및 ‘야간 시간’이 새로운 소비 장소와 시간대로 부상되면서 야간 관광 프로그램이 확대되는 등 날씨가 기업의 마케팅과 비즈니스 전략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신한카드 빅데이터연구소는 "소비 트렌드를 살펴보면 소비는 단순한 구매 행위가 아닌 정체성의 표현과 삶의 가치 추구, 사회적·환경적 책임을 실천하는 과정으로 진화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도 변화하는 트렌드에 맞춘 소비 인사이트를 전파하고 이를 기반으로 고객 경험 제고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다"고 밝혔다.
-
▲ Digital Science 산하 기업 IFI CLAIMS Patent Services 로고[출처=Digital Science]디지털 사이언스(Digital Science)에 따르면 자회사 IFI CLAIMS Patent Services가 '글로벌 특허 데이터 동향'을 발표했다. IFI는 세계에서 가장 공신력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특허정보 조사기관이다.지난 4년 동안 감소세를 보였던 미국의 2024년 특허 취득(patent grants) 건수는 2023년 대비 3.8% 증가한 32만4043건으로 상승세를 기록했다.◇ 미국 특허 등록 상위 50위 순위 요약한국 삼성의 2024년 특허 취득은 6377건으로 2023년 6165건 대비 3% 증가해 1위를 유지했으며 해마다 특허수를 늘리고 있다. 실제로 2024년 미국에서 허가받은 전체 특허 중 삼성은 거의 2%를 차지했다.대만 반도체 업체인 TSMC는 2023년의 3687건에 비해 8% 증가한 3989건의 특허를 획득하며 순위가 1계단 상승했다. 2023년 2위를 차지했던 퀄컴은 2024년 3854건에서 3422건으로 11% 감소하며 1계단 하락했다.애플은 3계단 상승해 2024년 4위에 올랐다. 구글도 3계단 상승한 10위를 차지했다. 한편 많은 관심을 받았던 특허 강자 IBM은 2024년에 4계단 하락했지만 여전히 상위 10위권에 머물렀다.상위 50위권에서 가장 큰 상승세를 보인 기업은 모두 아시아 기업이다. 창신 메모리 테크놀로지스(Changxin Memory Technologies, +57위), 텐센트(+54위), LG에너지솔루션(+37위)이 그 주인공이다.알파벳, 아마존,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엔비디아, 테슬라 등 이른바 ‘매그니피슨트 7(Magnificent Seven)’은 2024년에도 화려한 주가 상승세를 이어갔다.하지만 앞의 4개 기업만 상위 50위권에 진입할 정도의 특허를 취득했고 나머지 3개 기업은 진입에 실패했다. 주가상승과 특허는 연관성이 낮은 셈이다. ◇ 미국 기업의 특허 취득 건수 감소미국 기업이 가장 많은 특허(14만3382건)를 취득했지만 미국 특허의 대부분(56%)은 미국 외의 기업이 취득한 특허로 확인된다.즉 일본 기업이 4만3364건의 특허를 획득해 2위를 차지했다. 중국(2만8258건), 한국(2만4115건), 독일(1만4044건)이 뒤를 이었다.특허 등록 상위 10개국 중 8개국에서 특허 수가 증가했다. 중국이 2023년 대비 32%로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스위스가 21%로 두 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미국과 대만만 각각 4%, 5% 감소했다.◇ 무의미하게 낭비되지 않는 급성장 추세의 기술IFI가 발표한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10대 기술 순위는 특허 출원을 기준으로 한다. 특허 출원은 지연 시간이 훨씬 짧기 때문에 현재 진행 중에 있는 기술 관련 특허 등록 현황보다는 보다 나은 지표 역할을 하게 된다.2024년 가장 빠른 성장 추이를 보인 기술은 2020~2024년 27% 이상 증가한 전해 방식(eletrolytic methods)과 관련된 기술인 셀 운영 또는 관련 서비스다.2024년은 이 기술이 리스트에 등장한 첫 해에 해당한다. 하지만 2024년 순위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비철금속 재생(연평균 26.2%), 폐기물 회수(연평균 26.1%), 고형 폐기물 파괴(연평균 17.7%) 등 폐기물 감소를 대상으로 한 관련 기술이 상위 10위 중 3개를 차지했다는 점이다.관련 분야에 있는 기업들은 세상을 보다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혁신에 미래 수익이 있다는 확신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지속가능성을 주제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또 다른 기술로는 전 세계 인구 증가에 따라 필수적인 비 전통적인 공급원으로부터 단백질을 생산하는 기술(CAGR: 22.6%)이 있다.Kratz CEO는 “인공지능(AI)에 대한 시장의 모든 관심에도 불구하고 AI의 기반이 되는 머신러닝 같은 기술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그는 이어 “그러나 이것이 놀라운 점은 아니다. 해당 기술들은 현재 나타나고 있는 AI 호황에 앞서 빠른 성장세를 보여왔고 그 이전 몇 년 동안 우리가 발표한 리스트에 올라와 있었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투자자들은 성장세에 있는 특허 분야에 주목해야 한다. 이를 통해 보다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이다”고 강조했다.특허 활동은 연구자, 애널리스트, 투자자에게 기업의 연구개발(R&D) 활동에 대한 귀중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게 된다. 생산성, 기술 효율성 및 IP 전략을 다루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술 동향과 경쟁 환경을 보여준다.기업의 진정한 가치는 지적 재산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특허 자산을 조사하는 것은 상장 기업의 무형 자산을 측정하는 데 중요한 툴에 해당한다.여러 국가와 특허 관할권에서 특허를 취득한 상위 1000개 기업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무료 도구인 IFI CLAIMS Live 1000을 사용해 나만의 분석 현황을 만들어 볼 수 있다.이 도구는 실시간 데이터를 표시하고 다양한 필터를 사용해 사용자가 직접 목록을 만들고 정렬할 수 있는 대화형 기능을 제공한다.IFI CLAIMS Patent Services는 미국 특허청(USPTO)과 전 세계 특허 발급 기관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해 관련 동향을 조사하는 Digital Science 산하 기업이다.IFI는 세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 정보를 집계해 매년 미국 상위 50개(U.S. Top 50) 및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10대 기술(Top 10 Fastest Growing Technologies) 특허 순위를 발표하는 등 기업의 R&D 활동에 대한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있다미국의 특허 취득 증가세와 더불어 미국 특허 출원(patent applications) 신청 건수도 2023년 41만8111건에서 2024년 43만625건으로 3% 증가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의 혁신 기반 경제가 그 어느 때보다 강세를 보이고 있음을 보여줬다.IFI의 2024년 미국 50대 기업 순위(2024 U.S. Top 50 Ranking)에 따르면 반도체 칩 위탁 생산업체(파운드리)인 TSMC가 3위로 내려간 퀄컴을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애플과 화웨이는 8위로 밀려난 IBM을 제치고 상위 5위권 내에 진입했다. IBM은 29년 연속 1위 자리를 지켰지만 보다 선별적인 특허 전략을 채택하면서 2년 전 삼성에 자리를 내주게 됐다.IFI CLAIMS Patent Services의 CEO인 Ronald Kratz는 “특허 등록 추세가 다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어 반갑다”고 밝혔다.그는 이어 “팬데믹이 시작된 이후 심사를 거치지 않은 특허 출원들이 누적되면서 특허 등록건수가 줄어드는 추세였다.미 특허청은 누적된 특허 신청건을 처리하기 위해 심사관을 더 많이 고용하고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실제 2023년 75만 건을 기록한 미심사 출원 건수는 2024년 81만3000건으로 증가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54만 건 수준이었다.
-
▲ 독일 은행인 ING의 빌딩 전경 [출처=홈페이지]2025년 1월15일 유럽 경제동향은 영국, 프랑스, 독일을 포함한다. 영국의 금융기관은 온라인 뱅킹의 활성화로 지점 방문 고객이 줄어들면서 직원을 대대적으로 줄이고 있다.프랑스 비영리기구에 따르면 저렴한 식품이 비싼 가격의 제품에 비해 다량의 설탕을 포함하고 있다. 가공식품의 77%에 당성분이 들어 있다.독일은 2004년 기준 경기 침체가 2년 연속으로 이어져 2002년과 2003년 이후 20년만에 처음 겪는 현상이다. 제조업체들은 내수 침체와 중국 제품과 경쟁으로 구조조정을 단행하고 있다.◇ 영국 로이드 뱅킹 그룹(Lloyds Banking Group), 리버풀 사무실을 폐쇄할 계획영국 금융기관인 로이드 뱅킹 그룹(Lloyds Banking Group)은 리버풀 사무실을 폐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약 500명의 직원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100여 명의 직원은 체스터로 재배치된다. 현재 리버풀 스페크 사무실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의 80%는 원격 근무나 인근 다른 빌딩에서 근무해야 한다.로이드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 적은 인원으로 잘 정비된 사무실을 지향하고 있다. 2024년 1월 많은 고객이 온라인 뱅킹을 선택한다는 이유로 약 1600명의 직원으로 해고한 바 있다. ◇ 프랑스 푸드워치(Foodwatch), 저렴한 식품에 다량의 설탕이 포함독일 비영리 기구인 푸드워치(Foodwatch)에 따르면 저렴한 식품에 다량의 설탕이 포함된 것으로 드러났다. 일반인은 비싼 설탕이 저령한 식품에는 사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하지만 저렴한 식품에 포함된 설탕은 비싼 제품보다 더 많았다. 예를 들어 배잼에 설탕이 들어갔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소비자는 없다.저렴한 마요네스는 가장 비싼 마요네스에 비해 4배나 더 달콤했다. 시중에 판매되는 5만4000개의 가공식품 중 77%는 최소한 1개 이상의 당성분이 포함돼 있다.◇ 독일 ING, 2024년 국내총생산(GDP)가 전년 대비 0.2% 하락독일 은행인 ING는 2024년 국내총생산(GDP)가 전년 대비 0.2% 하락한 것으로 추정했다. 2023년 0.3% 축소에 이어 2년 연속으로 경제가 침체된 것이다.유럽 최대 경제대국인 독일이 20년 만에 처음으로 2년 연속 경기침체를 경험하고 있다. 2002년과 2003년 경기가 하락한 이후 다시 동일한 현상이 나타난 셈이다.현재 제조업체들은 국내 수요 침체로 생산량을 줄이고 있다. 상승한 에너지 가격, 수입된 제품과 가중되는 경쟁 등으로 제조업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2024년 국내 최대 고용업체 중 하나인 폭스바겐은 2030년까지 3만5000명 이상의 직원으로 해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상 처음으로 제조공장의 폐쇄를 검토하고 있다.
-
2025-01-15▲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 빌딩 [출처=홈페이지]2025년 1월15일 북중남미 경제동향은 미국, 캐나다, 브라질을 포함한다. 미국은 2024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9% 상승해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캐나다는 미국 거대 곡물기업의 인수를 승인해 세계 2위 곡물기업이 탄생하게 됐다. 글로벌 곡물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브라질은 2024년 11월 국내총생산(GDP)의 70%를 차지하는 서비스 부문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 정보통신은 호전되고 있지만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교통 부문은 하락했다.◇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 2024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2.9% 상승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은 2024년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2.9% 상승했다고 밝혔다. 11월 2.7%에 비해 소폭 확대됐다.2024년 하반기 연방준비은행이 목표한 2%보다는 높은 수치로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트럼트 도널드 대통령 당선자가 관세를 올린다고 천명해 1월에 물가는 더욱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2024년 12월 식품과 에너지 부문을 제외하면 CPI는 0.2% 상승에 그쳤다. 새로운 정부의 세금 인하도 경제 확장세를 유도해 인플레이션에 대한 압박은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번지(Bunge), 캐나다 정부로부터 비테라(Viterra)의 인수 승인받아미국 4대 곡물 기업 중 하나인 번지(Bunge)에 따르면 캐나다 정부로부터 비테라(Viterra)의 인수를 승인받았다. 비테라는 글로벌 곡물기업인 글렌코어(Glencore)의 자회사다.승인 조건은 웨스턴 캐나다에 있는 6개 곡물 창고의 분할과 캐나다에 향후 5년 동안 최소 C$ 5억2000만 달러를 투자하는 조건이다.또한 번지는 사우디아라비아가 소유하고 있는 곡물회사인 G3가 결정하는 가격 정책과 투자 결정에 관여해서는 안된다. 번지는 H3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양사는 2023년 합병 계획을 공개했지만 캐나다 반독점 규제당국이 우려를 표명하며 승인이 지연됐다. 양사가 합병하면 US$ 340억 달러 규모의 세계 2위 곡물회사가 탄생하게 된다. ◇ 브라질 지리통계청(IBGE), 2024년 11월 서비스 부문의 성장률 0.9%브라질 지리통계청(IBGE)는 2024년 11월 서비스 부문의 성장률이 0.9%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서비스는 국내총생산(GDP)의 약 70%를 차지하고 있서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하기 이전인 2020년 2월 16.9% 상승한 것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수치다. 2024년 10월 1.4%와 비교해 소폭 축소됐다.2024년 11월 에너지 가격의 상승으로 교통은 2.7% 하락 등 실적이 좋지 않았다. 반면에 정보통신은 1,1%, 기타 서비스는 1.8% 등으로 올랐다.
1
2
3
4
5
6
7
8
9
10
11~20